KR101806087B1 -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 - Google Patents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087B1
KR101806087B1 KR1020170120136A KR20170120136A KR101806087B1 KR 101806087 B1 KR101806087 B1 KR 101806087B1 KR 1020170120136 A KR1020170120136 A KR 1020170120136A KR 20170120136 A KR20170120136 A KR 20170120136A KR 101806087 B1 KR101806087 B1 KR 10180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ating
unit
powder
m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이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천 filed Critical 이재천
Priority to KR102017012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5/12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05B15/12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81Spray pistol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에서 사용되는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을 분체도장하는 장치로서, 노출면이 진행 방향의 좌우측 외부를 각각 향하도록 2개의 인코너 거푸집을 배치하여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진행경로 상에 설치되어 인코너 거푸집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이송부의 진행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표면처리부를 거친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을 향하여 분체도료를 분사하는 도장부스; 상기 도장부스의 하부에는 추가적인 분체도료를 수거할 수 있는 수거부; 상기 도장부스 공정을 거친 후 각각의 인코너 거푸집에 진동을 가하여 분체도료를 회수할 수 있는 탈거부; 상기 탈거부를 거친 인코너 거푸집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실; 및 상기 건조실을 통과한 인코너 거푸집의 냉각시키는 냉각실을 포함하고, 상기 도장부스에서는 인코너 거푸집에 형성되는 분체도장층을 80~85㎛의 두께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Inside corner form powder coating machine}
본 실시예는 분체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건축물의 시공에서 금속판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에서 금속판을 해체하지 않는 영구거푸집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영구거푸집의 예로는 슬래브 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가 가장 대표적이다.
영구거푸집으로 사용되는 금속판은 그 일면이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지만 타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영구거푸집에서 노출된 타면은 천장재 설치 등 내장작업 진행에 따라 최종적으로 가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지하실이나 철골주차장과 같이 사용 공간 특성상 내장작업이 필요없는 공간은 영구거푸집의 노출된 타면을 그대로 노출하게 된다. 하지만, 금속판의 영구거푸집 타면이 그대로 노출되면 외기에 의한 부식문제(녹발생)가 있으며, 이는 곧 영구거푸집의 내구성 저하에서 건축물의 내구성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한 것으로 아연도강판이 있지만, 아연도강판 또한 부식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된 것이 아니어서 백녹발생 우려를 여전히 안고 있다. 이에, 아연도강판에 추가적으로 도장하여 내구성을 보완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아연도강판의 도장을 현장 시공공정의 하나로서 진행하여 왔다. 즉, 아연도강판을 영구거푸집으로 설치한 후 내장 마무리 작업의 일환으로 도장공정을 진행한 것이다. 하지만, 현장 도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연도강판 피도장면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장방법에서 액상의 도료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반복적인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도장면이 불균일하는 등 도장품질 또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장시 화재위험이 있어 보다 안전한 공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장장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에서 사용되는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을 분체도장하는 장치로서, 노출면이 진행 방향의 좌우측 외부를 각각 향하도록 2개의 인코너 거푸집을 배치하여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진행경로 상에 설치되어 인코너 거푸집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이송부의 진행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표면처리부를 거친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을 향하여 분체도료를 분사하는 도장부스; 상기 도장부스의 하부에는 추가적인 분체도료를 수거할 수 있는 수거부; 상기 도장부스 공정을 거친 후 각각의 인코너 거푸집에 진동을 가하여 분체도료를 회수할 수 있는 탈거부; 상기 탈거부를 거친 인코너 거푸집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실; 및 상기 건조실을 통과한 인코너 거푸집의 냉각시키는 냉각실을 포함하고, 상기 도장부스에서는 인코너 거푸집에 형성되는 분체도장층을 80~85㎛의 두께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장부스는 진행 방향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자동으로 승하강하면서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에 분체도장을 분사하는 자동분사구; 진행 방향의 일측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직접 들고 사각지대를 분체도장을 분사하는 수동분사구; 및 인코너 거푸집 상하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실은 열원을 발생시키는 버너 및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실 하부와 연결되는 덕트에 열풍의 형태로 공급하는 순환송풍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거부에는 분체도료층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진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 및 에어분사구로 구성되어, 최적의 두께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어부를 통해 진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에어분사구에서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인코너 거푸집을 분체도장처리함으로써 기존의 일반도료 작업에 비해 화재 위험이 경감할 뿐 아니라, 분체도료를 재활용함으로서 경제적인 면에서도 이득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 작업대상인 인코너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도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의 탈거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 대상인 인코너 거푸집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코너 거푸집(1)은 통상에서와 같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수직판넬 (132)과 수평판넬(133)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판넬(132)과 수평판넬(133)의 사이는 간격을 두고 수직판넬(132)및 수평판넬(133)에 각각 용접되는 다수의 보강판(10)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판(10)은 수직판넬(132)과 수평판넬(133)에 용접되는 수직판넬 용접면과 수평판넬 용접면을 가짐과 아울러 서로 만나는 상기 수직판넬용접면과 수평판넬 용접면의 타측부에 수직판넬 용접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프레임 용접면과 수직판넬 용접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직프레임 용접면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 용접면 및 수직프레임 용접면에 각각 수평프레임(135)과 수직프레임(134)이 용접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분체도장장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인코너 거푸집이 2개가 한 공정에서 분체도장되는 것으로, 각각의 수직판넬(132)을 서로 맞물리게 한 후 이송되고, 저면부인 수평판넬(133)은 이송부(100)의 바닥부에 접촉되므로 분체도장이 되지 않는 면으로 수직프레임(134) 및 수평프레임(135)에 대해서 분체도장을 실시하고자 한다.
분체도장층은 정전도장을 기본으로 하는 통상적인 분체도장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분체도료를 인코너 거푸집의 피도장면 일면에 고르게 뿌린 후에 고온으로 용융하여 마무리하는 방법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물론, 분체도료와 인코너 거푸집에 서로 다른 전극을 가지게 한 후 분체도료를 뿌리게 되므로 분체도료는 자력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면에 달라붙게 될 것이며, 그 결과 최종적으로 일정 두께의 분체도장층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분체도장층은 그 기대효과를 고려할 때 70~100㎛의 두께로 형성시키는 것이 적당하며, 가장 적당한 두께는 80~85㎛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그 두께가 80㎛이하인 경우에는 도장층의 박리가 생겨 추후 재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그 두께가 85㎛이상인 경우에는 분체도료의 양을 많이 쓰게 되어 경제적으로 손실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분체도료의 색상 변경에 따라 간편하게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도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의 탈거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송부(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인코너 거푸집이 2개가 한 공정에서 분체도장되는 것으로, 각각의 수직판넬(132)을 서로 맞물리게 한 후 이송되고, 저면부인 수평판넬(133)은 이송부(100)의 바닥부에 접촉되므로 분체도장이 되지 않는 면으로 수직프레임(134) 및 수평프레임(135)에 대해서 분체도장을 실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두 개의 인코너 거푸집을 맞대어 수평으로 눕혀 올려놓은 상태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종래의 분체도장기가 피도장 물체의 전면을 도장하기 위한 것이어서 이송부(100) 또한 피도장 물체를 세워 매달아 이송시키는 장치였던데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도장 물체인 인코너 거푸집 2개를 한쌍으로 눕혀 올려놓기 위해 수평 컨베이어 타입으로 마련하고 있다. 그 결과, 인코너 거푸집의 하부 표면에 분체도료가 묻지 않도록 상부 표면만을 도장부스에 노출시켜 분체도장을 할 수 있게 된다.
전처리장치(200)는 상기 이송부(100)의 선단에 설치되며 이송부(100) 위에 올려진 인코너 거푸집이 도장부스(300)를 통과하기 전에 인코너 거푸집의 상부 표면을 전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처리장치는 인코너 거푸집의 피도장면 위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나 인코너 거푸집의 피도장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분체도료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등을 포함한다.
도장부스(300)은 이송부(100)의 진행경로 상에 설치되어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을 향하여 분체도료를 분사하게 된다.
도장부스(300)은 진행 방향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자동으로 승하강하면서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에 분체도장을 분사하는 다수 개의 자동스프레이건이 구비되어 있는데, 자동스프레이건의 구체적인 수량은 장비의 용량이나 인코너 거푸집의 규격 등을 고려하여 적정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 자동스프레이건은 인코너 거푸집의 이동 속도에 맞추어 적절한 속도로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에 분체도료를 골고루 분사한다.
또한 도장부스(300)에는 작업자가 직접 들고 분체도장을 분사하는 수동스프레이건이 진행 방향의 일측에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수동 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동 작업은 부분적인 터치업 작업시 활용하면 된다. 즉 자동 작업 과정에서 일부 부위에 도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 부위만 수동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터치업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체도장부스에서는 분사되는 분체도료 가운데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에 도착되고 남은 미스트(mist) 형태의 도료는 집진기의 팬(fan)을 가동시켜 포집 회수하고 신선한 공기(clean air)를 순환시키는 수단으로 인코너 거푸집 상하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집 회수를 위한 수단으로 상기 분체도장부스 하부에는 분체도료 수거부(5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는 과잉분사된 분체도료를 수거하기 위함으로 수거부(500)에서 수거된 분체도료는 추후 작업에 다시 재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수거부(500)에 추가적으로 상기 도장부스 공정을 거친 후 각각의 인코너 거푸집에 진동을 가하여 분체도료를 회수할 수 있는 탈거부(4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탈거부(400)에는 분체도료층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401), 상기 카메라(401)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진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402) 및 에어분사구(403)로 구성되어, 최적의 두께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어부(402)를 통해 진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에어분사구(403)에서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최적의 두께층인 분체도장층을 80~85㎛의 두께로 형성시키는 수단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401)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진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402)를 통하여 실행된다. 이를 통하여 에어분사구(403)에서 분사도는 에어양을 조절하여 최적의 분체도장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건조실(600)은 이송부(100)의 진행 경로 상에 설치되어 분체 도장부스에서 분체도료의 분사가 완료된 인코너 거푸집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공간이다.
건조실(600)에서 필요한 열은 열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데, 열풍이 덕트를 통하여 건조실(600)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면서 건조실(600) 내부의 인코너 거푸집을 건조시키고 난 후 건조실(600)의 상부에 구비된 덕트를 통하여 열원공급부로 되돌아 가는 방식으로 순환된다.
열원공급부는 열원을 발생시켜 건조실(600)로 공급하는 버너와 순환송풍기로 구성된다. 열원을 발생시키는 버너에서 발생된 가열된 공기는 순환송풍기에 의하여 건조실(600) 하부와 연결되는 덕트로 열풍의 형태로 공급된다.
냉각실은 상기 이송부(100)의 말단에 설치되며, 건조실을 통과한 인코너 거푸집의 열을 식히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상기 냉각실에 구비되는 냉각장치로는 냉풍기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송부 200: 전처리장치
300: 도장부스 400: 탈거부
401: 카메라 402: 제어부
403: 에어분사구 500: 수거부
600: 건조실

Claims (4)

  1.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에서 사용되는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을 분체도장하는 장치로서,
    노출면이 진행 방향의 좌우측 외부를 각각 향하도록 2개의 인코너 거푸집을 배치하여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진행경로 상에 설치되어 인코너 거푸집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이송부의 진행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처리부를 거친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을 향하여 분체도료를 분사하는 도장부스;
    상기 도장부스의 하부에는 추가적인 분체도료를 수거할 수 있는 수거부;
    상기 도장부스 공정을 거친 후 각각의 인코너 거푸집에 진동을 가하여 분체도료를 회수할 수 있는 탈거부;
    상기 탈거부를 거친 인코너 거푸집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실; 및
    상기 건조실을 통과한 인코너 거푸집의 냉각시키는 냉각실을 포함하고,
    상기 도장부스에서는 인코너 거푸집에 형성되는 분체도장층을 80~85㎛의 두께로 형성시키고,
    상기 탈거부에는 분체도료층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진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 및 에어분사구로 구성되어, 최적의 두께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어부를 통해 진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에어분사구에서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부스는
    진행 방향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자동으로 승하강하면서 인코너 거푸집의 노출면에 분체도장을 분사하는 자동분사구;
    진행 방향의 일측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직접 들고 사각지대를 분체도장을 분사하는 수동분사구; 및
    인코너 거푸집 상하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은
    열원을 발생시키는 버너 및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실 하부와 연결되는 덕트에 열풍의 형태로 공급하는 순환송풍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장장치.
  4. 삭제
KR1020170120136A 2017-09-19 2017-09-19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 KR10180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136A KR101806087B1 (ko) 2017-09-19 2017-09-19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136A KR101806087B1 (ko) 2017-09-19 2017-09-19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087B1 true KR101806087B1 (ko) 2017-12-08

Family

ID=6091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136A KR101806087B1 (ko) 2017-09-19 2017-09-19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0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577B1 (ko) * 2019-11-28 2020-05-27 주식회사 보국강업 고품질 분체도장 장치
KR20200133932A (ko) * 2019-05-21 2020-12-01 변준섭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49B1 (ko) * 2007-02-21 2007-08-30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아연도강판 편면 분체도장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49B1 (ko) * 2007-02-21 2007-08-30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아연도강판 편면 분체도장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932A (ko) * 2019-05-21 2020-12-01 변준섭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KR102250113B1 (ko) * 2019-05-21 2021-05-07 변준섭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KR102115577B1 (ko) * 2019-11-28 2020-05-27 주식회사 보국강업 고품질 분체도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203B2 (en) Spray booths
US10543502B2 (en) Work piece processing arrangements
KR101594172B1 (ko) 분체 도장 장치
KR101806087B1 (ko)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
KR101899844B1 (ko) 징크프라이머 분체도장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분체도장방법
US201002096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pplying Hot Melt Adhesive Powder onto a Non-Metallic Surface
KR930001714B1 (ko) 도장방법
KR101052009B1 (ko) 분체도장장치
JP3238413B2 (ja) スプレー塗装装置
CN115889059A (zh) 工件水性涂料涂装产线及工艺
JPS6025565A (ja) 自動吹き付け塗装方法及びその塗装装置
JP2002273286A (ja) 排気循環路を備えた水溶性塗料の塗装ブース
JP2803997B2 (ja) 塗装皮膜を有する形鋼の一貫連続製造設備及び製造方法
US6065225A (en)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workpieces provided with a surface coating
KR100753549B1 (ko) 아연도강판 편면 분체도장기
KR101064919B1 (ko) 일방향 공기 흐름을 제공하는 도장부스용 도어
JP2000093860A (ja) 塗装ブース
CA2400855C (en) Coating technique
JP3328675B2 (ja) 電着塗膜の二次タレ防止装置
JPH0550006A (ja) セツテイングブース
JPS62277173A (ja) 塗装ブ−ス
CN109622288B (zh) 汽车装饰件全封闭式喷漆工艺
JPS58214372A (ja) 長尺成形材の連続塗装方法
JP3178798B2 (ja) 静電粉体塗装における塗料替え方法及び装置
JP2006026476A (ja) 被塗物の冷却方法及び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