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113B1 -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113B1
KR102250113B1 KR1020190059238A KR20190059238A KR102250113B1 KR 102250113 B1 KR102250113 B1 KR 102250113B1 KR 1020190059238 A KR1020190059238 A KR 1020190059238A KR 20190059238 A KR20190059238 A KR 20190059238A KR 102250113 B1 KR102250113 B1 KR 10225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member
conveyor
frame
transfer
transf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932A (ko
Inventor
변준섭
Original Assignee
변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준섭 filed Critical 변준섭
Priority to KR102019005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113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2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 B30B11/228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using pressing means, e.g. rollers moving over a perforated die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라인을 따라 하나 이상의 천공부와 도장부 및 건조부를 순차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이송라인으로 투입된 앵글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앵글부재의 2개의 날개에 다수의 핀 홀을 천공한 후 그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코팅하고 건조해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자동으로 제조하고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배출라인을 통해서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OR A FOAM OUT CORNERMEMBER}
본 발명은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앵글부재를 투입하면 자동으로 앵글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앵글부재의 2개의 날개에 다수의 핀 홀을 천공하고, 상기 앵글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코팅한 후 건조해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인력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용 아웃코너는 유로폼을 연결하여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가설할 때 서로 이웃한 유로폼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의 앵글부재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날개에는 장공 형태의 핀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쉽게 녹슬지 않도록 소정의 페인트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서 제조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앵글부재의 두 개의 날개에 핀 홀을 형성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앵글부재에 두 개의 날개에 다수의 핀 홀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앵글부재를 전후로 일정 길이씩 이동시키는 동시에 폭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가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종래에는 앵글부재의 표면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페인트를 분무하기 때문에 균일한 도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유해한 페인트 성분을 장기간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거푸집용 아웃코너의 제조를 자동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8352호에는, 장척물 앵글부재(2)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라인(20)과, 상기 이송라인(20) 상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삼각돌출부(34a)가 형성되고 이 삼각돌출부(34a)의 양면에는 복수개의 천공홀(34b)이 관통 형성된 하부다이(34)와, 상기 하부다이(34)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다이(34)의 천공홀(34b)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삼각돌출부(34a)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펀치(45)가 설치되어 이 펀치(45)에 의해 앵글부재(2)의 양면에 핀홀(6)을 형성하는 펀칭기구(40)와, 상기 펀칭기구(40)의 앵글부재(2) 도입단 또는 배출단의 이송라인(20)에 설치된 컷터(54)를 가지며 상기 컷터(54)에 의해 앵글부재(2)를 규격 길이로 절단하는 컷팅기구(50)와, 상기 컷팅기구(50)의 배출단 이송라인(20)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된 앵글부재(5)에 도료를 코팅하도록 된 도료코팅부(60)와, 상기 도료코팅부(60)의 배출단 이송라인(20)에 설치되어 앵글부재(5)의 도료를 건조시키도록 된 건조라인(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는 앵글부재에 핀 홀을 형성하는 펀칭기구 및 도료코팅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앵글부재에 핀 홀을 천공하는 과정과 앵글부재에 페인트를 도장하는 공정 및 건조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지 못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공간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1519호(등록일:2005.12.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8352호(등록일:2006.09.19)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거푸집용 아웃코너의 제조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일정 길이의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을 따라서 절단부, 천공부 및 건조부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배출라인을 통해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인력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제조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는,
두 개의 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를 일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천공기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부재의 양쪽 날개에 다수의 핀 홀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천공부와;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핀 홀이 형성된 상기 앵글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도포하는 도장부와;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로 이루어져 상기 도장부에서 도장된 페인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가 "기역"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상기 앵글부재의 한쪽 날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이탈방지바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면과 상기 이탈방지바 사이의 가이드홈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상기 날개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와, 상기 다수 개의 기어를 회전시켜서 상기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며,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가운데에 설치된 사각 형상의 센터블록과, 상기 센터블록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터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앵글부재의 다른 쪽 날개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터블록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상기 앵글부재의 다른 쪽 날개에 핀 홀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펀치가 구비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천공기를 포함한다.
상기 천공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와, 상기 이송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디스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폭보다 좁고 그 지름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길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도장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롤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양 날개의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3 컨베이어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3 컨베이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앵글부재의 상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상부분사기와 상기 앵글부재의 하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하부분사기로 이루어진 도료분사기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페인트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의 페인트를 상기 도료분사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호스 상에 설치된 펌프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도장챔버의 바닥에는 상기 도료분사기에서 분사되어 떨어지거나 상기 앵글부재의 표면에서 떨어지는 페인트를 받아서 상기 저장탱크로 회수하는 회수판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건조부는, 상기 제3 컨베이어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송풍기와 히터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챔버의 바닥에는 상기 앵글부재에서 떨어지는 페인트를 회수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판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배출라인은, 상기 이송라인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4 컨베이어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상면에 놓여 있는 상기 앵글부재를 들어서 상기 앵글부재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5 컨베이어와, 상기 제5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6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컨베이어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라인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이송롤러와, 상기 두 개의 이송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5 컨베이어는, 상기 제4 컨베이어의 두 개의 지지대 사이의 내측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좌우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지지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과, 상기 두 개의 체인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일측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한 쪽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실린더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일측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컨베이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앵글부재의 선단과 접촉하여 상기 구동모터와 승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단에는 하부로 로드가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로드의 하단에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측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6 컨베이어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천공부의 전방에는 소정의 앵글부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단부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롤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양 날개의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3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가 삼각형상의 단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삼각형상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삼각형상의 칼날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와 상기 천공부 사이에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와, 상기 이송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디스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폭보다 좁고 그 지름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길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컨베이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용 아웃코너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 인력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컨베이어를 일렬로 설치하여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시에 각 장치의 형태에 맞도록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거푸집용 아웃코너의 제조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또한, 본 발명은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는 표준규격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제조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라인을 따라 제조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챔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챔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라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컨베이어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1)는, 크게 두 개의 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11)를 일렬로 배열하여 이루어진 이송라인(10)과,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천공기(31)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부재(2)의 양쪽 날개에 다수의 핀 홀(4)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천공부(30)와,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53)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핀 홀(4)이 형성된 앵글부재(2)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도포하는 도장부(50)와,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63)로 이루어져 상기 도장부(50)에서 도장된 페인트를 건조하는 건조부(60)와, 상기 건조부(60)에서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3)를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11)로 이루어진 배출라인(70)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정 길이의 앵글부재(2)를 이송라인(10)의 일측에 투입하면, 투입된 앵글부재(2)는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천공부(30)에서는 상기 앵글부재(2)의 양쪽 날개에 다수의 핀 홀(4)을 일정 간격으로 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도장부(50)에서는 상기 핀 홀(4)이 형성된 앵글부재(2)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60)에서는 상기 앵글부재(3)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를 건조한다. 그리고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3)는 상기 이송라인(10)의 후단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출라인(70)을 따라서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날개(2a)(2b)가 형성된 앵글부재(2)가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천공부(30), 도장부(50) 및 건조부(60)를 차례로 거치면서 거푸집용 아웃코너(3)를 자동으로 제조한다. 따라서 거푸집용 아웃코너(3)의 제조공정에 요구되는 인력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라인(10)과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3)를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배출라인(70)이 별도로 구비되어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천공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의 천공기(31)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부재(2)의 양쪽 날개에 다수의 핀 홀(4)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금형(34)과, 상기 하부금형(34)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금형(36) 및 상기 상부금형(36)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3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금형(34)의 가운데에는 사각 형상의 센터블록(33)이 설치되고 이 센터블록(33)의 좌우 양측에는 두 개의 사이드블록(37a)(37b)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센터블록(33)과 사이드블록(37a)(37b) 사이에는 앵글부재(2)의 날개(2a)(2b)가 수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 홈(34a)(3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는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안착홈(34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36)에는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앵글부재(2)의 날개에 핀 홀(4)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펀치(36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는 상기 펀치(36a)에 대응하도록 펀치홀(3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이동하는 앵글부재(2)가 상기 천공기(31)에 투입되면,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2a)는 하부금형(34)의 센터블록(33)과 사이드블록(37a) 사이의 가이드홈(34a)에 삽입되고, 다른 쪽 날개는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34c)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승강부재(35)를 작동시켜서 상기 상부금형(36)에 있는 펀치(36a)가 하강하면,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2b)에 핀 홀(4)이 천공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씩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금형(36)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2b)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핀 홀(4)이 형성된다.
그리고 천공부(30)에는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11a)와 제2 컨베이어(11b)를 일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송라인(1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컨베이어(11a)는 "기역"자 형상을 유지하는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2a)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컨베이어(11b)는 기역자 형상을 유지하는 상기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2b)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그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앵글부재(2)는 두 개의 날개(2a)(2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천공기(31)는 기역자 형상으로 공급된 앵글부재(2)의 두 개의 날개(2a)(2b) 중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날개에만 핀 홀(4)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앵글부재(2)의 두 개의 날개(2a)(2b)에 각각 핀 홀(4)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앵글부재(2)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재2 컨베이어(11b)가 구비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베이어(11a)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11a)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2)가 기역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3)과, 상기 가이드레일(13)의 양측에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이탈방지바(14a)(14b)와,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의 측면과 이탈방지바(14) 사이의 가이드홈(13a)(13b)에 수직으로 삽입된 날개(2a)(2b)와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15)와, 상기 다수 개의 기어(15)를 회전시켜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6)은 다수의 기어(15)의 중심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회전축(16a)과, 상기 회전축(16a)의 단부에 설치되는 풀리(16b)와, 상기 풀리(16b)와 연결되는 벨트(16c) 그리고 상기 벨트(16c)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모터(16d)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컨베이어(11a)의 일측에 앵글부재(2)를 투입하면,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2a)는 가이드레일(13)과 이탈방지바(14) 사이의 가이드 홈(13a)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다른 쪽 날개(2b)는 가이드레인(1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16)을 작동시키면, 다수의 기어(15)가 회전하여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레일(13)를 따라 앵글부재(2)가 천공기(31) 쪽으로 공급되어 상기 하부금형(34)의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35)를 작동시키면, 상기 상부금형(36)이 하부로 이동하여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다른 쪽 날개(2b)에 다수의 핀 홀(4)을 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기(31)에서 배출되는 앵글부재(2)는 제1 컨베이어(11a)를 따라 일정 길이 이동한 후 그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컨베이어(11b)로 넘어간다.
이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컨베이어(11b)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컨베이어(11b)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17)와, 두 개의 지지대(17)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18)와, 상기 이송디스크(1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19)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9)은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중심에서 좌우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대(17)를 관통하는 회전축(19a)과, 상기 회전축(19a)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로킷(19b)과, 상기 스프로킷(19b)에 결합하는 체인(19c) 및 상기 체인(19c)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19d)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송디스크(18)는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그 지름은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에 올려져 있는 앵글부재(2)는 상기 이송디스크(18)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디스크(18)의 한 부분에는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에 올려져 있는 앵글부재(2)를 하부로 가압하여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41)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재(41)는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를 하부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가압롤러(42)와, 상기 가압롤러(42)와 연결되고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가압로드(43)와, 상기 가압로드(43)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로드(4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가압실린더(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42)의 후단에는 상기 가압롤러(42)가 상기 이송디스크(18)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동모터(4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11a)에서 제2 컨베이어(11b)로 넘어온 상기 앵글부재(2)는 다수의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기역자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정 길이 이송된다. 그리고 다수의 가압실린더(46)가 작동하여 상기 가압롤러(41)가 하방으로 일정 길이 이동하면, 상기 가압롤러(41)가 상기 앵글부재(2)의 일측 날개(2b)의 끝 부분을 아래로 가압하여 상기 앵글부재(2)가 이송디스크(45)를 중심으로 한 부분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에 놓여 있는 앵글부재(2)는 45도 정도 회전되어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게 된다. 이어, 상기 다수의 가압실린더(46)를 더욱 신축시켜서 상기 가압롤러(41)가 하방으로 더 이동하면 상기 앵글부재(2)의 일측 날개(2b)는 다시 45도 정도 더 회전하여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2b)는 상기 제1 컨베이어(11a)의 가이드레일(13)과 이탈방지바(14b) 사이의 가이드 홈(13b)에 수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2 컨베이어(11b)의 구동수단(19)을 반대 반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앵글부재(2)는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후진하여 천공기(31)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천공기(31)의 센터블록(33)과 사이드블록(37b) 사이에 상기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2b)가 수직으로 삽입되고 한쪽 날개(2a)는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기(31)의 상부금형(36)을 상하로 작동시키면 상기 펀치(36a)가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2a)에 일정한 간격으로 핀 홀(4)이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기(31)에서 배출되는 앵글부재(2)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11a)(11b)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어 후단의 도장부(50)로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도장부(50)는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하는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53)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앵글부재(2)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 것으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라인(11)을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된 도장챔버(53)와, 상기 도장챔버(53)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앵글부재(2)의 상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상부분사기(55a)와 상기 앵글부재(2)의 하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하부분사기(55b)로 이루어진 도료분사기(55)와, 상기 도료분사기(55)에 페인트를 공급하는 도료공급부(5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료공급부(56)는 이송라인(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페인트를 저장하는 저장탱크(58)와 상기 저장탱크(58) 내의 페인트를 상기 도료분사기(55)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공급호스(59)와 상기 공급호스(59) 상에 설치된 펌프(5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장챔버(53)의 바닥에는 상기 도료분사기(55)에서 분사되어 떨어지거나 상기 앵글부재(2)의 표면에서 떨어지는 페인트를 받아서 상기 저장탱크(58)로 회수할 수 있도록 회수판(53b)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라인(10)은 상기 앵글부재(2)의 양쪽 날개(2a)(2b)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삼각형의 단면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11c)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제3 컨베이어(11c)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14)와, 상기 이송롤러(1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5)은 상기 이송롤러(14)의 일단에 설치된 스프로킷(15a)과 상기 스프로킷(15a)과 연결되는 체인(15b) 및 상기 체인(15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15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앵글부재(2)가 제3 컨베이어(11c)에 투입되면, 상기 앵글부재(2)는 양쪽 날개(2a)(2b)의 하단이 상기 이송롤러(14)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앵글부재(2)가 도장챔버(53)의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펌프(57)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도장챔버(5)의 입구 쪽에 설치된 도료분사기(55)에서 소정의 페인트가 분사된다. 즉, 상부분사기(55a)는 앵글부재(2)의 상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고, 하부분사기(55b)는 앵글부재(2)의 하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한다. 그러면, 상기 앵글부재(2)의 상면으로 분사된 페인트는 양쪽 날개(2a)(2b)의 상면을 따라 하부로 흐르면서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고, 상기 앵글부재(2)의 하면으로 분사된 페인트는 양쪽 날개(2a)(2b)의 하면을 따라 하부로 흐르면서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다. 이때, 상기 상부분사기(55a)와 하부분사기(55b)에는 납작한 형태의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앵글부재(2)의 상면과 하면에 넓고 얇게 페인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료분사기(55)에서 분사된 후 떨어지거나 상기 앵글부재(2)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페인트는 도장챔버(53)의 바닥에 설치된 회수판(53b)을 통해 저장탱크(58)로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장부(50)를 통과하는 앵글부재(2)는 제3 컨베이어(11c)를 따라 후단의 건조부(60)로 이송된다.
이어서, 상기 건조부(60)는 상기 앵글부재(2)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를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63)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챔버(63)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24)를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의 주변을 감쌀 수 있도록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건조챔버(63)의 내부에는 다수의 송풍기(66)와 히터(67)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앵글부재(2)가 제3 컨베이어(11c)의 이송롤러(24)를 따라 상기 건조챔버(63)의 내부로 유입되면 다수의 송풍기(66)와 히터(67)에서 분사되는 온풍에 의해서 앵글부재(2)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가 건조된다. 이때, 상기 건조챔버(63)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습도계와 온도계가 더 구비되어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상기 송풍기(66)와 히터(67)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건조챔버(63)의 바닥에도 상기 앵글부재(3)에서 떨어지는 페인트를 회수할 수 있도록 회수판(63b)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60)에서 건조된 앵글부재(2)는 후단의 배출라인(70)을 통해서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70)은,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앵글부재(2)를 이송라인(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컨베이어(11c)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2)를 이송라인(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4 컨베이어(11d)와,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상면에 놓여 있는 상기 앵글부재(2)를 들어서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5 컨베이어(11e)와, 상기 제5 컨베이어(11e)를 따라 수평 이송된 앵글부재(2)를 받아서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동시키면서 상기 앵글부재(2)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를 자연 건조하는 제6 컨베이어(11f)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컨베이어(11d)는 제3 컨베이어(11c)의 후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72)과, 상기 프레임(72)의 상단에 상기 이송라인(1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73)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7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이송롤러(74)와, 상기 두 개의 이송롤러(7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수단(7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수단(75)은 상기 이송롤러(74)의 가운데에서 양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두 개의 지지대(73)를 관통하는 두 개의 중심축(76)과 상기 두 개의 중심축(7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구동모터(77)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7)를 작동시키면 두 개의 이송롤러(74)가 회전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11c)에서 넘어온 앵글부재(2)는 상기 이송롤러(74)의 상면을 따라 상기 이송라인(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5 컨베이어(11e)는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내측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두 개의 지지대(73)의 안쪽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 틀 형상의 회동프레임(82)과, 상기 회동프레임(82)의 좌우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83)과, 상기 스프로킷(83)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84)과, 상기 체인(8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9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96)는 후술하는 제6 컨베이어(11f)의 체인(95)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96)를 구동시켜서 상기 두 개의 체인(84)을 회전시키면 그 상면에 놓인 상기 앵글부재(2)는 두 개의 체인(84)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5 컨베이어(11e)에는 상기 체인(84)의 상면에 놓여 있는 앵글부재(2)를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동프레임(82)을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회동부재(85)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부재(85)는,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지지대(73)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프레임(82)의 한 쪽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실린더(85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85a)의 하단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로드(85b)가 설치되고, 상기 로드(85b)의 하단에는 상기 회동프레임(82)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돌출부(85c)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실린더(85a)를 수축시키면, 상기 로드(85b)가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로드(85b)가 상부로 이동하면, 그 하단에 있는 돌출부(85c)가 회동프레임(82)의 일측을 끌어서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회동프레임(82)을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96)를 작동시키면, 두 개의 체인(84)이 회전하여 상기 두 개의 체인(84)의 상면에 있는 상기 앵글부재(2)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지지대(73)에는 상기 제4 컨베이어(11d)를 따라 이동하는 앵글부재(2)의 선단과 접촉하도록 접촉센서(76)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접촉센서(76)는 앵글부재(2)의 선단과 접촉될 때, 상기 승강실린더(85a)를 수축시켜서 상기 회동프레임(82)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상부로 회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77)를 작동시켜서 상기 앵글부재(2)가 체인(84)을 따라 제6 컨베이어(11f) 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6 컨베이어(11f)는, 상기 이송라인(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3)를 상기 이송라인(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면서 자연 건조하는 동시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92)과 상기 프레임(92)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93)과, 상기 회전축(9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94)과, 상기 스프로킷(94)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95) 및 상기 회전축(9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모터(9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96)의 작동에 따라 두 개의 체인(95)이 외 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4 컨베이어(11e)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95)의 후단부에 쌓여 있는 거푸집용 아웃코너(3)는 작업자에 의해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1)는, 앵글부재(2)의 양쪽 날개에 다수 개의 핀 홀(4)을 형성한 다음 소정의 페인트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자동으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천공부(30)의 전방에 소정의 앵글부재(2)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20)를 더 설치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단부(20)는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절단기(3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절단기(31)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3)가 삼각형상의 단면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삼각형상의 가이드레일(23a)이 형성된 하부금형(23)과 상기 하부금형(23)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금형(23)의 삼각형상의 가이드레일(23a)에 대응하도록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커팅날(24a)이 구비된 상부금형(24)과, 상기 상부금형(24)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라인(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14)와, 상기 이송롤러(1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5)을 포함하는 제3 컨베이어(11c)이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4)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2)의 양 날개의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롤러(2)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는 삼각형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컨베이어(11c)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앵글부재(2)는 상기 절단기(21)의 하부금형(23)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3a)의 상면에 놓이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25)를 이용하여 상부금형(24)을 하강시키면 상기 상부금형(24)의 하면에 구비된 커팅날(24a)이 앵글부재(2)를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앵글부재(2)는 상기 제3 컨베이어(11c)를 따라 일정 길이 이송된 후 그 후단에 설치되는 제2 컨베이어(11b)로 이동한다. 상기 제2 컨베이어(11b)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17)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17)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18)와, 상기 이송디스크(1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19)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디스크(18)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2)의 날개의 폭보다 좁고 그 지름은 상기 앵글부재(2)의 날개의 길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일측에는 이송디스크(18)의 상면에 올려있는 앵글부재(2)를 하부로 가압하여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41)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재(41)는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를 하부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가압롤러(42)와, 상기 가압롤러(42)와 연결되고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가압로드(43)와, 상기 가압로드(43)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로드(4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가압실린더(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42)의 후단에는 상기 가압롤러(42)가 상기 이송디스크(18)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동모터(4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컨베이어(11a)에서 제2 컨베이어(11b)로 넘어온 상기 앵글부재(2)는 다수의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삼각형상을 유지하면서 일정 길이 이송된다. 그리고 다수의 가압실린더(46)가 작동하여 상기 가압롤러(41)가 하방으로 일정 길이 이동시키면, 상기 가압롤러(41)가 상기 앵글부재(2)의 일측 날개(2b)의 끝부분을 아래로 가압하여 상기 앵글부재(2)가 이송디스크(45)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 1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에 놓여 있는 앵글부재(2)는 45도 정도 회전하여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2a)는 상기 제1 컨베이어(11a)의 가이드레일(13)과 이탈방지바(14a) 사이의 가이드 홈(13a)에 수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2 컨베이어(11b)의 구동수단(19)을 작동시키면, 상기 앵글부재(2)는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천공기(31)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기(31)의 상부금형(36)을 상하로 작동시키면 상기 펀치(36a)가 앵글부재(2)의 한 쪽 날개(2a)에 일정한 간격으로 핀 홀(4)이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라인(10)은 앵글부재(2)가 기역자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11a)와 상기 앵글부재(2)가 삼각형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11c)를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앵글부재(2)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컨베이어(11b)는 제1 및 제3 컨베이어(11a)(11c)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앵글부재(2)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용 아웃코너의 제조과정을 완전 자동화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각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를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표준제품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1: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2: 앵글부재
3: 거푸집용 아웃코너 4: 핀 홀
10: 이송라인 11: 컨베이어
11a~11f: 제1~제6 컨베이어 13: 가이드레일
13a,13b: 가이드홈 14: 이탈방지바
15: 기어 16: 구동수단
18: 이송디스크 19: 구동수단
20: 절단부 21: 절단기
23a: 가이드레일 24: 상부금형
24a: 커팅날 25: 승강부재
30: 천공부 31: 천공기
33: 센터블록 33a: 펀치홀
34: 하부금형 34a,34b: 가이드 홈
34c: 안착홈 35: 승강부재
36: 상부금형 36a: 펀치
37: 사이드블록 41: 회전부재
42: 가압롤러 43: 가압로드
44: 가압실린더 50: 도장부
53: 도장챔버 55: 도료분사기
56: 도료공급부 53: 회수판
60: 건조부 63: 건조챔버
70: 배출라인 74: 이송롤러
82: 회동프레임 84: 체인
85: 회동부재 85a: 승강실린더
93: 회전축 95: 체인

Claims (11)

  1. 두 개의 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를 일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된 하나 이상의 천공기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부재의 양쪽 날개에 다수의 핀 홀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천공부와;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핀 홀이 형성된 상기 앵글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도포하는 도장부와;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로 이루어져 상기 도장부에서 도장된 페인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이송라인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4 컨베이어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상면에 놓여 있는 상기 앵글부재를 들어서 상기 앵글부재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5 컨베이어와, 상기 제5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6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가 기역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상기 앵글부재의 한쪽 날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이탈방지바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면과 상기 이탈방지바 사이의 가이드홈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상기한 날개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와, 상기 다수 개의 기어를 회전시켜서 상기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며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가운데에 설치된 사각 형상의 센터블록과, 상기 센터블록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터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앵글부재의 다른 쪽 날개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터블록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상기 앵글부재의 다른 쪽 날개에 핀 홀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펀치가 설치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천공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와, 상기 이송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디스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폭보다 좁고 그 지름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길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컨베이어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라인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이송롤러와, 상기 두 개의 이송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컨베이어는, 상기 제4 컨베이어의 두 개의 지지대 사이의 내측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좌우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지지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과, 상기 두 개의 체인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일측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한 쪽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실린더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일측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컨베이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앵글부재의 선단과 접촉하여 상기 구동모터와 승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단에는 하부로 로드가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로드의 하단에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측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컨베이어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59238A 2019-05-21 2019-05-21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KR10225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38A KR102250113B1 (ko) 2019-05-21 2019-05-21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38A KR102250113B1 (ko) 2019-05-21 2019-05-21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932A KR20200133932A (ko) 2020-12-01
KR102250113B1 true KR102250113B1 (ko) 2021-05-07

Family

ID=7379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238A KR102250113B1 (ko) 2019-05-21 2019-05-21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1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352B1 (ko) * 2005-05-31 2006-09-27 정덕순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제조장치
KR100977029B1 (ko) * 2010-01-15 2010-08-19 본 춘 구 거푸집 코너부재의 생력화 제조장치
KR101308670B1 (ko) * 2013-01-25 2013-09-13 (주) 선우 다목적 형강가공기
KR101806087B1 (ko) * 2017-09-19 2017-12-08 이재천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519B1 (ko) 2004-05-11 2006-01-11 김성기 건축용 아웃코너 제조장치
KR101580280B1 (ko) * 2014-04-01 2015-12-24 (주)엔하이코리아 복합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352B1 (ko) * 2005-05-31 2006-09-27 정덕순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제조장치
KR100977029B1 (ko) * 2010-01-15 2010-08-19 본 춘 구 거푸집 코너부재의 생력화 제조장치
KR101308670B1 (ko) * 2013-01-25 2013-09-13 (주) 선우 다목적 형강가공기
KR101806087B1 (ko) * 2017-09-19 2017-12-08 이재천 인코너 거푸집 분체도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932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045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boards using low friction surfaces
NZ330557A (en) Random pattern spraying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spray nozzle
KR102250113B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KR20170049835A (ko) 접착용 유체 자동도포장치
US20090095172A1 (en) Pallet paint and stencil apparatus and method
WO2018073776A1 (en) Station for applying fluid substances to stone materials
KR101475488B1 (ko) 패널표면 라미네이팅 장치
KR100628352B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제조장치
JP5603086B2 (ja) シャリ玉成形方法およびシャリ玉成形装置
CN210795014U (zh) 一种码砖机喷淋养护机构
CN203426025U (zh) 板类制品单面粉体涂装暨干燥设备
US5312246A (en) Heating and conveying apparatus
KR200396160Y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제조장치
KR102609453B1 (ko) 너와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너와 제조 공정
CN205547291U (zh) 香菇二剪腿装置
CN212682429U (zh) 一种用于双金属轴承生产的烧结炉铺粉装置
KR102350132B1 (ko) 식재료 제조 장치
CN217797178U (zh) 一种防水卷材用的高效撒砂装置
KR200401288Y1 (ko) 쪽마루판 제조용 원목무늬판 공급장치
KR20010091202A (ko) 프로파일 랩핑장치
GB2332640A (en) Manufacturing insulation boards
CN117536018A (zh) 一种工程管理用图纸保存设施
JPH1052808A (ja) 無機系押し出し成形体の乾燥方法及び装置
IE980382A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oam board
KR200317293Y1 (ko) 박스지 자동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