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550B1 -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550B1
KR101803550B1 KR1020160129149A KR20160129149A KR101803550B1 KR 101803550 B1 KR101803550 B1 KR 101803550B1 KR 1020160129149 A KR1020160129149 A KR 1020160129149A KR 20160129149 A KR20160129149 A KR 20160129149A KR 101803550 B1 KR101803550 B1 KR 10180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formula
photonic crystal
crystal structure
index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서현
박종목
공호열
정유진
이세영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2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550B1/ko
Priority to PCT/KR2017/011005 priority patent/WO201806694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materials engineered to provide properties not available in nature, e.g. meta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8Butenes
    • C08F210/10Isobut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복되는 하나의 층에 포함된 코폴리머의 반복 단위에 존재하는 질소 원자를 4차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으로, 4차화 반응 조건을 조절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반사 파장을 갖는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LORIMETRIC PHOTONIC CRYSTAL STRUCTURE}
본 발명은 반사 파장을 조절하여 나타내는 색을 변환시킬 수 있는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결정(photonic crystal)이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유전물질이 주기적으로 배열된 구조체로서, 각각의 규칙적인 격자점에서 산란되는 빛들 사이에 중첩적 간섭이 일어나 특정한 파장 영역대에서 빛을 투과시키지 않고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즉 광밴드갭을 형성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광결정은 정보 처리의 수단으로 전자 대신 광자를 이용함으로써, 정보처리의 속도가 우수하여 정보화 산업의 효율 향상을 위한 핵심 물질로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광결정은 광자가 주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1차원 구조, 평면을 따라 이동하는 2차원 구조, 또는 물질 전체를 통해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3차원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광밴드갭 조절을 통한 광학적 특성의 제어가 용이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결정은 광결정 섬유, 발광소자, 광기전소자, 광결정 센서, 반도체레이저 등 광학 소자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브래그 스택(Bragg stack)은 1차원 구조를 갖는 광결정으로서,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두 층의 적층만으로 쉽게 제조가 가능하고, 상기 두 층의 굴절률 및 두께 조절에 의한 광학적 특성의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상기 브래그 스택은 태양 전지와 같은 에너지 소자뿐만 아니라, 전기적, 화학적, 열적 자극 등을 감지하는 광결정 센서로의 응용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감도 및 재현성이 우수한 광결정 센서를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물질 및 구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노력한 결과, 후술할 바와 같이 브래그 스택 중 반복되는 하나의 층에 포함된 코폴리머의 반복 단위에 존재하는 질소 원자를 4차화(Quarternization)시키는 경우에, 4차화 반응를 위한 화합물 및 4차화 반응 시간을 조절하여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결정 구조체의 색을 변환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반사 파장을 조절하여 원하는 색을 나타낼 수 있는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제1 굴절률층과 제2 굴절률층이 교대로 적층된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굴절률층은 제1 굴절률을 나타내는 제1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굴절률층은 상기 제1 굴절률과 상이한 제2 굴절률을 나타내는 제2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리머 및 상기 제2 폴리머 중 하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인 단계; 및
2)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접촉시켜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691662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 알킬이고,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R'이되, X1 내지 X5 중 적어도 하나는 N이고,
여기서 R'는 수소, C1-20 알킬, C3-20 사이클로알킬, C6-20 아릴, C7-20 알킬아릴 또는 C7-20 아릴알킬이고,
L1은 O 또는 NH이고,
Y1은 벤조일페닐이고,
여기서 Y1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C1-5 알킬 및 C1-5 알콕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n1 및 m1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n1+m1은 100 내지 1,000이고,
[화학식 3]
R-X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수소, C1-20 알킬, C3-20 사이클로알킬, C6-20 아릴, C7-20 알킬아릴 또는 C7-20 아릴알킬이고,
X는 이탈기(leaving group)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반복되는 하나의 층에 포함된 코폴리머의 반복 단위에 존재하는 질소 원자의 4차화(Quarternization) 반응 조건을 조절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반사 파장을 갖는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실시예 1-1 내지 1-9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 및 색변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실시예 1-1 내지 1-9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실시예 2-1 내지 2-9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 및 색변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실시예 2-1 내지 2-9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실시예 3-1, 3-2, 4-1, 4-2, 5-1 및 5-2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 및 색변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실시예 3-1, 4-1 및 5-1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실시예 3-2, 4-2 및 5-2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실시예 6-1 및 6-2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 및 색변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실시예 6-1 및 6-2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실시예 7-1 내지 7-5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실시예 7-1 내지 7-5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일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는 굴절률이 상이한 물질을 반복적으로 교대 적층하여 제조된 1차원 광결정 구조를 갖는 브래그 스택으로, 적층된 구조의 굴절률의 주기적인 차이에 의해 특정한 파장 영역 대의 빛을 반사할 수 있고, 이러한 반사 파장은 외부 자극에 의해 시프트(Shift)되어 반사색이 변환되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구조체 각각의 층의 경계에서 빛의 부분 반사가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많은 반사파가 구조적으로 간섭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특정 파장의 빛이 반사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자극에 의한 반사 파장의 시프트는, 층을 형성하는 물질의 격자 구조가 외부 자극에 의해 변화함에 따라 산란되는 빛의 파장이 변화되면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는 별도의 기재 또는 기판 상에 코팅된 코팅막 형태로, 혹은 프리 스탠딩 필름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광결정 섬유, 발광소자, 광기전소자, 광결정 센서, 반도체레이저 등 광학 소자에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는 화학 및 생물 종 탐지를 위한 환경 소자와 같은 광센서, 글루코스 센서, 단백질 센서, DNA 센서, 질병 진단센서, 휴대용 진단센서와 같은 바이오 센서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응용 분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상기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는 상이한 굴절률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제조되고, 이러한 광결정 구조체가 나타내는 색을 바꾸기 위해서는 각 층에 포함되는 물질을 바꾸거나 혹은 각 층의 두께를 달리하여 신규로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조된 광결정 구조체를 4차화 반응 물질과 접촉시키되 4차화 반응 물질 종류 및 반응 조건을 조절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색을 나타내는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신규로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지 않고 이미 제조된 광결정 구조체를 이용하여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단계 1)
상기 단계 1은, 제1 굴절률층과 제2 굴절률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브래그 스택으로, 상기 제1 굴절률층은 제1 굴절률을 나타내는 제1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굴절률층은 상기 제1 굴절률과 상이한 제2 굴절률을 나타내는 제2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제1 굴절률층이 고굴절률층이고, 상기 제2 굴절률층이 저굴절률층이거나, 다르게는 상기 제1 굴절률층이 저굴절률층이고, 상기 제2 굴절률층이 고굴절률층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이루는 고굴절률층과 상기 저굴절률층의 조성은 각각 하기와 같다.
(고굴절률층)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고굴절률층'은 제1 광결정 구조체 내에 포함된 두 종류의 층 중에서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층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1 폴리머 및 상기 제2 폴리머 중 하나로서, 상기 고굴절률층에 포함되는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6916620-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 알킬이고,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R'이되, X1 내지 X5 중 적어도 하나는 N이고,
여기서 R'는 수소, C1-20 알킬, C3-20 사이클로알킬, C6-20 아릴, C7-20 알킬아릴 또는 C7-20 아릴알킬이고,
L1은 O 또는 NH이고,
Y1은 벤조일페닐이고,
여기서 Y1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C1-5 알킬 및 C1-5 알콕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n1 및 m1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n1+m1은 100 내지 1,000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N원자 함유 6원 헤테로 고리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및 광활성 관능기(Photo-active functional group, Y1)를 갖는 아크릴레이트(L1 = O) 또는 아크릴아미드(L1 = NH)계 모노머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광활성 관능기(Y1)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여, 별도의 광개시제 혹은 가교제(crosslinker) 없이도 자체적으로 광경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스티렌계 모노머 및 광활성 관능기(Y1)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를 랜덤하게 공중합하여 제조된, 상기 화학식 1의 대괄호 사이의 반복 단위들이 서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는 랜덤 코폴리머일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1의 대괄호 사이의 반복 단위들의 블록이 공유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블록 코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상기 화학식 1의 대괄호 사이의 반복 단위들이 교차되어 배열되어 있는 교호 코폴리머이거나, 혹은 어느 하나의 반복 단위가 가지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그라프트 코폴리머일 수 있으나, 상기 반복 단위들의 배열 형태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1.5 내지 1.7의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일 때, 후술하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와 적절한 굴절률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1 및 R2는 수소일 수 있다.
또한, X1은 N이고, X2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CR'이거나;
X2는 N이고, X1, X3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CR'이거나; 또는
X3은 N이고, X1, X2, X4 및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CR'일 수 있다.
이때, R'는 수소 또는 C1-10 알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는 수소, 메틸, 에틸, 또는 페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Y1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조일페닐일 수 있다. Y1이 벤조일페닐인 경우, 광경화의 용이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n1은 상기 코폴리머 내 N원자 함유 6원 헤테로 고리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의 총 개수를 의미하고, m1은 상기 코폴리머 내 광활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n1:m1의 몰비가 100:1 내지 100:20, 예를 들어, 100:1 내지 100:10, 또한 예를 들어 100:5 내지 100: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수 평균 분자량(Mn)이 10,000 내지 300,000 g/mol, 예를 들어, 30,000 내지 18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술한 범위의 굴절률을 가지면서도 광경화가 용이한 코폴리머의 제조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1 내지 1-3으로 표시되는 코폴리머 중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6096916620-pat00003
[화학식 1-2]
Figure 112016096916620-pat00004
[화학식 1-3]
Figure 112016096916620-pat00005
상기 화학식 1-1 내지 1-3에서, n1 및 m1의 정의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저굴절률층)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저굴절률층'은 제1 광결정 구조체 내에 포함된 두 종류의 층 중에서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층을 의미한다. 상기 저굴절률층에 포함된 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가 아닌, 상기 제1 폴리머 및 상기 제2 폴리머 중 다른 하나로서, 다음의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포함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에 비하여 낮은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다: 플루오로알킬 아크릴아마이드, 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폴리머 및 상기 제2 폴리머 중 다른 하나로서, 상기 플루오로알킬 아크릴아마이드, 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와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에 의한 코폴리머 또한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가 아닌, 상기 제1 폴리머 및 상기 제2 폴리머 중 다른 하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6096916620-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 알킬이고,
A는 C1-10 플루오로알킬이고,
L2는 O 또는 NH이고,
Y2는 벤조일페닐이고,
여기서 Y2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C1-5 알킬 및 C1-5 알콕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n2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n2+m2는 100 내지 1,000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플루오로알킬(A)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 및 광활성 관능기(Y2)를 갖는 아크릴레이트(L2 = O) 또는 아크릴아미드(L2 = NH)계 모노머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가 플루오로알킬(A)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반복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머에 비하여 굴절률이 낮고, 열적 안정성, 내화학성, 산화 안정성 등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며, 투명성이 뛰어나다. 여기서, '플루오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불소 원자가 알킬의 수소 원자를 치환하고 있는 작용기를 의미하며, 이때 하나 이상의 불소 원자는 C1-10 알킬의 말단 뿐만 아니라 측쇄의 수소 원자를 치환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의 불소 원자는 하나의 탄소 원자에 모두 결합되어 있거나, 혹은 2개 이상의 탄소 원자에 각각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 내 불소 원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굴절률이 더욱 낮아지고, 소수성이 증가할 수 있어, 불소 원자의 수에 따라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간의 굴절률 차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반사 파장을 갖는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가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광활성 관능기(Y2)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여, 별도의 광개시제 혹은 가교제 없이도 자체적으로 광경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플루오로알킬(A)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광활성 관능기(Y2)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를 랜덤하게 공중합하여 제조된, 상기 화학식 2의 대괄호 사이의 반복 단위들이 서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는 랜덤 코폴리머일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2의 대괄호 사이의 반복 단위들의 블록이 공유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블록 코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상기 화학식 2의 대괄호 사이의 반복 단위들이 교차되어 배열되어 있는 교호 코폴리머이거나, 혹은 어느 하나의 반복 단위가 가지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그라프트 코폴리머일 수 있으나, 상기 반복 단위들의 배열 형태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1.3 내지 1.5의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일 때, 상술한 고굴절률층에 사용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원하는 파장의 빛을 반사하는 광결정 구조체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3 및 R4는 수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A는 C1-5 플루오로알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1-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1,1-디플루오로에틸, 1,2-디플루오로에틸, 2,2-디플루오로에틸, 1,1,2-트리플루오로에틸, 1,2,2-트리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1-플로오로프로필, 2-플루오로프로필, 1,1-디플루오로프로필, 1,2-디플루오로프로필, 2,2-디플루오로프로필, 1,1,2-트리플루오로프로필, 1,2,2-트리플루오로프로필, 2,2,2-트리플루오로프로필, 1-플로오로부틸, 2-플루오로부틸, 1,1-디플루오로부틸, 1,2-디플루오로부틸, 2,2-디플루오로부틸, 1,1,2-트리플루오로부틸, 1,2,2-트리플루오로부틸 또는 2,2,2-트리플루오로부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Y2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조일페닐일 수 있다. Y2가 벤조일페닐인 경우, 광경화의 용이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n2는 상기 코폴리머 내 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의 총 개수를 의미하고, m2는 상기 코폴리머 내 광활성 관능기(Y2)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n2:m2의 몰비가 100:1 내지 100:10일 수 있고, 수 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 g/mo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n2:m2의 몰비가 100:0.5 내지 100:5, 구체적으로 100:0.5 내지 100:2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수 평균 분자량이 20,000 내지 80,000 g/mol, 구체적으로 20,000 내지 6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술한 범위의 굴절률을 가지면서도 광경화가 용이한 코폴리머의 제조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2-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코폴리머 중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2-1]
Figure 112016096916620-pat00007
[화학식 2-2]
Figure 112016096916620-pat00008
[화학식 2-3]
Figure 112016096916620-pat00009
상기 화학식 2-1 내지 2-3에서, n2 및 m2의 정의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한편, 이러한 제1 광결정 구조체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상기 제1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1 분산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1 굴절률층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1 굴절률층 상에 제2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분산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2 굴절률층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 및 b)를 반복하여, 상기 제1 굴절률층과 상기 제2 굴절률층이 교대로 적층된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또한, 제1 광결정 구조체는 용도에 따라 상기 최하부에 배치된 제1 굴절률층의 제2 굴절률층이 배치되지 않은 다른 일면에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최하부에는 기판이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상술한 a) 단계 이전에, 기판 상에 제1 굴절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제1 분산액 조성물 및 제2 분산액 조성물을 제조한다. 각각의 분산액 조성물은 폴리머를 용매에 분산시켜 제조될 수 있고, 여기서 분산액 조성물은 용액상, 슬러리상 또는 페이스트상 등의 여러 가지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사용된다. 이때, 용매는 제1 및 제2 폴리머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제1 및 제2 폴리머는 각각 분산액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기판 상에 도포되기에 적절한 점도를 갖는 분산액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분산액 조성물은 용매 및 제1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분산액 조성물은 용매 및 제2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경화를 위한 별도의 광개시제 및 가교제, 혹은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광결정 구조체를 보다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별도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아 제조된 광결정 구조체의 위치에 따른 광특성의 편차가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조된 제1 분산액 조성물을 기판 또는 기재 상에 도포한 후 광조사를 수행하여 제1 굴절률층을 제조하고, 이후, 상기 제1 굴절률층 상에 제조된 제2 분산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광조사를 수행하여 제2 굴절률층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산액 조성물을 기판 또는 굴절률층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스핀코팅(spin coating), 딥코팅(dip coating), 롤코팅(roll coating), 스크린 코팅(screen coating), 분무코팅(spray coating), 스핀 캐스팅(spin casting), 흐름코팅(flow coating),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잉크젯(ink jet) 또는 드롭 캐스팅(drop casting)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광조사 단계는 질소 조건 하에서 365 nm 파장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에 의해 폴리머 내에 포함된 벤조페논 모이어티가 광개시제로 작용하여 광경화된 굴절률층이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계 a)와 b)를 각각 수회 반복하여, 총 적층수가 5 내지 30 층인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한다. 이때, 총 적층수가 홀수인 경우는 제1 굴절률층을 형성하는 단계 a)를 단계 b)에 비해 한 번 더 반복했음을 의미한다.
이하, 상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제1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10) 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제1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10)는 기판(11) 및 상기 기판(11) 상에 교대로 적층된 제1 굴절률층(13) 및 제2 굴절률층(15)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 굴절률층(13)은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굴절률층(13)과 제2 굴절률층(15)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 상에 제1 굴절률층(13)이 추가로 적층되어, 상기 광결정 구조체는 홀수 개 층의 굴절률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층의 경계면에서 반사된 빛들 간의 보강 간섭이 증가하여,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은 기계적 강도, 열적 안정성, 투명성, 표면 평활성, 취급 용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탄소계 재료, 금속 포일, 박막 유리(thin glass), 실리콘(Si), 플라스틱,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고분자 필름, 종이, 피부, 의류, 또는 웨어러블 소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가요성이 있거나 혹은 가요성이 없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 상에 교대로 적층된 상기 제1 굴절률층(13)은 제1 굴절률(n1)을 나타내는 제1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굴절률층(15)은 제2 굴절률(n2)을 나타내는 제2 폴리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굴절률(n1)과 상기 제2 굴절률(n2)의 차이는 0.01 내지 0.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굴절률(n1)과 상기 제2 굴절률(n2)의 차이는 0.05 내지 0.3, 구체적으로 0.1 내지 0.2일 수 있다. 이러한 굴절률간의 차이가 클수록 광결정 구조체의 광 밴드갭이 커지므로, 상술한 범위 내에서 굴절률간의 차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의 빛이 반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굴절률(n1)은 1.5 내지 1.7이고, 상기 제2 굴절률 (n2)은 1.3 내지 1.5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굴절률층(13)이 고굴절률층이고, 상기 제2 굴절률층(15)이 저굴절률층에 해당되어, 상기 광결정 구조체(10)는 기판(11) 상에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1 굴절률(n1)은 1.3 내지 1.5이고, 상기 제2 굴절률(n2)은 1.5 내지 1.7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굴절률층(13)이 저굴절률층이고, 상기 제2 굴절률층(15)이 고굴절률층에 해당되어, 상기 광결정 구조체(10)는 기판(11) 상에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굴절률층의 두께 대 상기 고굴절률층의 두께의 비는 1:4 내지 1:0.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25 내지 70 nm이고, 상기 고굴절률층의 두께는 50 내지 120 nm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로 두께를 조절하여,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을 조절할 수 있다. 각 굴절률층의 두께는 폴리머 분산액 조성물 내 폴리머의 농도 또는 분산액 조성물의 코팅 속도를 달리하여 조절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는 색변환 용이 측면에서 상기 제1 굴절률층이 50 내지 120 nm의 두께로 형성된 고굴절률층이고, 상기 제2 굴절률층이 25 내지 70 nm의 두께로 형성된 저굴절률층이며, 상기 고굴절률층이 최상부에 위치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총 5층으로 구성된 제1 광결정 구조체(10)만을 도시하나, 상기 광결정 구조체의 총 적층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굴절률층과 상기 제2 굴절률층의 총 적층수는 5 내지 30 층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적층된 구조체일 경우에, 각각의 층 경계 면에서 반사된 빛들의 간섭이 충분히 일어나 외부 자극에 따른 색의 변화가 감지될 정도의 반사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제1 광결정 구조체(10)는 380 내지 780 nm의 반사 파장을 가져, 이에 따른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제1 광결정 구조체(10)의 반사 파장(λ)은 하기 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식 1]
λ = 2(n1*d1 + n2*d2)
상기 식에서, n1 및 n2는 각각 제1 굴절률층(13) 및 제2 굴절률층(15)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d1 및 d2는 각각 제1 굴절률층(13) 및 제2 굴절률층(15)의 두께를 의미한다.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단계 2)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제1 광결정 구조체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접촉시켜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제2 광결정 구조체의 고굴절률층에 포함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의 N 질소 원자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4차화 반응시켜 4차 암모늄 이온(Quaternary ammonium cation)으로 전환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4차화 반응(Quaternization)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간의 친핵성 치환 반응으로, 상기 반응에 의해 비공유 전자쌍을 갖는 질소 원자는 R기와 결합되어 4차 암모늄 양이온과 X- 음이온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하여 후술하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저굴절률층에 포함되는 폴리머, 특히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와는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단계 2에 의해 제조되는 제2 광결정 구조체는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에 비해 고굴절률층의 조성 및 두께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의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이 변화하여,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 및 나타내는 색이 달라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의 고굴절률층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이때, 4차화 반응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로 100% 전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의 고굴절률층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뿐만 아니라,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에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로의 전환율은 1% 내지 10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의 고굴절률층은 100 : 0 내지 1 : 99의 몰비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전환율이 100%가 아닌 경우, 즉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 내 고굴절률층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고굴절률층 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의 몰비는 90 : 10 내지 10 : 9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의 고굴절률층은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의 고굴절률층 대비 1.1 배 내지 2 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결정 구조체는 50 내지 160 nm의 두께의 고굴절률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차화 반응에 사용되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3]
R-X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수소, C1-20 알킬, C3-20 사이클로알킬, C6-20 아릴, C7-20 알킬아릴 또는 C7-20 아릴알킬이고,
X는 이탈기(leaving group)이다.
여기서, 이탈기 X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와의 친핵성 치환 반응에 의해 1가(mono-valent)의 음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치환기를 의미한다.
이때, R은 C1-10 알킬, C6-10 아릴, 또는 C7-10 아릴알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필,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페닐, 벤질, 또는 페닐에틸이고, X는 할로겐일 수 있다.
또한, X는 F, Cl, Br, I, ClO4, SCN, NO3, 또는 CH3CO2일 수 있으나, 친핵성 치환 반응에 따른 이탈의 용이성 측면에서, F, Cl, Br 및 I와 같은 할로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브로모에탄, 브로모프로판, 아이오도메탄, 벤질브로마이드 및 브로모헥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 1몰 대비 1 내지 5 몰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4차화 반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접촉은 유기 용매의 존재 하에서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0.1 내지 48 시간 동안 진행된다. 즉, 상기 단계 2)에서 4차화 반응은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용해된 유기 용매에 담근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헥산, 또는 아세토나이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이중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와의 상용성 측면에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및 헥산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4차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4]
Figure 112016096916620-pat00010
상기 화학식 4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 알킬이고,
X11 내지 X15는 각각 독립적으로, N+RX- 또는 CR"이되, X11 내지 X15 중 적어도 하나는 N+RX-이고,
여기서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20 알킬, C3-20 사이클로알킬, C6-20 아릴, C7-20 알킬아릴 또는 C7-20 아릴알킬이고, X-는 1가의 음이온이고,
L3은 O 또는 NH이고,
Y3은 벤조일페닐이고,
여기서 Y3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C1-5 알킬 및 C1-5 알콕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n3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n3+m3은 100 내지 1,000이다.
상기 화학식 4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5 및 R6은 수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4에서,
X11은 N+RX-이고, X12 내지 X15는 각각 독립적으로 CR"이거나;
X12는 N+RX-이고, X11, X13 내지 X15는 각각 독립적으로 CR"이거나; 또는
X13은 N+RX-이고, X11, X12, X14 및 X15는 각각 독립적으로 CR"일 수 있다.
이때, R은 C1-10 알킬, C6-10 아릴, 또는 C7-10 아릴알킬이고, R"는 수소 또는 C1-10 알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필,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페닐, 벤질, 또는 페닐에틸이고, R"는 수소, 메틸, 에틸, 또는 페닐일 수 있다.
또한, X-는 R-X에서 X 치환기가 이탈되어 형성된 1가의 음이온으로, 예를 들어 X-는 F-, Cl-, Br-, I-, ClO4 -, SCN-, NO3 -, 또는 CH3CO2 -일 수 있다. 특히, 4차화 반응의 용이성 측면에서, F-, Cl-, Br-, 또는 I-와 같은 할로겐 음이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가 전환되어 생성됨에 따라, 상기 화학식 1 및 4에서,
X1이 N이고, X11이 N+RBr-이고, X2 내지 X5 및 X12 내지 X15는 CH이거나;
X2가 N이고, X12가 N+RBr-이고, X1, X3 내지 X5, X11 및 X13 내지 X15는 CH이거나; 또는
X3이 N이고, X13가 N+RBr-이고, X1, X2, X4, X5, X11, X12, X14 및 X15는 CH이고,
여기서, R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필,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페닐, 벤질, 또는 페닐에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4에서, n3는 상기 코폴리머 내 4차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는 반복 단위의 총 개수를 의미하고, m3은 상기 코폴리머 내 광활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n3:m3의 몰비가 100:1 내지 100:20, 예를 들어, 100:1 내지 100:10, 또한 예를 들어 100:5 내지 100: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수 평균 분자량(Mn)이 10,000 내지 300,000 g/mol, 예를 들어, 30,000 내지 180,000 g/mol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1.5 내지 1.7의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와는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4-1 내지 4-3으로 표시되는 코폴리머 중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4-1]
Figure 112016096916620-pat00011
[화학식 4-2]
Figure 112016096916620-pat00012
[화학식 4-3]
Figure 112016096916620-pat00013
상기 화학식 4-1 내지 4-3에서, R, X, n3 및 m3의 정의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제2 광결정 구조체는 380 내지 760 nm의 가시광선 내 반사 파장을 가져, 이에 따른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제2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은 상술한 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파장은, 고굴절률층의 조성 및 두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파장과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은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보다 장파장일 수 있다. 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접촉 시간이 증가할수록 장파장으로 시프트되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를 때 4차화 반응에 참여하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종류 및 반응 조건을 조절하여, 새롭게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할 필요 없이 원하는 반사 파장을 갖는 광결정 구조체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계 2 이후,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의 상대이온 교환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이온 교환 반응이라 함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의 X- 음이온을 다른 음이온으로 교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음이온 공급 화합물과 접촉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와는 상이한 반사 파장을 갖는 새로운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는, 외부 자극을 받는 환경에 위치되는 경우, 제1 굴절률층 및 제2 굴절률층을 각각 구성하고 있는 제1 폴리머 및 제2 폴리머의 결정 격자 구조가 변화하게 됨으로써, 외부 자극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결정 구조체에 의해 구현되는 색이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외부 자극의 강도가 높다면, 상기 제1 폴리머 및 제2 폴리머의 결정 격자 구조의 변화의 정도가 커져 반사 파장은 더욱 시프트되게 되므로, 구현되는 색에 따라 외부 자극의 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를 이용하여 여러 분야에 응용 가능한 센서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 물질
이하 제조예에서 하기의 물질을 사용하였다. 이때, 각 물질들을 별도의 정제 공정 없이 사용하였다.
- 4-아미노벤조페논: 순도 98%의 TCI(Tokyo chemical industry) 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 트리에틸아민: 순도 99%의 TCI(Tokyo chemical industry) 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 디클로로메탄: 순도 99.9%의 Burdick&jackson 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순도 96%의 Merck 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순도 99.99%의 Burdick&jackson 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 4-비닐피리딘: 순도 95%의 시그마알드리치 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순도 98%의 JUNSEI 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 N-(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순도 98%의 TCI(Tokyo chemical industry) 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모노머 및 코폴리머의 표기
이하의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모노머 및 코폴리머의 명칭 및 표기는 하기 표 1과 같다.
명칭 표기
제조예 A N-(4-benzoylphenyl)acrylamide BPAA
제조예 B N-(2-fluoroethyl)acrylate FEA
제조예 1 poly(4-vinylpyridine)-co-(N-(4-benzoylphenyl)acrylamide) Poly(4VP-BPAA)
제조예 2 poly(N-(2-fluoroethyl)acrylate)-co-(N-(4-benzoylphenyl)acrylamide) Poly(FEA-BPAA)
(모노머 합성)
제조예 A: BPAA의 제조
9.96 g의 4-아미노벤조페논, 7 mL의 트리에틸아민, 80 mL의 디클로로메탄을 250 mL 라운드 플라스크에 넣은 후 상기 플라스크를 얼음물에 두었다. 4.06 mL의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8 mL의 디클로로메탄에 희석시킨 후 상기 플라스크 내에 천천히 한방울씩 떨어트린 후 12 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종료 후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미반응물 및 염을 5% NaHCO3 와 염화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제거해준 다음 유기층을 무수 NaSO4를 이용하여 여분의 물을 제거한 후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상온 진공 오븐에 건조시켜, 노란색 고체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B: FEA의 제조
30 mL의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37.5 mmol), 52 ml의 트리에틸아민(37.5 mmol) 및 20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One-neck round flask에 넣은 후 상기 플라스크를 얼음물에 두었다. 18.3 mL의 2-플루오로에탄올(31.2 mmol)을 3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희석 시킨 후 상기 플라스크 내에 천천히 한 방울씩 넣어주며 교반하였다. 희석된 용액이 다 들어가면 상온에서 12 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종료 후 침전물을 여과하고, 남은 용액을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시켰다. 농축된 시료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3)로 컬럼을 하여 물질만 분리한 후, 회전 증발 농축기로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 코폴리머의 합성)
제조예 1: Poly(4VP-BPAA)의 제조
Figure 112016096916620-pat00014
4.5 ml의 4-비닐 피리딘, 0.8448 g의 상기 제조예 A에서 제조한 BPAA, 0.0276 g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1.68×10- 4 mol), 15 mL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25 ml의 슈랭크 라운드 플라스크에 넣어준 다음 교반하였다. Freeze-pump-thaw를 3번 정도 한 후 질소로 5 분간 불어주고 60도 오일 배스에 플라스크를 넣어서 15시간 반응을 진행하였다. 상기 반응 종료 후 다이에틸 에테르로 침전을 잡은 다음 필터하여 고분자를 추출한 후 상온 진공오븐에 건조시켜, Poly(4VP-BPAA)( n1= 250, m1= 20)를 얻었다.
제조예 2: Poly(FEA-BPAA)의 제조
Figure 112016096916620-pat00015
1.64 g의 상기 제조예 B에서 제조한 FEA(1.38 mmol), 0.0351 g의 상기 제조예 A에서 제조한 BPAA(0.14 mmol), 0.0046 g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028 mmol), 6 mL의 1,4-다이옥산을 25 ml의 슈랭크 라운드 플라스크에 넣어준 다음 교반하였다. Freeze-pump-thaw를 3 번 정도 한 후 질소로 20 분간 불어준 다음 80 도 오일 배스에 플라스크를 넣어서 15 시간 반응을 진행하였다. 상기 반응 종료 후 에탄올로 침전을 잡은 다음 필터하여 고분자를 추출한 후 상온 진공오븐에 건조시켜, Poly(FEA-BPAA)(n2= 495, m2= 5)를 얻었다.
시험예 1: 코폴리머의 물성 측정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한 코폴리머의 구체적인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Mn(수 평균 분자량):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Calibration용 표준 시료로 하여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Tg(유리전이온도):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BPAA 구조 단위의 함량: NMR에 의해 측정하였다.
4) 굴절률: 타원계측법(Ellipsometer)에 의해 측정하였다.
화합물 종류 Mn
(g/mol)
Tg
(℃)
BPAA의 함량
(%)
굴절률
제조예 1 Poly(4VP-BPAA) 167,550 157 3.33 1.577
제조예 2 Poly(FEA-BPAA) 20,856 0.34 0.46 1.461
(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실시예 1-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Poly(4VP-BPAA)를 프로판올에 2 wt%(3.8×10-4 mol)가 되도록 녹여 고굴절률 분산액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Poly(FEA-BPAA)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1 wt%가 되도록 녹여 저굴절률 분산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리 기판 상에 상기 고굴절률 분산액 조성물을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4,000 rpm에서 30 초간 도포한 후 365 nm에서 5 분간 경화시켜 86 nm 두께의 고굴절률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고굴절률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프로판올 용액에 넣어 경화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고굴절률층 상에 상기 저굴절률 분산액 조성물을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4,000 rpm에서 30 초간 도포한 후 365 nm에서 5 분간 경화시켜 42 nm 두께의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에 넣어 경화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저굴절률층 상에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총 7 층의 굴절률층이 적층된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를 10 ml의 DMF 및 226 ㎕의 benzyl bromide(1.9×10-3 mol)가 들어 있는 100 ml vial에 담고, 50 도에서 20 분 동안 4차화 반응시킨 후 에탄올로 씻어준 뒤 건조시켜,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내지 1-9
각각 4차화 반응 시간을 40 분, 1 시간, 1시간 20분, 1 시간 40분, 2 시간, 2 시간 20 분, 2 시간 40 분 및 3 시간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상기 고굴절률 분산액 조성물을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5,000 rpm에서 30 초간 도포한 후 365 nm에서 5 분간 경화시켜 84 nm 두께의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고, 상기 저굴절률 분산액 조성물을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5,000 rpm에서 30 초간 도포한 후 365 nm에서 5 분간 경화시켜 41 nm 두께의 저굴절률층을 형성한 후, 이들을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총 7 층의 굴절률층이 적층된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내지 2-9
각각 4차화 반응 시간을 40 분, 1 시간, 1시간 20분, 1 시간 40분, 2 시간, 2 시간 20 분, 2 시간 40 분 및 3 시간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상기 고굴절률 분산액 조성물을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30 초간 도포한 후 365 nm에서 5 분간 경화시켜 61 nm 두께의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고, 상기 저굴절률 분산액 조성물을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30 초간 도포한 후 365 nm에서 5 분간 경화시켜 44 nm 두께의 저굴절률층을 형성한 후, 이들을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총 7 층의 굴절률층이 적층된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고,
이후,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를 10 ml의 DMF 및 142 ㎕의 bromoethane(1.9×10-3 mol)이 들어 있는 100 ml vial에 담고, 50 도에서 5 시간 동안 4차화 반응시킨 후 에탄올로 씻어준 뒤 건조시켜,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4차화 반응 시간을 24 시간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상기 실시예 3-1에서 제조한 제1 광결정 구조체를 10 ml의 DMF 및 173 ㎕의 bromopropane(1.9×10-3 mol)이 들어 있는 100 ml vial에 담고, 50 도에서 5 시간 동안 4차화 반응시킨 후 에탄올로 씻어준 뒤 건조시켜,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4차화 반응 시간을 24 시간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1
상기 실시예 3-1에서 제조한 제1 광결정 구조체를 10 ml의 DMF 및 226 ㎕의 benzyl bromide(1.9×10- 3 mol)가 들어 있는 100 ml vial에 담고, 50 도에서 20 분 동안 4차화 반응시킨 후 에탄올로 씻어준 뒤 건조시켜,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2
4차화 반응 시간을 24 시간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1
상기 고굴절률 분산액 조성물을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1,500 rpm에서 30 초간 도포한 후 365 nm에서 5 분간 경화시켜 75 nm 두께의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고, 상기 저굴절률 분산액 조성물을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1,500 rpm에서 30 초간 도포한 후 365 nm에서 5 분간 경화시켜 40 nm 두께의 저굴절률층을 형성한 후, 이들을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총 7 층의 굴절률층이 적층된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고,
이후,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를 10 ml의 DMF 및 117 ㎕의 Iodomethane(1.9×10-3 mol)이 들어 있는 100 ml vial에 담고, 50 도에서 5 시간 동안 4차화 반응시킨 후 에탄올로 씻어준 뒤 건조시켜,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2
4차화 반응 시간을 24 시간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1
상기 5-1에서 제조한 제2 광결정 구조체를 1%의 Copper(2) perchlorate hexahydrate(Cu(ClO4)26H2O)가 들어 있는 100 ml vial에 담고, 상대이온 교환 반응시킨 후 제3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2 내지 7-5
각각 상대이온 교환 반응 시간을 6 시간, 19 시간, 27 시간 및 44 시간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2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3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 중 일부의 구조에 대하여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코팅
속도
(rpm)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
적층수
4차화 전
두께(nm)
4차화 후
두께(nm)
4차화 전
두께(nm)
4차화 후
두께(nm)
실시예 1-1 4,000 86 106 42 42 7
실시예
2-1
5,000 84 101 41 41 7
실시예
3-1
3,000 61 73 44 44 7
실시예
6-1
1,500 75 109 40 40 7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R-X 화합물의 종류 변화에 따른 고굴절률층에 포함된 4차화된 Poly((4VP-BPAA) 코폴리머 구조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다만, 상기 고굴절률층은 4차화된 Poly((4VP-BPAA) 코폴리머로의 전환율이 100%가 아닌 경우에는 Poly((4VP-BPAA) 코폴리머와 4차화된 Poly((4VP-BPAA) 코폴리머를 동시에 포함한다. 이때, 저굴절률층에 포함된 Poly(FEA-BPAA) 코폴리머의 경우 4차화 전/후 폴리머의 변화가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다.
R-X 화합물 관련
실시예 번호
4차화된 Poly(4VP-BPAA)
CH3CH2-Br 3-1 및 3-2
Figure 112016096916620-pat00016
CH3CH2CH2-Br 4-1 및 4-2
Figure 112016096916620-pat00017
C6H5CH2-Br 1-1 내지 1-9,
2-1 내지 2-9,
5-1 및 5-2
Figure 112016096916620-pat00018
CH3-I 6-1 및 6-2
Figure 112016096916620-pat00019
시험예 2: 4차화 반응 시간 변화에 따른 색변환 관찰
4차화 반응 시간 변화에 따른 색변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1 내지 1-9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색을 관찰하여 도 2a에 나타내었고, Reflectometer(USB 4000, Ocean Optics)를 이용하여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측정하여 도 2b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1 내지 2-9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색을 관찰하여 도 3a에 나타내었고, Reflectometer(USB 4000, Ocean Optics)를 이용하여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측정하여 도 3b에 나타내었다. 이때, “Before”는 4차화 반응 전의 광결정 구조체를 의미한다.
도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는 4차화 반응 시간에 따라 반사파장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4차화 반응 시간이 증가할수록 반사 파장은 길어져서 장파장으로 시프트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4차화를 위한 화합물 변화에 따른 색변환 관찰
4차화를 위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R-Br 화합물에서 R기 변화 및 이들의 4차화 반응 시간 변화에 따른 색변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1, 3-2, 4-1, 4-2, 5-1 및 5-2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색을 관찰하였고, Reflectometer(USB 4000, Ocean Optics)를 이용하여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a, 4b 및 4c에 나타내었다. 이때, 도 4b는 4차화 반응 시간이 5 시간인 실시예 3-1, 4-1 및 5-1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 그래프이고, 도 4c는 4차화 반응 시간이 24 시간인 실시예 3-2, 4-2 및 5-2 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 그래프이다. 이때, '반사파장 시프트'는 4차화 반응 전의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 대비 4차화 반응 후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이 시프트된 값을 의미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는 4차화를 가능하게 하는 R-X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반사파장을 나타내고, 반응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시험예 2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반사 파장이 길어져서 장파장으로 시프트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벤질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4차화시키는 경우 5 시간에서 24 시간으로 반응 시간을 증가하여도 더 이상 반사파장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Poly(4VP-BPAA)의 4차화 반응은 5 시간 이전에 종결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4차화를 위한 R-Br 화합물 대신 R-I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의 색변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6-1 및 6-2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색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5b에 나타내었고, Reflectometer(USB 4000, Ocean Optics)를 이용하여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b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는 R-Br 화합물 대신 R-I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 즉 4차화된 코폴리머 내 counter ion이 변화된 경우에도 4차화 반응 시간이 증가할수록 반사 파장은 길어져서 장파장으로 시프트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험예 2 및 3의 결과로부터, 4차화를 위한 화합물 및 4차화 반응 시간을 조절하여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현하고자 하는 색을 나타내는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Counter ion 교환에 따른 색변환 관찰
이미 4차화된 코폴리머의 Counter ion 교환에 따른 색변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Reflectometer(USB 4000, Ocean Optics)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7-1 내지 7-5에서 제조한 광결정 구조체의 정반사도를 측정하였고, 그 중 반사파장 및 반사파장 시프트 측정 결과를 도 6a에 나타내었고, 정반사도 그래프를 도 6b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4차화 반응뿐 아니라, 4차화된 코폴리머의 Counter ion의 교환 반응을 통해서도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 11: 기판
13: 제1 굴절률층 15: 제2 굴절률층

Claims (10)

1) 제1 굴절률층과 제2 굴절률층이 교대로 적층된 제1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굴절률층은 제1 굴절률을 나타내는 제1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굴절률층은 상기 제1 굴절률과 상이한 제2 굴절률을 나타내는 제2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리머 및 상기 제2 폴리머 중 하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인 단계; 및
2)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접촉시켜 제2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6096916620-pat0002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 알킬이고,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R'이되, X1 내지 X5 중 적어도 하나는 N이고,
여기서 R'는 수소, C1-20 알킬, C3-20 사이클로알킬, C6-20 아릴, C7-20 알킬아릴 또는 C7-20 아릴알킬이고,
L1은 O 또는 NH이고,
Y1은 벤조일페닐이고,
여기서 Y1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C1-5 알킬 및 C1-5 알콕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n1 및 m1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n1+m1은 100 내지 1,000이고,
[화학식 3]
R-X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수소, C1-20 알킬, C3-20 사이클로알킬, C6-20 아릴, C7-20 알킬아릴 또는 C7-20 아릴알킬이고,
X는 이탈기(leaving group)이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X1은 N이고, X2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CR'이거나;
X3은 N이고, X1, X3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CR'이거나; 또는
X5는 N이고, X1 내지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CR'이고,
여기서, R'는 수소, 메틸, 에틸, 또는 페닐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필,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페닐, 벤질, 또는 페닐에틸이고,
X는 F, Cl, Br, I, ClO4, SCN, NO3, 또는 CH3CO2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및 상기 제2 폴리머 중 다른 하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인,
제조 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16096916620-pat00021

상기 화학식 2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 알킬이고,
A는 C1-10 플루오로알킬이고,
L2는 O 또는 NH이고,
Y2는 벤조일페닐이고,
여기서 Y2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C1-5 알킬 및 C1-5 알콕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n2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n2+m2는 100 내지 1,000이다.
제3항에 있어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고,
A는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1-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1,1-디플루오로에틸, 1,2-디플루오로에틸, 2,2-디플루오로에틸, 1,1,2-트리플루오로에틸, 1,2,2-트리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1-플로오로프로필, 2-플루오로프로필, 1,1-디플루오로프로필, 1,2-디플루오로프로필, 2,2-디플루오로프로필, 1,1,2-트리플루오로프로필, 1,2,2-트리플루오로프로필, 2,2,2-트리플루오로프로필, 1-플로오로부틸, 2-플루오로부틸, 1,1-디플루오로부틸, 1,2-디플루오로부틸, 2,2-디플루오로부틸, 1,1,2-트리플루오로부틸, 1,2,2-트리플루오로부틸, 또는 2,2,2-트리플루오로부틸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는 상기 제1 굴절률층과 상기 제2 굴절률층이 교대로 총 5 내지 30 층으로 적층되도록 제조되는,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 1몰 대비 1 내지 5 몰로 사용되는,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하여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로 전환되는,
제조 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16096916620-pat00022

상기 화학식 4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 알킬이고,
X11 내지 X15는 각각 독립적으로, N+RX- 또는 CR"이되, X11 내지 X15 중 적어도 하나는 N+RX-이고,
여기서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20 알킬, C3-20 사이클로알킬, C6-20 아릴, C7-20 알킬아릴 또는 C7-20 아릴알킬이고, X-는 1가의 음이온이고,
L3은 O 또는 NH이고,
Y3은 벤조일페닐이고,
여기서 Y3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C1-5 알킬 및 C1-5 알콕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n3 및 m3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n3+m3은 100 내지 1,000이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폴리머에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코폴리머로의 전환율은 1% 내지 100%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은 상기 제1 광결정 구조체의 반사 파장보다 장파장인,
제조 방법.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
KR1020160129149A 2016-10-06 2016-10-06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80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149A KR101803550B1 (ko) 2016-10-06 2016-10-06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PCT/KR2017/011005 WO2018066941A1 (ko) 2016-10-06 2017-09-29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색변환 광결정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149A KR101803550B1 (ko) 2016-10-06 2016-10-06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550B1 true KR101803550B1 (ko) 2017-11-30

Family

ID=6081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149A KR101803550B1 (ko) 2016-10-06 2016-10-06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5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34B1 (ko) * 2018-06-28 2019-11-05 한국화학연구원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KR20200029901A (ko) * 2018-09-11 2020-03-19 한국화학연구원 신경가스 검출용 센서, 이를 이용한 신경가스의 검출 방법 및 센서의 재활용 방법
KR102106099B1 (ko) 2019-01-23 2020-05-04 국방과학연구소 이종의 콜로이드 입자의 광결정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색 소재, 구조색 소재를 적용한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0871B1 (ko) 2019-06-12 2020-11-19 국방과학연구소 선명한 구조색을 나타내는 역학변색 광학 소재, 이 역학변색 소재를 적용한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52625A1 (en) 2014-10-29 2016-09-01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hotonic polymer multilayers for colorimetric radiation sen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52625A1 (en) 2014-10-29 2016-09-01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hotonic polymer multilayers for colorimetric radiation sens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34B1 (ko) * 2018-06-28 2019-11-05 한국화학연구원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KR20200029901A (ko) * 2018-09-11 2020-03-19 한국화학연구원 신경가스 검출용 센서, 이를 이용한 신경가스의 검출 방법 및 센서의 재활용 방법
KR102148874B1 (ko) 2018-09-11 2020-08-27 한국화학연구원 신경가스 검출용 센서, 이를 이용한 신경가스의 검출 방법 및 센서의 재활용 방법
KR102106099B1 (ko) 2019-01-23 2020-05-04 국방과학연구소 이종의 콜로이드 입자의 광결정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색 소재, 구조색 소재를 적용한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0871B1 (ko) 2019-06-12 2020-11-19 국방과학연구소 선명한 구조색을 나타내는 역학변색 광학 소재, 이 역학변색 소재를 적용한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093B1 (ko)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색변환 광결정 센서
KR101754355B1 (ko)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색변환 광결정 센서
KR101803550B1 (ko)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803549B1 (ko)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색변환 광결정 센서
TWI676503B (zh) 用於避免基材翹曲之塗佈方法、用於避免翹曲現象之基材、及包含該基材之物品
WO2014017540A1 (ja) 導電体、導電性組成物、及び積層体
JP5442557B2 (ja) 光活性基を側鎖として有するはしご構造のポリシルセスキオキサ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53327B1 (ko) 트리플루오로비닐에테르 기능기를 함유한 실록산 단량체와 이 단량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졸-겔 하이브리드 중합체
CN104411774A (zh) 钨酸和/或钼酸与高分子的复合体
KR101782783B1 (ko) 유사 석유 검출용 광센서
KR101996478B1 (ko) 광결정 구조체 및 색변환 습도 센서
KR101878850B1 (ko)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색변환 광결정 센서
KR102040934B1 (ko)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JP7351224B2 (ja) 導電性組成物
KR101927447B1 (ko) 광결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조 방지용 색변환 필름
KR101914284B1 (ko) 알코올 이성질체 식별용 광센서
JP4225820B2 (ja) ウレタン含有側基を有するアルキレンジオキシチオフェン及びポリ(アルキレンジオキシチオフェン)、該チオフェンの製造のための方法及び出発化合物、該チオフェンを用いて得られる架橋生成物並びに新規化合物及び架橋生成物の使用
CN103547946A (zh) 氟化抗反射涂层
KR20200029901A (ko) 신경가스 검출용 센서, 이를 이용한 신경가스의 검출 방법 및 센서의 재활용 방법
KR20220120881A (ko)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0522604A (ja) 自己修復機能性ポリビニル系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0392464A2 (de) Amphiphile Monomere und Polymere und Film aus mindestens einer monomolekularen Schicht daraus
TW201247721A (en) (meth)acrylic ester copolymer,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th)acrylic ester copolymer
JPS5865706A (ja) 少なくとも2つの安定なかつ相互に可逆的に移行可能な酸化段階を有する重合体及びその製法
KR20200025826A (ko)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