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368B1 -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368B1
KR101802368B1 KR1020160080347A KR20160080347A KR101802368B1 KR 101802368 B1 KR101802368 B1 KR 101802368B1 KR 1020160080347 A KR1020160080347 A KR 1020160080347A KR 20160080347 A KR20160080347 A KR 20160080347A KR 101802368 B1 KR101802368 B1 KR 101802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leaning
module
link arm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환
Original Assignee
박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환 filed Critical 박경환
Priority to KR102016008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3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2Cleaning travelling work, e.g. a web, articles on a conveyor
    • B08B1/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10)의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양측이 개구되게 세정공간(110)이 형성된다. 상기 세정공간(110)의 입구(110a) 및 출구(110b)에는 상기 세정공간(110a)의 입구를 향해 상기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세정공간(110)의 출구(110b)를 통과한 상기 제품을 외부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는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복수 개의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과 인접한 회전축(210)을 연결시켜 상기 회전축(210)들을 연동시키고, 상기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벨트부재(220), 복수 개의 상기 회전축(210)의 일단 및 타단에 서로 중첩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고, 중첩되는 양단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암(230), 그리고 상기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25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장의 내부 상황에 따라서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의 길이 및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Transferring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product and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세정공간의 입구를 향해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고 세정이 완료된 상기 제품을 외부를 향해 이송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회전축이 서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링크암으로 연결되고, 길이 및 높이 그리고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사용하는 자재, 부자재 등은 엄격하게 관리를 하고 있지만, 제품 표면의 미세한 이물질은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다. 이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정전기적인 힘과 먼지 자체의 점착성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으로, 품질저하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불량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이들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세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F)을 이송하기 위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컨베이어(1)와, 양측의 상기 컨베이어(1)의 사이에 설치되는 클리닝 롤러(2), 상기 클리닝 롤러(2)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되는 점착롤러(3), 그리고 롤러회전유닛(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리닝 롤러(2) 중 어느 일측에는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돌아가고, 타측은 상기 제품(F)과 접촉되면서 자중에 의해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판 상의 제품(F)은 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클리닝 롤러(2)에 상면 및 하면이 접촉되어 이물질(O)이 분리되고, 분리된 이물질(O)은 클리닝 롤러(2)와 접촉된 점착롤러(3)에 점착되어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점착롤러(3)는 판 상의 점착지가 여러겹 중첩되어 감겨진 상태(즉, 감겨진 접착테입의 형태)로 점착력이 소진되면 최외곽의 점착지를 벗겨내고 새로운 점착면이 노출되도록 하여 이물질(O)을 장치에서 완전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품(F)을 이송시키는 상기 컨베이어(1)는 그 길이와 높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장 내부가 협소하거나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의 위치를 바꾸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1)의 길이 및 높이를 조절할 수가 없어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3078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길이 및 높이 그리고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세정공간의 입구를 향해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고 세정이 완료된 상기 제품을 외부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복수 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인접한 회전축을 연결시켜 상기 회전축들을 연동시키고, 상기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벨트부재; 복수 개의 상기 회전축의 일단 및 타단에 서로 중첩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고, 중첩되는 양단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암; 그리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암을 중첩된 또 다른 링크암과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링크암의 각도조절을 허용하는 링크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암 커넥터는, 서로 중첩되는 상기 링크암 중 하나의 링크암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링크암의 회전 범위를 제공하는 각도조절공과, 상기 링크암 중 다른 하나의 링크암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공에 연통하면서 고정부위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고정공, 그리고 상기 각도고정공과 상기 각도조절공에 체결되어 상기 링크암들을 각도조절된 상태로 고정하는 각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에 세정공간이 형성되고, 제품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양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입구 및 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세정공간의 입구를 향해 상기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세정공간의 출구를 통과한 상기 제품을 외부를 향해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상기 세정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품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품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포집하는 제품세정모듈; 상기 제품세정모듈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품세정모듈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사세정모듈; 상기 분사세정모듈을 통해 상기 제품세정모듈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흡입모듈; 그리고 상기 이송모듈과, 상기 제품세정모듈, 상기 분사세정모듈,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에 따르면,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는 복수 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 및 타단에 서로 중첩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어 중첩되는 양단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암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장의 내부 상황에 따라서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의 길이 및 높이 그리고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에 따르면, 같은 회전수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아가는 클린롤러가 구비되어 제품이 이물질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린롤러에 말려올라가게 되는 말림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품의 불량율을 낮출 수 있어 원료 구매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에 따르면, 제품의 두께에 따라 클린롤러 사이의 거리를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품이 상기 클린롤러에 접촉하여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불량율을 낮출 수 있어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에 따르면, 제품 표면용 세정장치에 포집된 이물질을 공기를 분사하여 분리시키는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상방 및 하방공기분기라인은 각각 상방 및 하방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번갈아가면 개폐되므로, 공기가 계속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방 및 하방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막히게 되면 공기의 압력은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압축탱크가 필요 없이 공기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시간을 낮출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에 따르면, 흡입챔버의 토출구와 링블로워를 연결하는 배출라인에는 공기의 압력값을 감지하는 배출감지센서가 설치되어, 기준 압력값과 토출압력과의 차를 측정하여 일정량 이상인 경우 필터의 세정시기를 알려주는 스피커의 알람소리를 통해 필터세정시기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를 적절한 시기에 세정할 수 있어 링블로워의 구동이 원활하게 유지될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가 적용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가 적용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세정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가 적용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가 적용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세정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가 적용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품세정모듈(300)과, 분사세정모듈(400), 흡입모듈(500), 그리고 컨트롤러(C)로 구성되는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10)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을 향해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고 세정이 완료된 상기 제품을 외부를 향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에는 복수 개의 회전축(21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210)은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제품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10)과 인접한 회전축(210)은 복수 개의 벨트부재(22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벨트부재(220)는 대략 링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210)과 인접한 회전축(210)들을 연동시키고 상기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회전축(2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서로 중첩되게 복수 개의 링크암(230)이 구비된다. 상기 링크암(230)은 대략 바 형상으로, 중첩되는 양단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는,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의 길이 및 위치 그리고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암(230)에는 서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링크암 커넥터(240)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암 커넥터(240)는 상기 링크암(230)과 중첩된 또 다른 링크암(230)과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링크암(230)의 각도조절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크암 커넥터(240)는 서로 중첩되는 상기 링크암(230) 중 하나의 링크암(230)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각도조절공(242)과, 상기 링크암(230) 중 다른 하나의 링크암(23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고정공(244)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공(242)과 상기 각도고정공(244)에 체결되는 각도고정부재(246)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공(242)은 상기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대략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링크암(230)의 회전범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고정공(244)은 상기 링크암(230)의 일단에 상기 링크암(230)의 길이방향과 상기 링크암(2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각도고정공(244)은 상기 각도조절공(242)에 연통하면서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고정공(244)의 내주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각도고정부재(246)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은 상기 각도고정부재(246)가 상기 각도고정공(244)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고정공(244)은 상기 링크암(230)에 서로 직각이 되도록 두 개가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도고정공(244)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공(242)과 함께 체결됨으로써 상기 링크암(230)과 또 다른 링크암(230)과의 각도조절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고정부재(246)는 상기 각도조절공(242)과 각도고정공(244)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체결되어 상기 링크암(230)들을 각도조절된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고정부재(246)는 볼트 형상으로, 상기 각도고정공(244)의 나사산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10)에는 구동유닛(25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유닛(25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품세정모듈(300)의 동력에 의해 연동하면서 상기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유닛(250)은 상기 회전축(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기어(251)와, 아래에서 설명될 하부스퍼기어(360)와 상기 회전축(241)과 각각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및 제 2종동기어(253, 254)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종동기어(253, 254)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지지축(256)에 동일 선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같은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종동기어(253)는 상기 제 2종동기어(254)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종동기어(253)는 하부스퍼기어(36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2종동기어(254)는 상기 회전축기어(25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제 1종동기어(253)가 하부스퍼기어(360)보다 빠른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회전축기어(251)가 상기 제 1종동기어(253)와 같은 속도로 회전되는 제 2종동기어(254)보다 더 빠른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지지대(26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260)는 상기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가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나올 때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와 함께 연동된다. 상기 지지대(260)는 대략 바 형상으로,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가 수평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가 적용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10)은 하우징(100)에 의해 외관 및 골격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세정공간(110)이 형성된다.
상기 세정공간(110)은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양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10a) 및 출구(110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세정공간(110)은 상기 제품이 통과되면서 이물질제거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세정공간(110)에는 제품세정모듈(300)이 설치된다.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은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품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품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공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롤러축(310, 32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롤러축(310, 320)은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롤러축(310)의 양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슬릿(120)에 각각 관통하여 위치된다.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롤러축(310, 320)에는 각각 클린롤러(330, 340)가 결합된다. 상기 클린롤러(330, 340)는 상기 제품의 표면과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린롤러(330, 34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린롤러(330, 34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점착력 있는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린롤러(330, 340)에는 롤러보호커버(345)가 결합된다. 상기 롤러보호커버(345)는 상기 제품을 향해 일측이 개구되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롤러보호커버(345)는 상기 클린롤러(330, 340)로부터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클린롤러(330, 34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롤러축(310, 320)은 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기어(380)에 의해 동일한 회전수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3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모터(M)의 연결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381)와, 상기 상부 및 하부롤러축(310, 320)의 일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350, 360),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350, 36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350,360)와 각각 맞물리는 상부 및 하부스윙기어(383, 384)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350, 360)는 상기 상부 및 하부롤러축(301, 320)의 일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350, 360)는 평기어로, 회전수 및 이(tooth)의 개수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350, 360)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상기 제품이 이물질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린롤러(330, 340)에 말려올라가게 되는 말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스퍼기어(360)에는 상기 구동기어(381)가 맞물려 회전된다. 상기 구동기어(381)는 상기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350, 36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381)는 상기 모터(M)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하부스퍼기어(36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스윙기어(383, 384)는 아이들 기어(idle gear)로, 상기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350, 3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350, 360)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9a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스퍼기어(350)와 상기 상부스윙기어(383) 및 상기 상부 및 하부스윙기어(383, 384)는 스윙암(39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스윙암(390)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스윙기어(384)와 상기 상부스윙기어(383) 및 상기 상부스퍼기어(350)를 연결하며, 아래에서 설명될 서보모터(SM)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하부스윙기어(383)를 중심으로 피벗회전하여 상기 상부스윙기어(383)의 수평이동을 허용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상기 동력전달기어(380)의 승강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상부스퍼기어(350)는 서보모터(SM)가 상기 상부롤러축(310)을 승강시킬 경우 상기 가이드슬릿(120)을 따라 상기 상부롤러축(310)과 함께 승강한다. 이때, 상기 상부스윙기어(383)는 상기 스윙암(390)에 의해 수평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스퍼기어(350)가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에는 상기 상부롤러축(310)의 양단에 연결되는 서보모터(SM)가 구비된다. 상기 서보모터(SM)는 상기 상부롤러축(310)이 상기 가이드슬릿(120)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보모터(SM)는 상기 서보모터(SM)는 아래에서 설명될 컨트롤러(C)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서보모터(SM)는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정확한 위치와 속도를 추종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상부롤러축(310)의 높이를 1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품의 두께에 따라 상기 클린롤러(330, 340)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서보모터(SM)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서보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기어(381)는 상기 하부스퍼기어(360)에 맞물려 회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기어(381)는 상부스퍼기어(350)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서보모터(SM)는 하부롤러축(310)의 양단에 연결되고, 가이드슬릿(120)은 하부롤러축(310)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의 세정공간(110)의 입구(110a) 및 출구(110b)와 인접한 위치에는 이오나이저(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제품이 상기 클린롤러(330, 340)에 인입되기 전에 상기 제품상에 잔존하는 분진이나 정전기를 전기적으로 중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사세정모듈(400)이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세정모듈(40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라인(410)과, 상기 공기공급라인(410)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상방 및 하방공기분기라인(420, 430), 상기 상방 및 하방공기분기라인(420, 430)과 각각 연결되는 분사노즐부(440),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부(440)로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을 상기 공기공급라인(41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재(4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라인(410)은, 예컨대, 공장 내부 전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펌프(P)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상방공기분기라인(420)은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하방공기분기라인(4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분사노즐부(440)는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의 클린롤러(330, 340)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클린롤러(330, 340)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부(440)는 상기 롤러보호커버(345)의 개구된 일측에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부(440)의 외관 및 골격은 분사본체(44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분사본체(441)는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분사본체(441)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본체(44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공기유로관(445)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로관(445)은 상기 상방 또는 하방공기분기라인(420, 430)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공기유로관(445)은 아래에서 설명될 분사노즐(450)로 공기를 전달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본체(441)에는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분사노즐(450)이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450)은 상기 공기유로관(445)과 연통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450)은 상기 제품세정모듈(300)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노즐(450)은 상기 클린롤러(330, 340)의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공기를 분사하면서 경사지게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압부재(460)는, 상기 상방공기분기라인(42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상방 솔레노이드 밸브(B1)와, 상기 상방 솔레노이드 밸브(B2)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하방공기분기라인(42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하방 솔레노이드 밸브(B2)로 구성된다.
상기 상방 및 하방 솔레노이드 밸브(B1, B2)는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상방 및 하방공기분기라인(420, 430)을 각각 설정된 시간동안 차폐하여 공기의 공급압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공기가 계속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방 및 하방 솔레노이드 밸브(B1, B2)에 의해 상기 상방 및 하방공기분기라인(420, 430)이 막히게 되면 공기의 압력은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별도의 압축탱크가 필요 없이도 공기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상방 솔레노이드 밸브(B1)와 상기 하방솔레노이드 밸브(B2)를 번갈아가며 작동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분사노즐부(440)에 교대로 공기를 공급한다.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분사세정모듈(400)을 통해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흡입모듈(500)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모듈(500)에는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설치되는 흡입챔버(510)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챔버(510)는 상기 분사세정모듈(400)을 통해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챔버(510)에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세정모듈(300)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513)와 상기 흡입구(513)를 통과한 이물질이 배출되는 토출구(515)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챔버(510)의 흡입구(513)는 상기 흡입챔버(510)의 토출구(515)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링블로워(520)에 의한 흡입유량을 토출유량보다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흡입챔버(510)의 토출구(515)에는 배출라인(517)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배출라인(517)은 상기 흡입챔버(510)의 토출구(515)로부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a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라인(517)의 타단에는 링블로워(520)의 흡입구(520a)가 연결된다. 상기 링블로워(520)는 상기 흡입챔버(510)를 통해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블로워(520)에는 상기 흡입챔버(510)의 흡입구(51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520b)가 형성된다. 상기 링블로워(520)의 흡입구(520a)는 토출구(520b)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흡입되는 진공압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흡입구(520a) 및 토출구(520b)의 비율이 1.5 대 1 인것이 바람직하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라인(517)에는 필터어셈블리(53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30)는 상기 흡입챔버(5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30)의 외관 및 골격은 필터박스(5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필터박스(531)는 아래에서 설명될 필터(533)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임의로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과 동시에 소음을 줄여주는 역할도 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박스(531)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챔버(510)의 토출구(515)와 연결되는 필터입구(53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링블로워(520)의 흡입구(520a)와 연결되는 필터출구(531b)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챔버(510)와 상기 링블로워(520)가 소통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박스(531)의 내부에는 이물질수집공간(532)이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수집공간(532)은 이물질이 수집되는 부분이다.
상기 필터출구(531b)와 인접한 상기 필터박스(531)의 내부에는 필터(533)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533)는 상기 필터입구(53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서 상기 이물질수집공간(532)에 포집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박스(531)에는 상기 필터출구(531b)의 반대편에서 상기 이물질수집공간(532)에 소통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질배출구(535)가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배출구(535)는 상기 이물질수집공간(532)의 이물질 및 상기 필터(533)에 흡착된 이물질의 배출경로를 이루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필터박스(531)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입구(531a) 및 상기 이물질배출구(53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역세밸브(537)가 내장된다. 상기 역세밸브(537)는 상기 이물질배출구(535)를 개방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링블로워(520)가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물질수집공간(532)의 이물질 및 상기 필터(533)에 흡착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배출구(535)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역세밸브(537)는 상기 필터입구(531a)를 막은 상태이다. 상기 역세밸브(537)의 동작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10a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챔버(510)와 상기 링블로워(520)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배출라인(517)에는 배출감지센서(540)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감지센서(540)는 상기 흡입챔버(510) 및 상기 필터(533)를 통과하여 상기 링블로워(520)로 향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감지센서(5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감지센서(540)는 상기 필터(533)의 세정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압력값이 저장되는 저장부(542)와, 상기 필터(533)의 세정시기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스피커((544), 그리고 상기 배출감지센서(540)에서 측정 압력값과 상기 저장부(542)에 저장된 기준 압력값을 비교하여 그 차가 일정한 값 이상인 경우, 필터세정신호를 상기 스피커(544)로 출력하는 컨트롤러(C)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설정 압력값은 상기 링블로워(520)의 최초 동작 시 상기 배출감지센서(540)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필터(533)를 통과하는 공기의 토출압력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링블로워(520)의 최초 동작시 나 상기 필터(533)의 세정 후 최초 동작 시에 상기 필터(533)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값을 상기 배출감지센서(540)에서는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C)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C)에서는 상기 최초 동작 시 상기 배출감지센서(540)에서 감지한 압력값을 설정 압력값으로 상기 저장부(542)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배출감지센서(540)에서 감지한 압력값과 상기 저장부(542)에 저장된 설정 압력값과의 압력값 차를 산출하고, 상기 압력값 차가 상기 저장부(542)에 저장된 설정 압력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게 된다.
상기 압력값 차가 설정 압력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컨트롤러(C)는 필터세정시점으로 판단하고, 필터세정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C)의 필터세정신호가 상기 스피커(544)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소리로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세정모듈(400)을 중심으로 상기 흡입챔버(510)의 반대 방향에는 서브흡입챔버(550)가 설치된다. 상기 서브흡입챔버(550)는 상기 링블로워(520)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챔버(510)와 함께 이물질을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조작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600)는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 및 상기 제품세정모듈(300), 상기 분사세정모듈(400),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500)의 동작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컨트롤러(C)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조작부(600)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하고,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와 상기 제품세정모듈(300), 상기 분사세정모듈(400),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세정공간(110)의 입구(110a)를 향하는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의 일측에는 이송감지센서(S1)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감지센선(S1)는 상기 제품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C)가 상기 이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컨트롤러(C)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세정공간(110)의 입구(110a)에는 투입감지센서(S2)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감지센서(S2)는 상기 제품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C)가 상기 제품세정모듈(300)과 상기 분사세정모듈(400)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5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컨트롤러(C)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세정공간(110)의 출구(100b)에는 배출감지센서(S3)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감지센서(S3)는 상기 세정공간(110)을 통과한 상기 제품을 감지하여 상기 제품세정모듈(300)과 상기 분사세정모듈(400)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5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컨트롤러(C)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감지센서(S1)와, 상기 투입감지센서(S2), 그리고 상기 배출감지센서(S3)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상기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10)을 조작부(600)를 조작하여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세정공간(110)의 입구(110a)를 향하는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에 상기 제품이 놓이게 되면, 상기 이송감지센서(S1)가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C)에 신호를 보낸다.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이송감지센서(S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 및 상기 제품세정모듈(300)과 이오나이저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품이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를 따라 상기 세정공간(110)의 입구(110a)를 향해 들어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투입감지센서(S2)가 상기 제품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C)에 신호를 보낸다.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투입감지센서(S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분사세정모듈(400)과 상기 흡입모듈(500)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품이 상기 세정공간(110)에 들어오게 되면,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의 클린롤러(330, 340)가 상기 제품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포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롤러축(310, 320)에 결합된 상기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350, 360)은 동력전달기어(380)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제품이 이물질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린롤러(330, 340)에 말려올라가게 되는 말림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분사세정모듈(400)의 분사노즐(450)을 통해 공기가 상기 클린롤러(330, 340)를 향해 분사되면서 상기 클린롤러(330, 340)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상기 링블로워(5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모듈(500)의 흡입챔버(510)를 통해 상기 클린롤러(330, 34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한다.
이때, 상기 분사세정모듈(400)의 분사노즐(450)과 연결되는 상방 및 하방공기분기라인(420, 430)은 각각 상방 및 하방 솔레노이드 밸브(B1, B2)에 의해 번갈아가면 개폐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계속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방 및 하방솔레노이드 밸브(B1, B2)에 의해 막혔다 열리게 되면 공기의 압력은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별도의 압축탱크가 필요 없이 공기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시간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제품은 상기 세정공간(110)의 출구(110b)로 나오게 되고, 상기 배출감지센서(S3)는 상기 제품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C)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배출감지센서(S3)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와, 상기 제품세정모듈(300), 분사세정모듈(400),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투입감지센서(S2) 및 상기 배출감지센서(S3)의 감지 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컨트롤러(C)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품이 기준값에 해당하는 시간 안에 상기 세정공간(110)을 정상적으로 통과하였는지 판단한 다음, 상기 제품세정모듈(300)과 상기 분사세정모듈(400)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상기 제품이 상기 투입감지센서(S2)를 지나 상기 배출감지센서(S3)에 정상적으로 감지되었을 때 이동시간이 6초일 경우, 상기 컨트롤러(C)에 저장된 기준값을 6.2초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품이 상기 투입감지센서(S2)를 지나 상기 배출감지센서(S3)에 감지되었을 때의 이동시간이 6.2초가 지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C)는 저장된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품세정모듈(300)과 상기 분사세정모듈(400)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50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구동이 중지되면 작업자는 상기 클린롤러(330, 340)에 상기 제품이 말려올라갔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장의 내부가 협소한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의 길이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의 링크암(230)에는 서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링크암 커넥터(240)가 구비되므로, 상기 링크암(230)과 중첩된 또 다른 링크암(230)과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가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의 일부를 하방을 향해 수직인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암(230) 중 하나의 링크암(230)에 형성되는 각도조절공(242)과, 상기 링크암(230) 중 다른 하나의 링크암(230)에 상기 링크암(2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각도고정공(244)을 연통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축(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각도조절공(242)과 상기 각도고정공(244)이 연통된 상태가 90도를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각도고정부재(246)를 상기 각도조절공(242) 및 상기 각도고정공(244)을 관통하여 체결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의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므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10)이 작업장 내부에 차지하는 부피가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가 접힌 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장의 내부 상황에 따라서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200)의 길이 및 높이 그리고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한편, 종전 이물질 제거작업을 한 상기 제품과 두께가 다른 제품의 이물질 제거작업을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600)를 조작하여 상기 제품의 두께에 따른 설정값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품의 두께를 90 마이크로미터로 설정값을 입력할 경우, 상기 설정값은 상기 컨트롤러(C)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의 서보모터(SM)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이 종전 이물질 제거작업을 한 상기 제품의 두께보다 얇을 경우, 상기 서보모터(SM)는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의 클린롤러(330, 34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롤러축(3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서보모터(SM)가 상기 상부롤러축(31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롤러축(310)이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슬릿(120)을 따라 하방으로, 즉,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상부롤러축(310)과 결합된 상기 상부스퍼기어(350)는 상기 상부롤러축(310)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부스윙기어(383)는 상기 스윙암(390)에 의해 수평방향, 즉,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스퍼기어(350)가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클린롤러(330, 340)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품의 두께에 맞게 가까워지므로, 상기 제품이 상기 클린롤러(330, 340)에 접촉하여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이 종전 이물질 제거작업을 한 상기 제품의 두께보다 두꺼울 경우, 상기 서보모터(SM)는 상기 제품세정모듈(300)의 클린롤러(330, 34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롤러축(3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서보모터(SM)가 상기 상부롤러축(31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롤러축(310)이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슬릿(120)을 따라 상방으로, 즉,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상부롤러축(310)과 결합된 상기 상부스퍼기어(350)는 상기 상부롤러축(31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부스윙기어(383)는 상기 스윙암(390)에 의해 수평방향, 즉,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스퍼기어(350)가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클린롤러(330, 340)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품의 두께에 맞게 멀어지므로, 상기 제품이 상기 클린롤러(330, 340)에 접촉하여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모듈(500)의 링블로워(520)가 상기 흡입챔버(510)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고 있는 상태, 즉, 도 10a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흡입하게 되면, 상기 필터(533)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링블로워(520)의 흡입구(520a)로 들어가 상기 링블로워(520)의 토출구(520b)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물질은 상기 필터(533)에 흡착되거나 상기 이물질수집공간(532)에 포집된다.
이때, 상기 역세밸브(537)는 상기 이물질수집공간(532)에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이물질배출구(535)를 차폐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감지센서(540)가 공기의 압력값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배출감지센서(540)에서 감지한 압력값과 상기 저장부(542)에 저장된 설정 압력값과의 압력값 차를 산출하고, 상기 압력값 차가 상기 저장부(542)에 저장된 설정 압력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값 차가 설정 압력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컨트롤러(C)는 필터세정시점으로 판단하고, 장비를 정지시키며 필터세정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C)의 필터세정신호가 상기 스피커(544)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소리로 알려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역세밸브(537)는 상기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물질배출구(535)를 개방하고 상기 필터입구(531a)를 차폐한다.
소리를 들은 사용자는 상기 이물질배출구(535)에 청소용 호스를 연결한 후, 상기 링블로워(520) 세정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상기 링블로워(520)가 역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링블로워(520)가 역회전하게 되면, 도 10b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상기 링블로워(520)의 토출구(520b)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흡입구(520a)를 통해 토출되고, 토출된 공기는 상기 필터출구(531b)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필터(533)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533)에 흡착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533)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이물질수집공간(532)에 포집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이물질배출구(535)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필터(533)에 흡착된 이물질 및 상기 이물질수집공간(532)에 포집된 이물질이 깨끗하게 제거가 된다.
이와 같이, 필터세정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533)를 적절한 시기에 세정할 수 있어 상기 링블로워(520)의 구동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100: 하우징
110: 세정공간 120: 가이드슬릿
200: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210: 회전축
220: 벨트부재 230: 링크암
240: 링크암 커넥터 250: 구동유닛
251: 회전축기어 253, 254: 제 1 및 제 2종동기어
300: 제품세정모듈 310, 320: 상부 및 하부롤러축
330, 340: 클린롤러 350, 360: 상부 및 하부스퍼기어
380: 동력전달기어 381: 구동기어
390: 스윙암 400: 분사세정모듈
410: 공기공급라인 420, 430: 상방 및 하방공기분기라인
440: 분사노즐부 450: 분사노즐
460: 승압부재 500: 흡입모듈
510: 흡입챔버 520: 링블로워
530: 필터어셈블리 532: 필터
600: 조작부 M: 모터
SM: 서보모터 S1: 이송감지센서
S2: 투입감지센서 S3: 배출감지센서

Claims (4)

  1. 삭제
  2.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세정공간의 입구를 향해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고 세정이 완료된 상기 제품을 외부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작업장의 내부 상황에 따라서 상기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의 길이 및 높이, 각도의 변경;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복수 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인접한 회전축을 연결시켜 상기 회전축들을 연동시키고, 상기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벨트부재;
    복수 개의 상기 회전축의 일단 및 타단에 서로 중첩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고, 중첩되는 양단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암; 그리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링크암을 중첩된 또 다른 링크암과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링크암의 각도조절을 허용하는 링크암 커넥터;
    상기 링크암 커넥터는,
    서로 중첩되는 상기 링크암 중 하나의 링크암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링크암의 회전 범위를 제공하는 각도조절공과,
    상기 링크암 중 다른 하나의 링크암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공에 연통하면서 고정부위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고정공, 그리고
    상기 각도고정공과 상기 각도조절공에 체결되어 상기 링크암들을 각도조절된 상태로 고정하는 각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3. 삭제
  4. 내부에 세정공간이 형성되고, 제품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양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입구 및 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세정공간의 입구를 향해 상기 제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세정공간의 출구를 통과한 상기 제품을 외부를 향해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상기 세정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품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품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포집하는 제품세정모듈;
    상기 제품세정모듈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품세정모듈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사세정모듈;
    상기 분사세정모듈을 통해 상기 제품세정모듈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흡입모듈; 그리고
    상기 이송모듈과, 상기 제품세정모듈, 상기 분사세정모듈,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모듈은, 청구항 2항에 의한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KR1020160080347A 2016-06-27 2016-06-27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KR101802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47A KR101802368B1 (ko) 2016-06-27 2016-06-27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47A KR101802368B1 (ko) 2016-06-27 2016-06-27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368B1 true KR101802368B1 (ko) 2017-12-04

Family

ID=6092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347A KR101802368B1 (ko) 2016-06-27 2016-06-27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3108A (zh) * 2021-02-23 2021-06-22 天津市金桥焊材集团股份有限公司 湿焊条药粉自动剥离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3108A (zh) * 2021-02-23 2021-06-22 天津市金桥焊材集团股份有限公司 湿焊条药粉自动剥离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7429B2 (ja) サンドイッチクッキーなどの生産システム
TWI445501B (zh) 貝類固定及打開裝置與其方法
JP3490077B2 (ja) 段ボール板の紙粉除去装置
JPH07501779A (ja) シート配列からのシートの分離装置および方法
KR101802368B1 (ko) 제품 표면 세정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KR20180001327A (ko) 제품 표면용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JP3681430B2 (ja) フイルタロッドを移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80001329A (ko) 제품 표면용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CA2080995A1 (en) Stacked table top pressure sealer system
JP3662803B2 (ja) 切断ノロ等の落下物清掃装置
GB2528052A (en) Contact cleaning apparatus
KR20180001335A (ko) 제품 표면용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JP2018117949A (ja) 錠剤印刷装置
KR20180001334A (ko) 제품 표면용 분사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표면용 클리닝 시스템
CN105857794A (zh) 撕膜设备
JPH02295476A (ja) 紙巻たばこの集積体から1本の紙巻たばこを取り除く抽出装置
JP7467196B2 (ja) 吸着搬送装置
US5601397A (en) Apparatus for counting and stacking tortillas
JPH04211943A (ja) 枚葉印刷機用排紙装置
WO2019167595A1 (ja) ブックブロック搬送装置
JP4328030B2 (ja) フィルタ製造機のフィルタ用ウエブ皺付け装置
KR102556535B1 (ko) 박스 제조시스템
JP6758819B2 (ja) 整列搬送装置
JP2003033834A (ja) ディスタックフィーダ
US20230278075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emoving debris from plastic she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