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973B1 - 푸시형 록킹 구조 - Google Patents

푸시형 록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973B1
KR101801973B1 KR1020160135460A KR20160135460A KR101801973B1 KR 101801973 B1 KR101801973 B1 KR 101801973B1 KR 1020160135460 A KR1020160135460 A KR 1020160135460A KR 20160135460 A KR20160135460 A KR 20160135460A KR 101801973 B1 KR101801973 B1 KR 101801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topper
hole
sliding hol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덕
박현기
정성빈
정수환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6013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2Rectilinearly moving bolts
    • B60N2/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푸시형 록킹 구조는, 자동차 암레스트의 푸시형 록킹 구조로서, 상기 암레스트와 함께 일체로 회동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동되는 축선으로부터 동일한 반경의 호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홀과, 상기 슬라이딩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홀보다 폭이 넓은 록킹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상기 슬라이딩홀 또는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홀의 폭과 상기 록킹홀의 폭 사이의 직경을 갖고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의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홀의 폭 이하의 직경을 갖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록킹핀 및 상기 록킹부의 타단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핀을 상기 스토퍼의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시형 록킹 구조 {LOCKING STRUCTURE OF PUSH TYPE}
본 발명은 푸시형 록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록킹 및 록킹 해제를 위한 푸시형 록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운전자 및 전방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2개의 전열시트와, 여러 탑승자가 함께 착석할 수 있는 후열시트가 설치된다.
후열시트의 중앙에는 탑승자의 팔을 안정적으로 올려놓기 위한 암레스트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암레스트는 시트쿠션의 중앙부와 시트백의 중앙부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암레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시트백의 중앙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납시키고, 암레스트를 사용할 때에는 암레스트를 전방으로 인출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암레스트를 사용하지 않아 시트백에 수용된 상태일 때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관성에 의해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탑승자가 암레스트의 전방에 위치해 있다면 급격히 인출되는 암레스트에 의해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암레스트를 시트백에 수용시킬 때, 암레스트가 불필요하게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 구조가 필요하다. 도 1 및 도 2에 종래의 암레스트 록킹 구조가 나타나 있다.
스토퍼(30)는 암레스트 본체(미도시)와 동일한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고, 이 스토퍼(30)가 회동되지 않도록 록킹하여 암레스트 본체를 록킹시킬 수 있다.
스토퍼(30)를 록킹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30)에는 록킹핀(10)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홀에 록킹핀(10)이 삽입되면 스토퍼(30)가 회동되지 않아 록킹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20)이 록킹핀(10)을 스토퍼(30) 방향으로 가압하여 록킹핀(10)이 스토퍼(3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스프링(20)의 가압력 이상의 힘으로 록킹핀(10)을 당겨 스토퍼(30)로부터 이탈시켜야 한다.
즉, 암레스트 손잡이(미도시)에 연결된 케이블(40)을 당겨 슬라이더(50)를 작동시키면, 이 힘이 록킹핀(10)에 전달되어 록킹핀(10)을 스토퍼(30)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당기는 행위는 미는 행위에 비해 조작의 불편함이 있고, 당기는 힘을 배분하기 위해 슬라이더(50) 등의 복잡한 장치가 필요한바, 사용감의 개선 및 장치의 단순화가 가능한 새로운 록킹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90289 (2015.08.0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암레스트의 록킹을 당기는 행위 대신 미는 행위로 해제할 수 있는 푸시형 록킹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형 록킹 구조는, 자동차 암레스트의 푸시형 록킹 구조로서, 상기 암레스트와 함께 일체로 회동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동되는 축선으로부터 동일한 반경의 호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홀과, 상기 슬라이딩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홀보다 폭이 넓은 록킹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상기 슬라이딩홀 또는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홀의 폭과 상기 록킹홀의 폭 사이의 직경을 갖고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의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홀의 폭 이하의 직경을 갖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록킹핀 및 상기 록킹부의 타단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핀을 상기 스토퍼의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핀은, 상기 록킹부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록킹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걸림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걸림부에 접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제공되고, 상기 록킹핀은, 상기 걸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에 감싸인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의 타 방향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전후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레스트 및 상기 스토퍼의 회동 축선상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은, 상기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푸시형 록킹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당기는 행위 대신 미는 행위로 록킹을 해제할 수 있어 사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둘째, 당기는 행위로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필요했던 슬라이더 등의 복잡한 구조를 생략할 수 있어 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셋째, 장치의 단순화를 통해 암레스트 록킹 구조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넷째, 장치가 단순화되어 고장이 감소되므로 정비 소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암레스트 록킹 구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스토퍼와 록킹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형 록킹 구조의 록킹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형 록킹 구조의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푸시형 록킹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형 록킹 구조의 록킹 상태의 모습이,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형 록킹 구조의 해제 상태의 모습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5는 이를 사시도로 표현하였고, 도 4 및 도 6은 이를 각각 정면도 및 측면도로 표현하였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스토퍼(300), 록킹핀(100) 및 탄성부재(200)로 구성되고, 여기에 베이스(40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록킹핀을 당겨서 록킹을 해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대로 록킹핀을 밀어서 록킹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스토퍼(300)는 전체적으로 부채꼴을 이루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힌지축(310)이 설치되어, 이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암레스트 본체(미도시)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스토퍼(300)에는 힌지축(310)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갖는 슬라이딩홀(330)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홀(330)의 일단에는 록킹홀(320)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330)은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록킹홀(320)은 슬라이딩홀(330)과 연통되되 슬라이딩홀(33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후술할 록킹핀(100)의 형상을 고려하면, 록킹홀(320)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록킹핀(100)은 록킹홀(320)에 삽입되어 스토퍼(300)의 회동을 정지시키거나, 슬라이딩홀(330) 상을 주행하면서 스토퍼(300)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록킹핀(100)은 길이 방향으로 다양한 직경을 가진 봉 형태로 형성되는데,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홀(330)의 폭 이하의 직경을 갖는 해제부(120), 슬라이딩홀(330)의 폭과 록킹홀(320)의 폭 사이의 직경을 갖는 록킹부(110) 및 록킹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걸림부(130)가 순서대로 구성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해제부(120)의 폭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가압부(140)가 해제부(120)의 일단 방향에 형성될 수 있고, 걸림부(1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지지부(150)가 걸림부(130)의 타단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록킹부(110)는 슬라이딩홀(330)의 폭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고 있다. 즉, 록킹부(110)가 록킹홀(320)에 삽입되어 스토퍼(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록킹부(110)가 록킹홀(320)과 슬라이딩홀(330)의 경계면을 통과하지 못 하기 때문에 스토퍼(300)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록킹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비해 해제부(120)는 슬라이딩홀(330)의 폭 이하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해제부(120)가 스토퍼(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록킹핀(100)은 록킹홀(320) 및 슬라이딩홀(330)을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300)의 회동이 자유롭게 수행되므로, 암레스트 본체를 자유롭게 폴딩 또는 언폴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걸림부(130)는 록킹핀(100)이 일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면서 후술할 탄성부재(200)의 지지면을 형성하는 구성이고, 지지부(150)는 후술할 베이스(400)에 의해 구속되면서 록킹핀(100)을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제한하는 구성이다.
걸림부(130) 및 지지부(150)에 대해서는 탄성부재(200) 및 베이스(400)에 대해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탄성부재(200)는 스토퍼(300)의 타면 방향, 즉 록킹핀(100)의 타단 방향에 설치되어 록킹핀(100)을 그 일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다. 이때 걸림부(130)의 타단 방향에 탄성부재(200)의 일단이 접하면서 록킹핀(100)을 가압하게 된다.
탄성부재(200)는 록킹부(110)를 그 일단 방향, 즉 스토퍼(300)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록킹핀(100)이 록킹홀(3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탄성부재(200)의 압력에 의해 록킹부(110)가 록킹홀(320)에 삽입되어 스토퍼(300)를 자동으로 록킹시키게 된다.
탄성부재(20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 중앙의 빈 공간을 통해 록킹핀(100)의 지지부(150)가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록킹핀(100)의 지지부(150)의 둘레를 감싸도록 탄성부재(200)가 형성되는 것이다.
베이스(400)는 스토퍼(300)의 타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술한 힌지축(310) 및 지지부(150)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이때 지지부(150)는 베이스(400)를 관통하여 전후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베이스(400)는 힌지축(310)과 지지부(150)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히 지지부(150)를 구속하면서 록킹핀(100)이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한다. 즉, 스토퍼(300)가 암레스트 본체와 함께 회동된 때, 록킹핀(100)은 스토퍼(300)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홀(330) 상을 주행할 뿐, 스토퍼(300)와 함께 회동되거나 길이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400)는 탄성부재(200)의 타단을 지지하는데, 이렇게 베이스(400)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부재(200)가 록킹핀(100)의 걸림부(130)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지부(150)가 관통되도록 베이스(400)에 형성되어 있는 홀의 직경은 탄성부재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형 록킹 구조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록킹 상태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110)가 록킹홀(320)에 삽입되어 스토퍼(300)가 회동되는 것을 막게 된다. 이는 암레스트 본체가 시트백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100)을 가압하여 록킹부(110)를 스토퍼(300)의 록킹홀(320)로부터 이탈시키고, 해제부(120)가 록킹홀(320) 및 슬라이딩홀(330) 상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록킹핀(100)의 가압부(140)에 힘을 전달하여 록킹핀(100)을 그 타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록킹부(110)가 스토퍼(300)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제부(120)가 원래 록킹부(110)가 위치하던 위치로 이동되면서 록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암레스트 본체의 표면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스위치 또는 손잡이를 작동시켜, 이 힘을 가압부(140)까지 전달시켜야 한다. 누르는 힘을 전달하면서 그 방향을 바꾸는 구조는 매우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는 바, 이 힘의 전달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번 록킹이 해제되어 암레스트 본체를 회동시키면, 록킹부(110)가 슬라이딩홀(330)에 걸려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가압부(140)를 이동시키는 스위치 또는 손잡이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후 다시 암레스트 본체를 폴딩시킬 경우, 록킹핀(100)이 슬라이딩홀(330)을 주행하여 록킹홀(320) 위치까지 이동하면, 탄성부재(200)의 압력에 의해 록킹부(110)가 록킹홀(320)에 삽입되면서 스토퍼(300)를 록킹시키고, 암레스트 본체의 회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록킹핀 20: 스프링
30: 스토퍼 31: 힌지축
40: 케이블 50: 슬라이더
100: 록킹핀 110: 록킹부
120: 해제부 130: 걸림부
140: 가압부 150: 지지부
200: 탄성부재 300: 스토퍼
310: 힌지축 320: 록킹홀
330: 슬라이딩홀 400: 베이스

Claims (6)

  1. 자동차 암레스트의 푸시형 록킹 구조로서,
    상기 암레스트와 함께 일체로 회동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동되는 축선으로부터 동일한 반경의 호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홀과, 상기 슬라이딩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홀보다 폭이 넓은 록킹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상기 슬라이딩홀 또는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홀의 폭과 상기 록킹홀의 폭 사이의 직경을 갖고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의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홀의 폭 이하의 직경을 갖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록킹핀; 및
    상기 록킹부의 타단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핀을 상기 스토퍼의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푸시형 록킹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은, 상기 록킹부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록킹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형 록킹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걸림부에 접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제공되고,
    상기 록킹핀은, 상기 걸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에 감싸인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형 록킹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타 방향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푸시형 록킹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전후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형 록킹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및 상기 스토퍼의 회동 축선상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은, 상기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형 록킹 구조.
KR1020160135460A 2016-10-19 2016-10-19 푸시형 록킹 구조 KR101801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460A KR101801973B1 (ko) 2016-10-19 2016-10-19 푸시형 록킹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460A KR101801973B1 (ko) 2016-10-19 2016-10-19 푸시형 록킹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973B1 true KR101801973B1 (ko) 2017-11-28

Family

ID=6081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460A KR101801973B1 (ko) 2016-10-19 2016-10-19 푸시형 록킹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9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690B1 (ko) 자동차 시트 쿠션 익스텐션장치
US9481266B2 (en) Vehicle seat rail locking device
KR10183647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182739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18642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US10737603B2 (en) Headrest assembly
US10640015B2 (en) Sliding device
JP5795397B2 (ja) 電気的手動解除シート
US9108536B2 (en) Walk-in apparatus for vehicle seat
KR10154996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JP2017047728A (ja)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KR101801973B1 (ko) 푸시형 록킹 구조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JP5513693B1 (ja) ヘッドレスト用倒伏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KR102570786B1 (ko) 차량용 플랫시트
JP6809161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30097900A (ko)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EP2060960A1 (en)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seat and other equipment
KR10055946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20170131027A (ko) 싱글 메모리 이지 엔트리 시스템
KR10192606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작동장치
KR101881860B1 (ko) 폴딩겸용 파워 리클라이너 유닛
KR20180086606A (ko) 암레스트 조절장치
KR200485440Y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EP3138727B1 (en) System for adjusting and releasing a folding backrest of a seat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