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654B1 -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654B1
KR101801654B1 KR1020160084731A KR20160084731A KR101801654B1 KR 101801654 B1 KR101801654 B1 KR 101801654B1 KR 1020160084731 A KR1020160084731 A KR 1020160084731A KR 20160084731 A KR20160084731 A KR 20160084731A KR 101801654 B1 KR101801654 B1 KR 101801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trol circuit
case
subway
adverti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샘
최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샘, 최재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샘
Priority to KR102016008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1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tunnel walls for underground trai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차량의 창문을 통해 터널 내벽에 광고 영상을 조사하여 간편하면서도 원활하게 광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영상 광고 장치는 지하철 차량 내부로 창문의 상부측 차량 내벽에 설치되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소켓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접속플러그와; 상기 접속플러그가 외면에 장착되고, 하부로 길게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접속플러그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트롤러를 가지는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중앙에 하부를 향해 관통되는 관통슬릿이 형성되는 원통하우징과; 상기 관통슬릿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창문을 투시하여 지하철 터널의 내벽면에 상기 제어회로기판으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영상을 조사하는 빔프로젝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ADVERTISEMENT APPARATUS FOR SUBWAY TRAIN}
본 발명은 지하철 차량의 내부에 설치하여 영상 광고에 사용할 수 있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차량의 창문을 통해 터널 내벽에 광고 영상을 조사하여 간편하면서도 원활하게 광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의 경우 유동 인구수가 수십만에 달하고 있어,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을 권장하고 있는 현실에서, 시민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일시에 많은 수의 인구 유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지하철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시민이 활용하는 지하철 역사 플렛폼의 시각적 환경을 중시하여 여러 가지 시각적 시설물 예컨데 벽면 그림광고나 분수 등이 형형색색 연출되는 등의 화려한 시각 조형물 등의 시설이 설치되는 것 또한, 많은 수의 인구가 이용하는 지하철 내부에서의 단편성 등을 없애고, 시각적으로 쾌적한 지하철 역사 제공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활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하철을 이용하는 탑승객은 지하철을 탑승한 후 터널을 지나칠 때 외부의 빛과는 완전히 차단된 채 역사와 다음 역사와의 이동시간 즉 2~3분 동안 지하철 창문 밖으로 어두운 부분만을 응시하며 흘려보내게 되는데, 이러한 시간이 탑승객의 목적지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승객들의 지루함과 무료함이 배가되고 있다.
따라서, 근래 들어서는 이와 같이 외부와 동떨어져 일정 시간 동안 일정 장소에 머물러야 하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탑승한 승객의 시선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광고방법이나 매체 등이 지하철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활용도와 중요성 또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하철 내부에서의 광고는 지엽적일 수밖에 없으며 광고 내용 또한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부착된 광고만을 승객들이 목적지에 도착하는 동안 지켜보아야 하는 등 매우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의 광고에 의한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 지하철 내부에서 영상 광고물을 LCD 화면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그 위치가 매우 제한적임은 물론이어서 대부분의 승객이 지하철을 탑승하는 동안 어두운 밖을 무표정하게 내다보며 목적지까지 가게 되어, LCD 동영상 광고에 따른 상당한 비용의 지출에 비해 그 광고 효과가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여 지하 터널을 지나치는 몇분의 시간이 반복 진행되어질 때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채 어두운 터널을 지나칠 때의 무료함과 지루함 등을 없애고, 광고주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광고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지하철 터널의 내벽체에 외부케이스 등으로 광고매체 필름 등을 고정하여 광고 효과를 얻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터널에 설치되는 외부케이스에 고정되는 필름의 탈부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각각의 외부케이스에 고정되는 필름을 교체하거나 또는 새로운 광고주의 광고를 게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그 긴 터널 내부에서 교체 작업 등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0653371호 "지하철 터널내벽 동영상 광고 시스템"(2006.11.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차량의 창문을 통해 터널 내벽에 광고 영상을 조사하여 간편하면서도 원활하게 광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통해 영상 감시를 수행하여 지하철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는, 지하철 차량 내부로 창문의 상부측 차량 내벽에 설치되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소켓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접속플러그와; 상기 접속플러그가 외면에 장착되고, 하부로 길게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접속플러그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트롤러를 가지는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중앙에 하부를 향해 관통되는 관통슬릿이 형성되는 원통하우징과; 상기 관통슬릿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창문을 투시하여 지하철 터널의 내벽면에 상기 제어회로기판으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영상을 조사하는 빔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접속플러그를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를 상기 차량의 내벽에 볼트로 장착할 수 있는 설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는, 상기 원통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빔프로젝터를 각회전 가능하게 하는 각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의 상기 각회전부는, 상기 원통하우징의 내부 일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스핀들이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원통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빔프로젝터가 장착되는 원통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의 상기 각회전부는, 상기 원통회전체의 타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원통하우징이 타면에 노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원통회전체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는, 상기 빔프로젝터의 상부로 상기 원통회전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터널 내벽면까지의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빔프로젝터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회전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창문을 통해 상기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외부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회전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는 내부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하철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차량의 창문을 통해 터널 내벽에 광고 영상을 조사하여 간편하면서도 원활하게 광고를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간단한 구조 및 설치로 손쉽게 다양한 광고 및 홍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영상 감시를 수행하여 지하철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하철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광고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광고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광고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광고 장치의 설치 및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광고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는 접속플러그(10)와, 상기 접속플러그(10)가 설치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에 내장되는 제어회로기판(30)과, 케이스(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원통하우징(40)과, 상기 원통하우징(40)의 내부에 설치되는 빔프로젝터(50)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플러그(10)는 지하철 차량(T) 내부로 창문(C)의 상부측 차량(T) 내벽에 설치되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소켓(S)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지하철 차량(T)에 접속되어 지하철 차량(T)으로부터 전원과 영상 등의 데이터와 제어 신호 등을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접속플러그(10)가 외면에 장착되고 하부로 긴 중공 입방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속플러그(10)와 제어회로기판(30) 및 원통하우징(40)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접속플러그(10)를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20)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20)를 상기 차량(T)의 내벽에 볼트로 장착할 수 있는 설치대(21)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대(21)는 볼트가 관통되어 체결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20)를 상기 차량(T)의 내벽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회로기판(30)은 상기 접속플러그(10)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트롤러(31)를 가지는 것으로, 지하철 차량(T)으로부터 상기 접속플러그(10)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빔프로젝터(50)의 운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어회로기판(30)은 마이콤으로 이루어진 상기 컨트롤러(31)가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러(31)는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여 상기 빔프로젝터(50)의 운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어회로기판(30)은 메모리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지하철 차량(T)으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영상 정보를 저장하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빔프로젝터(50)로 전송하여 광고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원통하우징(40)은 상기 케이스(20)의 하부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중앙에 하부를 향해 원호형으로 관통되는 관통슬릿(4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빔프로젝터(5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슬릿(41)은 상기 빔프로젝터(50)에서 조사되는 영상이 상기 원통하우징(40)을 관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빔프로젝터(50)는 상기 관통슬릿(41)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하우징(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0)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창문(C)을 투시하여 지하철 터널의 내벽면(W)에 상기 제어회로기판(30)으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영상을 조사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빔프로젝터(50)는 초단초점을 형성할 수 있어 통상 벽면과 28cm 정도 떨어져 있어도 최대 80인치 크기의 화면을 벽면에 띄울 수 있다.
본 영상 광고 장치는 상기 원통하우징(4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회전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회전부(60)는 상기 컨트롤러(31)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빔프로젝터(50)를 상기 관통슬릿(41)을 따라 원하는 각도로 각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각회전부(60)는 상기 원통하우징(40)의 내부 일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0)에 연결되는 구동모터(61)와, 상기 구동모터(61)의 스핀들이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원통하우징(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빔프로젝터(50)가 장착되는 원통회전체(6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61)는 상기 컨트롤러(31)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면서 상기 원통회전체(62)를 회전시켜 상기 빔프로젝터(50)의 회전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원통회전체(62)는 상기 구동모터(61)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지는 것으로, 상기 원통하우징(40)의 내부로 상기 빔프로젝터(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회전부(60)는 상기 원통회전체(62)의 타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로드(63)와, 상기 연결로드(63)의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원통하우징(40)이 타면에 노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손잡이(6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로드(63)는 상기 회전손잡이(64)와 원통회전체(62)의 측면 중심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손잡이(64)는 사용자나 운용자가 필요나 의도에 따라 상기 원통회전체(62)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손잡이(64)는 운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원통회전체(62)를 회전시켜 상기 빔프로젝터(50)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영상 광고 장치는 상기 빔프로젝터(50)의 상부로 상기 원통회전체(62)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0)과 연결되는 거리센서(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거리센서(70)는 상기 빔프로젝터(50)와 터널 내벽면(W)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1)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트롤러(31)는 상기 거리센서(7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터널 내벽면(W)까지의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61)를 제어하여 상기 빔프로젝터(5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구동모터(61)를 통해 상기 빔프로젝터(50)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빔프로젝터(50)와 상기 터널 내벽면(W)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빔프로젝터(50)에 의한 상기 터널 내벽면(W)의 광고 영상의 표시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빔프로젝터(50)와 상기 터널 내벽면(W) 사이의 거리는 지하철 터널의 건축 구조나 시공상 개개의 역의 터널마다 몇 cm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차이에 의한 영상의 표시의 불균형이 상기 거리센서(70)를 통한 상기 빔프로젝터(50)의 위치 조정으로 해소된다.
본 영상 광고 장치는 상기 차량(T)의 외부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회전체(62)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0)과 연결되며 상기 창문(C)을 통해 상기 차량(T)의 외부를 촬영하는 외부 카메라(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부 카메라(80)는 차량(T)의 외부로 지하철 역 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회로기판(30)을 통해 지하철 역사 내의 통제실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는 전송된 영상을 통해 통제실에서 지하철 역사 내에서 차량(T)과 승객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전송된 영상은 비전시스템을 통해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을 자동으로 판독 및 추출하여 통제실에 제공함으로써, 통제실에서 안전사고에 대해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영상 광고 장치는 상기 차량(T)의 내부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회전체(62)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0)과 연결되며 상기 차량(T)의 내부를 촬영하는 내부 카메라(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부 카메라(90)는 차량(T)의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회로기판(30)을 통해 지하철 역사 내의 통제실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는 전송된 영상을 통해 통제실에서 지하철 차량(T) 내에서 승객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전송된 영상은 비전시스템을 통해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을 자동으로 판독 및 추출하여 통제실에 제공함으로써, 통제실에서 안전사고나 범죄 등에 대해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접속플러그
20 : 케이스
21 : 설치대
30 : 제어회로기판
31 : 컨트롤러
40 : 원통하우징
41 : 관통슬릿
50 : 빔프로젝터
60 : 각회전부
61 : 구동모터 62 : 원통회전체
63 : 연결로드 64 : 회전손잡이
70 : 거리센서
80 : 외부 카메라
90 : 내부 카메라
T : 지하철 차량
S : 접속소켓
C : 창문
W : 터널 내벽면

Claims (8)

  1. 지하철 차량 내부로 창문의 상부측 차량 내벽에 설치되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소켓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접속플러그(10)와;
    상기 접속플러그(10)가 외면에 장착되고, 하부로 길게 형성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접속플러그(10)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트롤러(31)를 가지는 제어회로기판(30)과;
    상기 케이스(20)의 하부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중앙에 하부를 향해 원호형으로 관통되는 관통슬릿(41)이 형성되는 원통하우징(40)과;
    상기 관통슬릿(41)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하우징(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0)과 연결되며, 상기 창문을 투시하여 지하철 터널의 내벽면에 상기 제어회로기판(30)으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영상을 조사하는 빔프로젝터(50)와;
    상기 원통하우징(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슬릿(41)을 따라 상기 빔프로젝터(50)를 각회전 가능하게 하는 각회전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접속플러그(10)를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20)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20)를 상기 차량의 내벽에 볼트로 장착할 수 있는 설치대(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회전부(60)는,
    상기 원통하우징(40)의 내부 일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0)에 연결되는 구동모터(61)와,
    상기 구동모터(61)의 스핀들이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원통하우징(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빔프로젝터(50)가 장착되는 원통회전체(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회전부(60)는,
    상기 원통회전체(62)의 타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로드(63)와,
    상기 연결로드(63)의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원통하우징(40)이 타면에 노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원통회전체(62)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손잡이(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장치는,
    상기 빔프로젝터(50)의 상부로 상기 원통회전체(62)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0)과 연결되는 거리센서(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31)는,
    상기 거리센서(7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터널 내벽면까지의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61)를 제어하여 상기 빔프로젝터(5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장치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회전체(62)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0)과 연결되며, 상기 창문을 통해 상기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외부 카메라(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장치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대응하여 상기 원통회전체(62)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0)과 연결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는 내부 카메라(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KR1020160084731A 2016-07-05 2016-07-05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KR101801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731A KR101801654B1 (ko) 2016-07-05 2016-07-05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731A KR101801654B1 (ko) 2016-07-05 2016-07-05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654B1 true KR101801654B1 (ko) 2017-11-27

Family

ID=6081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731A KR101801654B1 (ko) 2016-07-05 2016-07-05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5018A (zh) * 2017-12-11 2018-04-06 广州艾恩电子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屏蔽门投影装置
WO2021075611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카이 컨텐츠를 투사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9352A (ja) * 2006-02-20 2007-08-30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10258540A (ja) * 2009-04-21 2010-11-11 Tatsuo Aoki 撮像・画像等伝送摘発システム
JP5192669B2 (ja) * 2006-07-31 2013-05-08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位置調整装置および位置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9352A (ja) * 2006-02-20 2007-08-30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5192669B2 (ja) * 2006-07-31 2013-05-08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位置調整装置および位置調整方法
JP2010258540A (ja) * 2009-04-21 2010-11-11 Tatsuo Aoki 撮像・画像等伝送摘発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5018A (zh) * 2017-12-11 2018-04-06 广州艾恩电子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屏蔽门投影装置
CN107885018B (zh) * 2017-12-11 2024-05-28 广州艾恩电子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屏蔽门投影装置
WO2021075611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카이 컨텐츠를 투사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26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projection advertising display
US20180186247A1 (en) Charging system
KR101801654B1 (ko) 지하철 차량용 영상 광고 장치
KR100888640B1 (ko) 횡단 보도의 입구에 광고겸용 지능형 교통순경 로봇이설치된 교통안전 대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48233B1 (ko) 방송 조명 차량
CN106004667A (zh) 利用汽车a柱的抬头显示装置及方法
KR19990007582A (ko) 교통감시용 차량
JPH08501398A (ja) 画像表示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手段
KR20230120954A (ko) 딥러닝 기술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자 우회전차량 간 교통사고 예방 스마트 동영상 제공 전광판
IL263529A (en) Visual displa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vehicles
KR102492493B1 (ko) 침수도로 및 침수발생 지역의 차량진입 차단 장치
KR20170014998A (ko) 교통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N205113186U (zh) 一种车载摄像装置
CN207847433U (zh) 多功能地铁屏蔽门
CN210941611U (zh) 一种带疲劳驾驶提醒功能的两客一危车载设备
DE19502614A1 (de) Verfahren zum Abbilden von Bildern, Texten oder Filmen auf reflektierenden Flächen
KR20190004111A (ko) 자동차 사각지대 방지 a 및 c필라 시스템
RU2370828C1 (ru) Лазерный моб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KR102429271B1 (ko)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KR101716443B1 (ko) 영상 투사장치
CN217787849U (zh) 铁路防人员入侵报警装置
CN207529569U (zh) 空难模拟体验装置
KR102113282B1 (ko) 레이저빔 조사방식 사고 신호 도로면상 디스플레이장치
CN111369920A (zh) 轨交站台信息显示系统
JP3099744U (ja) 投影式墨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