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271B1 -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 Google Patents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271B1
KR102429271B1 KR1020210163437A KR20210163437A KR102429271B1 KR 102429271 B1 KR102429271 B1 KR 102429271B1 KR 1020210163437 A KR1020210163437 A KR 1020210163437A KR 20210163437 A KR20210163437 A KR 20210163437A KR 102429271 B1 KR102429271 B1 KR 102429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area
drone
installation
smar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271B9 (ko
Inventor
이상범
이우종
강지현
김종만
하주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보테크
김종만
하주상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보테크, 김종만, 하주상,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보테크
Priority to KR1020210163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271B1/ko
Publication of KR10242927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27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B64C2201/066
    • B64C2201/20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 플랫폼에 각종 기능을 갖는 모듈을 결합하여 도시환경 계획에 맞게 관리자가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지주 플랫폼에 드론 스테이션을 설치하여 자체적으로 드론의 충전 및 보관 운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지주 플랫폼과, 상기 지주 플랫폼에 부착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갖도록 한 복수의 모듈형 부착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 플랫폼은; 하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제1설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설치영역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제2설치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2설치영역으로부터 지주 플랫폼의 상단까지 제3설치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설치영역마다 다른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 플랫폼의 제3설치영역 상단부에는 드론스테이션이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드론스테이션은; 상부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드론이 보관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드론이 올려지고 드론이 무선으로 충전되도록 한 충전판과, 상기 함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Modular-combined smart poles for building smart cities equipped with drone stations}
본 발명은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 플랫폼에 각종 기능을 갖는 모듈을 결합하여 도시환경 계획에 맞게 관리자가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지주 플랫폼에 드론 스테이션을 설치하여 자체적으로 드론의 충전 및 보관 운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무인한공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규모는 소형부터 대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복수개의 프로펠러를 각 모터의 힘으로 고속회전시키는 형태로 비행이 이루어진다. 대부분 드론의 조종은 별도의 컨트롤러를 통해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드론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드론은 기본적으로 영상촬영과 운반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찰용 감시장비 또는 무기를 탑재한 군사용, 토지측량, 시설물 촬영, 미디어 촬영, 배달, 환경조건 측정, 방역, 완구, 레저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드론사용에 있어서 드론의 비행시간은 완전히 충전시 평균적으로 30분 내외로서 운용시간이 매우 짧은 문제점이 있고, 드론이 필요한 장소까지 별도의 차량을 통해 드론을 직접 운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에서는 교통문제로 인해 늦어지거나 원활한 업무수행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밖에 도시에는 하나의 지주에 용도에 맞게 신호등, 가로등, 보안등, CCTV와 같은 구성들이 각각 설치되어, 도시환경을 구축하는 데에 필수적인 차량이나 보행자의 신호제공, 보안강화 및 감시기능, 조명을 통한 안내기능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신호등, 가로등, 보안등, CCTV와 같은 구성이 설치되는 지주는, 본래 설치 목적에 맞게 지주 설계가 이루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다른 용도를 갖는 구성의 추가적인 설치가 근본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도시환경 개선 또는 변경으로 인한 유연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 들어 생활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스마트 도시를 구축하는 데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신규 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할 때마다 새로운 지주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도시계획에 있어서 이는 재정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교통량 변화, 유동인구 변화, 보안강화, 스마트기기사용, 관광시설, 각종 편의제공 등의 다양한 변수로 인해 지속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주에 각종 기능을 추가한 시설물을 설치할 때, 새로운 통신선 및 전원선을 외부로부터 다시 연결하여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25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62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01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조명기능을 갖는 지주 플랫폼에 다양한 기능들을 갖는 시설물을 모듈화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도시환경 계획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폴을 제공해줄 수 있고,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시설물의 통신 및 전원공급이 용이하게 하여 설치에 따른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목적과,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에 드론 스테이션을 설치하여 자체적으로 드론을 충전을 하면서 보관운용하도록 하여, 시민안전과 도시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지주 플랫폼과, 상기 지주 플랫폼에 부착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갖도록 한 복수의 모듈형 부착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 플랫폼은; 하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제1설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설치영역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제2설치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2설치영역으로부터 지주 플랫폼의 상단까지 제3설치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설치영역마다 다른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 플랫폼의 제3설치영역 상단부에는 드론스테이션이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 플랫폼은 각각의 설치영역마다 전원 및 통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합공급부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론스테이션은; 상부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드론이 보관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드론이 올려지고 드론이 무선 또는 접촉식으로 충전되도록 한 충전판과, 상기 함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는; 바닥부, 측벽부, 천장부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부의 상부에는 한 쌍의 도어판이 천장부 내측에 고정설치된 엑추에이터와 각각 연결되어, 엑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도어판이 천장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천장부는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설치영역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은 점검구, 신호버튼, 비상벨, 도시안내기기, 전기차 충전시설, 전동킥보드 충전시설, 스마트폰 충전시설이 적용되고, 제2설치영역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은 배전함, 사물인터넷, 도로명판, 스피커, 유동인구센서가 적용되고, 제3설치영역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은 신호등, CCTV, 공공와이파이, 태양광패널, 풍력발전장치, 미세먼지 저감장치, 풍향계, 공기질 측정센서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설치영역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 중에서 비상벨은 점검구 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형 부착물에는 설치태그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설치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태그센서가 제1설치영역, 제2설치영역, 제3설치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모듈형 부착물을 설치하기 전에 해당 설치영역의 태그센서에 인식하여 설치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 플랫폼에 드론 스테이션을 설치하여 자체적으로 드론을 충전을 하면서 보관운용하도록 하여, 시민안전과 도시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가로등 및 보안등의 기본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 플랫폼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을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도시환경의 계획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폴을 구성할 수 있고, 기능을 새롭게 추가하거나 기존에 설치된 기능 중 더이상 필요하지 않은 기능을 제거하거나 간편하게 다른 기능으로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통신 및 전원공급이 곧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기기 수용의 편의성, 유연성, 호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에 전원 및 통신공급을 위한 통합공급부가 설치영역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 예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 상단부에 설치된 드론스테이션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스테이션의 도어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모듈형 부착물 중에서 비상벨의 설치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모듈형 부착물과 지주 플랫폼에 각각 설치태그와 태그센서를 더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지주 플랫폼(100)과, 상기 지주 플랫폼(100)에 부착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갖도록 한 복수의 모듈형 부착물(200);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100)은; 하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제1설치영역(300)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설치영역(300)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제2설치영역(400)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2설치영역(400)으로부터 지주 플랫폼(100)의 상단까지 제3설치영역(500)으로 구분하여, 각 설치영역마다 다른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2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 플랫폼(100)의 제3설치영역(500) 상단부에는 드론스테이션(150)이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1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조명장치(110)가 설치될 수 있는 메인 지주로서, 복수의 모듈형 부착물(2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지주 플랫폼(100)의 상단부에 조명장치(110)가 설치됨으로써, 가로등이나 보안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 플랫폼(100)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200)을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스마트 도시 구축에 요구되는 스마트 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주 플랫폼(100)에 자체적으로 드론스테이션(150)을 더 구비함에 따라, 도시 한가운데에서 드론이 자체적으로 충전상태를 유지하고, 필요시 스마트폴에 가까운 지역으로 신속하게 드론이 비행을 함으로써 스마트 도시의 구축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드론은 자체적으로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영상을 촬영하고, 드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CCTV 영상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함께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드론으로 촬영된 영상은 불법주정차 감시, 실시간 교통상황 확인, 교통사고 확인 같이 도로 교통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불법폐기물 배출을 감시하거나 악취나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오염을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밖에 화재감지 및 화재의 위치를 추적하여 초기진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화재지원 서비스, 긴급한 환자에게 의약품 또는 의료기구를 전달하는 긴급의료서비스, 범죄취약 지역에 드론을 통해 순찰을 시행하는 안심귀가 서비스까지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드론을 이용한 긴급의료서비스는 주변의 심장질환을 갖는 환자에게 AED와 같은 자동심장충격기를 곧바로 운송시켜줄 수 있는 것을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지주 플랫폼(100)에는 일정 높이에 따라 제1설치영역(300), 제2설치영역(400), 제3설치영역(500)으로 구분되어 있다. 모듈형 부착물(200)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설치높이가 있기 때문에, 3종류의 설치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치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영역을 높이에 따라 구분함으로써, 해당 모듈형 부착물(200)의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설치영역마다 각각의 설치영역마다 전원 및 통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합공급부(120)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공급부는 PoE(Power Over Ethernet)방식의 단자로 적용하여 전원 및 통신공급이 하나의 케이블로 연결되도록 하여 간편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PoE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모듈형 부착물의 경우, 전원과 통신공급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주 플랫폼(100) 자체에 간편하게 전원연결 및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모듈형 부착물(200)이 설치되기 이전부터 미리 설치되어 있다면, 모듈형 부착물(200)을 설치하는 작업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통합공급부(120)는 별도의 고무마개를 더 포함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무마개를 통해 접속구를 막아 외부의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누전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스테이션(15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부에 개방부(1514)를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드론이 보관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함체(151)와, 상기 함체(151)의 바닥부(1511)에 설치되어 드론이 올려지고 드론이 무선 또는 접촉식으로 충전되도록 한 충전판(152)과, 상기 함체(15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개방부(1514)를 개폐하는 도어판(1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론스테이션(150)의 도어판(153)은 드로의 인입 또는 인출시에만 개방되도록 한 구성으로서, 눈이나 비에 의해 드론이 젖는 것을 방지하면서 드론의 관리가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상기 도어판(153)의 개폐작동은 관리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지만, 드론의 접근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론과 드론스테이션(150)에 각각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설치하여, 통신연결이 이루어지게 될 경우 드론스테이션(150)의 도어판(153)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드론이 충전판(152) 위에 올려지면서 무선충전이 활성화되게 되면 도어판(153)을 닫게 되는 것이다.
상기 드론스테이션(150)의 함체(151)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511), 측벽부(1512), 천장부(15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부(1513)의 상부에는 한 쌍의 도어판(153)이 천장부(1513) 내측에 고정설치된 엑추에이터(1531)와 각각 연결되어, 엑추에이터(1531)의 작동에 의해 도어판(153)이 천장부(1513)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개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512)는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천장부(1513)는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함체(151)부의 형상을 "
Figure 112021135806011-pat00001
" 형태로 형성될 경우, 도어판(153)을 경사진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눈이나 비가 올때 도어판(153)이나 천장부(1513)에 쌓이거나 고여있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떨어질 수 있고, 점점 더 넓어지는 형태의 측벽부(1512)로 인해 도어판(153)의 개방범위를 더 넓힐 수 있어서 드론이 안정적으로 함체(151) 내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각 설치영역에 따라 적절한 모듈형 부착물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제1설치영역(300)의 모듈형 부착물(200)은 점검구, 신호버튼, 비상벨, 도시안내기기, 전기차 충전시설, 전동킥보드 충전시설, 스마트폰 충전시설과 같이 시민이 가까이서 직접 사용하거나 눈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거나 관리자가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지 않고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설치영역(300)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2설치영역(400)의 모듈형 부착물(200)은 배전함, 사물인터넷, 도로명판, 스피커, 유동인구센서, 신호등(보행자)와 같이 시민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한 위치에 해당하면서 관리자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높은 위치에 해당하는 제3설치영역(500)은 신호등(차량), CCTV, 공공와이파이, 태양광패널, 풍력발전장치, 미세먼지 저감장치, 풍향계, 공기질 측정센서와 같은 구성으로 적용하여, 먼 거리에서 식별 또는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넓은 와이파이 영역을 시민들에게 제공해주도록 하고, 전력을 충전하거나 환경분석을 위한 구성이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200) 중에서 비상벨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구의 커버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비상벨이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점검구 커버에 설치될 경우, 공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설치과정에서 필요한 타공작업, 전원공급, 고정프레임 설치와 같은 작업들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비상벨의 형태는 단순 버튼 타입의 비상벨로 적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타입의 비상벨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부착물(200)은 앞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주차검지, 로고젝터, LED안내판과 같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전함의 경우 제2설치영역(400) 뿐만 아니라 제1설치영역(300) 및 제3설치영역(50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지주 플랫폼(100)의 설치영역은 색상이나 눈금표시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 관리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눈으로 확인하여 설치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설치영역의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좀 더 명확한 설치위치를 규정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형 부착물(200)에는 설치태그(6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설치태그(600)를 인식할 수 있는 태그센서(700)가 제1설치영역(300), 제2설치영역(400), 제3설치영역(500)에도 각각 설치되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형 부착물(200)을 설치하기 전에 해당 설치영역의 태그센서(700)에 인식하여 설치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모듈형 부착물(200)에 구비된 설치태그(600)는 적절한 설치영역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해당 설치영역의 태그센서(700)에 인식시키게 되면, 정확한 위치의 설치영역인지 설치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알려주는 방식은 태그센서(700)와 연동되는 스피커 또는 램프장치를 통해 알려주거나, 관리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전원 및 통신공급이 필요한 모듈형 부착물(200)일 경우, 적절한 위치의 태그센서(700)에 인식해야만 전원 및 통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설치 관리자의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태그센서(700)의 신호를 수집하여 설치관리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관리부(800)의 신호정보를 관리자서버(미도시)로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폴이 설치된 모든 영역에 해당하는 모듈형 부착물(200)의 설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지주 플랫폼 110 : 조명장치
120 : 통합공급부 150 : 드론스테이션
151 : 함체 1511 : 바닥부
1512 : 측벽부 1513 : 천장부
1514 : 개방부 152 : 충전판
153 : 도어판 1531 : 엑추에이터
200 : 모듈형 부착물 300 : 제1설치영역
400 : 제2설치영역 500 : 제3설치영역
600 : 설치태그 700 : 태그센서
800 : 설치관리부

Claims (8)

  1.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지주 플랫폼(100)과, 상기 지주 플랫폼(100)에 부착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갖도록 한 복수의 모듈형 부착물(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 플랫폼(100)은;
    하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제1설치영역(300)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설치영역(300)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제2설치영역(400)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2설치영역(400)으로부터 지주 플랫폼(100)의 상단까지 제3설치영역(500)으로 구분하여, 각 설치영역마다 다른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200)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 플랫폼(100)은 각각의 설치영역마다 전원 및 통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합공급부(120)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모듈형 부착물(200)에는 설치태그(6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설치태그(600)를 인식할 수 있는 태그센서(700)가 제1설치영역(300), 제2설치영역(400), 제3설치영역(50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모듈형 부착물(200)을 설치하기 전에 해당 설치영역의 태그센서(700)에 인식하여 설치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태그센서(700)에 인식해야만 모듈형 부착물(200)에 전원 및 통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태그센서(700)의 신호를 수집하여 설치관리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관리부(800)의 신호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스마트 폴이 설치된 영역의 모듈형 부착물(200)의 설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상기 지주 플랫폼(100)의 제3설치영역(500) 상단부에는 드론스테이션(150)이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스테이션(150)은; 상부에 개방부(1514)를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드론이 보관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함체(151)와, 상기 함체(151)의 바닥부(1511)에 설치되어 드론이 올려지고 드론이 무선 또는 접촉식으로 충전되도록 한 충전판(152)과, 상기 함체(15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개방부(1514)를 개폐하는 도어판(1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51)는; 바닥부(1511), 측벽부(1512), 천장부(1513)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부(1513)의 상부에는 한 쌍의 도어판(153)이 천장부(1513) 내측에 고정설치된 엑추에이터(1531)와 각각 연결되어, 엑추에이터(1531)의 작동에 의해 도어판(153)이 천장부(1513)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512)는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천장부(1513)는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63437A 2021-11-24 2021-11-24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KR102429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437A KR102429271B1 (ko) 2021-11-24 2021-11-24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437A KR102429271B1 (ko) 2021-11-24 2021-11-24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271B1 true KR102429271B1 (ko) 2022-08-08
KR102429271B9 KR102429271B9 (ko) 2022-11-14

Family

ID=8284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437A KR102429271B1 (ko) 2021-11-24 2021-11-24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27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65U (ko) * 2009-05-13 2010-11-23 (주) 오름기술 함체 삽입형 철주
KR101961668B1 (ko) * 2017-11-06 2019-03-26 대한민국 드론 보관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90054789A (ko) * 2017-11-14 2019-05-22 한국전력공사 주상형 무인비행체 충전 스테이션
KR102092511B1 (ko)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KR102120193B1 (ko) 2019-09-30 2020-06-08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능형 도시정보 스마트 폴 장치
KR102146254B1 (ko) 2020-02-25 2020-08-20 주식회사 레젠 다방향 조립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스마트 폴
KR20210041434A (ko) * 2019-10-07 2021-04-1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비 인증 시스템
KR102286457B1 (ko) * 2020-11-12 2021-08-04 김현일 가변 일체형 스마트 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65U (ko) * 2009-05-13 2010-11-23 (주) 오름기술 함체 삽입형 철주
KR101961668B1 (ko) * 2017-11-06 2019-03-26 대한민국 드론 보관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90054789A (ko) * 2017-11-14 2019-05-22 한국전력공사 주상형 무인비행체 충전 스테이션
KR102092511B1 (ko)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KR102120193B1 (ko) 2019-09-30 2020-06-08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능형 도시정보 스마트 폴 장치
KR20210041434A (ko) * 2019-10-07 2021-04-1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비 인증 시스템
KR102146254B1 (ko) 2020-02-25 2020-08-20 주식회사 레젠 다방향 조립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스마트 폴
KR102286457B1 (ko) * 2020-11-12 2021-08-04 김현일 가변 일체형 스마트 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271B9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605B1 (en) Autonomous data machines and systems
US106530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termediate device structure
US9329597B2 (en) Autonomous data machines and systems
KR102342820B1 (ko)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KR100541613B1 (ko) 차량 탑재형 번호 인식장치
JP6897319B2 (ja) インフラ設備
CN103647953A (zh) 一种智能监控系统及方法
KR20120086963A (ko)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CN103287943B (zh) 一种智能化电梯管理系统
KR101937348B1 (ko) 이동식 신재생 발전 스마트 시스템
CN104123839A (zh) 用于道路交通车辆交通监测系统的装置
CN105282519A (zh) 基于无人飞行器的安防系统及其安防方法
KR20190142720A (ko) 불법차량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639111A (zh) 道口控制报警系统
JP6810106B2 (ja) 客室led管型カメラシステム、それを利用した旅客室用照明・監視システム
KR102429271B1 (ko)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CN205566518U (zh) 便携式电网监测装置
KR101676444B1 (ko)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190107337A (ko)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DE102020000861A1 (de) Mobiler und autarker Cloud-Videoüberwachungs-Mast
KR20200017243A (ko) 금연구역 관리시스템
CN115361529A (zh) 一种多功能智能卡口测控系统
CN210274235U (zh) 一种基于双球机的停车管理设备
KR102429277B1 (ko)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CN210323415U (zh) 一种可拆卸式移动车道安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