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277B1 -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277B1
KR102429277B1 KR1020210163442A KR20210163442A KR102429277B1 KR 102429277 B1 KR102429277 B1 KR 102429277B1 KR 1020210163442 A KR1020210163442 A KR 1020210163442A KR 20210163442 A KR20210163442 A KR 20210163442A KR 102429277 B1 KR102429277 B1 KR 102429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area
installation
electric vehicle
area
charg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277B9 (ko
Inventor
이상범
이우종
강지현
김종만
하주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보테크
김종만
하주상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보테크, 김종만, 하주상,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보테크
Priority to KR102021016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277B1/ko
Publication of KR10242927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27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 플랫폼에 각종 기능을 갖는 모듈을 결합하여 도시환경 계획에 맞게 관리자가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지주 플랫폼에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를 자체적으로 설치하여 별도의 충전소를 설치하지 않고도 늘어나는 전기차의 충전수요를 확보하면서 충전이 용이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지주 플랫폼과, 상기 지주 플랫폼에 부착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갖도록 한 복수의 모듈형 부착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 플랫폼은; 하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제1설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설치영역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제2설치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2설치영역으로부터 지주 플랫폼의 상단까지 제3설치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설치영역마다 다른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 플랫폼의 제1영역역 일측으로 차량용 전기충전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Modular-combined smart poles for building smart cities equipped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 플랫폼에 각종 기능을 갖는 모듈을 결합하여 도시환경 계획에 맞게 관리자가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지주 플랫폼에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를 자체적으로 설치하여 별도의 충전소를 설치하지 않고도 늘어나는 전기차의 충전수요를 확보하면서 충전이 용이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기존의 엔진과 같은 내연기관을 사용하지 않고, 모터의 회전력만으로 주행가능한 차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기차는 연소과정이 전혀 없기 때문에 대기오염의 주범에 해당하는 매연을 내뿜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차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친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세계적으로 친환경 정책이 늘어남에 따라 전기차의 개발에 많은 연구비가 투입되고, 전기차의 보급 또한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전기차의 장점으로는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친환경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차량을 운행하는 데에 있어서 동력원이 되는 전기의 충전비용이 내연기관의 연료에 비해 저렴하여, 운행에 따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의 주유소는 전국적으로 확보되어 있는 반면, 전기차의 충전소는 일부 장소에만 설치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충전시간이 주유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랜시간이 소요되는 특성을 고려해볼 때에는 전기차의 충전소 인프라가 상당히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기차의 충전소는 대부분 주차장에만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지를 확보해야 하며, 충전에 필요한 전원공급라인의 설치가 필요하다. 아울러, 교통상황에 따라 충전소까지의 도달하는 시간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충전소로 가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방전된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시 곳곳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해야만 한다.
그밖에 도시에는 하나의 지주에 용도에 맞게 신호등, 가로등, 보안등, CCTV와 같은 구성들이 각각 설치되어, 도시환경을 구축하는 데에 필수적인 차량이나 보행자의 신호제공, 보안강화 및 감시기능, 조명을 통한 안내기능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신호등, 가로등, 보안등, CCTV와 같은 구성이 설치되는 지주는, 본래 설치 목적에 맞게 지주 설계가 이루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다른 용도를 갖는 구성의 추가적인 설치가 근본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도시환경 개선 또는 변경으로 인한 유연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 들어 생활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스마트 도시를 구축하는 데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신규 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할 때마다 새로운 지주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도시계획에 있어서 이는 재정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교통량 변화, 유동인구 변화, 보안강화, 스마트기기사용, 관광시설, 각종 편의제공 등의 다양한 변수로 인해 지속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주에 각종 기능을 추가한 시설물을 설치할 때, 새로운 통신선 및 전원선을 외부로부터 다시 연결하여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25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62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01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조명기능을 갖는 지주 플랫폼에 다양한 기능들을 갖는 시설물을 모듈화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도시환경 계획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폴을 제공해줄 수 있고,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시설물의 통신 및 전원공급이 용이하게 하여 설치에 따른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목적과,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에 자체적으로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여, 별도의 충전소를 설치하지 않고도 충전시설을 확보할 수 있고, 도시 곳곳에 충전소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차량의 운행과정에서 방전문제에 대한 운전자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점점 늘어나는 전기차의 충전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키고자 한 목적을 가진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지주 플랫폼과, 상기 지주 플랫폼에 부착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갖도록 한 복수의 모듈형 부착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 플랫폼은; 하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제1설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설치영역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제2설치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2설치영역으로부터 지주 플랫폼의 상단까지 제3설치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설치영역마다 다른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 플랫폼의 제1설치영역 일측으로 차량용 전기충전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 플랫폼은 각각의 설치영역마다 전원 및 통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합공급부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전기충전소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 내측에 설치되어 전기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충전기;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기의 케이블은 케이싱부 내측에 설치된 도르래수단에 의해 케이블 정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설치영역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은 점검구, 신호버튼, 비상벨, 도시안내기기, 전기차 충전시설, 전동킥보드 충전시설, 스마트폰 충전시설이 적용되고, 제2설치영역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은 배전함, 사물인터넷, 도로명판, 스피커, 유동인구센서가 적용되고, 제3설치영역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은 신호등, CCTV, 공공와이파이, 태양광패널, 풍력발전장치, 미세먼지 저감장치, 풍향계, 공기질 측정센서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설치영역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 중에서 비상벨은 점검구 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형 부착물에는 설치태그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설치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태그센서가 제1설치영역, 제2설치영역, 제3설치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모듈형 부착물을 설치하기 전에 해당 설치영역의 태그센서에 인식하여 설치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에 자체적으로 차랴용 전기충전소를 설치하여, 별도의 충전소를 설치하지 않고도 충전시설을 확보할 수 있고, 도시 곳곳에 충전소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차량의 운행과정에서 방전문제에 대한 운전자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점점 늘어나는 전기차의 충전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시의 미관을 개선하고 충전소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로등 및 보안등의 기본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 플랫폼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을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도시환경의 계획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폴을 구성할 수 있고, 기능을 새롭게 추가하거나 기존에 설치된 기능 중 더이상 필요하지 않은 기능을 제거하거나 간편하게 다른 기능으로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통신 및 전원공급이 곧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기기 수용의 편의성, 유연성, 호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에 전원 및 통신공급을 위한 통합공급부가 설치영역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 예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에 설치된 차량용 전기충전소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모듈형 부착물 중에서 비상벨의 설치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모듈형 부착물과 지주 플랫폼에 각각 설치태그와 태그센서를 더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지주 플랫폼(100)과, 상기 지주 플랫폼(100)에 부착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갖도록 한 복수의 모듈형 부착물(200);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100)은; 하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제1설치영역(300)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설치영역(300)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제2설치영역(400)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2설치영역(400)으로부터 지주 플랫폼(100)의 상단까지 제3설치영역(500)으로 구분하여, 각 설치영역마다 다른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200)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 플랫폼(100)의 제1설치영역(300) 일측으로 차량용 전기충전소(15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1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조명장치(110)가 설치될 수 있는 메인 지주로서, 복수의 모듈형 부착물(2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지주 플랫폼(100)의 상단부에 조명장치(110)가 설치됨으로써, 가로등이나 보안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 플랫폼(100)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200)을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스마트 도시 구축에 요구되는 스마트 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주 플랫폼(100)에 자체적으로 차량용 전기충전소(150)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충전소 지역을 확보하지 않고도, 도시 곳곳에 지주 플랫폼(100)과 함께 차량용 전기충전소(150)가 설치되기 때문에, 전기차 충전 및 전기차량의 운행과정에서 방전문제에 대한 운전자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에 많은 차량용 전기충전소(150)가 설치됨에 따라 점점 늘어나는 전기차의 충전수요를 채울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도시의 미관을 개선하고 충전소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지주 플랫폼(100)에는 일정 높이에 따라 제1설치영역(300), 제2설치영역(400), 제3설치영역(500)으로 구분되어 있다. 모듈형 부착물(200)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설치높이가 있기 때문에, 3종류의 설치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치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영역을 높이에 따라 구분함으로써, 해당 모듈형 부착물(200)의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주 플랫폼(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설치영역마다 각각의 설치영역마다 전원 및 통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합공급부(120)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공급부는 PoE(Power Over Ethernet)방식의 단자로 적용하여 전원 및 통신공급이 하나의 케이블(1522)로 연결되도록 하여 간편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PoE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모듈형 부착물의 경우, 전원과 통신공급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주 플랫폼(100) 자체에 간편하게 전원연결 및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모듈형 부착물(200)이 설치되기 이전부터 미리 설치되어 있다면, 모듈형 부착물(200)을 설치하는 작업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통합공급부(120)는 별도의 고무마개를 더 포함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무마개를 통해 접속구를 막아 외부의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누전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기충전소(1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151)와, 상기 케이싱부(151) 내측에 설치되어 전기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케이블(1522)이 연결되어 있는 충전기(15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152)의 케이블(1522)은 케이싱부(151) 내측에 설치된 도르래수단(153)에 의해 케이블(1522) 정리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르래수단(153)은 케이블(1522)에 당김력을 작용하여, 충전이 완료된 상태로 충전 커넥터(미도시)를 분리하면 도르래수단(153)에 의해 케이블(1522)이 자동으로 당겨지게되어 케이블(1522)이 외부로 늘어지지 않고 정리될 수 있도록 하여 도시의 미관을 해지지 않고 케이블(1522)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설치영역에 따라 적절한 모듈형 부착물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제1설치영역(300)의 모듈형 부착물(200)은 점검구, 신호버튼, 비상벨, 도시안내기기, 스마트폰 충전시설과 같이 시민이 가까이서 직접 사용하거나 눈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거나 관리자가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지 않고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설치영역(300)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2설치영역(400)의 모듈형 부착물(200)은 배전함, 사물인터넷, 도로명판, 스피커, 유동인구센서, 신호등(보행자)와 같이 시민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한 위치에 해당하면서 관리자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높은 위치에 해당하는 제3설치영역(500)은 신호등(차량), CCTV, 공공와이파이, 태양광패널, 풍력발전장치, 드론스테이션, 미세먼지 저감장치, 풍향계, 공기질 측정센서와 같은 구성으로 적용하여, 먼 거리에서 식별 또는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넓은 와이파이 영역을 시민들에게 제공해주도록 하고, 전력을 충전하거나 환경분석을 위한 구성이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200) 중에서 비상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구의 커버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비상벨이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점검구 커버에 설치될 경우, 공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설치과정에서 필요한 타공작업, 전원공급, 고정프레임 설치와 같은 작업들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비상벨의 형태는 단순 버튼 타입의 비상벨로 적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타입의 비상벨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부착물(200)은 앞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주차검지, 로고젝터, LED안내판과 같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전함의 경우 제2설치영역(400) 뿐만 아니라 제1설치영역(300) 및 제3설치영역(50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지주 플랫폼(100)의 설치영역은 색상이나 눈금표시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 관리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눈으로 확인하여 설치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설치영역의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좀 더 명확한 설치위치를 규정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형 부착물(200)에는 설치태그(6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설치태그(600)를 인식할 수 있는 태그센서(700)가 제1설치영역(300), 제2설치영역(400), 제3설치영역(500)에도 각각 설치되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형 부착물(200)을 설치하기 전에 해당 설치영역의 태그센서(700)에 인식하여 설치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모듈형 부착물(200)에 구비된 설치태그(600)는 적절한 설치영역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해당 설치영역의 태그센서(700)에 인식시키게 되면, 정확한 위치의 설치영역인지 설치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알려주는 방식은 태그센서(700)와 연동되는 스피커 또는 램프장치를 통해 알려주거나, 관리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전원 및 통신공급이 필요한 모듈형 부착물(200)일 경우, 적절한 위치의 태그센서(700)에 인식해야만 전원 및 통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설치 관리자의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태그센서(700)의 신호를 수집하여 설치관리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관리부(800)의 신호정보를 관리자서버(미도시)로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폴이 설치된 모든 영역에 해당하는 모듈형 부착물(200)의 설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지주 플랫폼 110 : 조명장치
120 : 통합공급부 150 : 차량용 전기충전소
151 : 케이싱부 152 : 충전기
1522 : 케이블 153 : 도르래수단
200 : 모듈형 부착물 300 : 제1설치영역
400 : 제2설치영역 500 : 제3설치영역
600 : 설치태그 700 : 태그센서
800 : 설치관리부

Claims (6)

  1.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지주 플랫폼(100)과, 상기 지주 플랫폼(100)에 부착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갖도록 한 복수의 모듈형 부착물(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 플랫폼(100)은;
    하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제1설치영역(300)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설치영역(300)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제2설치영역(400)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2설치영역(400)으로부터 지주 플랫폼(100)의 상단까지 제3설치영역(500)으로 구분하여, 각 설치영역마다 다른 기능을 갖는 모듈형 부착물(200)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 플랫폼(100)은 각각의 설치영역마다 전원 및 통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합공급부(120)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모듈형 부착물(200)에는 설치태그(6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설치태그(600)를 인식할 수 있는 태그센서(700)가 제1설치영역(300), 제2설치영역(400), 제3설치영역(50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모듈형 부착물(200)을 설치하기 전에 해당 설치영역의 태그센서(700)에 인식하여 설치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태그센서(700)에 인식해야만 모듈형 부착물(200)에 전원 및 통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태그센서(700)의 신호를 수집하여 설치관리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관리부(800)의 신호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스마트 폴이 설치된 영역의 모듈형 부착물(200)의 설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상기 지주 플랫폼(100)의 제1설치영역(300) 일측으로 차량용 전기충전소(15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전기충전소(150)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151)와, 상기 케이싱부(151) 내측에 설치되어 전기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케이블(1522)이 연결되어 있는 충전기(152);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기(152)의 케이블(1522)은 케이싱부(151) 내측에 설치된 도르래수단(153)에 의해 케이블(1522) 정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영역(300)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200)은 점검구, 신호버튼, 비상벨, 도시안내기기, 전동킥보드 충전시설, 스마트폰 충전시설이 적용되고, 제2설치영역(400)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200)은 배전함, 사물인터넷, 도로명판, 스피커, 유동인구센서가 적용되고, 제3설치영역(500)에 설치되는 모듈형 부착물(200)은 신호등, CCTV, 공공와이파이, 드론스테이션, 태양광패널, 풍력발전장치, 미세먼지 저감장치, 풍향계, 공기질 측정센서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5. 삭제
  6. 삭제
KR1020210163442A 2021-11-24 2021-11-24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KR10242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442A KR102429277B1 (ko) 2021-11-24 2021-11-24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442A KR102429277B1 (ko) 2021-11-24 2021-11-24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277B1 true KR102429277B1 (ko) 2022-08-08
KR102429277B9 KR102429277B9 (ko) 2022-11-14

Family

ID=8284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442A KR102429277B1 (ko) 2021-11-24 2021-11-24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27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65U (ko) * 2009-05-13 2010-11-23 (주) 오름기술 함체 삽입형 철주
JP5369326B2 (ja) * 2008-12-11 2013-12-18 国陽電興株式会社 ケーブル内蔵型支柱
KR102092511B1 (ko)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KR102120193B1 (ko) 2019-09-30 2020-06-08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능형 도시정보 스마트 폴 장치
KR102146254B1 (ko) 2020-02-25 2020-08-20 주식회사 레젠 다방향 조립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스마트 폴
KR20210041434A (ko) * 2019-10-07 2021-04-1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비 인증 시스템
KR102286457B1 (ko) * 2020-11-12 2021-08-04 김현일 가변 일체형 스마트 폴
KR102328473B1 (ko) * 2021-04-05 2021-11-18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전기 충전기능을 갖는 친환경 스마트 가로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9326B2 (ja) * 2008-12-11 2013-12-18 国陽電興株式会社 ケーブル内蔵型支柱
KR20100011365U (ko) * 2009-05-13 2010-11-23 (주) 오름기술 함체 삽입형 철주
KR102092511B1 (ko)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KR102120193B1 (ko) 2019-09-30 2020-06-08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능형 도시정보 스마트 폴 장치
KR20210041434A (ko) * 2019-10-07 2021-04-1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비 인증 시스템
KR102146254B1 (ko) 2020-02-25 2020-08-20 주식회사 레젠 다방향 조립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스마트 폴
KR102286457B1 (ko) * 2020-11-12 2021-08-04 김현일 가변 일체형 스마트 폴
KR102328473B1 (ko) * 2021-04-05 2021-11-18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전기 충전기능을 갖는 친환경 스마트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277B9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820B1 (ko)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CN206260119U (zh) 一种集成化智慧路灯控制管理系统
US10192440B2 (en) System for displaying parking spaces
US20100214129A1 (en) Device for the lighting and/or demarcation of pedestrian crossings
CN205480642U (zh) 一种多功能路灯装置
CN110264637A (zh) 一种共享单车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TW201519175A (zh) 停車管理系統與燈源裝置
KR20160124504A (ko) 복합 기능형 가로등 시스템
CN103952987A (zh) 道路综合信息监测警示装置及系统
EP2323237A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N205451525U (zh) 一种智能停车管理系统
CN103544836A (zh) 路口盲人导航系统及导航方法
KR20150029380A (ko) 옥외 주차장용 엘이디 조명기구
CN110533920A (zh) 一种基于光储充的停车视频桩
CN112562387A (zh) 一种基于智慧路灯的泊车系统
KR20140096899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led 도로 표지판 관리 시스템
CN106161798A (zh) 一种智能无线led路灯
KR102429277B1 (ko)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KR101971820B1 (ko) 그린에너지 기반의 하이브리드 기능 폴 구조물
KR102002163B1 (ko) 스마트 가로등을 활용한 주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678763A (zh) 一种基于城市级别公共照明网络的城市红线管理设备
KR20140106076A (ko) 스마트 기능을 갖는 대기 환경정보 관리시스템
CN212341915U (zh) 一种平铺式马路牙机及停车收费系统
CN205400136U (zh) 一种太阳能发电智能公交站台候车亭
CN212064225U (zh) 一种中位相机及停车收费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