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337A -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337A
KR20190107337A KR1020180028462A KR20180028462A KR20190107337A KR 20190107337 A KR20190107337 A KR 20190107337A KR 1020180028462 A KR1020180028462 A KR 1020180028462A KR 20180028462 A KR20180028462 A KR 20180028462A KR 20190107337 A KR20190107337 A KR 20190107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avan
information
sensor
dron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8012B1 (ko
Inventor
강귀심
Original Assignee
강귀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귀심 filed Critical 강귀심
Priority to KR102018002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01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64C2201/066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과 조명센서, 도어락과 도어락센서, GPS 및 실내 및 실외 촬영용 카메라가 내측에 각각 설치되며, 카메라탑재 드론, 드론충전겸용 드론착륙장 및 접근감지센서가 루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사물을 연동 제어하는 제어부가 내측에 설치된 카라반과; 사물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로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사물을 원격 통합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와;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물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로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사물을 원격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되, 상기 드론착륙장은 상부 개폐구조로 형성되어 비행시 및 착륙시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미식별객체의 접근과 상기 도어락센서에 의한 상기 도어락의 강제개방을 특정시간 이내에 동시에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을 온하며 상기 드론착륙장을 개방하여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을 상기 루프 상측으로 비행시키면서 상기 미식별객체를 촬영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촬영된 영상 및 경고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System for Operating Caravan of Implementing Smart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카라반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하여, 카라반에 설치된 사물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통합제어관리하고, 오작동 또는 위험요소 감지시,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여가 또는 취미로서 캠핑카를 이용한 숙박 또는 여행이 대중화되고 있으며, 캠핑카의 이용편의성을 위한 캠핑카 위탁관리 서비스 또는 대여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다.
캠핑카 관련 제1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제10-1168081호(캠핑카 위탁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가 개시되어 있으며, 제1선행기술은, 캠핑카 위탁 소유자 단말기와, 일반인 단말기, 및 차량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서버로 구성되며, 일반인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캠핑카 대여 데이터를 입력받아 캠핑카를 대여되도록 한다.
여기서, 관리자서버는 위탁 차량의 차량상태정보를 입력받는데, 차량상태정보는 캠핑카의 주행거리와 외관 및 내관의 이미지 사진에 한정되어 차량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캠핑카 관련 제2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제10-1332414호(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가 개시되어 있으며, 제2선행기술은, 공기 상태를 검출하며, 검출된 공기상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무선통신으로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요청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메인단말기 및 메인단말기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메인단말기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서브단말기를 포함하여서, 캠핑 장비의 이탈을 확인하고 수면 조건을 감시하여 캠핑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공기상태검출모듈에 의해 일산화탄소,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하여 캠퍼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및 제2 선행기술의 한계를 보완하여 캠핑카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정확하게 수집 및 분석하여 대응하도록 하고, 공기상태 이외의 위험요소를 감지하여 캠핑카의 유지보수 및 캠퍼의 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제10-1168081호(캠핑카 위탁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한국등록특허제10-1332414호(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캠핑카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정확하게 수집 및 분석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하고, 공기상태 이외의 위험요소를 추가적으로 감지하여 캠핑카 및 캠퍼의 안전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조명과 조명센서, 도어락과 도어락센서, 가스밸브와 가스밸브센서, 화재감지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농도센서, 수전과 수전센서, 전력량계와 전력량계센서, 전원콘센트와 전원콘센트센서, 전원스위치와 전원스위치센서, GPS 및 실내 및 실외 촬영용 카메라가 내측에 각각 설치되며, 카메라탑재 드론, 드론충전겸용 드론착륙장 및 접근감지센서가 루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사물을 연동 제어하는 제어부가 내측에 설치된 카라반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물로부터 감지되어 제공되는 사물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로 상기 사물정보에 상응하는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사물을 원격 통합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와;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물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로 상기 사물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사물에 대한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사물을 원격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의 오작동, 가스누출감지, 방범이상, 화재감지 또는 누전감지를 판단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경고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드론착륙장은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부 개폐구조로 형성되어 비행시 및 착륙시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의 수용시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을 충전하고, 상기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미식별객체의 접근과 상기 도어락센서에 의한 상기 도어락의 강제개방을 특정시간 이내에 동시에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을 온하며 상기 드론착륙장을 개방하여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을 상기 루프 상측으로 비행시키면서 상기 미식별객체를 촬영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촬영된 영상 및 경고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미식별객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의 비행높이 및 비행경로를 설정하고, 탑재된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상기 미식별객체로 향하도록 조정하고,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의 카메라의 촬영방향과 동일한 촬영방향의 상기 실내 및 실외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상기 GPS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은 상기 루프에 형성되는 태양전지판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라반의 실내 출입문 하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내 출입문 하단에서 상기 카라반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노출되는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과, 상기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 하단에는 먼지제거부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락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제거부를 제어하여 일정시간동안 구동하되,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기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 하단에 접하도록 솔이 외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롤러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롤러의 회전축이 형성되거나, 상기 먼지제거부는, 진공흡입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정보는 각 사물에 대한 카라반 내 설치 위치와 각 사물을 이미지로 그래픽화하여 제공되고, 각 사물에 대한 이미지의 색상 변화를 통해 작동 상태를 웹 플랫폼 또는 앱 플랫폼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사물정보를 시간대 및 일자별로 그래프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카라반 홍보, 사용기, 대여와 판매 정보, 및 이벤트 또는 체험 행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지도기반정보 및 상기 GPS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주행시 주행도로 또는 주차시 캠핑장 주변의 이용가능한 카라반 관련시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락센서 및 접근감지센서의 감지정보에 따른, 제어부의 조명 및 카메라탑재 드론의 연동 제어에 의해서, 외부자 침입에 대해 관리자와 사용자가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하여 불미스러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락센서에 의해 도어락의 정상 개방이 감지되면, 제어부가 먼지제거부를 제어하여 일정시간동안 구동하여서, 발판에 접촉한 실외화바닥의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여 카라반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라반에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하여, 카라반 내의 사물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통합 제어 관리하고, 온도, 습도, 화재, 가스누출, 및 방범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사물의 오작동여부, 가스누출감지, 방범이상, 화재감지 또는 누전감지를 판단하여 통합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로 경고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통지하여서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여서, 캠퍼의 안전과, 캠핑카의 유지 보수 및 사후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가아, 지도기반정보 및 GPS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주행시 주행도로 또는 주차시 캠핑장 주변의 이용가능한 카라반 관련시설정보를 제공하여서, 이동특성상의 카라반의 활용가능성 및 이용편의성을 보다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의 카메라탑재 드론에 의한 방범 기능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1의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의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은, 다양한 사물 인터넷이 구현된 카라반(100)과, 카라반(100)과 양방향 통신하는 통합관리서버(200)와, 카라반(100) 및 통합관리서버(200)와 양방향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카라반(100), 통합관리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호간 통신가능하고, 카라반(100)의 제어부(124)와 사용자 단말기(3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카라반(100)에는, 실내(카라반 내부) 및 실외(카라반 외부) 조명(111a)과 조명(111a)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조명센서(111b), 도어락(112a)과 도어락(112a)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락센서(112b), 가스밸브(113a)와 가스밸브(113a)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밸브센서(113b), 화재에 따른 연기발생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14a), 실내외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온도센서(114b), 실내외 습도를 각각 감지하는 습도센서(114c), 실내의 이산화탄소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농도센서(115), 수전(116a)과 수전(116a)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수전센서(116b), 전력량계(117a)와 전력량계(117a)의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량계센서(117b), 전원콘센트(118a)와 전원콘센트(118a)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전원콘센트센서(118b), 전원스위치(126a)와 전원스위치센서(126b), GPS(119), 및 실내 및 실외 촬영용 카메라(120)가 내측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가스밸브센서(113b)는 가스밸브(113a)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면서, 캠핑카 실내의 가스누출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 및 실외 촬영용 카메라(120)는 카라반(100) 기준 360도를 4분하여 각각 촬영할 수 있는 4개의 실외 CCTV와, 카라반(100) 실내를 촬영하는 1개의 CCTV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라반(100)의 루프(roof)에는, 카메라탑재 드론(121), 드론충전겸용 드론착륙장(122) 및 접근감지센서(123)가 루프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접근감지센서(123)는 특정거리이내의 객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센서 또는 모션감지센서일 수 있다.
또한, 카라반(100)에는, 전술한 해당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정보에 따라 사물(사물인터넷)을 연동 제어하는 제어부(124)가 내측에 설치된다.
예컨대, 제어부(124)는 전술한 사물의 오작동여부, 가스누출감지, 방범이상(도어락(112a)의 비정상 개방)화재감지 또는 누전감지를 판단하여 통합관리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 경고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통지하여서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통합관리서버(2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사물로부터 감지되어 제공되는 사물정보(또는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카라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하고, 제어부(124)로 사물정보에 상응하는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사물을 원격 통합관리한다.
예컨대, 통합관리서버(200)는, 조명센서(111b)로부터 조명(111a)의 온오프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상황에 따라 조명(111a)의 온오프를 원격 제어하며, 화재감지센서(114a)로부터 화재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경고정보를 전송하고, 실내 및 실외 촬영용 카메라(120)로부터 각각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면서, 또한, 각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각 사물에 대한 유지보수 및 사후관리에 대한 가이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및 실외 촬영용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카라반(100)에 설치된 자체 DVR(Digital Video Recorder)에 저장되거나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200)는, 카라반 홍보, 사용기, 대여와 판매 정보, 및 이벤트 또는 체험 행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200)는, 지도기반정보 및 GPS(119)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주행시 주행도로 또는 주차시 캠핑장 주변의 이용가능한 카라반 관련시설정보를 제공하여서, 이동특성상의 카라반(100)의 활용가능성을 보다 확장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로서, 제어부(124) 또는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사물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카라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제어부(124)로 사물정보에 상응하는 사물에 대한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사물을 원격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의 카메라탑재 드론에 의한 방범 기능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론착륙장(122)은 카라반(100) 루프에 형성되고 카메라탑재 드론(121)을 내측에 수용는데, 즉 상부 개폐구조로 비행시 및 착륙시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이착륙을 위한 비행공간을 형성하고, 비행 대기시에는 상부가 폐쇄되어 내측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론착륙장(122)은 카메라탑재 드론(121)의 수용시 카메라탑재 드론(121)을 제어부(124)의 제어에 의해 충전하는데, 카메라탑재 드론(121)은 루프에 형성되는 태양전지판(125)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접근감지센서(123)에 의해 미식별객체의 접근과 도어락센서(122b)에 의한 도어락(122a)의 강제개방을 특정시간 이내에 동시에 감지하면, 제어부(124)는 조명(111a)을 온하여(점등하여) 카라반(100) 주변영역을 밝게 조사하도록 하고 드론착륙장(122)을 개방하여 카메라탑재 드론(121)을 루프 상측으로 비행시키면서 미식별객체를 특정하여 촬영하고, 통합관리서버(200) 및 사용자단말기(300)로 촬영된 영상 및 GPS(119)의 위치정보 및 이에 상응하는 경고정보를 전송한다.
즉, 제어부(124)는 접근감지센서(123)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미식별객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카메라탑재 드론(121)의 비행높이 및 비행경로를 설정하고, 탑재된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미식별객체로 향하도록 조정하고, 연동하여, 카메라탑재 드론(121)의 카메라의 촬영방향과 동일한 촬영방향의 실내 및 실외 촬영용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합관리서버(200) 및 사용자단말기(300)로 동시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주로 야간시, 방범을 위해서, 접근감지센서(123)에 의해 미식별객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접근감지 후 특정시간이내에 도어락센서(122b)에 의한 도어락(122a)의 강제개방을 감지하면, 제어부(124)는 외부자에 의한 침입으로 인식하여 카메라탑재 드론(121)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경고정보를 쌍방향으로, 즉 통합관리서버(200) 및 사용자단말기(300)로 동시에 전송하여, 관리자 및 사용자(또는 대여자)가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4)는, 통합관리서버(200) 및 사용자단말기(300)로의 경고정보 전송과 동시에, 카라반(100)의 오디오와 연동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방송을 즉시 송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어락센서(122b) 및 접근감지센서(123)의 동시 감지정보에 따른 제어부(124)의 조명(111a) 및 카메라탑재 드론(121)의 연동 제어에 의해서, 외부자 침입에 대해 관리자와 사용자가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하여 불미스러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3은 도1의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의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라반(100)의 실내 출입문 하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실내 출입문 하단에서 카라반(100)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노출되는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131)과,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131) 하단에는 먼지제거부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락센서(122b)에 의해 도어락(122a)의 정상 개방이 감지되면, 제어부(124)는 먼지제거부를 제어하여 일정시간동안 구동하여 발판에 접촉한 실외화바닥의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먼지제거부는,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131) 하단에 접하도록 솔이 외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롤러(132)와 롤러(132)를 구동하는 모터(미도시)로 구성되고, 한쌍의 롤러(132)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131)의 세로방향으로 롤러(132)의 회전축이 형성되거나, 먼지제거부는 진공흡입모듈(133)로 구성되어서, 솔의 회전에 의해 실외화 바닥의 이물질 또는 먼지를 쓸어 제거하거나 진공흡입모듈(133)에 의해 흡기하여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131) 측면에는 실외화 수납장이 형성되어 이물질 또는 먼지 제거 후 쉽게 실외화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카라반(100)의 주행시에는,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131)은 카라반(100) 하단 측면 내측에 수용되고, 주차시에만,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131)이 카라반(100) 하단 측면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사물정보는 각 사물에 대한 카라반 내 설치 위치와 각 사물을 이미지로 그래픽화하여 제공되고, 각 사물에 대한 이미지의 색상 변화를 통해 작동 상태를 웹 플랫폼 또는 앱 플랫폼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사물정보를 시간대 및 일자별로 그래프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카라반 200 : 통합관리서버
300 : 사용자 단말기 121 : 카메라탑재 드론
122 드론충전겸용 드론착륙장 123 : 접근감지센서
131 :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 132 : 롤러
133 : 진공흡입모듈

Claims (8)

  1. 조명과 조명센서, 도어락과 도어락센서, 가스밸브와 가스밸브센서, 화재감지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농도센서, 수전과 수전센서, 전력량계와 전력량계센서, 전원콘센트와 전원콘센트센서, 전원스위치와 전원스위치센서, GPS 및 실내 및 실외 촬영용 카메라가 내측에 각각 설치되며, 카메라탑재 드론, 드론충전겸용 드론착륙장 및 접근감지센서가 루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사물을 연동 제어하는 제어부가 내측에 설치된 카라반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물로부터 감지되어 제공되는 사물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로 상기 사물정보에 상응하는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사물을 원격 통합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와,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물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로 상기 사물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사물에 대한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사물을 원격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의 오작동, 가스누출감지, 방범이상, 화재감지 또는 누전감지를 판단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경고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드론착륙장은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부 개폐구조로 형성되어 비행시 및 착륙시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의 수용시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을 충전하고,
    상기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미식별객체의 접근과 상기 도어락센서에 의한 상기 도어락의 강제개방을 특정시간 이내에 동시에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을 온하며 상기 드론착륙장을 개방하여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을 상기 루프 상측으로 비행시키면서 상기 미식별객체를 촬영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촬영된 영상 및 경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카라반의 오디오와 연동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방송을 송출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미식별객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의 비행높이 및 비행경로를 설정하고, 탑재된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상기 미식별객체로 향하도록 조정하고,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의 카메라의 촬영방향과 동일한 촬영방향의 상기 실내 및 실외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상기 GPS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탑재 드론은 상기 루프에 형성되는 태양전지판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라반의 실내 출입문 하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내 출입문 하단에서 상기 카라반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노출되는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과, 상기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 하단에는 먼지제거부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락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제거부를 제어하여 일정시간동안 구동하되,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기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 하단에 접하도록 솔이 외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롤러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먼지제거 다공성 발판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롤러의 회전축이 형성되거나,
    상기 먼지제거부는, 진공흡입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정보는 각 사물에 대한 카라반 내 설치 위치와 각 사물을 이미지로 그래픽화하여 제공되고, 각 사물에 대한 이미지의 색상 변화를 통해 작동 상태를 웹 플랫폼 또는 앱 플랫폼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사물정보를 시간대 및 일자별로 그래프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카라반 홍보, 사용기, 대여와 판매 정보, 및 이벤트 또는 체험 행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지도기반정보 및 상기 GPS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주행시 주행도로 또는 주차시 캠핑장 주변의 이용가능한 카라반 관련시설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KR1020180028462A 2018-03-12 2018-03-12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KR102038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62A KR102038012B1 (ko) 2018-03-12 2018-03-12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62A KR102038012B1 (ko) 2018-03-12 2018-03-12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337A true KR20190107337A (ko) 2019-09-20
KR102038012B1 KR102038012B1 (ko) 2019-10-29

Family

ID=6806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462A KR102038012B1 (ko) 2018-03-12 2018-03-12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0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65A (ko) * 2021-07-20 2023-01-27 장문성 캠핑카 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14957A (ko) * 2022-01-26 2023-08-02 (주)캠핑카 랜드 캠핑카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322A (ko) 2022-09-07 2024-03-14 이근호 캠핑카 여행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003A (ko) * 1996-11-04 1998-08-05 김광호 자동차의 주변사항을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510935A (ja) * 2006-11-27 2010-04-08 アーデーツエー・オートモテイブ・デイスタンス・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ズ・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遠距離灯の自動制御方法
KR101168081B1 (ko) 2010-03-19 2012-07-24 장영주 캠핑카 위탁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32414B1 (ko) 2013-01-29 2013-11-22 김명삼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50041939A (ko) * 2013-10-10 2015-04-20 주식회사 일리시스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45908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자동차 충전용 무인 비행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003A (ko) * 1996-11-04 1998-08-05 김광호 자동차의 주변사항을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510935A (ja) * 2006-11-27 2010-04-08 アーデーツエー・オートモテイブ・デイスタンス・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ズ・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遠距離灯の自動制御方法
KR101168081B1 (ko) 2010-03-19 2012-07-24 장영주 캠핑카 위탁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32414B1 (ko) 2013-01-29 2013-11-22 김명삼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50041939A (ko) * 2013-10-10 2015-04-20 주식회사 일리시스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45908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자동차 충전용 무인 비행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65A (ko) * 2021-07-20 2023-01-27 장문성 캠핑카 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14957A (ko) * 2022-01-26 2023-08-02 (주)캠핑카 랜드 캠핑카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012B1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5904B2 (en)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US11394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te monitoring during departure or arrival of an autonomous vehicle
CA2943193C (en) Barrier operator control of a camera
KR102038012B1 (ko)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US11412188B2 (en) Asset management monitoring
US11200435B1 (en) Property video surveillance from a vehicle
US11657690B2 (en) Nanosatellite-based property monitoring
US11443517B1 (en) Video-based parking garage monitoring
US10891866B2 (en) Parking assist apparatus
US20210182765A1 (en) Guard tour tracking
US20230303247A1 (en) Surveillance with sensor drone
US11016487B1 (en) Optimizing a navigation path of a robotic device
KR101012738B1 (ko) 철도 역사의 테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11305416B1 (en) Dynamic arrangement of motorized furniture
KR101019684B1 (ko) 안내방송용 영상감시장치
KR101622313B1 (ko) 통합 제어 조명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