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963A -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963A
KR20120086963A KR1020110008349A KR20110008349A KR20120086963A KR 20120086963 A KR20120086963 A KR 20120086963A KR 1020110008349 A KR1020110008349 A KR 1020110008349A KR 20110008349 A KR20110008349 A KR 20110008349A KR 20120086963 A KR20120086963 A KR 20120086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illance camera
case body
monitoring
moving
camera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건희
박원용
Original Assignee
조동혁
박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혁, 박원용 filed Critical 조동혁
Priority to KR102011000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6963A/ko
Publication of KR2012008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을 통하여 철책선 혹은 건물 내외부 혹은 도로 및 차량의 감시 선로에 따라 고정시켜 설치하는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로 감시 선로를 이동하면서 감시하며, 사고지역에서는 정지하거나 세밀하게 이동하면서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게 된다. 감시카메라는 설치 목적상 감시하는 전지역을 주 야간은 물론 전천후로 감시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의 고정식 감시카메라 시스템으로는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만을 감시하므로 전 지역을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처럼 감시 선로를 따라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내에서 순환하면서 반복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방식의 감시시스템 기술을 도입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도로 및 건물 혹은 차량 외부 및 철책선을 따라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전체 경계 지역의 영상과 음향을 감시하다가, 사고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여 집중 감시를 할 수 있어 재해 및 사고로부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둘째, 지하 매설관 혹은 지하 철로처럼 감시카메라가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도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를 설치할 수 있으면 감시 선로에 따라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전체 선로를 감사할 수 있다.
셋째, 케이스 몸체에 고정하는 투명한 창에 자동차처럼 투명 열선을 설치함으로써 동절기나 폭우 시에도 감시카메라의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다.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렌즈 부위에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고정식 감시카메라에 비해 투명한 창을 설치함으로써 전천후 감시에 유리하다.
넷째, 투명한 창 근처에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탑재함으로써 경비 지역임을 알리거나 사고 발생 지역의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점멸시킴으로써 즉시 대응이 가능하다.
다섯째, 대형 트럭과 탱크와 같이 전후좌우 시야 확보가 어려운 차량 및 선박 등도 이와 같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방식을 도입하면 360도 전체 영역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The remote control security camera system which movable in transparent window pipe}
최근 들어 방범 및 감시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방식의 감시 카메라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대부분 특정한 장소에 감시카메라를 고정시켜 설치하는 방식이다. 감시카메라를 원격으로 회전시키거나 상하로 이동시켜 특정한 지역을 원격으로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방식도 있지만 회전 및 이동 메카니즘이 외부의 가혹한 사용 환경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고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많다. 또한, 예전의 VTR 녹화 방식은 사라지고 현재는 감시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영상저장장치(DVR)에 저장하여 필요한 시간의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있다.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감시카메라 영역 안에 침입자가 있는지 여부를 프로그램으로 판단하는 기술도 적용되고 있으며, 야간 감시를 위하여 적외선 카메라도 설치되고 있다. 최근 들어 강변의 감시 철책선(일례로 한국의 경우 휴전선 인접 한강 이북 지역) 감시를 자동화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와 레이더 혹은 수중음파 탐지기인 소나(SONAR)를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강변의 철책선에 설치하여 24시간 전천후 원격으로 감시하는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철책선에는 무한궤도와 같은 이동수단를 장착한 적외선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로봇을 이용하여 철책선을 순회하면서 감시하고 있으며, 감시카메라에 이상이 포착되어 있을 경우 목표물에 대해 사격하는 기능도 탑재되고 있다. 그러나, 감시 로봇을 철책선 감시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이동 경로가 확보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보급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철책선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경우 감시 영역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감시 로봇을 이용하는 것이 감시카메라를 철책선에 고정하여 감시하는 방식에 비하여 전체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가격과 이동경로 확보와 이동하는 방식에 있어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많다. 특히 외부에 로봇을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 등을 이용할 경우 유지 보수하는 측면에서 어려움이 예상된다.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10-2011-0002504 호로 감시카메라를 정해진 궤도로 이동시키면서 전체 영역을 감시하도록 하되, 가이드레일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획기적인 방법과 메카니즘 혹은 아이디어를 제시한 바 있다.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모션 테이블 위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정해진 각도 내에서 감시카메라를 회전 및 상하로 이동시키면 감시 지역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지만, 제어 각도에 한계가 있으며 특정 지역을 감시하는 경우 그 이외의 지역이 감시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감시카메라에 마이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설치된 지역의 음향만 감시할 수 있어 효용 가치가 없다. 항공기를 감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높이 방향의 이동은 큰 의미가 없고, 주로 철책선(혹은 침입방지 장벽) 방향으로의 이동하여 감시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핵심 감시 요소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많은 개발을 시도하였고 일례로 철책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철책선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가이드레일과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는 메카니즘이 외부 환경(비, 눈, 습도, 먼지)에 노출될 경우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려워 상용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가이드레일이 외부 환경 요인이나 침입자의 파손으로 훼손되거나 가이드레일의 마모 등으로 감시카메라의 이동에 제한을 가할 경우 감시카메라가 무력화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시카메라에 어안렌즈 등과 같이 넓은 각도 범위를 감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넓은 각도를 스캔할 경우 어안렌즈로 인해 왜곡된 영상을 복원시켜야 하며, 넓은 지역을 스캔하므로 특정 감시 지역을 확대할 경우 카메라의 해상도가 낮아 영상의 품질에 문제가 있다. 스쿨존 및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은 우범지대 감시, 도로에 따라 교통량 및 사고지역으로 이동하여 감시, 터널과 교량 및 강변 감시, 철도 레일 주변 감시, 공장 및 건물 내외부 감시, 중요 도로 감시, 철책선 감시, 배 혹은 트럭 및 탱크 등 군차량 주변 감시, 건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감시, 공동주택 외곽 경비, 항공기 활주로 주변 감시, 일반 차량 주변 감시 등과 같은 경우 완벽한 보안을 위해서는 카메라가 감시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전방 철책선의 경우 철책선에 전파식별장치(RFID)와 진동을 감지하는 광케이블 등 감지센서, 카메라 등을 통한 무인감시 체계를 설치하면 야간에 직접 경계 근무를 서지 않아도 철책에 설치된 관련 장치들이 주변 온도와 진동, 소리 변화를 감지해 지휘 본부에 통보 이상 유무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최근 한국의 최전방 1 사단 15km 지역에 고정식 감시카메라 120 여대와 광섬유 그물망을 설치했지만 탐지율이 73%로 한계가 있고 오동작이 하루에 3천 번이 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는 만큼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새로운 개념의 감시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첨단 과학장비로 적의 침투를 경계 감시하는 무인감시 초소에는 고성능 CCTV와 원격조종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기관총이 배치되어, 고성능 CCTV로 수 km 밖에서 접근하는 적이나 의심 선박 등을 주야간(200m 간격으로 감시카메라 설치, 낮에는 1km 밤에는 200m 거리 움직이는 물체 자동 감지) 정밀하게 포착해 지휘통제본부에 24시간 화면을 전송하고, 적이나 의심 선박으로 최종 판별되면 기관총 등에 장착한 원격사격 통제장비를 이용해 자동으로 기관총을 발사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2010년부터 구축하기 시작하여 2019년까지 최전방 철책 전역에 구축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감시 선로를 따라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면서 감시하도록 하여 감시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사고지역으로 감시선로를 따라 즉시 원격 이동시켜 집중적으로 영상 뿐만 d니라 음향도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현재처럼 감시카메라를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감시 선로를 따라 이동시켜 감시할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로, 감시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영상과 함께 음향도 감시하므로 통합적인 감시가 가능해지며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의 개수를 2개 이상 설치하여 감시시스템을 구축하면 시스템적인 감시가 가능해진다. 둘째로, 감시 선로를 따라 사고가 발생한 지역으로 감시카메라를 즉시 이동시킬 수 있어 사고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감시가 가능해져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셋째로, 고정식 감시카메라는 넓은 범위를 감시해야 하므로 높은 카메라 해상도가 필요하지만 이동식 감시카메라의 경우 좁은 감시영역을 감시하므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넷째로, 대형 상수도관 등과 같은 지하에 매설된 관의 상태를 스캔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이동 로봇을 투입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하면서 관의 상태를 스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를 감시 선로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레일 등과 같은 유도 라인을 철책선 등에 설치하여 이동 경로를 확보하여야 하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되며 본 발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로, 가이드레일이 감시 선로를 따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외부 환경(비, 눈, 먼지, 습도)에 따라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외부인이 가이드레일에 장애물을 올려놓는 등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많다. 둘째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외부인이 확인할 수 있어 고정식과 동일하게 사각 지대가 발생한다. 외부인은 감시 카메라가 어느 지역을 감시하는지 알 수 없도록 함이 필요하다. 셋째로, 감시 카메라에 전원 공급 및 영상 신호 전달을 위한 케이블 설치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감시선로에 따라 가이드레일 등과 같은 유도 라인을 설치하여 이동하도록 해야 한다. 이 경우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본 발명을 통해 다음과 같이 해결하고자 한다. 가이드레일이 감시선로를 따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외부 환경(비, 눈, 먼지, 습도)에 따라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카메라가 감시하는 방향은 투명한 감시선로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관 내에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도록 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감시카메라의 이동이 제한받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핵심적인 접근이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해야 한다. 첫째로 투명한 창에 서리와 결빙, 적설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명한 창에 투명 열선 등을 설치하여 장애 발생시 전원을 공급하여 제거해야 한다. 이와 함께 투명한 창에 먼지가 묻거나 빗물 등이 맺히지 않도록 특수한 코팅(일례로 DLC코팅시 빗물 맺히지 않음)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투명한 창과 케이스 몸체를 외부에서 먼지나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해야 하므로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 몸체 하단부 등에 작은 구멍을 뚫어 음성 전달 경로를 확보하면서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부직포를 외부에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셋째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에는 충전식 배터리를 설치하고 무선으로 감시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내도록 하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와 외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제거할 수 있다. 혹은, 감시 선로 방향으로 기다란 형태의 케이스 몸체 내에 전원공급 라인과 영상전송 라인을 설치하여 감시카메라는 이동하면서 전원 공급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넷째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 내에는 감시 선로 방향으로 기어를 설치하여 감시카메라 몸체의 구동모터 회전에 의해 기어가 맞물려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하면 정확한 감시카메라의 위치 제어 및 경사도(건물 외벽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감시)가 있는 경우에도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섯째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 내에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를 넣어 상호 충돌하지 않고 순환하면서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배터리로 구동하는 경우 특정지역(docking station)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접촉 기구를 구성한다. 여섯째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 내의 투명한 창 근처에 LED와 같은 발광수단을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하여 사고 발생시 해당 지역의 LED와 같은 발광수단을 점멸하거나 경비 중임을 알리기 위해 LED와 같은 발광수단 전체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일곱째로 감시 선로의 케이스 몸체 내에서 감시카메라가 고장 등으로 멈추는 경우 케이스 몸체 내에 견인용 로봇을 삽입시켜 꺼내는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여덟째로 감시카메라로 스마트폰을 이동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의 고해상도 카메라센서, 마이크, GPS 및 각종 모션 센서들을 무선랜 혹은 블루투스 혹은 NFC 혹은 지그비통신 혹은 이동통신망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 수단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해 둘 수 있으며, 자동 영상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사고 발생시 자동으로 경보 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에서 이동 테이블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외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 위치로 즉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야간 감시 및 침입자 자동 감지를 위해 적외선카메라와 레이더센서, 진동감지센서를 연결할 수 있다. 아홉째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는 투명한 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의 길이는 래크 기어가 연결되도록 조립함으로써 수백 미터에 이를 수 있다. 감시하는 주기 요구에 따라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의 대수를 결정하는데 일례로 100 미터를 1개의 감시카메라로 감시할 경우 이동속도를 5미터/초일 경우 100 미터를 이동하는데 20초가 걸린다. 이를 5초로 줄이기 위해서는 케이스 몸체 내에서 4 개의 감시카메라가 시스템적으로 분할하여 이동하면 된다. 열째로 이와 같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는 투명한 창을 부착한 케이스 몸체를 일반 차량은 물론 버스와 대형 트럭, 전후좌우 감시가 필요한 탱크 등과 같은 군차량, 배 등에 설치하면 운전석의 모니터에서 외부를 360도 원격 감시할 수 있다. 이 밖에 온도센서 혹은 습도센서 혹은 조도센서를 감시카메라에 설치함으로써 감시 영역의 환경 조건을 종합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철책선 혹은 건물 내외부 혹은 도로 및 차량의 감시 선로에 따라 고정시켜 설치하는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로 감시 선로를 이동하면서 감시하며, 사고지역에서는 정지하거나 세밀하게 이동하면서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게 된다. 감시카메라는 설치 목적상 감시하는 전지역을 주 야간은 물론 전천후로 감시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의 고정식 감시카메라 시스템으로는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만을 감시하므로 전 지역을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처럼 감시 선로를 따라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내에서 순환하면서 반복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방식의 감시시스템 기술을 도입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도로 및 건물 혹은 차량 외부 및 철책선을 따라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전체 경계 지역의 영상과 음향을 감시하다가, 사고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여 집중 감시를 할 수 있어 재해 및 사고로부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둘째, 지하 매설관 혹은 지하 철로처럼 감시카메라가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도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를 설치할 수 있으면 감시 선로에 따라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전체 선로를 감사할 수 있다.
셋째, 케이스 몸체에 고정하는 투명한 창에 자동차처럼 투명 열선을 설치함으로써 동절기나 폭우 시에도 감시카메라의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다.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렌즈 부위에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고정식 감시카메라에 비해 투명한 창을 설치함으로써 전천후 감시에 유리하다.
넷째, 투명한 창 근처에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탑재함으로써 경비 지역임을 알리거나 사고 발생 지역의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점멸시킴으로써 즉시 대응이 가능하다.
다섯째, 대형 트럭과 탱크와 같이 전후좌우 시야 확보가 어려운 차량 및 선박 등도 이와 같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방식을 도입하면 360도 전체 영역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 도는 널리 사용되는 철책 무인 경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투명창을 케이스 몸체에 설치하고 케이스 몸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 감시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는 가이드레일이 감시 선로를 따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외부 환경(비, 눈, 먼지, 습도)에 따라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빈번하므로 감시카메라가 감시하는 방향은 투명한 케이스 몸체 내에서만 감시카메라가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않고 이동하도록 하여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핵심적인 접근이다. 투명한 창의 경우 먼지 등이 묻었을 경우 감시카메라 영상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므로 주기적 혹은 수시로 닦아주면 언제나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투명한 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에서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이용하는 이동 기구(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 처럼 케이스 몸체 내에 래크 기어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별도로 래크 기어가 형성된 봉을 케이스 몸체 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카메라센서, 마이크, 배터리 및 각종 제어회로가 탑재되어 있는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의 피니언 기어를 래크 기어에 맞물리도록 조립한다. 회전시키는 피니언 기어 대신 리니어 모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동 기구 설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가 움직이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에서 카메라 전면부 방향은 투명 아크릴 혹은 유리와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ㄷ"자 형태로 래크 기어가 설정된 케이스로 구성된다. 케이스에 래크 기어를 성형할 경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도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본 발명은 감시 선로를 따라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면서 감시하도록 하여 감시 사각 지대를 최소화하고, 감시가 필요한 사고 지역으로 감시선로를 따라 즉시 이동시켜 집중적으로 원격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감시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감시하므로 전체적인 감시가 가능해지며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의 개수를 2개 이상을 설치하여 이동시킬 경우 시스템적인 감시가 가능해진다. 즉, 외부인은 어느 지역을 현재 감시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감시 선로를 따라 사고가 발생한 지역으로 감시카메라들을 집중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고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감시가 가능해져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고정식 감시카메라는 넓은 범위를 감시해야 하므로 높은 카메라 해상도가 필요하지만 이동식 감시카메라의 경우 좁은 감시 영역을 감시하므로 고해상도 카메라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형 상수도관 등과 같은 지하에 매설된 관의 상태를 스캔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현재 이동 로봇을 투입하는 것보다 위치 제어가 용이하여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철책 무인 경계시스템의 개략도로 근거리카메라와 중거리카메라를 고정하여 설치하며 광 그물망으로 철책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카메라 몸체 가이드(12)와 기어 수단이 설치되는 케이스 몸체(1)의 감시 선로 방향 전면부에는 열선이 설치된 투명창(8)을 부착하여 조립한다. 동절기에는 투명한 창에 서리, 적설, 결빙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명한 창에 자동차 열선유리처럼 투명한 열선 등을 설치하여 장애 발생시 전원을 공급하여 해결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 감시 영역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거나 원격 감청할 수 있어야 하는데 케이스 몸체(1)와 투명창(8)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되므로 케이스 내부로 음파가 전달될 수 있도록 케이스 몸체(1) 하단부에 마이크 연결 홈(9)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케이스 내부로 먼지 등의 유입을 막고 마이크 연결 홈(9)이 막히지 않도록 외부에 부직포 등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충전식 배터리를 설치하고 무선으로 감시 영상을 보내도록 제어회로기판(5)이 설계되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몸체(11)와 외부를 연결하는 전원공급 및 영상제어 라인(10)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케이스 몸체(1)에 전원 공급라인과 영상 전송 라인(10)을 설치하여 감시카메라 몸체와 이동하면서도 연결되도록 구성하면 배터리나 무선망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원 공급을 받으면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몸체 가이드 수단(12)과 기어 수단(2)이 설치되는 케이스 몸체(1)에 감시 선로 방향 전면부에는 투명한 창(8)을 설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기어 수단(2)과 맞물리는 카메라 몸체 기어(3) 수단을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를 통해 회전시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수단; 카메라 감시와 함께 이동하면서 해당 지역의 음향을 감지하는 마이크 수단으로 구성한다. 기존의 고정식 감시카메라에 마이크를 설치하는 경우 고정 지점의 음향만을 들을 수 있으므로 효용 가치가 없지만, 본 발명과 같이 이동식으로 할 경우 마이크가 카메라와 같이 이동하므로 전체 지역에서 음향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온도센서 혹은 습도센서 혹은 조도센서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감시카메라 몸체(3)가 이동하는 지역의 온도 혹은 습도 혹은 조도를 측정할 수 있어 보관이 까다로운 식품을 저장하는 창고 및 식품매장, 유물을 보관하는 박물관 등에 효과가 있다. 혹은, 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 혹은 경사각센서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1)의 충격을 감지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적외선센서로 구성하여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1)에 인간이 접근함을 감지하는 수단; 통신 수단을 통해 관제 센터에 알리는 수단; 케이스 몸체(1)에 접근하는 인간에게 경고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케이스 몸체 주위로 인간이 접근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몸체(1)에 접근하는 인간에게 경고하는 수단으로 케이스 몸체에 설치된 엘이드(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점멸하는 수단이나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스피커를 설치하려 경보음을 발신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동절기에는 투명한 창(8)에 서리 혹은 적설, 결빙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명한 창(8)에 자동차 열선 유리처럼 열선을 설치하여 원격으로 관리자가 작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 감시 영역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거나 원격 감청할 수 있어야 하는데 케이스 몸체(1)와 투명한 창(8)이 견고하게 조립되므로 케이스 내부로 음파가 전달될 수 있도록 케이스 몸체(1) 하단부에 마이크 연결 홈(9)이 설정하는 수단과 함께 케이스 몸체(1) 내부로 먼지 등의 유입을 막고 마이크 연결 홈(9)이 막히지 않도록 외부에 부직포 등을 부착하여 구성한다.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마이크를 설치하면,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이동 소음과 구동모터(6)의 회전 소음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감시카메라 몸체와 분리하여 케이블로 마이크 연결 홈(9) 가까이에 위치시키도록 구성하면 마이크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온도센서를 설치하는 수단,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발열 수단을 설치하여 온도센서에서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발열 수단을 동작시켜 감시카메라 몸체(11)의 회로를 보호하고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전원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케이스 몸체(1)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는 수단, 태양전지판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수단, 배터리 수단을 통해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혹은 배터리 수단을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시판되는 태양 전지 100cm x10cm 크기의 경우 최대전압이 8V, 최대전류가 1000mA 내외이므로 케이스 몸체의 일정 부분에 설치하면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의 회로에는 3.6V 전압에 150mA 내외가 필요로 하므로 100cm x 10cm 태양전지판을 사용하면 전천후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케이스 몸체(1)에 전원 공급라인과 영상 전송 라인(10)을 설치하여 감시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면서도 라인이 감시카메라 몸체(11)의 회로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배터리나 무선망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원 공급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제어회로기판(5)을 인터넷망 접속수단과 연결하는 수단; 인터넷망 접속수단을 통해 촬영된 감시데이터를 웹하드와 같은 인터넷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별도로 디지털비디오레코딩(DVR)을 자체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관제센터를 대신하는 통합 운영 관제센터 추세에 부응할 수 있다. 철책선에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케이스 몸체(1)가 수십 미터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1 개의 감시카메라 몸체(11)로는 이동하는 시간이 걸리므로 케이스 몸체(1) 내부에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넣어 상호 충돌하지 않고 순환하면서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로 구동하는 경우 특정 도킹 스테이션 영역에서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단; 혹은 감시카메라 몸체(11) 내부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1) 내에는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수단을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하여 투명한 창(8)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도록 하는 수단; 사고 발생 지역을 점멸시키거나 경비 중임을 알리기 위해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수단 전체를 정해진 패턴에 의해 점등시키도록 구성한다. 케이스 내부(1)에서 이동하던 감시카메라 몸체(11)가 고장 등으로 멈추는 경우에 이를 꺼내기 위해서 케이스 몸체(1)와 투명창(8)을 분해하는 복잡한 방식 대신에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잡고 끌어내는 견인 기구가 설치된 로봇을 삽입시켜 꺼내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와 함께 감시용 고성능 카메라렌즈(7)가 설치된 카메라센서(4)를 제어회로기판(5)에서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제어회로기판(5)에는 마이크수단, 스피커수단, 혹은 메모리 저장수단, 혹은 무선랜 혹은 블루투쓰와 같은 무선통신수단, 혹은 이동통신수단, 혹은 배터리관리 수단, 혹은 전원공급 및 영상전송라인(10) 인터페이스 수단, 혹은 적외선센서 수단, 혹은 철조망의 진동을 감지하는 수단, 혹은 지피에스(GPS)와 모션센서와 같은 위치 측위 수단, 혹은 레이더센서 수단, 혹은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소자 점멸수단, 혹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와 같은 환경 측위 수단, 혹은 메모리 저장수단에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는 수단을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한다. 혹은, 제어회로기판(5)을 전용으로 설계하여 개발하여 사용하는 방법 대신 스마트폰을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고정시켜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의 고성능 카메라센서, 마이크, GPS 및 각종 모션 센서들을 무선랜 혹은 블루투스 혹은 NFC 혹은 지그비통신 혹은 이동통신망으로 원격 제어하는 수단; 혹은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해 두는 수단; 혹은 영상 인식을 통해 특정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경보를 발생하는 수단; 스마트폰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자체적으로 혹은 원격으로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를 제어하여 기어 수단(3)을 회전시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감시 선로가 케이스 몸체(1) 길이보다 길어지는 경우 기차 선로를 연결하는 것처럼 각각의 기어 수단들이 자동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몸체(1)를 상호 연결하여 감시 선로가 케이스 몸체 1 개의 길이보다 긴 지역에서도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감시 선로가 특정 각도로 꺾여지는 지역에서는 마치 기차 선로처럼 특정각도로 각각의 기어 수단들을 연결해주는 특정 각도로 꺾여진 연결용 케이스 몸체(1)로 연결하여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특정 각도로 꺾여진 지역에서도 이동하도록 구성한다.이때, 케이스 몸체(1)의 상단에는 햇빛 혹은 비가 투명한 창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차양 형태의 가리개가 설치하며, 케이스 몸체(1)의 투명한 창(8)에는 먼지 및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최소화(일례로 DLC- Diamond like carbide 코팅)하기 위해 코팅 처리할 수 있다. 이동전화수단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통신속도와 사용요금 문제로 저해상도로 실시간 전송하고 내부 메모리 수단에는 고해상도의 영상을 백업하여 관제센터의 요청에 의해 특정 시간대의 고해상도 영상 전송을 요청받아 전송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영상 화면 데이터에는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위치정보, 혹은 시간정보, 혹은 설치되어 있는 센서(온도,습도,조도,적외선,충격센서) 정보를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영상 화면 데이터를 구성한다.
이러한 이동하며 카메라와 마이크, 다양한 기능의 센서를 설치하여 감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CCTV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 감시하는 방식으로 국한되어 있는 보안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응용 분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즉, 주변을 원격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를 조립식 지지대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를 목표 감시지역에 걸쳐 조립식 지지대에 고정시켜 상호 연결하는 수단; 상호 연결한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자유로이 제어하는 수단; 혹은 접근을 자동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수단; 혹은 음향을 탐지하기 위해 마이크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수단으로 구성하면 케이스 몸체(1) 주변 지역을 원격지의 모니터로 영상과 음향 혹은 적외선 센서 상태를 확인하며 감시할 수 있다. 이는 군사 작전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요소 요소에 조립식으로 본 발명과 같이 움직이며 감시하는 시스템을 설치하고 안전한 지역에서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다. 조립식 지지대는 지면에 고정시키는 방식 혹은 나무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은폐가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센서 데이터를 모니터와 무선 데이터통신 수단 혹은 이동통신 수단과 같이 무선 방식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연결 케이블을 제거함이 군사 작전용으로는 적합하다. 혹은, 케이스 몸체(1)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는 수단;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태양 전지판의 전력으로 충전하는 충전식 배터리를 설치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전력 공급 없이 동작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응용 분야로 도로 및 하천, 교량 주변을 감시하는 수단에 있어서, 도로 및 하천, 교량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 혹은 전신주 혹은 표시판 기둥에 지지대를 일정 높이로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를 목표 감시 지역에 걸쳐 지지대에 고정시켜 상호 연결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자유로이 제어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주변 지역을 모니터로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로 주변에 가로등과 전신주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면 별도로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를 감시하기 위해서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 혹은 전신주에 지지대를 일정 높이로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를 목표 감시 지역에 걸쳐 지지대에 고정시켜 상호 연결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자유로이 제어하는 수단; 감시카메라 몸체(11) 주변 지역에 차량이 진입함을 감지하는 수단; 차량 진입 모습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수단; 일정 시간 뒤에도 일정 거리 내의 동일 장소에 있음을 판단하는 수단; 법규 위반했음을 판단하는 수단; 일정 시간 간격의 영상 데이터를 유선 수단 혹은 무선데이터 수단 혹은 이동통신 수단으로 관제센터에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최근 들어 프로세서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프로세서도 1.5Ghz에 듀얼 코어 제품도 적용되고 있어 스마트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 서비스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여 감시카메라에서 불법 주정차 위반을 판단하도록 하고 위반된 차량에 대한 정보만 전송하도록 하면 무선통신 수단 혹은 이동통신 수단으로도 충분히 처리할 수 있다. 스키장에 설치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도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스키장 슬로프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 감시하는 수단; 스키장 슬로프의 상태를 관제 센터의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슬로프의 특정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으로 구성하면 슬로프 전역에 대한 감시가 가능하므로 스키장의 안전 사고를 줄일 수 있다. 골프장에 설치하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도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골프장 코스 이동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골프 볼의 낙하 지점을 카트에 있는 모니터에서 터치스크린으로 입력하는 수단; 모니터 터치스크린의 좌표 입력을 받아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입력받은 좌표 근처로 이동하여 무선데이터 수단 혹은 이동통신 수단으로 영상을 카트 모니터에 전송하는 수단; 해당 지역의 코스 주변 영상을 모니터로 확인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혹은,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골프장 코스 이동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무선데이터 수단 혹은 이동통신 수단으로 영상을 카트 모니터에 전송하는 수단; 코스 진행 방향 주변 영상을 모니터로 확인하는 수단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다. 관광지에 설치하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도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관광 코스 관람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 관광 코스 관람 라인의 상태를 관제센터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 지점과 같은 특정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관광 코스 감시 시스템 및 관광지 안내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은행 및 금융기관 및 정부기관 민원 창구에 있어서도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창구 감시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 감시하는 수단; 창구 감시 라인 주변의 상태를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감시 라인의 특정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키는 수단;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제어회로기판(5)을 인터넷망 혹은 전용망 접속수단과 연결하는 수단; 인터넷망 혹은 전용망 접속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인터넷 저장공간 혹은 원격지 서버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수단으로 구성하면 별도로 디지털비디오레코더(DVR)을 자체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없다. 철책선 혹은 경계 담장에 있어서도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철책선 혹은 경계 담장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와 연결된 마이크 수단을 통해 영상과 음향을 이동하며 감시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 철책 혹은 경계 담장 감시 모니터로 감시카메라 몸체(11) 주변의 영상과 음향을 동시에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혹은, 감시카메라 몸체(11)에 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 혹은 경사각센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케이스 몸체(1)의 충격을 감시카메라 몸체(11)가 감지하는 수단과 감시카메라 몸체(11)와 같이 설치된는 적외선 센서를 통하여 이동하는 주변의 인간을 감지하는 수단을 통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한다.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의 주차관리에 있어서도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의 시설물(일례로 분리대, 가로등)에 고정하여 도로 방향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이동 감시카메라 렌즈의 방향이 차량의 전면을 향하도록 고정(상행차선의 경우 하행 방향으로 카메라 향함, 하행차선의 경우 상행 방향으로 카메라 향함)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감시하는 수단; 설정된 최대 이동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수단;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의 교통 상태를 관제센터의 모니터로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도로의 특정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감시카메라 시스템 및 교통법규 위반 단속시스템으로 사용한다. 이때,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을 따라 이동하면서 최소 2개 지점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연동시켜 각각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통과하여 차량이 지나가는 시간차를 측정하는 수단; 최소 2개 지점의 감시카메라 몸체(1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수단; 거리를 시간으로 나누어 해당 구간의 속도를 계산하는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구성하여 주변의 교통정보 측정 시스템으로 활용한다. 이때, 법규 위반 차량 사진을 무선데이터망 혹은 이동전화망으로 전송하는 수단; 통행량 혹은 차량 속도 데이터는 무선데이터망 혹은 이동전화망으로 전송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사각지대가 있는 현재 학교 감시시스템에 있어서도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학교 건물 옥상 둘레 혹은 학교 경계 담장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 감시하는 수단; 학교 주변의 상태를 학교에 설치된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감시 라인의 특정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키는 수단; 감시카메라 몸체(11)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인터넷망 혹은 무선통신망 혹은 이동통신망과 연결하는 수단; 인터넷망 혹은 무선통신망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인터넷 저장공간 혹은 원격지 서버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수단 및 학교 통합 중앙관제센터의 모니터에서 원격 확인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개별 학교에 별도로 디지털비디오레코더(DVR)을 자체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한다. 학교통합 중앙관제센터는 모든 학교 주변의 범죄 발생을 감시하는 시스템으로 교육청 혹은 전문 보안안전업체에서 운영할 수 있다. 물류 창고 및 식품 매장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도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창고 및 매장 감시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온도센서 혹은 습도센서 혹은 조도센서를 선택적으로 설치한 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 카메라 영상 정보와 설치한 센서 정보(온도, 습도, 조도)를 창고 및 매장 감시라인에 따라 관제 센터의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박물관 및 미술관 및 전시관 및 기념관에 있어서도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감시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온도센서 혹은 습도센서 혹은 조도센서를 선택적으로 설치한 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 카메라 영상 정보와 설치한 센서 정보(온도, 습도, 조도)를 감시라인에 따라 관제 센터의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철로 및 공항 활주로를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용도로도 사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철로 주변에 장애물 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제거하도록 조치를 취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방식은 각종 센서를 탑재하여 보관하는 물품 주변의 상태를 항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감시카메라가 감시 선로에 따라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감시할 수 있다면 현재의 고정식 감시카메라에 비해 감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감시선로에 외부에 노출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게 할 경우 외부 환경에 의해 가이드레일과 감시카메라 이동 기구 부위에서 많은 고장이 예상되지만 본 발명처럼 투명한 창을 케이스 몸체에 고정하고, 견고하면서 외부 환경 영향으로 부터 분리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만 이동시킨다면 높은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철책선이나 도로, 교량, 터널, 건물 등의 감시를 떠나 차량 및 선박 혹은 공장의 작업공정 감시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로 적용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지하철과 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시설의 차량 내부에 설치할 경우 철도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 케이스 몸체 2 : 케이스 기어수단
3 : 카메라 몸체 기어수단 4 : 카메라센서
5 : 제어회로기판 6 :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
7 : 카메라렌즈 8 : 열선이 설치된 투명창
9 : 마이크 연결 홈 10 : 전원공급 및 영상전송 라인
11 :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 12 : 카메라 몸체 가이드

Claims (48)

  1.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몸체 가이드 수단(12)과 기어 수단(2)이 설치되는 케이스 몸체(1)에 감시 선로 방향 전면부에는 투명한 창(8)을 설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기어 수단(2)과 맞물리는 감시카메라 몸체 기어 수단(3)을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를 통해 회전시켜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수단;
    이동하면서 카메라 영상 감시와 함께 해당 지역의 음향을 동시에 감시하도록 마이크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온도센서 혹은 습도센서 혹은 조도센서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감시카메라 몸체(3)가 이동하는 지역의 온도 혹은 습도 혹은 조도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온도 혹은 습도 혹은 조도 측정 기능을 갖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 혹은 경사각센서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1)의 충격을 감지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충격을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적외선센서로 구성하여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1)에 인간이 접근함을 감지하는 수단;
    통신 수단을 통해 관제 센터에 알리는 수단;
    케이스 몸체(1)에 접근하는 인간에게 경고하는 수단을 구성하여 케이스 몸체(1) 주위로 인간이 접근하는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인간의 접근을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에 접근하는 인간에게 경고하는 수단으로
    케이스 몸체(1)에 설치된 엘이드(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점멸하는 수단이나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스피커를 설치하려 경보음을 발신하는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경보 기능을 갖는 이동 감시카메라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동절기에는 투명한 창(8)에 서리 혹은 적설, 결빙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명한 창(8)에 자동차 열선 유리처럼 열선을 설치하는 수단;
    원격으로 열선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 감시 영역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거나 원격 감청할 수 있어야 하는데 케이스 몸체(1)와 투명한 창(8)이 견고하게 조립되므로 케이스 내부로 음파가 전달될 수 있도록 케이스 몸체(1) 하단부에 마이크 연결 홈(9)이 설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로 먼지 등의 유입을 막고 마이크 연결 홈(9)이 막히지 않도록 부직포 등을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연결 홈이 설정되어 있는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마이크를 설치하면,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이동 소음과 구동 모터(6)의 회전 소음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감시카메라 몸체와 분리하여 케이블로 마이크 연결 홈(9) 가까이에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마이크가 분리하여 설치된 감시카메라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온도센서를 설치하는 수단,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발열 수단을 설치하여 온도 센서에서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발열 수단을 동작시켜 감시카메라 몸체(11)의 회로를 보호하고 작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발열수단이 설치된 감시카메라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는 수단,
    태양전지판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수단,
    배터리 수단을 통해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 혹은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배터리를 내장시키는 형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용 태양전지판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에 전원 공급라인과 영상 전송 라인(10)을 설치하여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면서도 전원 공급라인과 영상 전송 라인(10)을 감시카메라 몸체(11)의 회로와 접촉 수단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수단;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직접 전원을 공급하고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라인과 영상전송라인이 설치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제어회로기판(5)을 인터넷망 접속수단과 연결하는 수단;
    인터넷망 접속수단을 통해 촬영된 감시데이터를 웹하드와 같은 인터넷 저장 공간 혹은 특정 서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디지털비디오레코딩(DVR)을 자체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저장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 감시카메라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철책선에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케이스 몸체(1)가 수십 미터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1 개의 감시카메라 몸체(11)로는 이동하는 시간이 걸리므로
    케이스 몸체(1) 내부에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넣어 상호 충돌하지 않고 순환하면서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 몸체를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로 구동하는 경우 특정 도킹 스테이션 영역에서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단;
    혹은 감시카메라 몸체(11) 내부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을 갖는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충전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1) 내에는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수단을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하여 투명한 창(8)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도록 하는 수단;
    사고 발생 지역을 점멸시키거나 경비 중임을 알리기 위해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수단 전체를 정해진 패턴에 의해 점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내부에 발광소자를 설치하여 점멸시키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1)에서 이동하던 감시카메라 몸체(11)가 고장 등으로 멈추는 경우에 이를 꺼내기 위해서 케이스 몸체(1)와 투명창(8)을 분해하는 복잡한 방식 대신에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잡고 끌어내는 견인 기구가 설치된 로봇을 삽입시켜 꺼내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으로 멈춘 감시카메라 몸체를 견인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와 함께 감시용 고성능 카메라렌즈(7)가 설치된 카메라센서(4)를 제어회로기판(5)에서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이동 감시카메라 수단
  18. 제 17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기판(5)에는
    마이크수단,
    스피커수단,
    혹은 메모리 저장수단,
    혹은 무선랜 혹은 블루투쓰와 같은 무선통신수단,
    혹은 이동통신수단,
    혹은 배터리관리 수단,
    혹은 전원공급 및 영상전송라인(10) 인터페이스 수단,
    혹은 적외선센서 수단,
    혹은 철조망의 진동을 감지하는 수단,
    혹은 지피에스(GPS)와 모션센서와 같은 위치 측위 수단,
    혹은 레이더센서 수단,
    혹은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소자 점멸수단,
    혹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와 같은 환경 측위 수단,
    혹은 메모리 저장수단에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는 수단을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감시카메라 수단의 제어 회로
  19.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기판(5)을 전용으로 설계하여 개발하여 사용하는 방법 대신 스마트폰을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방법;
    스마트폰의 고성능 카메라센서, 마이크, 지피에스(GPS) 및 각종 모션 센서들을 무선랜 혹은 블루투스 혹은 NFC 혹은 지그비통신 혹은 이동통신망으로 원격 통신하는 수단;
    혹은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해 두는 수단;
    혹은 영상 인식을 통해 특정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경보 하는 수단;
    스마트폰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자체적으로 혹은 원격으로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를 제어하여 기어 수단(3)을 회전시켜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시켜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감시 선로가 케이스 몸체(1) 길이보다 길어지는 경우 기차 선로를 연결하는 것처럼 각각의 기어 수단들이 자동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몸체(1)를 상호 연결하여
    감시 선로가 케이스 몸체 1 개의 길이보다 긴 지역에서도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선로가 케이스 몸체보다 긴 경우 케이스 몸체를 상호 연결시켜 구성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1. 제 1 항에 있어서,
    감시 선로가 특정 각도로 꺾여지는 지역에서는 기차 선로를 연결하는 것처럼 특정 각도로 꺾여진 연결용 케이스 몸체(1)로 연결하여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특정 각도로 꺾여진 지역에서도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선로가 특정 각도로 꺾어진 지역에서는 꺾어진 케이스 몸체로 연결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의 상단에는 햇빛 혹은 비가 투명한 창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차양 형태의 가리개가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개가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3.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의 투명한 창(8)에는 먼지 및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팅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처리한 투명한 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4.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전화수단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저해상도 영상을 실시간 전송하는 수단;
    내부 메모리 수단에는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 수단;
    관제센터의 요청에 의해 특정 시간대의 고해상도 데이터 영상 전송을 요청받아 전송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망으로는 저해상도 영상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5.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 화면 데이터에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위치정보,
    혹은 시간정보,
    혹은 설치되어 있는 센서(온도,습도,조도,적외선,충격센서) 정보를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영상 화면 데이터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감시카메라 시스템에서 영상 화면 구성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설정된 최대 이동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수단;
    역방향으로 이동시 감시카메라 몸체(11)로 계속 감시를 하거나 혹은 감시하지 않고 고속으로 복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반복 이동하며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7.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에 감시 기어 수단(2)과 함께 복귀용 기어 수단을 설치하여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설정된 최대 이동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 복귀용 기어 수단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반복 이동하며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8. 주변을 원격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를 조립식 지지대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를 목표 감시지역에 걸쳐 조립식 지지대에 고정시켜 상호 연결하는 수단;
    상호 연결한 케이스 몸체(1)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자유로이 제어하는 수단;
    혹은 접근을 자동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수단;
    혹은 음향을 탐지하기 위해 마이크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케이스 몸체(1) 주변 지역을 원격지의 모니터로 영상과 음향 혹은 적외선 센서 상태를 확인하며 감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주변 경계 장치 혹은 군사 작전용 주변 경계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센서 데이터를
    원격지 모니터와 무선 데이터통신 수단 혹은 이동통신 수단과 같은 무선 방식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주변 경계 장치 혹은 군사 작전용 주변 경계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는 수단;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의 배터리를 태양 전지판의 전력으로 충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전력 공급 없이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판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주변 경계 장치 혹은 군사 작전용 주변 경계 장치
  31. 도로 및 하천, 교량 주변을 감시하는 수단에 있어서,
    도로 및 하천, 교량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 혹은 전신주 혹은 표시판 기둥에 조립식 지지대를 일정 높이로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를 조립식 지지대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를 목표 감시 지역에 걸쳐 조립식 지지대에 고정시켜 상호 연결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자유로이 제어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주변 지역을 모니터로 원격 감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로 고정시켜 설치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및 하천 및 교량 주변 감시 장치
  32. 도로 주변을 감시하는 수단에 있어서,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 혹은 전신주에 조립식 지지대를 일정 높이로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를 조립식 지지대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를 목표 감시 지역에 걸쳐 조립식 지지대에 고정시켜 상호 연결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자유로이 제어하는 수단;
    감시카메라 몸체(11) 주변 지역에 차량이 진입함을 감지하는 수단;
    차량 진입 모습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수단;
    일정 시간 뒤에도 일정 거리 내의 동일 장소에 있음을 판단하는 수단;
    교통 법규를 위반했음을 판단하는 수단;
    교통 법규 위반 증거로 일정 시간 간격의 영상 데이터를 유선 수단 혹은 무선데이터 수단 혹은 이동통신 수단으로 관제센터에 전송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주정차 단속 장치
  33. 스키장에 설치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스키장 슬로프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 감시하는 수단;
    스키장 슬로프의 상태를 관제 센터의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슬로프의 특정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스키장 슬로프 감시 시스템 및 인터넷 동영상 중계 서비스
  34. 골프장에 설치하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골프장 코스 이동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골프 볼의 낙하지점을 카트에 있는 모니터에서 터치스크린으로 입력하는 수단;
    모니터 터치스크린의 코스 좌표 입력을 받아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입력받은 좌표로 이동시키고 무선데이터 수단 혹은 이동통신 수단으로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에 전송하는 수단;
    해당 지역의 코스 주변 영상을 모니터로 확인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코스 감시 시스템
  35. 골프장에 설치하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골프장 코스 이동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현재 위치에서 그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무선데이터 수단 혹은 이동통신 수단으로 영상 데이터를 카트 모니터에 전송하는 수단;
    코스 진행 방향 주변 영상을 모니터로 확인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코스 감시 시스템 및 인터넷 동영상 안내서비스
  36. 관광지에 설치하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관광 코스 관람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
    관광 코스 관람 라인의 상태를 관제센터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 지점과 같은 특정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관광 코스 감시 시스템 및 인터넷 동영상 안내서비스
  37. 은행 및 금융기관 및 정부기관 민원 창구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창구 감시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 감시하는 수단;
    창구 감시 라인 주변의 상태를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감시 라인의 특정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키는 수단;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제어회로기판(5)을 인터넷망 혹은 전용망 접속수단과 연결하는 수단;
    인터넷망 혹은 전용망 접속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인터넷 저장공간 혹은 원격지 서버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별도로 디지털비디오레코더(DVR)을 자체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저장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38. 철책선 혹은 경계 담장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철책선 혹은 경계 담장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감시카메라 몸체(11)와 연결된 마이크 수단을 통해 영상과 음향을 이동하며 동시에 감시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
    철책 혹은 경계 담장 감시 원격 모니터로 감시카메라 몸체(11) 주변의 영상과 음향을 동시에 원격 감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며 영상과 음향을 동시에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39. 제 38 항에 있어서,
    감시카메라 몸체(11)에 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 혹은 경사각센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케이스 몸체(1)의 충격을 감시카메라 몸체(11)가 감지하는 수단;
    혹은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를 통하여 주변의 인간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침입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며 침입을 감시하는 센서를 갖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40.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의 주차관리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의 시설물(일례로 분리대, 가로등)에 조립식 지지대로 고정시켜 도로 방향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감시카메라 렌즈(7)의 방향이 차량의 전면을 향하도록 구성(상행차선의 경우 하행 방향으로 카메라 향함, 하행차선의 경우 상행 방향으로 카메라 향함)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감시하는 수단;
    설정된 최대 이동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수단;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의 교통 상태를 관제센터의 모니터로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도로의 특정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 시설물에 설치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및 교통법규 위반 단속시스템
  41. 제 40 항에 있어서,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용 차로와 갓길 주행 위반 차량과 차선 위반 차량을 촬영하는 수단; 혹은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을 따라 이동하면서 통과하는 차량을 카운트하는 수단; 혹은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을 따라 이동하면서 최소 2개 지점의 감시카메라를 연동시켜 각각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통과하여 차량이 지나가는 시간차를 측정하는 수단;
    최소 2개 지점의 감시카메라 몸체(1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수단;
    거리를 시간으로 나누어 해당 구간의 속도를 계산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장착한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 시설물 주변의 교통정보 측정 시스템
  42. 제 40 항에 있어서,
    법규 위반 차량 사진을 무선데이터망 혹은 이동전화망으로 전송하는 수단;
    통행량 혹은 차량 속도 데이터는 무선데이터망 혹은 이동전화망으로 전송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하는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 시설물 주변의 교통정보 측정 시스템
  43. 학교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학교 건물 옥상 둘레 혹은 학교 경계 담장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 감시하는 수단;
    학교 주변의 상태를 학교에 설치된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감시 라인의 특정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키는 수단;
    혹은 감시카메라 몸체(11)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인터넷망 혹은 무선통신망 혹은 이동통신망과 연결하는 수단;
    인터넷망 혹은 무선통신망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인터넷 저장공간 혹은 원격지 서버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수단;
    혹은 학교 통합 중앙관제센터의 모니터에서 원격 확인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개별 학교에 별도로 디지털비디오레코더(DVR)을 자체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44. 물류 창고 및 식품 매장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창고 및 매장 감시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온도센서 혹은 습도센서 혹은 조도센서를 선택적으로 설치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
    카메라 영상 정보와 설치한 센서 정보(온도, 습도, 조도)를 창고 및 매장 감시라인에 따라 이동하면서 관제 센터의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창고 및 매장 관리 시스템
  45. 박물관 및 미술관 및 전시관 및 기념관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감시 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온도센서 혹은 습도센서 혹은 조도센서를 선택적으로 설치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
    카메라 영상 정보와 설치한 센서 정보(온도, 습도, 조도)를 감시라인에 따라 관제 센터의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박물관 및 미술관 및 전시관 및 기념관 관리 시스템
  46. 공항 활주로 및 철로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공항 활주로 및 철로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공항 활주로 및 철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영상 데이터를 통신수단을 통해 관제 센터의 모니터로 원격 확인하는 수단;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 위치로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켜 감시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공항 활주로 및 철로 감시 시스템
  47. 제 46 항에 있어서,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지피에스(GPS) 위성좌표 수신기를 설치하여 영상 데이터와 함께 감시카메라 몸체(11)의 위치정보를 통신수단을 통해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수신기가 설치된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공항 활주로 및 철로 감시 시스템
  48. 제 46 항에 있어서,
    감시카메라 몸체(11)에 온도센서 혹은 습도센서 혹은 강우센서를 설치하여 영상 데이터와 함께 감시카메라 몸체(11) 주변의 온도, 습도, 강우상태 정보를 통신수단을 통해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세서 혹은 습도센서 혹은 강우센서가 설치된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공항 활주로 및 철로 감시 시스템
KR1020110008349A 2011-01-27 2011-01-27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120086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49A KR20120086963A (ko) 2011-01-27 2011-01-27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49A KR20120086963A (ko) 2011-01-27 2011-01-27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963A true KR20120086963A (ko) 2012-08-06

Family

ID=4687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349A KR20120086963A (ko) 2011-01-27 2011-01-27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6963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90B1 (ko) * 2013-04-05 2013-09-12 (주)경봉 씨씨티브이
KR101311859B1 (ko) * 2013-05-22 2013-09-2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KR101407549B1 (ko) * 2014-03-14 2014-06-13 (주)경봉이엔지 씨씨티브이
KR20160102686A (ko) * 2015-02-23 2016-08-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방향 탐색으로 시간 지연을 보정하는 주행식 계측 장치 및 주행식 계측 방법
KR101683248B1 (ko) * 2015-11-26 2016-12-06 주식회사 라인인포 무선전력 송수신을 활용한 cctv 시스템
KR20170083835A (ko) * 2016-01-11 2017-07-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철조망 이동 감시 로봇
CN107888889A (zh) * 2017-12-21 2018-04-06 南京因坦利软件有限公司 一种用于会议服务的视频监控装置
CN109040716A (zh) * 2018-10-10 2018-12-18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物联网服务器的监控装置
KR101954059B1 (ko) * 2018-06-25 2019-06-11 (주)비전정보통신 스마트 IoT 회전형 뷸렛 카메라
KR102019340B1 (ko) * 2018-03-27 2019-09-06 김은규 복합 센서 기반 이동체 무인 상시 감시 시스템
CN110593957A (zh) * 2019-10-08 2019-12-20 上海市东方海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隧道巡检方法
WO2021068746A1 (zh) * 2019-10-08 2021-04-15 上海市东方海事工程技术有限公司 隧道巡检图像采集装置、隧道巡检系统及隧道巡检方法
KR20220027536A (ko) * 2020-08-27 2022-03-08 이종배 반려동물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스마트 스피커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15482638A (zh) * 2022-08-08 2022-12-16 国网河南省电力公司长葛市供电公司 一种高压线防外力破坏监测预警系统
CN116271645A (zh) * 2023-02-20 2023-06-23 山东龙盾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消防安全在线监控系统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90B1 (ko) * 2013-04-05 2013-09-12 (주)경봉 씨씨티브이
KR101311859B1 (ko) * 2013-05-22 2013-09-2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KR101407549B1 (ko) * 2014-03-14 2014-06-13 (주)경봉이엔지 씨씨티브이
KR20160102686A (ko) * 2015-02-23 2016-08-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방향 탐색으로 시간 지연을 보정하는 주행식 계측 장치 및 주행식 계측 방법
KR101683248B1 (ko) * 2015-11-26 2016-12-06 주식회사 라인인포 무선전력 송수신을 활용한 cctv 시스템
KR20170083835A (ko) * 2016-01-11 2017-07-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철조망 이동 감시 로봇
CN107888889A (zh) * 2017-12-21 2018-04-06 南京因坦利软件有限公司 一种用于会议服务的视频监控装置
KR102019340B1 (ko) * 2018-03-27 2019-09-06 김은규 복합 센서 기반 이동체 무인 상시 감시 시스템
KR101954059B1 (ko) * 2018-06-25 2019-06-11 (주)비전정보통신 스마트 IoT 회전형 뷸렛 카메라
CN109040716A (zh) * 2018-10-10 2018-12-18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物联网服务器的监控装置
CN110593957A (zh) * 2019-10-08 2019-12-20 上海市东方海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隧道巡检方法
WO2021068746A1 (zh) * 2019-10-08 2021-04-15 上海市东方海事工程技术有限公司 隧道巡检图像采集装置、隧道巡检系统及隧道巡检方法
CN110593957B (zh) * 2019-10-08 2021-09-28 上海市东方海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隧道巡检方法
KR20220027536A (ko) * 2020-08-27 2022-03-08 이종배 반려동물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스마트 스피커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15482638A (zh) * 2022-08-08 2022-12-16 国网河南省电力公司长葛市供电公司 一种高压线防外力破坏监测预警系统
CN115482638B (zh) * 2022-08-08 2023-08-18 国网河南省电力公司长葛市供电公司 一种高压线防外力破坏监测预警系统
CN116271645A (zh) * 2023-02-20 2023-06-23 山东龙盾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消防安全在线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6963A (ko)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120093708A (ko) 투명창과 센서를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US11790760B2 (en) Modular sensing systems and methods
CN103824455B (zh) 道路巡逻系统及控制方法
US9564049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US20030025791A1 (en) Trailer mounted surveillance system
CN107134147B (zh) 基于摄像机与传感器管理杆下车位的方法、装置及系统
KR100541613B1 (ko) 차량 탑재형 번호 인식장치
US20210243410A1 (en) Battery powered artificial intelligence autonomous patrol vehicle
CN109208995B (zh) 智能交通杆及智能道路系统
JP2019117446A (ja) 自律移動体および情報収集システム
CN105844859A (zh) 一种公路危岩无线监测预警系统
CN106537900A (zh) 用于数据通信的视频系统和方法
CN210223064U (zh) 一种路测停车巡查装置
KR20120081261A (ko)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CN209904906U (zh) 一种基于号牌识别的停车场巡逻机器人
WO2018050945A1 (es) Sistema y dispositivo autónomo de detección y señalización vial
KR20130004561U (ko)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JPH03252799A (ja) 違法駐停車取締り装置
KR20210023081A (ko) 항공촬영방식 지능형 건물 모니터링 보안시스템
CN212809464U (zh) 一种停车管理系统
RU103120U1 (ru)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занятости парковочных мест
KR20120110929A (ko) 복수 개의 카메라센서를 튜브 내에 설치하여 감시하는 병렬 감시카메라 시스템
CN205845305U (zh) 一种基于多数据源的高速公路安全保障系统
KR102195411B1 (ko) 건축물 옥외 소방용수 시설 위치감시 및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