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261A -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261A
KR20120081261A KR1020110002504A KR20110002504A KR20120081261A KR 20120081261 A KR20120081261 A KR 20120081261A KR 1020110002504 A KR1020110002504 A KR 1020110002504A KR 20110002504 A KR20110002504 A KR 20110002504A KR 20120081261 A KR20120081261 A KR 20120081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illance camera
case body
transparent window
moving
surveil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건희
Original Assignee
조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혁 filed Critical 조동혁
Priority to KR102011000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1261A/ko
Publication of KR2012008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2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linear motion, e.g. camera moving along a rail cable or tr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을 통하여 철책선 혹은 건물 내외부 혹은 도로 및 차량의 감시 선로에 따라 고정시켜 설치하는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로 감시 선로를 이동하면서 감시하며, 사고지역에서는 정지하거나 세밀하게 이동하면서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게 된다. 감시카메라는 설치 목적상 감시하는 전지역을 주 야간은 물론 전천후로 감시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의 고정식 감시카메라 시스템으로는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만을 감시하므로 전 지역을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처럼 감시 선로를 따라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내에서 순환하면서 반복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방식의 감시시스템 기술을 도입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도로 및 건물 혹은 차량 외부 및 철책선을 따라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전체 경계 지역을 감시하다가, 사고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여 집중 감시를 할 수 있어 재해 및 사고로부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둘째, 지하 매설관 혹은 지하 철로처럼 감시카메라가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도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를 설치할 수 있으면 감시 선로에 따라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전체 선로를 감사할 수 있다.
셋째, 케이스 몸체에 고정하는 투명한 창에 자동차처럼 투명 열선을 설치함으로써 동절기나 폭우 시에도 감시카메라의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다.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렌즈 부위에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고정식 감시카메라에 비해 투명한 창을 설치함으로써 전천후 감시에 유리하다.
넷째, 투명한 창 근처에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탑재함으로써 경비 지역임을 알리거나 사고 발생 지역의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점멸시킴으로써 즉시 대응이 가능하다.
다섯째, 대형 트럭과 탱크와 같이 전후좌우 시야 확보가 어려운 차량 및 선박 등도 이와 같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방식을 도입하면 360도 전체 영역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The remote control security camera system which movable in transparent window pipe}
최근 들어 방범 및 감시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방식의 감시 카메라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대부분 특정한 장소에 감시카메라를 고정시켜 설치하는 방식이다. 감시카메라를 원격으로 회전시키거나 상하로 이동시켜 특정한 지역을 원격으로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방식도 있지만 회전 메카니즘이 외부의 가혹한 사용 환경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고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많다. 또한, 예전의 VTR 녹화 방식은 사라지고 현재는 감시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영상저장장치(DVR)에 저장하여 필요한 시간의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있다.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감시카메라 영역 안에 침입자가 있는지 여부를 프로그램으로 판단하는 기술도 적용되고 있으며, 야간 감시를 위하여 적외선 카메라도 설치되고 있다. 최근 들어 강변의 감시 철책선(일례로 한국의 경우 휴전선 인접 한강 이북 지역) 감시를 자동화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와 레이더 혹은 수중음파 탐지기인 소나(SONAR)를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강변의 철책선에 설치하여 24시간 전천후 원격으로 감시하는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철책선에는 무한궤도와 같은 이동수단를 장착한 적외선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로봇을 이용하여 철책선을 순회하면서 감시하고 있으며, 감시카메라에 이상이 포착되어 있을 경우 목표물에 대해 사격하는 기능도 탑재되고 있다. 그러나, 감시 로봇을 철책선 감시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이동 경로가 확보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보급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철책선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경우 감시 영역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감시 로봇을 이용하는 것이 감시카메라를 철책선에 고정하여 감시하는 방식에 비하여 전체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가격과 이동경로 확보와 이동하는 방식에 있어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많다. 특히 외부에 로봇을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 등을 이용할 경우 유지 보수하는 측면에서 어려움이 예상된다. 본 발명을 통하여 감시카메라를 정해진 궤도로 이동시키면서 전체 영역을 감시하도록 하되, 가이드레일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획기적인 방법과 메카니즘 혹은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모션 테이블 위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정해진 각도 내에서 감시카메라를 회전 및 상하로 이동시키면 감시 지역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지만, 제어 각도에 한계가 있으며 특정 지역을 감시하는 경우 그 이외의 지역이 감시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항공기를 감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높이 방향의 이동은 큰 의미가 없고, 주로 철책선(혹은 침입방지 장벽) 방향으로의 이동하여 감시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핵심 감시 요소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많은 개발을 시도하였고 일례로 철책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철책선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가이드레일과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는 메카니즘이 외부 환경(비, 눈, 습도, 먼지)에 노출될 경우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려워 상용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가이드레일이 외부 환경 요인이나 침입자의 파손으로 훼손되거나 가이드레일의 마모 등으로 감시카메라의 이동에 제한을 가할 경우 감시카메라가 무력화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시카메라에 어안렌즈 등과 같이 넓은 각도 범위를 감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넓은 각도를 스캔할 경우 어안렌즈로 인해 왜곡된 영상을 복원시켜야 하며, 넓은 지역을 스캔하므로 특정 감시 지역을 확대할 경우 카메라의 해상도가 낮아 영상의 품질에 문제가 있다. 스쿨존 및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은 우범지대 감시, 도로에 따라 교통량 및 사고지역으로 이동하여 감시, 터널과 교량 및 강변 감시, 철도 레일 주변 감시, 공장 및 건물 내외부 감시, 중요 도로 감시, 철책선 감시, 배 혹은 트럭 및 탱크 등 군차량 주변 감시, 건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감시, 공동주택 외곽 경비, 항공기 활주로 주변 감시, 일반 차량 주변 감시 등과 같은 경우 완벽한 보안을 위해서는 카메라가 감시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전방 철책선의 경우 철책선에 전파식별장치(RFID)와 진동을 감지하는 광케이블 등 감지센서, 카메라 등을 통한 무인감시 체계를 설치하면 야간에 직접 경계 근무를 서지 않아도 철책에 설치된 관련 장치들이 주변 온도와 진동, 소리 변화를 감지해 지휘 본부에 통보 이상 유무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최근 한국의 최전방 1 사단 15km 지역에 고정식 감시카메라 120 여대와 광섬유 그물망을 설치했지만 탐지율이 73%로 한계가 있고 오동작이 하루에 3천 번이 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는 만큼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새로운 개념의 감시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첨단 과학장비로 적의 침투를 경계 감시하는 무인감시 초소에는 고성능 CCTV와 원격조종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발사되는 기관총이 배치되어, 고성능 CCTV로 수 km 밖에서 접근하는 적이나 의심 선박 등을 주야간(200m 간격으로 감시카메라 설치, 낮에는 1km 밤에는 200m 거리 움직이는 물체 자동 감지) 정밀하게 포착해 지휘통제본부에 24시간 화면을 전송하고, 적이나 의심 선박으로 최종 판별되면 기관총 등에 장착한 원격사격 통제장비를 이용해 자동으로 기관총을 발사하게 된다. 한국 군에서는 2010년부터 구축하기 시작하여 2019년까지 최전방 철책 전역에 구축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감시 선로를 따라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면서 감시하도록 하여 감시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사고지역으로 감시선로를 따라 즉시 원격 이동시켜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현재처럼 감시카메라를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감시 선로를 따라 이동시켜 감시할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로, 감시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감시하므로 전체적인 감시가 가능해지며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의 개수를 2개 이상 설치하여 감시시스템을 구축하면 시스템적인 감시가 가능해진다. 둘째로, 감시 선로를 따라 사고가 발생한 지역으로 감시카메라를 즉시 이동시킬 수 있어 사고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감시가 가능해져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셋째로, 고정식 감시카메라는 넓은 범위를 감시해야 하므로 높은 카메라 해상도가 필요하지만 이동식 감시카메라의 경우 좁은 감시영역을 감시하므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넷째로, 대형 상수도관 등과 같은 지하에 매설된 관의 상태를 스캔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이동 로봇을 투입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하면서 관의 상태를 스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를 감시 선로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레일 등과 같은 유도 라인을 철책선 등에 설치하여 이동 경로를 확보하여야 하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되며 본 발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로, 가이드레일이 감시 선로를 따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외부 환경(비, 눈, 먼지, 습도)에 따라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외부인이 가이드레일에 장애물을 올려놓는 등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많다. 둘째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외부인이 확인할 수 있어 고정식과 동일하게 사각 지대가 발생한다. 외부인은 감시 카메라가 어느 지역을 감시하는지 알 수 없도록 함이 필요하다. 셋째로, 감시 카메라에 전원 공급 및 영상 신호 전달을 위한 케이블 설치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감시선로에 따라 가이드레일 등과 같은 유도 라인을 설치하여 이동하도록 해야 한다. 이 경우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본 발명을 통해 다음과 같이 해결하고자 한다. 가이드레일이 감시선로를 따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외부 환경(비, 눈, 먼지, 습도)에 따라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카메라가 감시하는 방향은 투명한 감시선로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관 내에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도록 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감시카메라의 이동이 제한받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핵심적인 접근이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해야 한다. 첫째로 투명한 창에 서리와 결빙, 적설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명한 창에 투명 열선 등을 설치하여 장애 발생시 전원을 공급하여 제거해야 한다. 이와 함께 투명한 창에 먼지가 묻거나 빗물 등이 맺히지 않도록 특수한 코팅(일례로 DLC코팅시 빗물 맺히지 않음)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투명한 창과 케이스 몸체를 외부에서 먼지나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해야 하므로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 몸체 하단부 등에 작은 구멍을 뚫어 음성 전달 경로를 확보하면서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부직포를 외부에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셋째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에는 충전식 배터리를 설치하고 무선으로 감시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내도록 하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와 외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제거할 수 있다. 혹은, 감시 선로 방향으로 기다란 형태의 케이스 몸체 내에 전원공급 라인과 영상전송 라인을 설치하여 감시카메라는 이동하면서 전원 공급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넷째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 내에는 감시 선로 방향으로 래크 모양의 기어를 설치하여 감시카메라 몸체의 구동모터 회전에 의해 피니언 기어가 맞물려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하면 정확한 감시카메라의 위치 제어 및 경사도(건물 외벽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감시)가 있는 경우에도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섯째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 내에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를 넣어 상호 충돌하지 않고 순환하면서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배터리로 구동하는 경우 특정지역(docking station)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접촉 기구를 구성한다. 여섯째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 내의 투명한 창 근처에 LED와 같은 발광수단을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하여 사고 발생시 해당 지역의 LED와 같은 발광수단을 점멸하거나 경비 중임을 알리기 위해 LED와 같은 발광수단 전체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일곱째로 감시 선로의 케이스 몸체 내에서 감시카메라가 고장 등으로 멈추는 경우 케이스 몸체 내에 견인용 로봇을 삽입시켜 꺼내는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여덟째로 감시카메라로 스마트폰을 이동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의 고해상도 카메라센서, 마이크, GPS 및 각종 모션 센서들을 무선랜 혹은 블루투스 혹은 NFC 혹은 지그비통신 혹은 이동통신망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 수단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해 둘 수 있으며, 자동 영상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사고 발생시 자동으로 경보 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에서 이동 테이블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외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 위치로 즉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야간 감시 및 침입자 자동 감지를 위해 적외선카메라와 레이더센서, 진동감지센서를 연결할 수 있다. 아홉째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는 투명한 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의 길이는 래크 기어가 연결되도록 조립함으로써 수백 미터에 이를 수 있다. 감시하는 주기 요구에 따라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의 대수를 결정하는데 일례로 100 미터를 1개의 감시카메라로 감시할 경우 이동속도를 5미터/초일 경우 100 미터를 이동하는데 20초가 걸린다. 이를 5초로 줄이기 위해서는 케이스 몸체 내에서 4 개의 감시카메라가 시스템적으로 분할하여 이동하면 된다. 열째로 이와 같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는 투명한 창을 부착한 케이스 몸체를 일반 차량은 물론 버스와 대형 트럭, 전후좌우 감시가 필요한 탱크 등과 같은 군차량, 배 등에 설치하면 운전석의 모니터에서 외부를 360도 원격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철책선 혹은 건물 내외부 혹은 도로 및 차량의 감시 선로에 따라 고정시켜 설치하는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로 감시 선로를 이동하면서 감시하며, 사고지역에서는 정지하거나 세밀하게 이동하면서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게 된다. 감시카메라는 설치 목적상 감시하는 전지역을 주 야간은 물론 전천후로 감시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의 고정식 감시카메라 시스템으로는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만을 감시하므로 전 지역을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처럼 감시 선로를 따라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내에서 순환하면서 반복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방식의 감시시스템 기술을 도입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도로 및 건물 혹은 차량 외부 및 철책선을 따라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전체 경계 지역을 감시하다가, 사고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여 집중 감시를 할 수 있어 재해 및 사고로부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둘째, 지하 매설관 혹은 지하 철로처럼 감시카메라가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도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를 설치할 수 있으면 감시 선로에 따라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전체 선로를 감사할 수 있다.
셋째, 케이스 몸체에 고정하는 투명한 창에 자동차처럼 투명 열선을 설치함으로써 동절기나 폭우 시에도 감시카메라의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다.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렌즈 부위에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고정식 감시카메라에 비해 투명한 창을 설치함으로써 전천후 감시에 유리하다.
넷째, 투명한 창 근처에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탑재함으로써 경비 지역임을 알리거나 사고 발생 지역의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점멸시킴으로써 즉시 대응이 가능하다.
다섯째, 대형 트럭과 탱크와 같이 전후좌우 시야 확보가 어려운 차량 및 선박 등도 이와 같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방식을 도입하면 360도 전체 영역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 도는 널리 사용되는 철책 무인 경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투명창을 케이스 몸체에 설치하고 케이스 몸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 감시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는 가이드레일이 감시 선로를 따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외부 환경(비, 눈, 먼지, 습도)에 따라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빈번하므로 감시카메라가 감시하는 방향은 투명한 케이스 몸체 내에서만 감시카메라가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않고 이동하도록 하여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핵심적인 접근이다. 투명한 창의 경우 먼지 등이 묻었을 경우 감시카메라 영상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므로 주기적 혹은 수시로 닦아주면 언제나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투명한 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에서 감시카메라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이용하는 이동 기구(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 처럼 케이스 몸체 내에 래크 기어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별도로 래크 기어가 형성된 봉을 케이스 몸체 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카메라센서, 마이크, 배터리 및 각종 제어회로가 탑재되어 있는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의 피니언 기어를 래크 기어에 맞물리도록 조립한다. 회전시키는 피니언 기어 대신 리니어 모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동 기구 설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가 움직이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에서 카메라 전면부 방향은 투명 아크릴 혹은 유리와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ㄷ"자 형태로 래크 기어가 설정된 케이스로 구성된다. 케이스에 래크 기어를 성형할 경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도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본 발명은 감시 선로를 따라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면서 감시하도록 하여 감시 사각 지대를 최소화하고, 감시가 필요한 사고 지역으로 감시선로를 따라 즉시 이동시켜 집중적으로 원격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감시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감시하므로 전체적인 감시가 가능해지며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의 개수를 2개 이상을 설치하여 이동시킬 경우 시스템적인 감시가 가능해진다. 즉, 외부인은 어느 지역을 현재 감시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감시 선로를 따라 사고가 발생한 지역으로 감시카메라들을 집중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고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감시가 가능해져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고정식 감시카메라는 넓은 범위를 감시해야 하므로 높은 카메라 해상도가 필요하지만 이동식 감시카메라의 경우 좁은 감시 영역을 감시하므로 고해상도 카메라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형 상수도관 등과 같은 지하에 매설된 관의 상태를 스캔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현재 이동 로봇을 투입하는 것보다 위치 제어가 용이하여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철책 무인 경계시스템의 개략도로 근거리카메라와 중거리카메라를 고정하여 설치하며 광 그물망으로 철책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카메라 몸체 가이드(12)와 케이스 래크 기어가 설치되는 케이스 몸체(1)의 감시 선로 방향 전면부에는 열선이 설치된 투명창(8)을 부착하여 조립한다. 동절기에는 투명한 창에 서리, 적설, 결빙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명한 창에 자동차 열선유리처럼 투명한 열선 등을 설치하여 장애 발생시 전원을 공급하여 해결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 감시 영역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거나 원격 감청할 수 있어야 하는데 케이스 몸체(1)와 투명창(8)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되므로 케이스 내부로 음파가 전달될 수 있도록 케이스 몸체(1) 하단부에 마이크 연결 홈(9)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케이스 내부로 먼지 등의 유입을 막고 마이크 연결 홈(9)이 막히지 않도록 외부에 부직포 등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충전식 배터리를 설치하고 무선으로 감시 영상을 보내도록 제어회로기판(5)이 설계되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몸체(11)와 외부를 연결하는 전원공급 및 영상제어 라인(10)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케이스 몸체(1)에 전원 공급라인과 영상 전송 라인(10)을 설치하여 감시카메라 몸체와 이동하면서도 연결되도록 구성하면 배터리나 무선망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원 공급을 받으면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1) 내에는 케이스 몸체 가이드(9)를 통해 케이스 래크 기어(2)와 카메라 몸체 피니언 기어(3)가 맞물려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카메라 몸체의 구동모터(6) 회전에 의해 기어가 상호 맞물려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하면 정확한 감시카메라 위치 제어 및 경사도(건물 외벽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감시)가 있을 경우에도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철책선(고정식 감시카메라의 경우 일반적으로 200 미터 간격으로 설치)과 같이 케이스 몸체(1)가 100 미터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1 개의 감시카메라 몸체(11)로는 이동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케이스 몸체(1) 내부에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를 넣어 상호 충돌하지 않고 순환하면서 효율적으로 감시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는 전면부가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1)의 길이는 수백 미터에 이를 수 있으므로 이는 철도 레일을 조립 설치하는 방식처럼 수십 미터 단위의 케이스 몸체를 연결시켜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감시하는 주기 요구에 따라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의 대수를 결정하는데 일례로 100 미터를 1개의 감시카메라로 감시할 경우 이동속도를 5미터/초일 경우 100 미터를 이동하는데 20초가 걸리므로 2개의 감시카메라를 사용하면 10초 주기로 감시할 수 있다.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의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로 구동하는 경우 특정 지역(docking station)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충전 기구를 구성한다. 감시카메라 몸체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1) 내에 LED와 같은 발광수단을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하여 투명창(8)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도록 하면 사고 발생 지역에서는 LED와 같은 발광수단을 점멸시키거나 경비 중임을 알리기 위해서는 전체를 정해진 패턴에 의해 점등시킬 수 있다.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하던 감시카메라 몸체(11)가 고장 등으로 멈추는 경우에 이를 꺼내기 위해서 케이스 몸체(1)와 투명한 창(8)을 분해하는 복잡한 방식 대신에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잡고 끌어내는 견인 기구가 설치된 로봇을 삽입시켜 꺼내는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케이스 래크 기어(2)와 맞물리는 카메라 몸체 피니언 기어(3)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와 함께 감시용 고성능 카메라렌즈(7)가 설치된 카메라센서(4)를 제어회로기판(5)에서 제어한다. 제어회로기판(5)에는 마이크 수단, 메모리저장수단, 무선랜 혹은 블루투쓰와 같은 무선통신수단, 이동통신수단, 배터리관리 수단, 전원공급 및 영상전송라인(10) 인터페이스 수단, 적외선센서 수단, 철조망의 진동을 감지하는 수단, GPS와 모션 센서와 같은 위치 측위수단, 레이더센서 수단, LED와 같은 발광소자 점멸수단, 메모리 저장수단에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는 수단 등을 용도에 따라 탑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회로기판(5)을 전용으로 설계하여 개발하는 것과 함께 고성능 카메라를 장착한 스마트폰을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고정시켜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의 고성능 카메라센서, 마이크, GPS 및 각종 모션 센서들을 무선랜 혹은 블루투스 혹은 NFC 혹은 지그비통신 혹은 이동통신망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해 둘 수 있으며, 자동 영상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경보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자체적으로 혹은 원격으로 감시카메라 몸체의 구동모터(6)를 제어하여 카메라 몸체의 피니언 기어(3)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므로 특정 위치로 원격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몸체(11)의 경우 오토포커싱 기능이 있는 500 메가급 카메라모듈(14 x 14 x 8 mm 크기)을 사용할 경우 구동모터(6)와 제어회로기판(5)을 포함하여 기본적으로 40 x 40 x 80 mm 정도의 크기면 모두 장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케이스 몸체의 크기는 50 x 50 mm 내외의 단면 크기면 충분하므로 건물 내부 및 철책선에 장착하기 용이하다. 물론 카메라 해상도를 낮출 경우 더 작은 크기로 가능하다. 적외선카메라 모듈도 일반 카메라 모듈과 유사한 크기로 제공된다. 이와 함께 감시 선로가 특정각도로 꺾여지는 지역에서는 마치 기차 선로처럼 특정 각도로 각각의 케이스 래크 기어(2)들을 연결해주는 연결용 케이스 몸체(1)를 사용하면 이동감시카메라 몸체(11)가 특정 각도로 꺾여진 지역에서도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투명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자유로이 제어하면서 이동 감시하는 시스템의 사용 영역은 광범위하다. 후방 감시가 쉽지않은 버스와 대형 트럭 및 전후좌우 감시가 필요한 탱크 등과 같은 군사용 작전 차량에 적용할 경우 운전석 모니터에서 차량 주변을 완벽하게 원격 감시할 수 있다. 배와 철도 차량 등에 설치하면 운행 중 모든 방향에 대해 감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공장 내에서도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는 고정 감시카메라가 설치하고 있는데, 이를 본 발명과 같이 이동감시카메라 몸체(11)가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1) 내에서 움직이는 시스템으로 설치할 경우 전체 작업라인 상태를 정확하게 감시하여 작업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공장 및 건물 외부 및 경계 담장 혹은 철책선에 설치하면 전방위 감시를 통해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일례로 비행기 활주로 영역에 이를 설치하면 활주로 전반에 걸쳐 이상 유무(일례로 특정 지역에 조류 이동)를 확인할 수 있다. 도로와 터널, 교량, 강변 등에 설치하면 전체 길이 영역에서 감시카메라가 이동하면서 감시할 수 있는데 일례로 고속도로 중앙차선에 설치하는 경우 버스전용차선을 위반하는 차량을 전체 구간에 걸쳐 감시할 수 있다. 스쿨존이나 지하주차장과 같은 우범지대의 경우도 현재처럼 고정식 감시카메라에 의한 특정 지점 감시가 아니라 선로 감시 형태로 바꿀 수 있어 방범에도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케이스 래크 기어(2)와 카메라 몸체 피니언 기어(3)가 맞물려 이동하므로 수평 이동뿐만 아니라 경사지 혹은 수직 이동도 가능하므로 건물 및 철탑 상하로 이동하면서 감시할 수도 있다. 직선 형태의 케이스 몸체(1)들을 정해진 각도로 변경하여 연결하는 연결 케이스 몸체는, 직선 형태의 케이스 래크 기어(2) 들을 정해진 각도만큼 변경시켜 연결시켜 주는 수단으로 철도 레일을 조립하여 설치하는 형태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케이스 몸체(1)의 상단에는 햇빛 및 비가 투명창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차양 형태의 가리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가 감시 선로에 따라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감시할 수 있다면 현재의 고정식 감시카메라에 비해 감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감시선로에 외부에 노출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게 할 경우 외부 환경에 의해 가이드레일과 감시카메라 이동 기구 부위에서 많은 고장이 예상되지만 본 발명처럼 투명한 창을 케이스 몸체에 고정하고, 견고하면서 외부 환경 영향으로 부터 분리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만 이동시킨다면 높은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철책선이나 도로, 교량, 터널, 건물 등의 감시를 떠나 차량 및 선박 혹은 공장의 작업공정 감시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로 적용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지하철과 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시설의 차량 내부에 설치할 경우 철도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 케이스 몸체 2 : 케이스 래크 기어
3 : 카메라 몸체 피니언 기어 4 : 카메라센서
5 : 제어회로기판 6 :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
7 : 카메라렌즈 8 : 열선이 설치된 투명창
9 : 마이크 연결 홈 10 : 전원공급 및 영상전송 라인
11 :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 12 : 카메라 몸체 가이드

Claims (25)

  1.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몸체 가이드 수단(12)과 기어 수단이 설치되는 케이스 몸체(1)에 감시 선로 방향 전면부에는 투명한 창(8)을 설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기어 수단(2)과 맞물리는 카메라 몸체 기어 수단(3)을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를 통해 제어하여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몸체 가이드 수단(12)과 래크 기어 수단이 설치되는 케이스 몸체(1)에 감시 선로 방향 전면부에는 투명한 창(8)을 설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의 래크 기어 수단(2)과 맞물리는 카메라 몸체 피니언 기어(3) 수단을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를 통해 회전시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3.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몸체 가이드 수단(12)이 설치되는 케이스 몸체(1)에 감시 선로 방향 전면부에는 투명한 창(8)을 설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 바퀴를 제어하여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카메라 몸체 가이드 수단(12)에 따라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4.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동절기에는 투명한 창(8)에 서리 혹은 적설, 결빙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명한 창(8)에 자동차 열선 유리처럼 열선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투명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5.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 감시 영역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거나 원격 감청할 수 있어야 하는데 케이스 몸체(1)와 투명한 창(8)이 견고하게 조립되므로 케이스 내부로 음파가 전달될 수 있도록 케이스 몸체(1) 하단부에 마이크 연결 홈(9)이 설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로 먼지 등의 유입을 막고 마이크 연결 홈(9)이 막히지 않도록 외부에 부직포 등을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연결 홈이 설정되어 있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6.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충전식 배터리를 설치하고 무선으로 감시 영상을 보내도록 제어회로기판(5)을 설정하는 수단;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몸체(11)와 외부를 연결하는 전원공급 및 영상제어 라인(10)이 필요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감시카메라 시스템
  7.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에 전원공급라인과 영상전송라인(10)을 설치하여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면서도 전원공급라인과 영상전송라인(10)이 감시카메라 몸체(11)의 회로와 접촉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수단;
    배터리나 무선망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원 공급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라인과 영상전송라인이 설치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8. 제 1 및 2 항에 있어서,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1) 내에는 케이스 몸체 가이드(12)를 통해 케이스 래크 기어 수단(2)과 카메라 몸체 피니언 기어 수단(3)이 맞물려 움직이도록 구성하고
    카메라 몸체의 구동모터(6)에 의해 기어가 상호 맞물려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가 있을 경우에도 감시카메라 몸체를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9.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철책선에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케이스 몸체(1)가 수십 미터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1 개의 감시카메라 몸체(11)로는 이동하는 시간이 걸리므로
    케이스 몸체(1) 내부에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 몸체(11)를 넣어 상호 충돌하지 않고 순환하면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 몸체를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0.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로 구동하는 경우 특정 도킹 스테이션 영역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단;
    혹은 감시카메라 몸체(11) 내부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을 갖는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충전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1.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는 케이스 몸체(1) 내에는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수단을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하여 투명한 창(8)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도록 하는 수단;
    사고 발생 지역을 점멸시키거나 경비 중임을 알리기 위해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수단 전체를 정해진 패턴에 의해 점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내부에 발광소자를 설치하여 점멸시키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2.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1)에서 이동하던 감시카메라 몸체(11)가 고장 등으로 멈추는 경우에 이를 꺼내기 위해서 케이스 몸체(1)와 투명창(8)을 분해하는 복잡한 방식 대신에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잡고 끌어내는 견인 기구가 설치된 로봇을 삽입시켜 꺼내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으로 멈춘 감시카메라 몸체를 견인하는 방법
  13.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는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와 함께 감시용 카메라 렌즈(7)가 설치된 카메라센서(4)를 제어회로기판(5)에서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이동 감시카메라 수단
  14. 제 13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기판(5)에는
    마이크 수단,
    혹은 메모리 저장수단,
    혹은 무선랜 혹은 블루투쓰와 같은 무선통신수단,
    혹은 이동통신수단,
    혹은 배터리관리 수단,
    혹은 전원공급 및 영상전송라인(10) 인터페이스 수단,
    혹은 적외선센서 수단,
    혹은 철조망의 진동을 감지하는 수단,
    혹은 지피에스(GPS)와 모션센서와 같은 위치 측위 수단,
    혹은 레이더센서 수단,
    혹은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소자 점멸수단,
    혹은 메모리 저장수단에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는 수단을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기판을 탑재한 이동 감시카메라 수단
  15.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기판(5)을 전용으로 설계하여 개발하여 사용하는 방법 대신 스마트폰을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에 고정시켜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의 고성능 카메라센서, 마이크, GPS 및 각종 모션 센서들을 무선랜 혹은 블루투스 혹은 NFC 혹은 지그비통신 혹은 이동통신망으로 원격 제어하는 수단;
    혹은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해 두는 수단;
    혹은 영상 인식을 통해 특정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경보를 발생하는 수단;
    스마트폰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자체적으로 혹은 원격으로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를 제어하여 피니언기어(3) 수단을 회전시켜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시켜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6.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감시 선로가 케이스 몸체(1) 길이보다 길어지는 경우 기차 선로를 연결하는 것처럼 각각의 기어 수단들이 자동 연결되도록 제작되는 케이스 몸체(1)를 상호 연결하여
    감시 선로가 케이스 몸체 1 개의 길이보다 긴 지역에서도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선로가 케이스 몸체보다 긴 경우 케이스 몸체를 상호 연결시켜 구성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7.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감시 선로가 특정 각도로 꺾여지는 지역에서는 마치 기차 선로처럼 특정각도로 각각의 기어 수단들을 연결해주는 특정 각도로 꺾여진 연결용 케이스 몸체(1)로 연결하여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특정 각도로 꺾여진 지역에서도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선로가 특정 각도로 꺾어질 경우 이를 연결하는 연결용 케이스 몸체를 사용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8.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의 상단에는 햇빛 혹은 비가 투명한 창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차양 형태의 가리개가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개가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19.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1)의 투명한 창(8)에는 먼지 및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팅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처리한 투명한 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여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0. 제 1 및 2 및 3 항에 있어서,
    카메라 몸체 구동모터(6)를 통해 제어하여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가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
    특정 위치에서는 카메라센서(4)의 해상도를 높여 감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창을 가진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고해상도로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21. 이동하는 차량에 있어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차량 외부에 부착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자유로이 제어하여 차량 주변을 운적석 모니터로 감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 혹은 선박 혹은 철도차량 혹은 군사 작전용 차량과 탱크 혹은 항공기
  22. 공장에 설치하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공장 작업라인에 따라 설치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 감시하면서 특정 작업 공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
    공장 작업 감시실의 모니터로 현장을 원격 감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공장 작업 감시 시스템
  23. 철책선 혹은 경계 담장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철책선 혹은 경계 담장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 감시하면서 특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
    철책 혹은 경계 담장의 감시실 모니터로 현장을 원격 감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장착한 철책선 혹은 경계 담장
  24.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 혹은 강변의 시설물 혹은 주차장 주변과 혹은 대중교통수단(버스 혹은 철도, 배, 항공기 등)의 내부를 감시하는데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 혹은 강변의 시설물 혹은 주차장 주변과 대중교통수단의 내부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 감시하면서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 혹은 강변의 시설물 혹은 주차장 주변과 혹은 대중교통수단의 내부를 감시실의 모니터로 현장을 원격 감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장착한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 혹은 강변의 시설물 혹은 주차장과 혹은 대중교통수단
  25.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의 주차 위반 관리에 있어서,
    투명한 창(8)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1)를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 시설물에 고정하는 수단;
    케이스 몸체(1) 내부에서 이동 감시카메라 몸체(11)를 이동 감시하면서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 시설물 현장의 주차 위반 여부를 감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케이스 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장착한 도로 혹은 터널 혹은 교량 시설물 주변의 주차 위반 감시 시스템
KR1020110002504A 2011-01-11 2011-01-11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120081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504A KR20120081261A (ko) 2011-01-11 2011-01-11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504A KR20120081261A (ko) 2011-01-11 2011-01-11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261A true KR20120081261A (ko) 2012-07-19

Family

ID=4671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504A KR20120081261A (ko) 2011-01-11 2011-01-11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12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437A (ko) *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메인시스 주차장 출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7265A (ko) * 2018-09-04 2020-03-12 박경진 드론 장착용 촬영장치
CN111564015A (zh) * 2020-05-20 2020-08-2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交通周界入侵的监测方法及装置
US11900470B1 (en) 2014-09-23 2024-02-1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insurance related informatic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0470B1 (en) 2014-09-23 2024-02-1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insurance related informatics
KR20190141437A (ko) *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메인시스 주차장 출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7265A (ko) * 2018-09-04 2020-03-12 박경진 드론 장착용 촬영장치
CN111564015A (zh) * 2020-05-20 2020-08-2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交通周界入侵的监测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6963A (ko)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120093708A (ko) 투명창과 센서를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CN103824455B (zh) 道路巡逻系统及控制方法
KR101698026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cctv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CN107134147B (zh) 基于摄像机与传感器管理杆下车位的方法、装置及系统
CN106708038B (zh) 一种监狱周界巡视警戒机器人系统及其方法
CN107820050B (zh) 导电轨式移动监控机器人及其监控系统和方法
US20030025791A1 (en) Trailer mounted surveillance system
CN203746230U (zh) 道路巡逻机器人及道路巡逻系统
CN109208995B (zh) 智能交通杆及智能道路系统
CN103473951A (zh) 一种基于临场感的自动停车场管理系统
KR20120081261A (ko)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CN209904906U (zh) 一种基于号牌识别的停车场巡逻机器人
TW201523535A (zh) 行動控制單元,設施管理系統,行動單元控制系統,設施管理方法及行動單元控制方法
KR20120110929A (ko) 복수 개의 카메라센서를 튜브 내에 설치하여 감시하는 병렬 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140014422A (ko) 도로 및 철로에 따라 설치하는 2층 구조물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및 교통 및 통신시스템
CN220020380U (zh) 陆空范围多探测器监控系统
KR20130004561U (ko)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KR102628707B1 (ko) 전기, 수소, 무인, 자율 자동차를 위한 위치기반 사물인터넷 자율센싱 도로 시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215866769U (zh) 一种桥涵及限高防护架的碰撞报警装置
CN207097254U (zh) 基于可见光通信的智能停车装置
CN216352445U (zh) 一种路边停车精准定位拍照系统
CN205845305U (zh) 一种基于多数据源的高速公路安全保障系统
CN212809464U (zh) 一种停车管理系统
KR20100111862A (ko) 투명판 세척수단을 갖는 무인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