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495B1 - 인쇄 필름 및 필름 포장물 - Google Patents

인쇄 필름 및 필름 포장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495B1
KR101801495B1 KR1020167007914A KR20167007914A KR101801495B1 KR 101801495 B1 KR101801495 B1 KR 101801495B1 KR 1020167007914 A KR1020167007914 A KR 1020167007914A KR 20167007914 A KR20167007914 A KR 20167007914A KR 101801495 B1 KR101801495 B1 KR 10180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inting
varnish
gradat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055A (ko
Inventor
미츠마사 이와모토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2Dusting, e.g. with an anti-offset powder for obtaining raised printing such as by thermogravure ; Varn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22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improving gradation of image

Landscapes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쇄 필름은, 투명한 필름의 일부에 잉크로 소정 표시가 형성된 인쇄부와, 그 인쇄부를 니스로 덮는 코팅부와, 필름의 평면시상, 코팅부의 주위에 마련되며,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단계적으로 니스의 양이 적어지도록 니스로 덮여진 그라데이션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인쇄 필름 및 필름 포장물{PRINTING FILM AND FILM PACKAGING ARTICLE}
본 발명은 인쇄 필름 및 필름 포장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담배와 같은 피 수용물을 수용하는 패키지에는, 외측이 필름으로 포장된 것이 있다. 또한, 필름에는, 예를 들면, 일시적인 캠페인의 알림 등, 피 수용물에 관한 정보, 등을 인쇄할 수 있다. 종래, 포장의 투명 필름에 인쇄를 하는 경우, 인쇄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인쇄부 전체를 내측에서부터 흰색 잉크로 코팅하고 있었다. 또한, 인쇄부를 흰색 잉크로 코팅하는 경우, 인쇄 내용은 흰색을 기조로 한 디자인으로 할 수밖에 없다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종래, 플라스틱 필름에 인쇄한 인쇄물에 오버프린트 니스를 도포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그 외에도, 인쇄 필름의 인쇄층을 더 덮도록 인쇄 등을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및 3).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2013-3597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개 2011-15293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개 2002-189415호 공보
투명 니스(단순히 "니스"라고도 한다)를 사용했다고 해도, 니스로 코팅한 부분과 코팅하지 않은 부분과의 경계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경계가 뚜렷하면, 디자이너가 의도하지 않는 디자인이 되거나, 유저에게 위화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부를 보호하기 위한 코팅(특히, 코팅한 부분의 윤곽)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한 인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쇄 필름은, 투명한 필름의 일부에 잉크로 소정 표시가 형성된 인쇄부와, 그 인쇄부를 니스로 덮는 코팅부와, 필름의 평면시상(平面視上), 코팅부의 주위에 마련되고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단계적으로 니스의 양이 적어지도록 니스로 덮여진 그라데이션부를 가진다.
이렇게 하면, 니스로 덮여진 부분에서부터 그 주위를 향해서 서서히 니스의 양이 적게 되어, 변화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즉, 인쇄부를 보호하기 위한 코팅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필름의 그라데이션부는,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니스로 덮여진 부분의 면적이 감소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 니스로 덮여진 부분의 면적은, 소정 단위 면적당 니스로 덮여진 부분의 면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하여, 인쇄부를 보호하기 위한 코팅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라데이션부는, 니스에 의해 형성된 도트의 열이 코팅부의 윤곽과 거의 평행하게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일 열당 도트 수가 감소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은 태양에 의해 그라데이션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그라데이션부는,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도트의 크기가 작아지게 해도 된다. 또한, 그라데이션부는,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열의 간격이 넓어지게 해도 된다. 또한, 그라데이션부는,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니스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태양에 의해서도 그라데이션부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담배 상품을 수용하는 패키지와, 그 패키지를 포장하는 인쇄 필름을 구비한 필름 포장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쇄 필름은, 투명한 필름의 일부에 잉크로 소정 표시가 형성된 인쇄부와, 그 인쇄부를 니스로 덮는 코팅부와, 필름의 평면시상, 코팅부의 주위에 마련되며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단계적으로 니스의 양이 적어지도록 니스로 덮여진 그라데이션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인쇄 필름을 이용하면, 인쇄부를 보호하기 위한 코팅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필름 포장물이라면, 인쇄 필름 및 패키지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담배 상품은, 예를 들면, 종이로 권취한 담배{필터 시가렛, 양절 담배(필터 없는)}, 시가(엽권), 시가릴로, 스누스, 코담배, 츄잉 담배, 전자 담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부를 보호하기 위한 코팅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한 인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실시 형태의 필름으로 포장한 패키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필름의 인쇄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인쇄 영역의 그라데이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그라데이션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그라데이션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그라데이션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그라데이션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복잡한 형상의 그라데이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인쇄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인쇄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비교예 1의 인쇄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비교예 2의 인쇄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필름 및 필름 포장물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여기에서는 담배 상품을 포장하는 예를 설명한다.
<필름 포장물의 구성>
도 1을 이용하여, 패키지(11)와 패키지(11)를 포장하는 필름(12)을 포함하는 필름 포장물(단순히, "포장물"이라고도 한다)(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개봉 전의 포장물(1)의 사시도이다.
포장물(1)에 포함되는 패키지(11)는, 도시한 것과 같이, 힌지리드형 패키지이어도 되고, 다른 하드 패키지 또는 소프트 패키지이어도 된다. 패키지(11)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증착지로 싼 담배 다발(도시하지 않음)이 포함되어 있다.
필름(12)은, 예를 들면, 투명(무색 투명)한 고분자 필름이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셀로판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필름(12)은, 적어도 일부에 인쇄 영역(121)을 가진다. 인쇄 영역(121)은, 예를 들면, 필름(12)의 이면{(裏面), 즉, 포장물(1)의 내측으로, 패키지(11)와 접하는 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필름(12)은, 반투명 또는 유색 투명한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인쇄 영역(121)을 가진 필름(12)을, 본 발명의 인쇄 필름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필름(12)은, 개봉 테이프("tear tape"라고도 부른다)(122)를 가지고 있다. 개봉 테이프(122)는, 패키지(11)의 표면을 따라 돌아 감도록 감겨진 띠 모양의 부재로, 필름(12)의 이면{(裏面), 즉, 포장물(1)의 내측으로, 패키지(11)와 접하는 면}에 붙어 있다. 개봉 테이프(122)의 일단(1221)을 잡을 수 있도록 필름(12)에는 노치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일단(1221)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필름(12)을 찢어 포장물(1)을 개봉할 수 있다.
<인쇄 필름의 구성>
도 2는, 인쇄 영역(12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필름(12)의 일부에 마련된 인쇄 영역(121)을, 필름(12)의 표면측{즉, 포장물(1)의 외측}에서 평면시로 본 도면이다. 인쇄 영역(121)은, 유색의 잉크로 인쇄된 인쇄부(1211)와, 인쇄부(1211) 전체를 덮도록 니스로 코팅되어 인쇄부(1211)를 보호하는 코팅부(1212)와, 평면시상 코팅부(1212)의 주위에 마련된 그라데이션부(1213)를 포함한다.
인쇄부(1211)에 이루어진 인쇄는, 그라비아 인쇄나, UV(Ultraviolet) 인쇄 등, 필름에 인쇄할 수 있는 다양한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부(1211)는, 검게 도색된 영역과, 사선으로 해칭이 이루어진 영역을 포함하며, 각각 다른 색으로 인쇄된 것으로 한다. 또한, 코팅부(1212) 및 그라데이션부(1213)는, 잉크 대신에 니스를 이용하여 인쇄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니스는,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투명한 도료이며, 예를 들면, 수지를 용제에 녹여서 형성된다. 또한, 잉크는, 안료를 포함하는 유색 도료로서, 예를 들면, 안료를 니스와 혼합하여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존의 니스 및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코팅부(1212)는, 인쇄부(1211)의 「덮음」을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즉, 인쇄부(1211)를 니스로 덮는 것에 의해, 매끄러움을 좋게 하고,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인쇄가 스쳐서 벗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팅부(1212)에 의해, 내 블로킹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즉, 필름(12)끼리나, 필름(12)과 패키지(11)가 붙어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그라데이션부(1213)는, 인쇄부(1211) 주위에 마련되어 있으며, 인쇄부(1211) 및 코팅부(1212)에서 거리가 벗어날수록, 단계적으로 니스의 양이 적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인쇄 영역(121) 주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의 그라데이션부(1213)는, 인쇄부(1211) 및 코팅부의 윤곽에 평행한 선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선의 굵기 및 선의 간격으로 니스의 양의 다소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그라데이션부(1213)는, 인쇄부(1211) 및 코팅부(1212)에 가까울수록 니스의 양이 많고, 인쇄부(1211) 및 코팅부(1212)에서 벗어날수록, 니스의 양이 적어지고 있다.
<그라데이션부의 구성 1>
도 4에, 그라데이션부(1213)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필름(12)의 일부에 마련된 인쇄 영역(121)을, 필름(12)의 표면 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필름(12)에는, 인쇄부(1211)의 면적 이상 크기의 코팅부(1212)가, 인쇄부(1211)를 덮도록 겹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팅부(1212) 주위에는, 그라데이션부(12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1213)에는, 니스로 형성된 도트("소 영역"이라고도 부른다)가 열을 이루는 것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편의상, 도 4에는 열을 나타내는 파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트의 열은, 코팅부(1212)의 윤곽과 거의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도트의 열은, 인쇄부(1211)의 윤곽과도 거의 평행하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코팅부(1212)로부터 벗어날수록{즉, 인쇄부(1211)에서 벗어날수록}, 1열당 도트 수가 적어지고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코팅부(1212)의 윤곽과 거의 평행한 도트의 열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트는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코팅부(1212)로부터 벗어날수록, 소정의 단위 면적당 도트 수가 적어지도록, 랜덤 또는 소정의 패턴으로 도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단위 면적은, 그라데이션부(1213) 내에 들어가는 크기이며, 또한 그 형상의 내부에 복수 개의 도트가 포함될 정도 크기의 임의의 형상의 면적을 말하는 것이다. 환언하면, 그라데이션부(1213)에서는, 코팅부(1212)에서 거리가 벗어날수록, 소정 단위 면적당 니스로 덮여진 영역의 면적이 작아지고 있다.
<그라데이션부의 구성 2>
도 5에 그라데이션부(1213)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도, 필름(12)의 일부에 마련된 인쇄 영역(121)을, 필름(12)의 표면 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5의 그라데이션부(1213)도, 니스로 형성된 도트가 코팅부(1212)의 윤곽과 거의 평행한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코팅부(1212)로부터 벗어날수록 각 도트의 크기가 작아지고 있다.
도 5의 예에서도, 코팅부(1212)의 윤곽과 거의 평행한 도트의 열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트는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코팅부(1212)로부터 벗어날수록, 도트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랜덤 또는 소정의 패턴으로 도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환언하면, 그라데이션부(1213)에서는, 코팅부(1212)로부터 거리가 벗어날수록, 소정 단위 면적당 니스로 덮여진 영역의 면적이 작아지고 있다.
<그라데이션부의 구성 3>
도 6에, 그라데이션부(1213)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6도, 필름(12)의 일부에 마련된 인쇄 영역(121)을, 필름(12)의 표면 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6의 그라데이션부(1213)도 니스로 형성된 도트가 코팅부(1212)의 윤곽과 거의 평행한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코팅부(1212)로부터 벗어날수록 인접한 열과 간격이 벌어진다.
도 6의 예에서도, 코팅부(1212)의 윤곽과 거의 평행한 도트의 열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트는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코팅부(1212)로부터 벗어날수록, 소정 단위 면적에 포함되는 도트 사이의 거리의 평균이 넓어지도록, 랜덤 또는 소정의 패턴으로 도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환언하면, 그라데이션부(1213)에서는, 코팅부(1212)에서 거리가 벗어날수록, 소정 단위 면적당 니스로 덮여진 영역의 면적이 작아지고 있다.
<그라데이션부의 구성 4>
도 7에, 그라데이션부(1213)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필름(12)의 A-A단면도이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듯이, 인쇄부(1211), 코팅부(1212)및 그라데이션부(1213)는, 필름(12)의 이면(裏面)에 마련되고 있다. 또한, 필름(12)의 이면(裏面)은, 포장물(1)의 패키지(11)와 인접하는 측이다. 도 7의 그라데이션부는, 코팅부(1212)로부터 벗어날수록, 니스의 두께가 얇아진다. 환언하면, 그라데이션부(1213)에서는, 코팅부(1212)로부터 거리가 벗어날수록, 소정 단위 면적당 니스의 양이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인쇄는, 예를 들면, 그라비아 인쇄{즉, 요판(凹版) 인쇄}에 의해서 실현된다. 니스의 두께가 단면시상(斷面視上)에서 선형으로 변화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코팅부(1212)의 윤곽과 거의 평행한 열을 마련하여, 코팅부(1212)에서 벗어날수록 단계적으로 니스의 두께가 감소하게 해도 된다.
상기의 구성 1에서 4를 정리해 보면, 그라데이션부(1213)는, 코팅부(1212)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단계적으로 니스의 양이 적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 1에서 3을 정리해 보면, 그라데이션부(1213)는, 코팅부(1212)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소정 단위 면적당 니스로 덮여진 부분의 면적이 작아지고 있다.
그라데이션부(1213)의 구성은, 상기 구성 1에서 4에 나타낸 구성을 조합해도 된다. 특히, 그라데이션부(1213)의 구성은, 니스로 형성된 도트를 코팅부(1212)의 윤곽과 거의 평행한 열을 이루도록 배치하고, 코팅부(1212)에서 먼 열일수록 니스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럽게 코팅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라데이션부(1213)는, 니스로 형성된 도트를 코팅부(1212)의 윤곽과 거의 평행한 열을 이루도록 배치하고, 코팅부(1212)에서 벗어날수록, 1열당 도트 수가 감소하고, 또한, 각 도트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코팅부(1212)에서 먼 열일수록 니스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다른 조합을 채용해도 되며, 3 이상의 구성을 조합해도 된다.
도 4 ~ 6의 구성에서는, 각형, 원형, 정사각형의 도트를 나타냈지만, 도트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트는, 직사각형, 기타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 ~ 6의 도트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상 과장되게 나타냈지만, 도트는 육안으로 인식할 수 없는 정도의 크기이어도 된다. 또한, 도 4 ~ 6에 파선으로 나타낸 도트의 열은 5열이지만, 열의 수는 5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3 ~ 6에 나타낸 그라데이션부(1213)의 도트의 열은, 평면시상, 인쇄부(1211) 및 코팅부(1212)의 윤곽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 인쇄부(1211)의 윤곽이 복잡한 형상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의 예에서는, 그라데이션부(1213)의 윤곽은, 인쇄부(1211)의 윤곽과도, 코팅부(1212)의 윤곽과도 평행하지 않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코팅부(1212)의 윤곽과 그라데이션부(1213)의 윤곽과의 사이를 보완하는 복수의 형상을 정의하고, 코팅부(1212)로부터 벗어날수록 니스의 양이 감소하도록 각 영역의 내부를 인쇄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그라데이션부(1213)에 따르면, 필름(12) 상의 코팅부(1212)로부터 니스로 덮여지지 않는 주위 부분까지, 서서히 니스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코팅부(1212)의 윤곽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그라데이션부(1213)에 따르면, 코팅부(1212)와 그 주위와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코팅부(1212) 주위에 테두리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의도한 디자인의 재현성이 향상된다. 또한, 코팅부(1212)의 윤곽을 자연스럽게 하는 것에 의해, 자연스러운 느낌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제조 방법>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인쇄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나타내듯이, 필름(12)에 인쇄부(1211)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필름(12)의 2개면 중, 인쇄를 하는 측을 인쇄면이라고도 부른다. 인쇄면은, 패키지(11)를 필름(12)으로 포장한 상태에서, 패키지(11)와 접촉하는 면으로, 포장물(1)의 내측이 된다. 그러므로, 인쇄면에서 보면, 인쇄부(1211)의 문자나 도형은, 포장물(1)을 외측에서 본 경우의 문자나 도형과는 뒤집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내듯이, 필름(12)에 코팅부(1212) 및 그라데이션부(1213)를 형성한다. 코팅부(1212) 및 그라데이션부(1213)도, 인쇄면에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팅부(1212)는, 인쇄부(1211) 전체를 덮도록 중첩되어 마련되어 있다. 즉, 코팅부(1212)는, 인쇄부(1211) 상에 위치를 맞추어 인쇄된다. 또한, 코팅부(1212)의 면적은, 인쇄부(1211)의 면적 이상의 크기가 되고 있다. 또한, 코팅부(1212) 주위에, 그라데이션부(1213)가 인쇄된다. 또한, 코팅부(1212) 및 그라데이션부(1213)는, 동시에 만들어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순서로, 잉크에 의한 인쇄부(1211)를 보호하기 위한 코팅부(1212) 및 코팅부(1212)와 그 주위와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조화시키기 위한 그라데이션부(1213)를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영역(121)은, 포장물(1)의 내측에 존재하는 쪽이, 인쇄가 닳아 떨어지는 것이 저감되지만, 인쇄 영역(121)을 포장물(1)의 외측{즉, 필름(12)의 표면}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인쇄부(1211)의 문자나 도형은, 좌우 반전시키지 않고 인쇄한다. 필름(12)으로서, 반투명의 필름 또는 색깔 있는 투명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포장물(1) 중, 필름(12)의 패키지(11)측의 면에 인쇄를 하면, 인쇄 영역(121)에 필름(12)의 색이 겹쳐진다. 필름(12)의 표면에 인쇄를 하면, 인쇄 영역(121)에 필름(12)의 색이 겹치는 일이 없이, 디자인에 충실한 색채를 재현할 수 있다.
<비교예 1>
다음으로, 도 11을 이용하여 비교예의 필름(22)을 설명한다. 또한 도 11은, 필름(22)의 일부에 마련된 인쇄 영역(221)을, 필름(22)의 표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인쇄 영역(221)은, 유색 잉크로 인쇄된 인쇄부(2211)와, 인쇄부(2211) 전체를 덮도록 흰색 잉크로 코팅된 코팅부(2212)를 포함한다. 인쇄부(2211)를 흰색 잉크로 덮고 경우, 예를 들면, 인쇄부(2211)가 닳아 벗겨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의 경우, 배경을 흰색으로 해야 한다는 디자인 상의 제약이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투명한 니스를 이용하여 코팅함으로써, 디자인의 자유도가 커진다.
<비교예 2>
다음으로, 도 12를 이용하여 비교예의 필름(32)을 설명한다. 또한, 도 12도, 필름(32)의 일부에 마련된 인쇄 영역(321)을, 필름(32)의 표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인쇄 영역(321)은, 유색 잉크로 인쇄된 인쇄부(3211)와, 인쇄부(3211) 전체를 덮도록 니스로 코팅된 코팅부(3212)를 포함한다. 다만, 인쇄 영역(321)은, 그라데이션부를 갖지 않는다. 인쇄부(3211)를 니스로 덮는 경우도, 예를 들면, 인쇄부(3211)가 닳아 벗겨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비교예 2의 경우, 투명한 니스를 이용하여도, 니스로 코팅된 부분의 윤곽은 눈에 띈다. 즉, 필름(32) 중, 니스가 코팅된 부분과, 코팅되지 않은 부분은, 두께에 차이가 있고, 니스의 유무라고 하는 점에서 재질도 다르기 때문에, 가시 광선의 투과율에도 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코팅부(3212)와 그 주위와의 사이에 경계가 나타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코팅부(1212) 주위에 그라데이션부(1213)를 마련함으로써, 코팅부(1212)와 그 주위와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코팅부(1212)와 그 주위가 자연스럽게 조화된 인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담배와 같은 제품 패키지(11)에는, 소정의 크기로 경고 표시를 넣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제약이 부과되는 것도 있고, 허용되는 디자인 표현의 폭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패키지(11)의 도안에 중첩하여 패키지(11)를 포장하는 필름(12)에도 인쇄를 하는 경우, 필름(12)의 디자인상의 제약을 저감함으로써, 패키지(11)의 도안과 필름(12)의 도안이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디자인도 가능하므로, 유용하다.
상기 예에서는, 패키지에 수용하는 피수용물로서, 필터 담배나, 양절 담배 등의 담배 상품을 꼽았다. 그러나, 피수용물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식품, 문구 등이어도 된다.
1 포장물
11 패키지
12 필름
121 인쇄 영역
1211 인쇄부
1212 코팅부
1213 그라데이션부
122 개봉 테이프

Claims (7)

  1. 투명한 필름의 일부에 잉크로 소정 표시가 형성된 인쇄부와,
    그 인쇄부를 니스로 덮는 코팅부와,
    상기 필름의 평면시상, 상기 코팅부의 주위에 마련되고, 상기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단계적으로 니스의 양이 적어지도록, 니스로 덮여진 그라데이션부를 갖는 인쇄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상기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니스로 덮여진 부분의 면적이 감소하는 인쇄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니스에 의해 형성된 도트의 열이 상기 코팅부의 윤곽과 거의 평행하게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일 열당 도트 수가 감소하는 인쇄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상기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상기 도트의 크기가 작아지는, 인쇄 필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상기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상기 열의 간격이 넓어지는 인쇄 필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상기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니스의 두께가 얇아지는 인쇄 필름
  7. 담배 상품을 수용하는 패키지와,
    그 패키지를 포장하는 인쇄 필름을
    구비하는 필름 포장물로서,
    상기 인쇄 필름은,
    투명한 필름의 일부에 잉크로 소정 표시가 형성된 인쇄부와,
    그 인쇄부를 니스로 덮는 코팅부와,
    상기 필름의 평면시상, 상기 코팅부의 주위에 마련되며, 상기 코팅부로부터의 거리가 벗어날수록 단계적으로 니스의 양이 적어지도록, 니스로 덮여진 그라데이션부를 갖는 필름 포장물.
KR1020167007914A 2013-10-15 2013-10-15 인쇄 필름 및 필름 포장물 KR101801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7959 WO2015056297A1 (ja) 2013-10-15 2013-10-15 印刷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包装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055A KR20160060055A (ko) 2016-05-27
KR101801495B1 true KR101801495B1 (ko) 2017-11-24

Family

ID=5282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914A KR101801495B1 (ko) 2013-10-15 2013-10-15 인쇄 필름 및 필름 포장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072280B2 (ko)
KR (1) KR101801495B1 (ko)
CN (1) CN105636877B (ko)
MY (1) MY175491A (ko)
TW (1) TWI532653B (ko)
WO (1) WO2015056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1906B (zh) * 2015-11-10 2019-12-24 杭州福斯特应用材料股份有限公司 正型感光性聚酰亚胺树脂组合物
JP2019099216A (ja) * 2017-12-01 2019-06-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外装フィルム付パッケージ
CN109270787B (zh) * 2018-10-24 2022-06-10 青岛嘉泽包装有限公司 一种淡化光刻图案边缘痕迹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415A (ja) 2000-12-20 2002-07-05 Dainippon Printing Co Ltd 遮光性印刷ラベル
JP2011152930A (ja) 2010-01-27 2011-08-11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用インキジェット印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2091446A (ja) * 2010-10-28 2012-05-17 Toppan Printing Co Ltd マイクロレンズ装飾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81A (zh) * 1989-07-24 1990-02-07 谢怀杰 能印浓淡色阶的单丝网版制版方法
CN101581060B (zh) * 2008-05-16 2013-03-13 印莫格不动产采购有限责任公司 一种香烟包裹材料及香烟
CN201678155U (zh) * 2009-12-14 2010-12-22 江阴市兰天彩印包装有限公司 卷烟包装专用印刷薄膜
JP2013035976A (ja) * 2011-08-10 2013-02-21 Tokyo Printing Ink Mfg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オーバープリントニ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415A (ja) 2000-12-20 2002-07-05 Dainippon Printing Co Ltd 遮光性印刷ラベル
JP2011152930A (ja) 2010-01-27 2011-08-11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用インキジェット印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2091446A (ja) * 2010-10-28 2012-05-17 Toppan Printing Co Ltd マイクロレンズ装飾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75491A (en) 2020-06-30
JP6072280B2 (ja) 2017-02-01
CN105636877B (zh) 2018-09-11
TWI532653B (zh) 2016-05-11
JPWO2015056297A1 (ja) 2017-03-09
CN105636877A (zh) 2016-06-01
KR20160060055A (ko) 2016-05-27
WO2015056297A1 (ja) 2015-04-23
TW201514069A (zh)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9491B1 (en) Package and printing method therefor
KR101801495B1 (ko) 인쇄 필름 및 필름 포장물
CN104105644B (zh) 包装
CN102325707A (zh) 用于堆叠的产品块的可分断的膜包装
TW201313577A (zh) 香煙包裝盒,及香煙包裝盒之印刷方法
US9183766B2 (en) Metallized shrinkable label
JP2018135159A (ja) 接着ラベル付き容器
JP7029336B2 (ja) ラベル連続体
JP6993830B2 (ja) 長尺装飾原反、及びラベル
KR20070013580A (ko) 샌드위치구조의 증착필름
JP6534847B2 (ja) 集積包装体及び集積包装用フィルム
JP6444102B2 (ja) 筒状ラベル
JP2001051601A (ja) ラベル連続体
JP6538449B2 (ja) 表示基材、及びラベル付き容器
JP2017049360A (ja) 偽造防止ラベル
JP6682277B2 (ja) キャップシール形成用基材、及びキャップシール包装体
KR200383627Y1 (ko) 열수축성 필름을 이용한 포장용기 광고지
JP2002087460A (ja) 包装体及び熱収縮性包装材
JP2019099216A (ja) 外装フィルム付パッケージ
EP2746181A1 (en) Container with optical element formed by microstructure
JP5396095B2 (ja) 包材及びそれを用いたオーバーラップ包装体
TWI558630B (zh) 菸草商品的包裝體
JP4334264B2 (ja) 白色系遮光フィルム、及び筒状ラベル
WO2018162331A1 (en) Container for consumer articles with improved tactile surface
JP5311139B2 (ja) 積層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