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998B1 - 어망 자동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어망 자동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998B1
KR101799998B1 KR1020160095631A KR20160095631A KR101799998B1 KR 101799998 B1 KR101799998 B1 KR 101799998B1 KR 1020160095631 A KR1020160095631 A KR 1020160095631A KR 20160095631 A KR20160095631 A KR 20160095631A KR 101799998 B1 KR101799998 B1 KR 10179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pressing
guide
plate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기
Original Assignee
박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기 filed Critical 박형기
Priority to KR102016009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망 자동 결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판의 전방으로 결합되어 재봉바늘을 안내하는 안내공을 관통 형성하고 있고 목줄과 로프를 압지하기 위한 압지홈을 저면부에 형성하고 있는 압지체에 의해 어망의 로프에 그물이 설치되어 있는 목줄을 결속줄에 의해 자동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압지체와 다수개의 이송봉들을 승강판에 의해 연결하여 압지체가 목줄과 로프를 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후진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봉들을 하측부에 이송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편이 부착된 승강대에 의해 이송봉들이 원활한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승강대에 안착되는 콘트롤박스의 내부로 정,역회전모터들을 내장하여 정,역회전력을 각각 발생시키도록 하고 정,역회전모터들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들의 외주연부와 맞물림되는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벨트의 회전 이동이 가능토록 하며 이송봉에 고정된 고정체를 하측부로 연결하고 있고 상측부에는 이송벨트를 고정편과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는 연결대를 연결하여 이송벨트와 함께 이송봉들이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어망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망 자동 결속장치{AUTO BINDING APPARATUS FOR FISHING NET}
본 발명은 어망 자동 결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판의 전방으로 결합되어 재봉바늘을 안내하는 안내공을 관통 형성하고 있고 목줄과 로프를 압지하기 위한 압지홈을 저면부에 형성하고 있는 압지체에 의해 어망의 로프에 그물이 설치되어 있는 목줄을 결속줄에 의해 자동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압지체와 다수개의 이송봉들을 승강판에 의해 연결하여 압지체가 목줄과 로프를 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후진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봉들을 하측부에 이송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편이 부착된 승강대에 의해 이송봉들이 원활한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승강대에 안착되는 콘트롤박스의 내부로 정,역회전모터들을 내장하여 정,역회전력을 각각 발생시키도록 하고 정,역회전모터들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들의 외주연부와 맞물림되는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벨트의 회전 이동이 가능토록 하며 이송봉에 고정된 고정체를 하측부로 연결하고 있고 상측부에는 이송벨트를 고정편과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는 연결대를 연결하여 이송벨트와 함께 이송봉들이 이송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콘트롤박스에 장착된 정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압지체의 전진 이송이 가능하고 역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압지체의 후진 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압지체의 압지홈으로 압지된 상태의 로프와 목줄의 원할한 전,후진 이송이 가능하게 되므로 재봉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콘트롤박스에 장착된 정,역회전모터에 의해 압지체를 전,후진 이송을 시키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조용한 작업장 분위를 연출할 수 있으며 승강용실린더에 의해 승강대의 앞부분(이송봉,승강판, 압지체 포함)만을 승강시키는 동시에 승강대의 후측부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만을 할 뿐이여서 정확한 승강 동작에 의해 오동작의 우려가 없게 되어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승강실린더를 한개만 사용을 하는 가단한 구성에 의해 잔고장의 우려를 일소하는 동시에 제작 단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압지체의 압지홈 상측부로 재봉을 위해 위치되는 목줄과 로프들을 가이드용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가이드판이 안내를 하여 정위치에 오도록 안내 해 주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결속작업을 할 수 있는 어망 자동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선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 10-1335816 호 " 어망 자동 결속장치 "가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어망의 로프에 그물이 설치되어 있는 목줄을 결속줄에 의해 자동으로 결속시키기 위해 본체의 전방으로 결합되어 재봉바늘을 안내하는 안내공을 관통 형성하고 있고 목줄과 로프를 압지하기 위한 압지홈을 저면부에 형성하고 있는 압지체와,
상기 압지체가 승강동작에 의해 목줄과 로프를 압지 및 탈압지시키기 위한 압지체의 승강수단과,
상기 압지체가 목줄과 로프를 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직진과 후진을 하도록 하여 재봉기의 재봉바늘이 목줄과 로프를 결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압지체의 이동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2개의 전,후실린더가 작동되면 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된 승강대가 승강하게 되고 승강대의 승강에 의해 승강대에 연결된 압지체가 승강하면서 로프와 목줄을 압지 및 탈압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2개의 실린더가 정확하게 동시 작동을 하여야 하지만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사용을 하면 서로의 마모량 차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면서 2개의 실린더가 미세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각각 작동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실린더가 각각 작동을 하면 결국, 승강대를 승강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잦은 보수를 해야 했었고 그만큼 작업량도 모자라게 되었기 때문에 문제의 해결이 시급한 실정인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캠방식에 의해 승강대와 이에 부착된 압지체를 전,후진 이송시키고 있는바, 상기 캠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과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장치의 단가가 높게 책정되는 비경제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캠방식은 복잡한 구성을 취하고 있는 만큼 캠에서 부터 이송대까지 전달되는 동력전달방식도 복잡하기 때문에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었고 소음의 발생이 심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압지체에 형성된 압지홈의 일직선상에 로프와 목줄을 위치시키는 일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하였기 때문에 재봉바늘이 빗나가는 재봉을 하는 것이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재봉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트롤박스에 장착된 정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압지체의 전진 이송이 가능하고 역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압지체의 후진 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압지체의 압지홈으로 압지된 상태의 로프와 목줄의 원할한 전,후진 이송이 가능하게 되므로 재봉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콘트롤박스에 장착된 정,역회전모터에 의해 압지체를 전,후진 이송을 시키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조용한 작업장 분위를 연출할 수 있으며 승강용실린더에 의해 승강대의 앞부분(이송봉,승강판, 압지체 포함)만을 승강시키는 동시에 승강대의 후측부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만을 할 뿐이여서 정확한 승강 동작에 의해 오동작의 우려가 없게 되어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승강실린더를 한개만 사용을 하는 가단한 구성에 의해 잔고장의 우려를 일소하는 동시에 제작 단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압지체의 압지홈 상측부로 재봉을 위해 위치되는 목줄과 로프들을 가이드용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가이드판이 안내를 하여 정위치에 오도록 안내 해 주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결속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판의 전방으로 결합되어 재봉바늘을 안내하는 안내공을 관통 형성하고 있고 목줄과 로프를 압지하기 위한 압지홈을 저면부에 형성하고 있는 압지체에 의해 어망의 로프에 그물이 설치되어 있는 목줄을 결속줄에 의해 자동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압지체와 다수개의 이송봉들을 승강판에 의해 연결하여 압지체가 목줄과 로프를 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후진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봉들을 하측부에 이송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편이 부착된 승강대에 의해 이송봉들이 원활한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승강대에 안착되는 콘트롤박스의 내부로 정,역회전모터들을 내장하여 정,역회전력을 각각 발생시키도록 하고 정,역회전모터들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들의 외주연부와 맞물림되는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벨트의 회전 이동이 가능토록 하며 이송봉에 고정된 고정체를 하측부로 연결하고 있고 상측부에는 이송벨트를 고정편과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는 연결대를 연결하여 이송벨트와 함께 이송봉들이 이송할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콘트롤박스에 장착된 정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압지체의 전진 이송이 가능하고 역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압지체의 후진 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압지체의 압지홈으로 압지된 상태의 로프와 목줄의 원할한 전,후진 이송이 가능하게 되므로 재봉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콘트롤박스에 장착된 정,역회전모터에 의해 압지체를 전,후진 이송을 시키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조용한 작업장 분위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승강용실린더에 의해 승강대의 앞부분(이송봉,승강판, 압지체 포함)만을 승강시키는 동시에 승강대의 후측부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만을 할 뿐이여서 정확한 승강 동작에 의해 오동작의 우려가 없게 되어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승강실린더를 한개만 사용을 하는 가단한 구성에 의해 잔고장의 우려를 일소하는 동시에 제작 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압지체의 압지홈 상측부로 재봉을 위해 위치되는 목줄과 로프들을 가이드용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가이드판이 안내를 하여 정위치에 오도록 안내 해 주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결속작업을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어망 자동 결속장치의 구성과 승강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어망 자동 결속장치의 구성과 이송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결속장치의 이송벨트와 연결대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어망 자동 결속장치의 이송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어망의 로프(143)에 그물이 설치되어 있는 목줄(144)을 결속줄에 의해 자동으로 결속시키기 위해 고정판(101)의 전방으로 결합되어 재봉바늘(142)을 안내하는 안내공을 관통형성하고 있고 목줄(144)과 로프(143)를 압지하기 위한 압지홈(114)을 저면부에 형성하고 있는 압지체(113)와,
상기 압지체(113)가 목줄(144)과 로프(143)를 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후진 이송을 하도록 압지체(113)와 승강판(111)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개의 이송봉 (112)과,
상기 이송봉(112)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이송봉(112)들을 하측부에 이송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편(130)이 부착된 승강대(104)와,
상기 승강대(104)에 안착되는 콘트롤박스(121)의 내부로 내장되어 정,역회전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정,역회전모터(122)(126)들과,
상기 정,역회전모터(122)(126)들의 회전축(123)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24)들 외주연부와 맞물림되어 회전 이동을 하는 이송벨트(125)와,
상기 이송벨트(125)와 함께 이송봉(112)들이 이송할 수 있도록 이송봉(112)에 고정된 고정체(109)를 하측부로 연결하고 있고 상측부에는 이송벨트(125)를 고정편(127)과 고정볼트(129)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는 연결대(128)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압지체(113)가 승강 동작에 의해 목줄(144)과 로프(143)를 압지 및 탈압지시키기 위해 고정판(101)의 후측부 양측으로 상향 입설되는 하측지지대(102)와 승강대(104) 후측부 양측으로 하향 입설되는 상측지지대(105)들의 상호 회전이 용이토록 결합되는 힌지축(103)과,
상기 힌지축(103)을 중심으로 승강대(104)와 승강대(104)에 결합된 이송봉 (112),승강판(111),압지체(113)들을 승강시키기 위해 승강대(104)의 상측면에 안착된 지지편(106)에 피스톤(108)을 연결시키고 있는 고정판(101)에 고정된 승강용실린더(107)를 더 구비하였다.
또한,상기 압지체(113)에 의해 압지되는 로프(143)와 목줄(144)들이 압지체(113)에 형성된 압지홈(114)의 중심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압지체(113)의 양측으로 입설되는 다수개의 가이드판(131)과,
상기 가이드판(131)들의 안내가 완료되면 압지체(113)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토록 후측으로 이동시켜 놓기 위해 가이드판(131)의 후측부와 피스톤(133)을 연결하고 있는 고정판(101)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용실린더(132)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어망 자동 결속장치의 구성과 승강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초기 상태는 고정판(101)의 상측면에 안착된 승강용실린더(107)가 피스톤(108)들을 전진시키고 있는 상태이므로 피스톤(108)에 결합된 지지편(106)과 지지편(106)을 고정하고 있는 승강대(104)의 앞부분은 들려 있는 상태가 되고 승강대(104)의 뒷부분은 승강대(104)에 하향 입설된 상측지지대 (105)와 고정판(101)의 후측부에 상향 입설된 하측지지대(102)를 관통하여 회전 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있는 힌지축(103)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강대(104)의 앞부분이 들려진 상태가 되면 승강대(104)의 안내편 (130)들로 결합된 이송봉(112)들과 승강판(111)그리고 압지체(113)가 들려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압지체(113)가 들려 있는 상태에서 결속을 하기 위한 로프(143)와 목줄(144)을 압지체(113)의 하측부에 위치시키면 압지체(113)양측으로 이미 대기 중인 가이드판(131)들과 접촉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판(131)들의 안내에 의해 로프(143)와 목줄(144)이 압지체(113)에 형성된 압지홈(114)의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안내해 주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결속작업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로프(143)와 목줄(144)이 위치 완료되면 승강보턴(도시안됨)을 누르게 되는바, 상기 승강보턴을 누르면 고정판(101)에 고정된 한개의 승강용실린더(107)가 작동되면서 피스톤(108)들을 후진시키게 되고 피스톤(108)의 후진 작용에 의해 이에 결합된 지지편(106)과 승강대(104)가 뒷부분의 힌지축(103)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하강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대(104)의 하강에 따라 승강대(104) 저부의 안내편(130)들로 결합된 이송봉(112)들과 승강판(111) 그리고 압지체(113)들이 도 1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지체(113)가 하강하면서 저부에 형성된 압지홈(114)으로 이미 대기 중인 로프(143)와 목줄(144)을 압지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프(143)와 목줄(144)을 압지체(113)에 의해 압지시킨 상태에서 결속보턴(도시안됨)을 누르면 재봉기(141)의 재봉바늘(142)이 하강하면서 압지체(113)의 안내공을 통과하면서 로프(143)와 목줄(144)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선을 재봉하게 된다.
즉, 상기의 재봉바늘(142)은 초기의 결속선을 로프(143)와 목줄(144)에 견고하게 결속시키기 위해 로프(143)와 목줄(144)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재봉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재봉기(141)의 동작과 동시에 콘트롤박스(121)의 지시에 의해 콘트롤박스(121)에 장착된 정회전모터(122)가 작동되면서 회전축(123)과 이에 결합된 구동기어(124)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124)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 (124)외주면으로 맞물림되어 있는 이송벨트(125)가 회전이동을 하면서 역회전모터 (126)의 회전축(123)에 결합된 구동기어(124)를 공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벨트(125)의 정회전 이동에 의해 이송벨트(125) 일측에 고정편(127)을 맞대어 고정볼트(129)에 의해 상면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연결대(128)가 이송벨트(125)와 함께 회전이동을 하게 되는 동시에 연결대 (128)의 하측부에 고정체 (109)에 의해 고정된 다수개의 이송봉(112)들도 승강대 (104) 저부에 결합된 안내편 (130)들의 안내를 받아 힌지축(103)방향으로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진 이송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지체(113)의 후진 이송에 의해 압지체(113)저부에 형성된 압지홈 (114)에는 로프(143)와 목줄(144)이 위치되어 갇혀 있는 상태이므로 압지체(113)와 함께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압지체(113) 및 로프(143)와 목줄(144)등이 이송된 상태에서 재봉기(141)의 재봉바늘(142)이 다시 하강을 하게 되면 상기의 재봉바늘(142)은 압지체(113)의 안내공을 통과한 다음 로프(143)와 목줄(144)의 전방부로 하강되면서 결속선을 재봉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재봉바늘(142)은 로프(143)와 목줄(144)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선을 재봉한 다음 두번째 하강시에는 로프(143)와 목줄 (144)의 전방부로 재봉을 하게 되므로 결국은 결속선이 로프(143)와 목줄(144)의 중앙에서 부터 전방부까지 감싸면서 재봉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재봉바늘(142)이 두번째 재봉을 마치고 상측으로 이동 완료하면 콘트롤박스(121)의 지시에 의해 역회전모터(126)가 구동되면서 회전축(123)과 이에 결합된 구동기어(124)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124)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124)외주면으로 맞물림되어 있는 이송벨트(125)가 역회전이동을 하면서 정회전모터(126)의 회전축(123)에 결합된 구동기어(124)를 공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벨트(125)의 역회전 이동에 의해 이송벨트(125) 일측에 고정편(127)을 맞대어 고정볼트(129)에 의해 상면이 고정되어 있는 연결대(128)가 이송벨트(125)와 함께 역회전이동을 하게 되는 동시에 연결대(128)의 하측부에 고정체(109)에 의해 고정된 다수개의 이송봉(112)들도 승강대(104) 저부에 결합된 안내편(130)들의 안내를 받아 재봉바늘(142)방향으로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진 이송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지체(113)의 전진 이송에 의해 압지체(113)저부에 형성된 압지홈 (114)에는 로프(143)와 목줄(144)이 위치되어 갇혀 있는 상태이므로 압지체(113)와 함께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압지체(113) 및 로프(143)와 목줄(144)등이 이송된 상태에서 재봉기(141)의 재봉바늘(142)이 다시 하강을 하게 되면 상기의 재봉바늘(142)은 압지체(113)의 안내공을 통과한 다음 로프(143)와 목줄(144)의 후방부로 하강되면서 결속선을 재봉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재봉바늘(142)은 로프(143)와 목줄(144)의 일측부에서 부터 결속선을 재봉한 다음 세번째 하강시에는 로프(143)와 목줄(144)의 타측부로 재봉을 하게 되므로 결국은 결속선이 로프(143)와 목줄(144)의 일측부에서 부터 타측부까지 감싸면서 재봉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재봉바늘(142)이 세번째 하강을 한 다음 상승을 하면 처음의 정회전모터(122)의 회전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초기 상태와 같이 재봉바늘(142)이 로프(143)와 목줄(144)의 중앙부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재봉바늘(142)이 하강하면서 압지체(102)의 안내공을 통과하면서 로프(143)와 목줄(144)의 중앙부를 다시 한번 관통하여 결속선을 재봉하게 된다.
즉, 상기의 재봉바늘(142)은 마지막의 결속선 끝단부를 로프(143)와 목줄 (144)에 견고하게 결속시키기 위해 로프(143)와 목줄(144)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재봉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지막 과정이 완료되면 고정판(101)의 승강용실린더(107)가 작동되면서 피스톤(108)들을 전진시켜 승강대(104),콘트롤박스(121),이송봉(112),압지체(113)들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압지체(113)의 압지홈(114)에 의해 압지되어 결속줄에 결속된 상태의 로프(143)와 목줄(144)도 탈압지 상태가 되므로 다른 부위를 결속하거나 외부로 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101-고정판 102-하측지지대
103-힌지축 104-승강대
105-상측지지대 106-지지편
107-승강용실린더 108-피스톤
109-고정체 111-승강판
112-이송봉 113-압지체
114-압지홈 121-콘트롤박스
122-전회전모터 123-회전축
124-구동기어 125-이송벨트
126-역회전모터 127-고정편
128-연결대 129-고정볼트
130-안내편 131-가이드판
132-가이드용실린더 133-피스톤
141-재봉기 142-재봉바늘
143-로프 144-목줄

Claims (3)

  1. 어망의 로프(143)에 그물이 설치되어 있는 목줄(144)을 결속줄에 의해 자동으로 결속시키기 위해 고정판(101)의 전방으로 결합되어 재봉바늘(142)을 안내하는 안내공을 관통형성하고 있고 목줄(144)과 로프(143)를 압지하기 위한 압지홈(114)을 저면부에 형성하고 있는 압지체(113)와,
    상기 압지체(113)가 목줄(144)과 로프(143)를 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후진 이송을 하도록 압지체(113)와 승강판(111)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개의 이송봉 (112)과,
    상기 이송봉(112)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이송봉(112)들을 하측부에 이송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안내편(130)이 부착된 승강대(104)와,
    상기 승강대(104)에 안착되는 콘트롤박스(121)의 내부로 내장되어 정,역회전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정,역회전모터(122)(126)들과,
    상기 정,역회전모터(122)(126)들의 회전축(123)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24)들 외주연부와 맞물림되어 회전 이동을 하는 이송벨트(125)와,
    상기 이송벨트(125)와 함께 이송봉(112)들이 이송할 수 있도록 이송봉(112)에 고정된 고정체(109)를 하측부로 연결하고 있고 상측부에는 이송벨트(125)를 고정편(127)과 고정볼트(129)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는 연결대(12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자동 결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체(113)가 승강 동작에 의해 목줄(144)과 로프(143)를 압지 및 탈압지시키기 위해 고정판(101)의 후측부 양측으로 상향 입설되는 하측지지대(102)와 승강대(104) 후측부 양측으로 하향 입설되는 상측지지대(105)들의 상호 회전이 용이토록 결합되는 힌지축(103)과,
    상기 힌지축(103)을 중심으로 승강대(104)와 승강대(104)에 결합된 이송봉 (112),승강판(111),압지체(113)들을 승강시키기 위해 승강대(104)의 상측면에 안착된 지지편(106)에 피스톤(108)을 연결시키고 있는 고정판(101)에 고정된 승강용실린더(107)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자동 결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체(113)에 의해 압지되는 로프(143)와 목줄(144)들이 압지체(113)에 형성된 압지홈(114)의 중심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압지체(113)의 양측으로 입설되는 다수개의 가이드판(131)과,
    상기 가이드판(131)들의 안내가 완료되면 압지체(113)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토록 후측으로 이동시켜 놓기 위해 가이드판(131)의 후측부와 피스톤(133)을 연결하고 있는 고정판(101)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용실린더(13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자동 결속 장치.
KR1020160095631A 2016-07-27 2016-07-27 어망 자동 결속장치 KR10179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31A KR101799998B1 (ko) 2016-07-27 2016-07-27 어망 자동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31A KR101799998B1 (ko) 2016-07-27 2016-07-27 어망 자동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998B1 true KR101799998B1 (ko) 2017-11-21

Family

ID=6080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631A KR101799998B1 (ko) 2016-07-27 2016-07-27 어망 자동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87B1 (ko) * 2018-04-27 2019-08-30 이상재 사절 및 풀림 방지 장치를 구비한 어망 결속용 재봉기
CN116537096A (zh) * 2023-06-29 2023-08-04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土建基坑挖掘的警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074B1 (ko) 2009-09-30 2010-01-21 승순이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KR101295409B1 (ko) 2013-04-05 2013-08-09 한우석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101335816B1 (ko) 2013-08-01 2013-12-03 박형기 어망 자동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074B1 (ko) 2009-09-30 2010-01-21 승순이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KR101295409B1 (ko) 2013-04-05 2013-08-09 한우석 해초류 포자 끈 결속장치
KR101335816B1 (ko) 2013-08-01 2013-12-03 박형기 어망 자동 결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87B1 (ko) * 2018-04-27 2019-08-30 이상재 사절 및 풀림 방지 장치를 구비한 어망 결속용 재봉기
CN116537096A (zh) * 2023-06-29 2023-08-04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土建基坑挖掘的警示装置
CN116537096B (zh) * 2023-06-29 2023-09-22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土建基坑挖掘的警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0061A (zh) 一种全自动缝纫机
KR101335816B1 (ko) 어망 자동 결속장치
KR20170114979A (ko) 재봉기
KR101799998B1 (ko) 어망 자동 결속장치
CN207582081U (zh) 一种全自动缝纫机的送料、出料机构
CN110644162A (zh) 一种涤纶长丝面料印染设备
CN106425367A (zh) 电磁阀铁芯组件装配机的铁芯杆上料机构
CN205907467U (zh) 一种用于缝纫机模板的旋转送料台
CN105831896B (zh) 汽车座椅儿童纽扣压装生产系统及其使用方法
CN207582082U (zh) 一种全自动缝纫机
KR20120064009A (ko) 재봉기 및 그의 구동 제어방법
CN202492226U (zh) 一种铺布机
KR20120064010A (ko) 재봉기 및 그의 구동 제어방법
CN207360727U (zh) 一种全自动泡沫扎布一体机
CN203096368U (zh) 一种缝纫机的x向送料结构
CN103723297A (zh) 一种滚道传送装置、纸箱输送装置、包角安放装置工作站
CN100585825C (zh) 超声波粗铝丝压焊机
CN202671835U (zh) 一种文胸搭扣机
CN1837439B (zh) 平缝机的抗皱装置
CN106115013A (zh) 链条自动折叠机构
CN103981643A (zh) 棉被包边牵引装置和控制方法
CN211283717U (zh) 一种床垫围边机
CN211620852U (zh) 一种涤纶长丝面料印染设备
CN103981642B (zh) 自动送料平缝机
CN204530138U (zh) 一种极厚料多线包缝机的送布与压脚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