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074B1 -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 Google Patents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074B1
KR100938074B1 KR1020090093109A KR20090093109A KR100938074B1 KR 100938074 B1 KR100938074 B1 KR 100938074B1 KR 1020090093109 A KR1020090093109 A KR 1020090093109A KR 20090093109 A KR20090093109 A KR 20090093109A KR 100938074 B1 KR100938074 B1 KR 100938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frame
winding
rotat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순이
Original Assignee
승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순이 filed Critical 승순이
Priority to KR102009009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수산물의 양식에 사용되는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용 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어 편리성과 더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식용 틀을 장착하여 회동 작동되는 권취수단과 이에 순차적으로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양식용 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어 편리성과 더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프레스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덮개 또한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까지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권취기, 권취수단, 회동장치, 실공급장치, 제1승하강수단, 프레스수단

Description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Auto winder for reeling in the cultivation frame}
본 발명은 각종 수산물의 양식에 사용되는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용 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어 편리성과 더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수산물 특히, 미역, 다시마 등을 양식하고자 할 때에는 수면 위에 양식용 틀을 설치한 뒤 이들이 붙어 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양식용 틀은 과거에서부터 다양한 형상으로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근래에 들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양식용 틀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은 종래의 양식용 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의 "가" 및 "나"는 종래의 양식용 틀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하면, 종래의 양식용 틀은 크게 바디와 덮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바디의 하면에는 환봉이 하향 돌설되어 있고, 그 상면 양 측으로는 실을 일정한 간격으로 감기 위한 V자 형상의 홈이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가 운데 부분에는 다수개의 돌기봉이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는 상기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어 홈에 감겨진 실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그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돌기봉에 결합되는 삽착공이 돌기봉 숫자와 간격에 맞게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양식용 틀은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틀을 일정거리 이격되게 대칭 시켜 놓고 그 외주연에 실을 감은 뒤 덮개를 결합시켜 고정 하여 하나의 구조물을 완성시켜 사용하는 것인데, 상기 실은 틀에 형성된 홈 마다 들어가도록 감게 된다. 이렇게 하여 완성된 양식용 틀은 미역, 다시마 등을 양식하는데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작업은 통상 현장에서 어부나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다 보니, 실을 감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들어감은 물론이고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원인 이였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이러한 수작업을 자동화시켜 어촌의 일손을 들어주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은 물론이고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식용 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어 편리성과 더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양식용 틀에 실을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자동 권취기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동장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동장치의 회동력으로 회동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양식용 틀을 이격되게 결합하여 회동 작동에 의해 그 양식용 틀의 외주연에 실을 권취하도록 하는 권취수단;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장치의 회동력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작동되면서 상기 권취수단에 결합된 양식용 틀의 외주연에 순차적으로 실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실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장치와 연결되어 회동 작동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부착되며, 내부에는 장착실이 형성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상하면에 각각 대칭되게 구비되어 상기 양식용 틀을 장착하는 것으로,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체의 장착실 내부에 설치된 제1승하강수단에 의해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착부재를 포 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양식용 틀을 결합하기 위해 상면에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공에는 양식용 틀을 고정하기 위해 측면을 통해서 나사 결합되는 나비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공급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회동장치의 회동력으로 회동 작동되는 볼트봉; 상기 볼트봉 하측에 길이 방향대로 구비되는 지지봉; 상기 볼트봉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이동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지지봉에 끼움되어 볼트봉의 회전 작동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양식용 틀의 외주연에 실이 순차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와 같이 이동되도록 일측면에 부착되며, 양식용 틀에 권취될 실의 실타래를 구비하여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급부는 상기 너트부재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에 돌설되어 실타래를 결합하는 결합체 및 상기 실타래로부터 풀려지는 실이 꼬임 없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하측에 실이 통과되는 고리가 각각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권취수단의 상측에 구비되어 양식용 틀의 덮개를 결합시킬 수 있는 프레스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스수단은 상기 프레임상에 상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에 설치되는 제2승하강수단; 상기 회전판 하측에서 상기 제2승하강수단에 부착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승하강부재 하측에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양식용 틀의 덮개를 압착하는 프레스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식용 틀을 장착하여 회동 작동되는 권취수단과 이에 순차적으로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양식용 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어 편리성과 더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프레스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덮개 또한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까지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 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권취기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100)는 크게 프레임(110), 회동장치(120), 권취수단(130) 및 실공급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프레스수단(150) 및 제어부(160)를 추가로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112)과, 상기 제1프레임(112)의 상면에 설치되되 좌우로 관통된 제2프레임(114)을 포함하며, 이 프레임(110)은 설치 장소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 구현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장치(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권취수단(130) 및 실공급장치(140)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권취수단(130)은 상기 프레임(11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프레임(11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상기 회동장치(120)의 회동력으로 회동 작동되어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양식용 틀(여기서는 미도시)을 이격되게 결합하여 회동 작동에 의해 그 양식용 틀의 외주연에 실을 권취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31), 상기 회전축(131)에 부착된 회전체(132) 및 상기 회전체(132)의 상하면에 각각 대칭 구비된 장착부재(133,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 또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실공급장치(140)는 상기 프레임(1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권취수단(130)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동장치(120)의 회동력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작동되면서 상기 권취수단(130)에 결합된 양식용 틀의 외주연에 순차적으로 실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프레임(110)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봉(141), 상기 볼트봉(141) 일측에 마련된 지지봉(142), 상기 볼트봉(141)과 지지봉(142)에 결합되는 너트부재(143) 및 상기 너트부재(143)에 구비되는 실공급부(145)를 포함하며, 이 또한 하기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스수단(150)은 상기 프레임(110),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수단(130)의 상측에 구비되도록 제2프레임(114) 상에 설치되어 권취수단(130)에 결합되는 양식용 틀의 덮개(여기서는 미도시)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 또한 하기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프레임(110)의 어느 일측 바람직하게 는 전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회동장치(120)의 작동제어, 권취수단(130)의 작동제어, 실공급장치(140)의 작동제어 및 프레스수단(150)의 작동제어를 하도록 구비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장치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회동장치(120)는 회동모터(122), 회동모터(122) 축에 결합되는 제1대기어(123), 프레임(110)상에 베어링(B)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봉(124), 상기 회동봉(124)에 결합되어 상기 제1대기어(123)와 체인(C)을 통해서 연결되어 회동봉(124)을 회전시키는 제1소기어(125), 상기 회동봉(124)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2대기어(126), 권취수단(130)의 회전축(131)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2대기어(126)와 체인(C)으로 연결되는 제2소기어(127), 상기 권취수단(130)의 회전축(131) 전측에 결합되는 제1풀리(128) 및 실공급장치(140)의 볼트봉(141)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풀리(128)와 벨트(B)로 연결되는 제2풀리(129)를 포함한다.
이를 살펴보면, 회동모터(122)의 회동력은 제1대기어(123)와 연결된 제1소기어(125)로 전달되고, 이와 동시에 제2대기어(126)와 연결된 제2소기어(127)로 전달되어 권취수단(130)의 회전축(131)을 회전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회전축(131)에 결합된 제1풀리(128)와 벨트(B)를 통해 연결된 제2풀리(129)가 동시에 회동 작동되면서 실공급장치(140)의 볼트봉(141)도 함께 회동 작동시키게 된다.
이로서, 하나의 회동모터(122)로 권취수단(130)의 회전축(131) 및 실공급장치(140)의 볼트봉(141)을 동시에 회동시키게 됨을 알 수 있으며, 그리고 풀리의 직격을 달리하여 상기 제1풀리(128)가 2회전 할 때 제2풀리(129)는 1회전 할 수 있는 비율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동모터(122)와 권취수단(130)의 회전축(131)을 직접 연결하지 않고 제1소기어(125) 및 제2대기어(126)를 통해서 연결되도록 한 것은 감속을 위해서이다. 물론, 감속을 위해서 감속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기어를 배열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의 "가" 및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권취수단(130)은 크게 회전축(131), 회전체(132), 장착부재(133,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31)은 프레임(110) 바람직하게는 제2프레임(114)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장치(120)의 제2소기어(127)와 제1풀리(128)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회동장치(120)에 의해서 회동 작동됨과 동시에 후술할 실공급장치(140)로 회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31)의 그 내부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13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 기 장착부재(133,133')의 작동을 위해 구비되는 제1승하강수단(136)으로 공압 혹은 유압을 전달하기 위해서 있다. 즉, 회전축(131)은 회전 작동되므로 이 회전 동작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압을 공급하도록 회전축(131) 내부를 관통시켜 놓고 그 끝단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로터리조인트(s)와 같은 회전공급체를 결합시켜 놓고 그 내부로 압을 이송하는 관로(s')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인 산업 현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31)이 지지되는 부분에는 미부호 설명이지만 통상적으로 베어링을 사용하여서 회전이 원활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체(132)는 상기 회전축(131)의 끝단에 부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131)의 관통공(131a)과 연통되는 장착실(132a)이 형성되어 같이 회동 작동되는 것으로, 그 상하면에는 절개공(132b)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32)의 전면에는 상/하/전측으로 개방된 브라켓(13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프레스수단(150)과의 고정을 위해서 구비되는 것으로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장착부재(133,133')는 상기 회전체(132)의 상하면에 각각 대칭되게 구비되어 여기서는 미도시된 양식용 틀을 장착하는 것으로, 상면에는 양식용 틀을 결합하기 위해 다수의 결합공(134)이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공(134) 측면에는 양식용 틀을 고정하기 위해 나사 결합되는 나비볼트(135)가 구비된다. 이 렇게 형성된 장착부재(133,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체(132)의 장착실 내부에 설치된 제1승하강수단(136)에 의해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체(132)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장착부재(133,133')는 회전체(132) 내부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승하강수단(136)에 의해서 각각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장착부재(133,133')의 어느 하나 혹은 둘 다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은 장착된 양식용 틀의 외주연에 실이 감기게 된 후 장착부재(133,133')로부터 양식용 틀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여유를 주기 위한 것으로 이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체(132)의 장착실(132a)에 설치된 제1승하강수단(136)은 공지된 공압 혹은 유압실린더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회전축(131)의 관통공(131a)으로 설치되어 회전체(132)의 장착실(132a) 내부로 연설된 관로(s')와 연결되어서 압을 공급받아 장착부재(133,133')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32)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된 장착부재(133,133')는 회전체(132)의 상하면에 형성된 절개공(132b)을 통해서 코일스프링(138)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는 장착부재(133,133')의 슬라이딩 작동 후 복원력을 향상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된 권취수단(13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7을 참조로 하면, 회전체(132)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된 장착부재(133,133') 중 상면에 구비된 장착부재(133)는 상측 방향으로, 하면에 구비된 장착부재(133')를 하측 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물론, 장착실(132a) 내부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 어 있는 제1승하강수단(136)에 두 장착부재(133,133')가 각각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두 장착부재(133,133')는 회전체(132)로부터 일정 거리 돌출되어져 최초 셋팅된 상태보다 서로 더 멀어진 그런 상태로 준비된다. 이때, 두 장착부재(133,133')에 양식용 틀(10)의 바디(12) 부분을 각각 결합하게 되는데, 바디(12)에 형성된 환봉(14)을 장착부재(133,133')의 결합공(134)에 삽입시킨 후 그 측면에 구비된 나비볼트(135)를 돌려 바디(12)에 결합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권취수단(130)에 양식용 틀(10)의 바디(12)를 결합 완료하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회동장치(120)로부터 회동력이 전달되면 권취수단(130)은 프레임(110)에 지지된 채 회동 작동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한편, 상기 양식용 틀(10)은 종래기술에서 언급하였듯이 크게 바디(12) 및 덮개(20)로 구성되며, 바디(12) 하면에는 다수의 환봉(14)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는 반복된 V자 형상의 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덮개(20)를 결합하기 위한 돌기봉(18)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20)는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돌기봉(18)으로 결합되는 삽착공(22)이 형성되어 있음을 인지해야 되며, 본원에서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도 8의 "가" 및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공급장치(140)는 크게 볼트봉(141), 지지봉(142), 너트부재(143) 및 실공급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트봉(141)은 여기서는 미도시되었으나 프레임(110)의 일측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베어링(B)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회동장치(120)의 회동력으로 회동 작동되는 것으로, 일측 끝단에는 전술한 권취수단(130)의 회전축(131)에 구비된 제1풀리(128)와 연결되는 제2풀리(12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142)은 상기 볼트봉(141) 하측에 길이 방향대로 구비되는 것으로, 일종의 환봉 형상을 가지며, 양 단부가 볼트봉(141)이 결합된 베어링(B)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143)는 상기 볼트봉(141)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이동공(144)이 형성되어서 상기 지지봉(142)에 끼움되어 볼트봉(141)의 회전 작동시 같이 회동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여기서는 미도시된 양식용 틀(10) 즉, 바디(12)의 외주연에 실이 순차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공급부(145)는 상기 너트부재(143)와 같이 이동되도록 일측면에 부착 되며, 양식용 틀의 바디에 권취될 실의 실타래를 구비하여 실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너트부재(143)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판재(146)와, 상기 판재(146)에 돌설되어 실타래를 결합하는 결합체(147) 및 상기 실타래로부터 풀려지는 실이 꼬임 없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하측에 실이 통과되는 고리(148a,148b)가 각각 형성된 가이드봉(148)을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된 실공급장치(14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즉, 도 9를 참조로 하면, 실공급부(145) 바람직하게 판재(146) 상에 돌설되어 있는 결합체(147)에는 실타래(30')가 결합되어 있고, 그 실타래(30')에 감겨져 있는 실(30)은 가이드봉(148)의 상측에 형성된 고리(148a) 및 하측에 형성된 고리(148b)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봉(141)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너트부재(143)는 그 하면에 형성된 이동공(144)과 지지봉(142)의 결합관계로 인해 회동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작동되는 것이다.
도 10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C-C선 단면도이며, "다"는 "가"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프레스수단(150)은 크게 지주(151), 회전판(152), 제2승하강수단(153), 승하강부재(154) 및 프레스판(1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151)는 여기서는 미도시되었으나 프레임(110) 바람직하게 제2프레임(114) 상에 상측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152)은 상기 지주(151)에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전면에는 전술한 권취수단(130)의 회전체(132) 전면에 형성된 브라켓(137)으로 결합되는 레버(15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레버(158)의 하단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져 브라켓(137)으로 결합시 그 절곡부가 브라켓(137) 하면에 밀착되어 서로 단단히 결속되도록 한다.
상기 제2승하강수단(153)은 상기 회전판(152)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승하강수단(136)과 마찬가지로 공압 혹은 유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재(154)는 상기 회전판(152) 하측에서 상기 제2승하강수단(153)에 부착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것으로, I빔이나 H빔 같은 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판(155)은 상기 승하강부재(154) 하측에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여기서는 미도시된 양식용 틀의 덮개를 압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그 하면에는 양식용 틀의 바디 상면에 형성된 돌기봉을 압착하여 덮개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반홈(155a)이 돌기봉 개수에 맞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판(155)의 양 측면에는 압착시 양식용 틀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15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스판(155)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승하강부재(154)에는 홀(154a)을 형성하고, 그 홀(154a)의 상측으로부터 볼트(156)를 삽입하고, 볼트(156) 외주연으로 탄성스프링(157)을 구비시킨 뒤 프레스판(155)을 볼트(156)에 나사 결합시켜 구현하게 된다. 물론, 상기 승하강부재(154)에 형성된 홀(154a)은 볼트(15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서로 결합하지 못하도록 하며, 프레스판(155) 만이 볼트(156)와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프레스판(155)은 볼트(156)에 의해서 승하강부재(154) 하면에 지지되어 같이 승하강 작동은 되나 프레스판(155)이 지면에 닿게 되면 프레스판(155)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승하강부재(154) 쪽으로 상승되었다가 닿지 않게 되면 다시 복원되는 등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권취수단(130), 실공급장치(140) 및 프레스수단(150)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과 실공급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고, "나"는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권취수단(130)의 회전체(132) 상하면에 각각 구 비된 장착부재(133,133')를 제1승하강수단(136)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서 회전체(132)에서 일정거리 멀어지게 작동시킨 뒤 그 장착부재(133,133')에 양식용 틀(10)의 바디(12)를 각각 결합하게 된다. 이 결합관계는 이미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 뒤, 그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실공급장치(140)의 실공급부(145)에 구비되어 있는 실타래(30')의 실 끝단을 연장시켜 장착부재(133)에 장착되어 있는 양식용 틀(10)의 바디(12)에 묶어 주게 되면 준비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권취수단(130)의 회전축(131)과 실공급장치(140)의 볼트봉(141)은 회전축(131)에 구비된 회동장치(120)의 제1풀리(128)와 볼트봉(141)에 구비된 제2풀리(129)를 연결하는 벨트(B)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권취수단(130)의 회전축(131)이 회동 작동되면 같이 회동 작동될 것이다. 그러나 제1풀리(128)와 제2풀리(129)는 그 직경이 서로 상이하므로 회전수를 달리 할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제1풀리(128)가 2회전할 때 제2풀리(129)는 1회전하도록 셋팅됨을 인지해야 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권취수단(130)의 회전체(132)에는 상하면에 각각 장착부재(133,133')가 마련되어 양식용 틀의 바디(12)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볼트봉(141)의 1회전시 회전체(132)는 2회전을 해야만 실이 상하측에 각각 구비된 바디의 외주연을 한번 감게 되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회동장치(120)에 의해서 권취수단(130)의 회전축(131)이 회동 작동을 시작하면 회전체(132) 및 실공급장치(140)의 볼트봉(141) 또한 같이 회동을 시작하게 되고, 상기 회전체(132)의 회전으로 인해 장착부재(133,133')에 장착된 양식용 틀(10)의 바디(12) 외주연에는 실공급부(145)에 구비된 실(30)이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공급장치(140)의 너트부재(143) 및 이에 설치된 실타래(30')는 볼트봉(141)의 회동시 파선으로 도시된 부분으로 이동되므로 한곳에 실이 감기지 않고 한줄씩 순차적으로 감기게 되는 것이다.
즉,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용 틀(10)의 바디(12) 상면에 반복 형성된 V자 형상의 홈(16)에 실이 순차적으로 감기게 된다. 이렇게 하여 양식용 틀의 바디(12) 일측에서 시작된 실(30)이 타측 끝으로 이동되면 회동장치(120)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때, 바디(12)의 일측에서 타측 끝까지 실을 감는 시간이 30초 정도 걸린다고 가정하면, 시작 후 27초경에 회동장치(120)의 회동모터(122) 전원을 단락시키도록 미리 셋팅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나머지 3초는 비록 회동장치(120)는 작동은 멈췄지만 회동되던 회동력에 의해서 돌아가게 될 것이므로 권취 작동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필요시 작업자가 회전체(132)를 잡고 회동 작동을 멈춰도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상 문제가 없을 것이다.
이렇게 하여 실공급장치(140)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권취수단(130)의 회동작동에 의해 양식용 틀의 바디(12)에 감게 되면 작업자는 실(30)의 일단을 절단하여 권취 공정을 완료하게 되는데, 제1승하강수단(136)에 의해서 회전체(132)로부터 멀어졌던 두 장착부재(133,133')를 다시 복귀시키게 되면 외주연에 긴장감 있게 팽팽 하게 감긴 실은 그 만큼 여유가 생기므로 장착부재(133,133')의 결합공(134)으로 장착되었던 양식용 틀의 바디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바디(12) 외주연에 감긴 실의 긴장감을 풀고 장착부재(133,133')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덮개(20)를 결합해야 외주연에 감긴 실이 이탈되지 않게 될 것인데, 이제 하기에서는 이 덮개(20)의 결합공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과 프레스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권취수단(130)의 장착부재(133)와 프레스수단(150)을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뒤 프레스수단(150)의 회전판(152) 전면에 구비된 레버(158)를 하향 회동시켜 권취수단(130)의 회전체(132) 전면에 형성된 브라켓(137)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권취수단(130)과 프레스수단(150)은 레버(158) 및 브라켓(137)을 통해 일체화 된다. 그런 뒤, 작업자는 권취수단(130)의 장착부재(133)에 장착되어 실(30)이 감겨져 있는 양식용 틀(10)의 바디(12) 상면에 덮개(20)를 결합하되 바디(12)에 형성된 돌기봉(18)이 덮개(20)의 삽착공(22)을 삽입 관통하도록 결합하게 된다. 이후, 프레스수단(150)의 제2승하강수단(153)을 하향 작동시켜 승하강부재(154) 및 그 하면에 탄성 결합되어 있는 프레스판(155)을 하향 작동시켜 프레스판(155)이 덮개(20)의 삽착공(22)을 통해 돌출된 돌기봉(18)을 압착하도록 한 뒤 다시 원상태로 복귀 된다. 이때, 상기 프레스판(155)이 돌기봉(18)을 압착하게 되면 돌기봉(18) 자체가 삽착공(22)의 내경보다 더 크게 납작해지면서 덮개(20)의 삽착공(22)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밀착되므로 더 이상 덮개(20)는 바디(12)에서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프레스판(155) 하면에는 돌기봉(18)을 반원 형상으로 압착하기 위한 반홈(155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압착 작용이 더욱 원활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판(155)의 하면에는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압착 작용시 양식용 틀의 바디(12) 양측을 고정시켜 주므로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권취수단(130)의 회전체(132)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하측에 구비되어 있던 양식용 틀의 바디(12)에 다시 덮개(20)를 결합하고 상기의 작동을 반복하여 두 바디(12)에 덮개(20)를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덮개(20) 결합 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덮개(20) 결합 공정까지 완료하고 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권취수단(130)의 장착부재(133,133')를 회전체 쪽으로 근접시켜 줄(30)이 감긴 양식용 틀(10)을 장착부재(133,133')로부터 분리시켜 종래와 같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권취수단(130)의 회동작동과 실공급장치(140)의 순차적인 실공급으로 인해 두 양식용 틀의 바디(12) 외주연에 실을 신속하게 감을 수 있었고, 프레스수단(150)의 압착 작동으로 덮개(20)를 바디(12)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구성요소를 가지는 본 발명의 권취기의 전체적인 작동 관계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권취기의 전체 작동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작업자는 프레스수단(150)의 지주(151)를 매개로 회전판(152)을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켜 그 하측에 구비된 권취수단(130)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 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식용 틀(10)의 바디(12)를 권취수단(130)의 상하측에 구비된 장착부재(133,133')에 고정 결합시키고, 실공급장치(140)로부터 실(30)을 연장시켜서 상기 양식용 틀의 바디(12)의 일측 끝단에 체결하게 된다. 물론, 상기 실공급장치(140)의 실공급부(145)에는 실타래(30')를 미리 설치하게 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그리고, 제어부(160)에는 회동장치(120)가 27초 작동되면 회동모터(122)의 전원을 단락시키도록 미리 셋팅된다.
이제, 작업자는 제어부(160)를 통해서 회동장치(120)를 작동시키게 된다. 회동장치(120)가 작동되면 이 회동력을 매개로 권취수단(130)이 회동 작동됨과 아울러 실공급장치(140)의 볼트봉(141)이 회동되면서 실공급부(145)는 전측으로 이동되어져 실(30)이 권취수단(130)의 회전체(132) 즉, 회전체(132)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된 장착부재(133,133')에 장착된 양식용 틀의 바디(12) 외주연에 순차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60)에는 권취수단(130)과 실공급장치(140)를 회동시키는 회동모터(122)가 27초 정도 회전되면 단락시키도록 이미 셋팅되어 있으므로 그 시간대가 되면 회동모터(122)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락시키게 된다. 비록 회동모터(122)의 전원은 단락되었지만 회동되던 회동력으로 인해 3초 정도 더 회전되면서 "나"와 같이 양식용 틀의 바디(12) 외주연 전체에 실(30)을 권 취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실(30) 권취공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프레스수단(150)의 회전판(152)을 권취수단(130)의 회전체(132)와 동일 수직선상이 되도록 회전시킨 뒤 레버(158)를 하향 회동시켜 권취수단(130)의 회전판(152) 전측에 구비된 브라켓(137)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덮개(20)를 양식용 틀의 바디(12) 상면에 결합시킨 뒤 제어부(160)를 통해서 프레스수단(150)을 작동시켜 압착시킴으로써 덮개(20)를 바디(12)에 고정 결합시키고, 덮개(20)가 결합되어 있지 않는 바디(12)가 다시 상측으로 위치되게끔 회전체(132)를 회동시킨 뒤 다시 덮개(20)를 결합하고 프레스수단(150)으로 압착시켜 덮개를 결합하는 공정까지 완료하게 된다.
물론, 여기서는 미설명하였지만 권취수단(130)의 장착부재(133,133')는 회전체(132)에 설치된 제1승하강수단(136)에 의해서 회전체(132)를 중심으로 승하강 작동되므로 권취 작동을 할 때에는 회전체(132)에서 멀어지도록 하고, 완료 후에는 다시 원상태로 근접시키는 작동을 통해서 양식용 틀을 쉽게 분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취기(100)는 양식용 틀(10)을 장착하여 회동 작동되는 권취수단(130)과 이에 순차적으로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장치(14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양식용 틀(10)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어 편리성과 더 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프레스수단(150)이 구비되어 있어 덮개(20) 또한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까지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양식용 틀을 보인 사시도.
도 2의 "가" 및 "나"는 종래의 양식용 틀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권취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장치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10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C-C선 단면도이며, "다"는 "가"의 D-D선 단면도.
도 1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과 실공급장치 의 작동 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고, "나"는 개략적 종단면도.
도 12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과 프레스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13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권취기의 전체 작동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양식용 틀 12 : 바디
14 : 환봉 16 : 홈
18 : 돌기봉 20 : 덮개
22 : 삽착공 30 : 실
100 : 자동 권취기 110 : 프레임
112 : 제1프레임 114 : 제2프레임
120 : 회동장치 122 : 회동모터
123 : 제1대기어 124 : 회동봉
125 : 제1소기어 126 : 제2대기어
127 : 제2소기어 128 : 제1풀리
129 : 제2풀리 C : 체인
D : 벨트 B : 베어링
130 : 권취수단 131 : 회전축
131a : 관통공 132 : 회전체
132a : 장착실 132b : 절개공
133,133' : 장착부재 134 : 결합공
135 : 나비볼트 136 : 제1승하강수단
137 : 브라켓 s : 로터리조인트
s' : 관로 140 : 실공급장치
141 : 볼트봉 142 : 지지봉
143 : 너트부재 144 : 이동공
145 : 실공급부 146 : 판재
147 : 결합체 148 : 가이드봉
148a, 148b : 고리 150 : 프레스수단
151 : 지주 152 : 회전판
153 : 제2승하강수단 154 : 승하강부재
154a : 홀 155 : 프레스판
156 : 볼트 157 : 탄성스프링
158 : 레버

Claims (7)

  1. 한 쌍의 양식용 틀에 실을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자동 권취기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동장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동장치의 회동력으로 회동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양식용 틀을 이격되게 결합하여 회동 작동에 의해 그 양식용 틀의 외주연에 실을 권취하도록 하는 권취수단;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장치의 회동력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작동되면서 상기 권취수단에 결합된 양식용 틀의 외주연에 순차적으로 실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실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장치와 연결되어 회동 작동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부착되며, 내부에는 장착실이 형성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상하면에 각각 대칭되게 구비되어 상기 양식용 틀을 장착하는 것으로,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체의 장착실 내부에 설치된 제1승하강수단에 의해 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양식용 틀을 결합하기 위해 상면에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공에는 양식용 틀을 고정하기 위해 측면을 통해서 나사 결합되는 나비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공급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회동장치의 회동력으로 회동 작동되는 볼트봉;
    상기 볼트봉 하측에 길이 방향대로 구비되는 지지봉;
    상기 볼트봉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이동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지지봉에 끼움되어 볼트봉의 회전 작동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양식용 틀의 외주연에 실이 순차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와 같이 이동되도록 일측면에 부착되며, 양식용 틀에 권취될 실의 실타래를 구비하여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너트부재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에 돌설되어 실타래를 결합하는 결합체 및 상기 실타래로부터 풀려지는 실이 꼬임 없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하측에 실이 통과되는 고리가 각각 형성된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권취수단의 상측에 구비되어 양식용 틀의 덮개를 결합시킬 수 있는 프레스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수단은
    상기 프레임상에 상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는 제2승하강수단;
    상기 회전판 하측에서 상기 제2승하강수단에 부착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승하강부재 하측에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양식용 틀의 덮개를 압착하는 프레스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KR1020090093109A 2009-09-30 2009-09-30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KR100938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109A KR100938074B1 (ko) 2009-09-30 2009-09-30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109A KR100938074B1 (ko) 2009-09-30 2009-09-30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074B1 true KR100938074B1 (ko) 2010-01-21

Family

ID=4181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109A KR100938074B1 (ko) 2009-09-30 2009-09-30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0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8713A (zh) * 2015-05-15 2015-07-29 福建农林大学 一种牡蛎养殖串半自动化生产装置
KR101799998B1 (ko) 2016-07-27 2017-11-21 박형기 어망 자동 결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056U (ko) * 1994-06-02 1996-01-17 최춘배 양식용 채묘틀
KR19980010501U (ko) * 1996-08-08 1998-05-15 정석영 양식어업용 채묘틀
KR20080085129A (ko) * 2008-09-03 2008-09-23 삼덕물산 주식회사 비닐시트 무지관 권취장치
KR20090005717U (ko) * 2007-12-07 2009-06-11 장민수 우렁쉥이(멍게) 종사 자동감기기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056U (ko) * 1994-06-02 1996-01-17 최춘배 양식용 채묘틀
KR19980010501U (ko) * 1996-08-08 1998-05-15 정석영 양식어업용 채묘틀
KR20090005717U (ko) * 2007-12-07 2009-06-11 장민수 우렁쉥이(멍게) 종사 자동감기기계
KR20080085129A (ko) * 2008-09-03 2008-09-23 삼덕물산 주식회사 비닐시트 무지관 권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8713A (zh) * 2015-05-15 2015-07-29 福建农林大学 一种牡蛎养殖串半自动化生产装置
CN104798713B (zh) * 2015-05-15 2017-01-25 福建农林大学 一种牡蛎养殖串半自动化生产装置
KR101799998B1 (ko) 2016-07-27 2017-11-21 박형기 어망 자동 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289B1 (ko) 전복양식 그물망용 재봉기
KR20100004901A (ko)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KR100938074B1 (ko) 양식용 틀에 실을 감기 위한 자동 권취기
CN101342791A (zh) 巨型工程轮胎钢丝圈包布缠绕机
CN111591828A (zh) 一种电线电缆生产制造绕线机
CN105394002A (zh) 一种拆分式贻贝收割装置
CN202064645U (zh) 一种钢筋自动绑扎器
CN109371584B (zh) 一种缝制送线装置
KR100745209B1 (ko) 수산물 인양기
KR101395298B1 (ko) 종균 삽입장치
CN1256476C (zh) 双线锁缝缝纫机
CN209488072U (zh) 一种绕线机剥漆行程控制装置
CN207998375U (zh) 一种具有引导机构的自动绕线机
CN206993777U (zh) 一种脱扣机构
CN203127933U (zh) 一种石棉绳缠绕机
CN111528134A (zh) 一种畜牧养殖牛角切割装置
CN203053317U (zh) 一种花炮洗筒机的成型系统
CN105010087A (zh) 便携式木材采集机
CN109121795A (zh) 用于绿化带灌木的气动式修剪器械
CN201410652Y (zh) 抱箍式垂直万向棘轮拉紧器
CN201461855U (zh) L型垂直万向棘轮拉紧器
CN210737139U (zh) 一种全自动织袜机上袜子的整平装置
CN214758358U (zh) 一种绿化带用灌溉除尘系统
CN103203610A (zh) 缝合线自动装配机
CN108834612A (zh) 用于灌木修剪的宽幅气动修剪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