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870B1 -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870B1
KR101797870B1 KR1020160102938A KR20160102938A KR101797870B1 KR 101797870 B1 KR101797870 B1 KR 101797870B1 KR 1020160102938 A KR1020160102938 A KR 1020160102938A KR 20160102938 A KR20160102938 A KR 20160102938A KR 101797870 B1 KR101797870 B1 KR 10179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video call
time value
side frame
fram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남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6010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870B1/ko
Priority to JP2017154440A priority patent/JP7029902B2/ja
Priority to US15/674,595 priority patent/US101295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04L43/0858One way d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은,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은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1 시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2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은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시간 값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시간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1 시간 값 및 상기 추출된 제2 시간 값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QUALITY OF VIDEO CALL}
아래의 설명은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영상통화는 화면으로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나누는 통화로서, 영상과 소리를 전달하여 사람들끼리 실시간으로 의사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영상통화의 품질을 나타내는 요소의 예로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시하는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영상통화의 품질은 네트워크 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변화할 수 있어, 실제 영상통화 서비스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시하는 FPS에 따른 영상통화 품질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서비스 제공자가 제시하는 초당 프레임 수와 같은 요소가 영상통화의 품질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상통화의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레퍼런스 영상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99903호는 영상 통화 호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착신측 영상 단말에서 대체 영상을 발신측 영상 단말로 전송하면 발신측 영상 단말이 발신측 영상 통화 품질 측정기로 대체 영상을 전송하고, 발신측 영상 통화 품질 측정기는 대체 영상과 레퍼런스 영상을 비교하여 통화 품질을 측정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순히 전송되는 영상과 비교 영상간의 비교를 통해 영상통화의 품질을 측정할 뿐, 영상통화 품질의 측정을 위한 객관적인 파라미터들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자료: <PCT/KR/2014/010167, US20140019540A1, US20130332543A1, US20130260893>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와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가 특정 시간 값을 포함하도록 하고,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여 이러한 특정 시간 값들을 추출 및 활용하여 영상통화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파라미터들을 제시할 수 있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간의 엔드-투-엔드 딜레이(end-to-end delay),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 프레임 간격(frame interval), 최대 신호 대 잡음비(peak signal-to-noise ratio, PSNR)와 같은 다양한 객관적인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는 단계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은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1 시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2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시간 값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시간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1 시간 값 및 상기 추출된 제2 시간 값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고,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은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1 시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2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시간 값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시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시간 값 및 상기 추출된 제2 시간 값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은,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도록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은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1 시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2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시간 값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시간 값을 추출하도록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1 시간 값 및 상기 추출된 제2 시간 값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와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가 특정 시간 값을 포함하도록 하고,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여 이러한 특정 시간 값들을 추출 및 활용하여 영상통화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파라미터들을 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간의 엔드-투-엔드 딜레이(end-to-end delay),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 프레임 간격(frame interval), 최대 신호 대 잡음비(peak signal-to-noise ratio, PSNR)와 같은 다양한 객관적인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통화 품질 측정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자 기기(330)의 표시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엔드-투-엔드 지연을 계산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간격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은 이후 설명될 전자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은 전자 기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자 기기는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제1 전자 기기 및 제2 전자 기기와는 다른 별도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로서 구현되어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여 영상통화 품질 측정을 위한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기기는 제2 전자 기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되는 기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는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중 적어도 하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을 위해 구현되는 별도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일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 1(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제1 서비스로서 영상통화 서비스를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서버(160)는 제2 서비스로서 영상통화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영상통화 품질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 2에서는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상술한 전자 기기 1(110) 또는 서버(15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1, 2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 1(110)나 서버(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서버(15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 1(110) 및/또는 서버(150)가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15)는 전자 기기 1(1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5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서버(150)와 연결되거나 서버(15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통화 품질 측정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 제1 전자 기기(320), 제2 전자 기기(330) 및 영상통화 서비스 서버(340)를 나타내고 있다.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 제1 전자 기기(320) 및 제2 전자 기기(330) 각각은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 1(110)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통화 서비스 서버(340)는 앞서 설명한 서버(150)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자 기기(320) 및 제2 전자 기기(3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하는 두 개의 단말들일 수 있으며, 영상통화를 위한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서비스 서버(340)는 제1 전자 기기(320)와 제2 전자 기기(330)간에 영상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떻게 영상통화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기술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두 단말간의 영상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기술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기기(320) 및 제2 전자 기기(330)간에 송수신되는 영상의 프레임들 각각은 기설정된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자 기기(320) 및 제2 전자 기기(330)에서 영상의 프레임들 각각은 대응하는 시간 값과 함께 제1 전자 기기(320) 및 제2 전자 기기(33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는 적어도 영상의 프레임들이 포함하는 시간 값을 추출 및 활용하여 영상통화의 품질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는 제2 전자 기기(330)의 표시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가 캡쳐하는 제2 전자 기기(330)의 표시화면에는 제1 전자 기기(320)가 제2 전자 기기(330)로 전송한 프레임 이미지와 제1 시간 값이 표시될 수 있고, 제2 전자 기기(330)가 제1 전자 기기(320)로 전송하는 프레임 이미지와 제2 시간 값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는 영상처리를 통해 캡쳐된 표시화면을 분석하여 제1 시간 값과 제2 시간 값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제1, 2 시간 값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의 측정을 위한 다양한 파리미터들을 계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자 기기(330)의 표시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표시화면(410)은 제2 전자 기기(330)의 화면 예로서 제1 전자 기기(320)로부터 수신된 제1 전자 기기(320)측 프레임 이미지(411)와 제2 전자 기기(330)에서 제1 전자 기기(320)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의 제2 전자 기기(330)측 프레임 이미지(412)가 표시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320)측 프레임 이미지(411)는 제1 시간 값(413)을 포함하여 제1 시간 값(413)이 표시화면(410)에 더 표시됨을 나타내고 있고, 제2 전자 기기(330)측 프레임 이미지(412)는 제2 시간 값(414)을 포함하여 제2 시간 값(413)이 표시화면(410)에 더 표시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는 카메라(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420)를 통해 제2 전자 기기(330)의 표시화면(410)을 촬영 및 캡쳐할 수 있다. 또한,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는 캡쳐된 표시화면(410)에서 제1 시간 값과 제2 시간 값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제1 시간 값과 추출된 제2 시간 값에 기반하여 영상통화 품질의 측정을 위한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화면(410)에 나타나는 프레임 이미지들과 시간 값들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는 지속적으로 표시화면(410)을 촬영 및 캡쳐하고, 지속적으로 시간 값들을 추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통화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30 FPS로 영상통화를 서비스하고 있다고 제시한 경우,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는 30 FPS로 표시화면(410)을 캡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시화면(410)에 대해 초당 30 프레임을 캡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1(110)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화면 캡쳐부(510), 시간 값 추출부(520) 및 파라미터 계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2)는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결정부(540) 및 최대 신호 대 잡음비 계산부(55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6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610 내지 650)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전자 기기 1(11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1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가 상술한 제어 명령에 따라 표시화면을 캡쳐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12)의 기능적 표현으로 표시화면 캡쳐부(510)가 사용될 수 있다.
단계(610)에서 표시화면 캡쳐부(510)는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는 앞서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제1 전자 기기(320) 및 제2 전자 기기(330)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네트워크(170)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캡쳐된 표시화면은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 및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1 시간 값,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2 시간 값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시간 값 추출부(520)는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1 시간 값을 추출할 수 있고,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2 시간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시간 값은 캡쳐된 표시화면에 표시된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값일 수 있으며, 제2 시간 값은 캡쳐된 표시화면에 표시된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간의 영상통화는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 각각이 동일한 소스 영상을 영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테스트 영상통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들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의 연속적인 시간 값들을 순차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영상의 첫 번째 프레임은 "00:00:00:010"와 같이 00시 00분 00초 10밀리초와 같은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음 프레임인 두 번째 프레임은 "00:00:00:020"와 같이 00시 00분 00초 20밀리초와 같은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두 시간 값간의 시간 간격은 10밀리초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테스트 영상통화를 위해 제1 전자 기기에서 제2 전자 기기로 전송되는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프레임들 중 제1 프레임으로서, 제2 전자 기기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1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값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테스트 영상통화를 위해 제2 전자 기기에서 제1 전자 기기로 전송될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프레임들 중 제2 프레임으로서 제2 전자 기기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시간 값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2 프레임들과 제1, 2 시간 값들이 표시된 예를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 있다.
단계(630)에서 파라미터 계산부(530)는 추출된 제1 시간 값 및 추출된 제2 시간 값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계산부(530)는 제2 시간 값과 제1 시간 값간의 차이값을 제2 전자 기기와 제1 전자 기기간의 엔드-투-엔드 딜레이(end-to-end delay)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계산할 수 있다.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에 동시에 표시되는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와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네트워크상의 지연이나 기타 다른 지연으로 인해 소스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이 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와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서로 다른 시간 값을 갖게 되며, 이러한 서로 다른 시간 값의 차이값을 통해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간의 전체 지연을 계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엔드-투-엔드 지연을 계산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화면(410)에서 시간 값들로서 "00:00:00:100"(710)와 "00:00:00:200"(720)가 각각 표시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시간 값 추출부(520)는 캡쳐된 표시화면에서 제1 시간 값 "00:00:00:100"와 제2 시간 값 "00:00:00:200"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값의 추출은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기 위한 잘 알려진 영상 분석 기법들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파라미터 계산부(530)는 점선박스(73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시간 값 "00:00:00:200"와 제1 시간 값 "00:00:00:100"의 차이값을 계산하여 엔드-투-엔드 지연으로서 100 밀리초를 얻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전자 기기(330)에서 제2 시간 값 "00:00:00:200"인 프레임 이미지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 지연 등에 의해 제1 전자 기기(320)로부터는 제1 시간 값 "00:00:00:100"인 프레임 이미지가 수신되어 서로 다른 시간 값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들이 제2 전자 기기(330)의 표시화면(410)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시간 값과 제1 시간 값의 차이값은 영상통화에서 두 단말들(제1 전자 기기(320)와 제2 전자 기기(330))간에 실제로 발생된 지연값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화면 캡쳐부(510)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표시화면들을 캡쳐할 수 있다. 이때, 파라미터 계산부(530)는 복수의 표시화면들 각각에서 추출되는 복수의 제1 시간 값들에 기반하여, 소스 영상의 서로 연속된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값들간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값 중 최소값의 역수를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계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간격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송신측에서 50 fps로 소스 영상의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초당 50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송신측은 20 밀리초의 간격으로 프레임들이 전송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제로는 정확하게 20 밀리초의 간격으로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나 네트워크 지연이나 장애로 인해 수신측은 일정한 간격으로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없다. 이때, 파라미터 계산부(530)는 캡쳐되는 복수의 표시화면들로부터 복수의 제1 시간 값들을 추출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시간 값들간의 차이값을 연속된 프레임들(일례로, 프레임 n과 프레임 n-1)간의 프레임 간격(frame interval)으로서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파라미터 계산부(530)는 가장 작은 차이값, 다시 말해 가장 작은 프레임 간격의 역수를 초당 프레임 수로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작은 프레임 간격이 100 밀리초라면 100 밀리초의 역수를 통해 10(=1000/100) fps가 초당 프레임 수로서 계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제공자가 제시하는 초당 프레임 수가 50 fps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관점에서 실제 측정되는 초당 프레임 수는 10 fps로 측정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와 같이 25 밀리초가 프레임 간격의 최소값이라면, 40(=1000/25) fps가 측정된 초당 프레임 수가 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파라미터 계산부(530)는 계산된 차이값을 소스 영상의 프레임들간의 프레임 간격(frame interval)으로 이용하여 프레임 간격에 대한 이동평균 및 누적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파라미터로서 계산할 수 있다. 프레임 간격은 영상이 사용자에게 얼마나 부드럽게 보여지는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 간격을 vfdt(video frame delta)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vfdt(n)은 서로 연속된 프레임 n과 프레임 n-1간의 프레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vfdt(n)의 이동평균을 MA(n), vfdt(1)부터 vfdt(n)까지의 누적분포를 CDF(n)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평균 MA(n)는 일례로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6078579805-pat00001
여기서, "a"는 과거값의 비중을 위한 가중치를, "b"은 현재값의 비중을 위한 가중치를 각각 의미할 수 있으며, 현재값의 비중을 크게 할수록 프레임 간격이 일정하지 못한 정도가 이동평균 MA(n)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반영될 수 있다. 일례로 a는 0.9의 값을, b는 0.1의 값을 갖도록 기설정될 수 있으며, a와 b의 합은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계산된 이동평균을 시간을 X-축으로 갖는 그래프를 통해 나타내는 경우 체감 품질의 변화 관찰이 가능하다.
또한, 누적분포 CDF(n)는 네트워크 장애나 기능 개발에 의해 체감 품질의 개선 여부를 비교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누적분포 CDF(n)가 하나의 값으로 유지될수록 영상이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재생됨을 의미할 수 있으며, 누적분포 CDF(n)의 중간값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fps가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40)에서 프레임 결정부(540)는 소스 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310)는 소스 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캡쳐된 표시화면의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프레임들 중에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프레임 결정부(540)는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시간 값과 동일한 시간 값을 갖는 프레임을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프레임들 중에서 찾을 수 있다.
단계(650)에서 신호 대 잡음비 계산부(550)는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와 결정된 프레임간의 최대 신호 대 잡음비(peak signal-to-noise ratio, PSNR)를 계산할 수 있다. 이미지들간의 품질 측정을 위해 최대 신호 대 잡음비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 URL에서와 같이 잘 알려진 방식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http://homepages.inf.ed.ac.uk/rbf/CVonline/LOCAL_COPIES/VELDHUIZEN/node18.html"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간의 엔드-투-엔드 딜레이(end-to-end delay),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 프레임 간격(frame interval), 최대 신호 대 잡음비(peak signal-to-noise ratio, PSNR)와 같은 다양한 객관적인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전자 기기 및 제2 전자 기기와는 별도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을 측정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에 설치 및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때,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가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한 것과 달리, 제2 전자 기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자신의 표시화면을 캡쳐하여 제1, 2 시간 값들을 추출할 수 있고, 제1, 2 시간 값들에 기반하여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기기가 소스 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전자 기기는 미리 저장된 소스 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선택된 프레임과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비교하여 최대 신호 대 잡음비 역시 계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기기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제2 전자 기기(330)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1 전자 기기(110)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제2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는 제2 전자 기기에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910 내지 95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제2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는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도록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기기가 자신의 화면을 캡쳐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제2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는 캡쳐된 표시화면을 분석하여,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제1 시간 값 및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제2 시간 값을 추출하도록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제2 전자 기기의 메모리에 로딩된 제1, 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1, 2 시간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930)에서 제2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는 추출된 제1 시간 값 및 추출된 제2 시간 값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파라미터의 예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엔드-투-엔드 딜레이(end-to-end delay),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 프레임 간격(frame interval), 프레임 간격의 이동평균 및 누적분포 등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940)에서 제2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는 소스 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결정하도록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950)에서 제2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는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와 결정된 프레임간의 최대 신호 대 잡음비를 계산하도록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와 관련하여 생략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와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가 특정 시간 값을 포함하도록 하고,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여 이러한 특정 시간 값들을 추출 및 활용하여 영상통화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파라미터들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간의 엔드-투-엔드 딜레이(end-to-end delay),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 프레임 간격(frame interval), 최대 신호 대 잡음비(peak signal-to-noise ratio, PSNR)와 같은 다양한 객관적인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는 단계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은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1 시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2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시간 값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시간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1 시간 값 및 상기 추출된 제2 시간 값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캡쳐하는 단계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표시화면들을 캡쳐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표시화면들 각각에서 추출되는 복수의 제1 시간 값들에 기반하여, 소스 영상의 서로 연속된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값들간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이값 중 최소값의 역수를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전자 기기 각각이 동일한 소스 영상을 영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테스트 영상통화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들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의 연속적인 시간 값들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테스트 영상통화를 위해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전송되는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프레임들 중 제1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간 값과 함께 표시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테스트 영상통화를 위해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전송될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프레임들 중 제2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시간 값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시간 값과 상기 제1 시간 값간의 차이값을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상기 제1 전자 기기간의 엔드-투-엔드 딜레이(end-to-end delay)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전자 기기 각각이 동일한 소스 영상을 영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테스트 영상통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차이값을 상기 소스 영상의 프레임들간의 프레임 간격(frame interval)으로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간격에 대한 이동평균 및 누적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파라미터로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전자 기기 각각이 동일한 소스 영상을 영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테스트 영상통화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와 상기 결정된 프레임간의 최대 신호 대 잡음비(peak signal-to-noise ratio, PSNR)를 계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가 포함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촬영함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9.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고,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은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1 시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2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시간 값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시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시간 값 및 상기 추출된 제2 시간 값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표시화면들을 캡쳐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표시화면들 각각에서 추출되는 복수의 제1 시간 값들에 기반하여, 소스 영상의 서로 연속된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값들간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이값 중 최소값의 역수를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전자 기기 각각이 동일한 소스 영상을 영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테스트 영상통화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들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의 연속적인 시간 값들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테스트 영상통화를 위해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전송되는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프레임들 중 제1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간 값과 함께 표시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테스트 영상통화를 위해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전송될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프레임들 중 제2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시간 값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제2 시간 값과 상기 제1 시간 값간의 차이값을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상기 제1 전자 기기간의 엔드-투-엔드 딜레이(end-to-end delay)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전자 기기 각각이 동일한 소스 영상을 영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테스트 영상통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계산된 차이값을 상기 소스 영상의 프레임들간의 프레임 간격(frame interval)으로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간격에 대한 이동평균 및 누적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파라미터로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전자 기기 각각이 동일한 소스 영상을 영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테스트 영상통화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와 상기 결정된 프레임간의 최대 신호 대 잡음비(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것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장치.
  17.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은,
    제1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진행중인 제2 전자 기기의 표시화면을 캡쳐하도록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은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1 시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제2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캡쳐된 표시화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시간 값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시간 값을 추출하도록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1 시간 값 및 상기 추출된 제2 시간 값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캡쳐하도록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표시화면들을 캡쳐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표시화면들 각각에서 추출되는 복수의 제1 시간 값들에 기반하여, 소스 영상의 서로 연속된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값들간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이값 중 최소값의 역수를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계산하도록 상기 제2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전자 기기 각각이 동일한 소스 영상을 영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테스트 영상통화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들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의 연속적인 시간 값들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테스트 영상통화를 위해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전송되는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프레임들 중 제1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간 값과 함께 표시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측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테스트 영상통화를 위해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전송될 소스 영상이 포함하는 프레임들 중 제2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시간 값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시간 값과 상기 제1 시간 값간의 차이값을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상기 제1 전자 기기간의 엔드-투-엔드 딜레이(end-to-end delay)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02938A 2016-08-12 2016-08-12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79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38A KR101797870B1 (ko) 2016-08-12 2016-08-12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JP2017154440A JP7029902B2 (ja) 2016-08-12 2017-08-09 映像通話品質測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5/674,595 US10129504B2 (en) 2016-08-12 2017-08-11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quality of video c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38A KR101797870B1 (ko) 2016-08-12 2016-08-12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870B1 true KR101797870B1 (ko) 2017-11-14

Family

ID=6038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938A KR101797870B1 (ko) 2016-08-12 2016-08-12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29504B2 (ko)
JP (1) JP7029902B2 (ko)
KR (1) KR1017978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650A1 (en) * 2019-03-01 2020-09-10 Pelco, Inc. Automated measurement of end-to-end latency of video streams
CN113676599A (zh) * 2021-08-20 2021-11-19 上海明略人工智能(集团)有限公司 网络通话质量检测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95083A (ko) * 2020-12-29 2022-07-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7580B (zh) * 2018-03-27 2020-09-25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视频帧数据的方法及电子设备
CN109271929B (zh) * 2018-09-14 2020-08-0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检测方法和装置
US11006076B1 (en) * 2019-12-31 2021-05-11 Facebook,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multiple layouts of video captur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431A (ko) 2003-08-22 200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지연시간 측정 방법
JP4251979B2 (ja) 2003-12-24 2009-04-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遅延時間測定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と装置
KR100604480B1 (ko) 2004-03-22 2006-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영상 전화에서 양방향 지연 시간 검증 방법 및 시스템
JP2006180294A (ja) 2004-12-22 2006-07-0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画像伝送遅延時間計測装置、画像伝送遅延時間計測システムおよび画像伝送遅延の計測方法
KR20070081663A (ko) 2006-02-13 2007-08-1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장치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방법
KR100889873B1 (ko) 2007-05-11 2009-03-24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영상 통화 호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장치
JP4810545B2 (ja) 2008-01-17 2011-11-09 豐 高橋 映像伝送時間測定システムおよび映像伝送時間測定方法
KR100968965B1 (ko) 2008-08-01 2010-07-14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통화 품질 테스트 방법 및 장치
JP5706868B2 (ja) 2012-03-30 2015-04-22 Line株式会社 メッセンジャープラットフォームでアバタ/ゲーム/エンターテイメント機能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85226B1 (ko) 2012-06-12 2016-12-20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플랫폼의 인간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 그래프를 활용한 메신저 연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9778A (ko) 2012-07-13 2014-01-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플랫폼의 사용자 관계정보에 기반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974881B2 (ja) 2012-12-14 2016-08-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628525B2 (en) * 2013-10-22 2017-04-18 Polytechnic Institute Of New York University Determining user perceived delays in voice conferencing systems and video conferencing systems
WO2015065001A1 (ko) 2013-10-31 2015-05-07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다양한 캐릭터를 이용하여 리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GB201320216D0 (en) * 2013-11-15 2014-01-01 Microsoft Corp Predicting call quality
JP6134301B2 (ja) 2014-09-29 2017-05-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遠隔操縦用映像伝送システム
US10154139B2 (en) * 2015-11-16 2018-12-11 Cisco Technology, Inc. Quality analysis of media at contact centers
JP2017157904A (ja) * 2016-02-29 2017-09-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650A1 (en) * 2019-03-01 2020-09-10 Pelco, Inc. Automated measurement of end-to-end latency of video streams
KR20220095083A (ko) * 2020-12-29 2022-07-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65295B1 (ko) 2020-12-29 2023-08-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3676599A (zh) * 2021-08-20 2021-11-19 上海明略人工智能(集团)有限公司 网络通话质量检测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676599B (zh) * 2021-08-20 2024-03-22 上海明略人工智能(集团)有限公司 网络通话质量检测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26815A (ja) 2018-02-15
US10129504B2 (en) 2018-11-13
JP7029902B2 (ja) 2022-03-04
US20180048860A1 (en)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870B1 (ko)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US10297084B2 (en) Identification of relative distance of objects in images
CN109308469B (zh)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JP6182607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
CN107251049B (zh) 基于语义指示检测移动装置的位置
CN109389072A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101308872B1 (ko) 사용자 행동의 예측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단말
US20240037898A1 (en) Method for predicting reconstructabilit,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344906B (zh) 车路协同中相机评估方法、装置、路侧设备和云控平台
US11527091B2 (en) Analyz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5934179B (zh) 业务功能控制方法及设备
KR20180075224A (ko) 객체의 인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1310595A (zh)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CN114187509B (zh) 对象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1925181B1 (ko) 증강/가상 현실 기반 동적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6839771B2 (ja) 補正パターン分析による映像補正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1586295A (zh) 图像生成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991312A (zh) 生成检测信息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KR20180097913A (ko)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촬영 동작 가이드 방법 및 시스템
CN106462960B (zh) 图像的协同对准
KR20190143666A (ko) 이미지를 위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778834B2 (en) Controlling different states of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control device
JP7284401B2 (ja) 視線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視線情報処理方法
KR102147485B1 (ko) 촬영 가이드 방법 및 시스템
CN110879975B (zh) 人员流量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