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663A -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장치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장치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663A
KR20070081663A KR1020060013788A KR20060013788A KR20070081663A KR 20070081663 A KR20070081663 A KR 20070081663A KR 1020060013788 A KR1020060013788 A KR 1020060013788A KR 20060013788 A KR20060013788 A KR 20060013788A KR 20070081663 A KR20070081663 A KR 20070081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presentative value
psnr
image processing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6001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1663A/ko
Publication of KR2007008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06K7/00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the galvanic contacts of the connector adapted for landing on the contacts of the card upon card inser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각 프레임별 대표값을 추출하는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와,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저장하는 제1 버퍼부와,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이산 변환하고 설정된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따라 부호화하는 부호기와, 부호기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된 프레임을 복호화하는 복호기와, 복호기로부터 입력되는 복호화된 프레임의 대표값을 추출하는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와,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저장하는 제2 버퍼부와, 제2 버퍼부와 제1 버퍼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기초로 PSNR(Pixel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PSNR과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조절하는 부호화 제어부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PSNR(Pixel Signal To Noise Ratio), 프레임

Description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장치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 방법{Image handling device and method for being executab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aded with it}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1 : 카메라부 12 : 프레임 저장부
13 : 부호기 14 : 복호기
15 :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 16 : 제1 버퍼부
17 :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 18 : 제2 버퍼부
19 : 부호화 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 의 프레임별 손실 압축을 일정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전문가 그룹(MPEG)은 부호화/복호화 표준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동영상 전문가 그룹(MPEG)은 부호기의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제어하는 특정 방법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변화시키는 것은 실제로 원시 영상데이터의 시각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현재의 MPEG 코딩 방법에서 각 프레임에 대한 양자화 스텝 사이즈는 동일 타입의 모든 영상들이 영상 그룹내에서 동일한 복잡도를 가진다는 가정하에 선택된다. 그러나, 이 기준에 의해 선택된 양자화 스텝 사이즈는 각 영상의 복잡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최적의 코딩 성능을 얻지 못할 수도 있다. 즉, 동영상 촬영 시 동일한 손실 압축값인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적용할지라도 프레임별로 상당히 다양하게 손실 압축된다.
그러므로, 동영상 촬영시 영상의 전체 품질을 유지를 위해 프레임마다 동일한 손실 압축을 위해, 프레임에 대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적합하게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이 이 기술 분야에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프레임별 손실 압축을 일정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각 프레임별 대표값을 추출하는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와,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저장하는 제1 버퍼부와,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이산 변환하고 설정된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따라 부호화하는 부호기와, 부호기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된 프레임을 복호화하는 복호기와, 복호기로부터 입력되는 복호화된 프레임의 대표값을 추출하는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와,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저장하는 제2 버퍼부와, 제2 버퍼부와 제1 버퍼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기초로 PSNR(Pixel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PSNR과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조절하는 부호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프레임별 PSNR을 산출하여 이를 기초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복호기의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서, 영상데이터의 프레임별 손실 압축을 일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 방법은, 카메라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입력받아 각 프레임별 대표값(A)을 추출하는 단계와,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이산 변환하고 설정된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따라 부호화하는 단계와, 부호화된 프레임을 복호화하는 단계와, 복호화된 프레임의 대표값(B)을 추출하는 단계와, 프레임 대표값들(A, B)을 기초로 PSNR(Pixel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PSNR과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 시 모든 프레임에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프레임 저장부(12), 부호기(13), 복호기(14),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15), 제1 버퍼부(16),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17), 제2 버퍼부(18) 및 부호화 제어부(19)를 포함한다.
프레임 저장부(12)는 카메라부(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저장부(12)는 카메라부(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 뿐만 아니라, 외장형 메모리 장치 혹은 내부 메모리로부터 재생되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부호기(13)는 프레임 저장부(12)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이산 변환하고 설정된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따라 부호화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호기(13)는 이산코사인변환기(DCT : Discrete Cosine Transfer)또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기(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와, 예컨대 이산코사인변환되어 이산코사인 변환계수들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부호화 제어부(19)로부터 입력되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따라 양자화하는 양자화기와 직류성분 예측기 및 가변길이부호화기(VLC : Variable Length 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기(14)는 부호기(13)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된 프레임을 복호화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호기(14)는 부호기(13)의 양자화기로부터 입력되는 양자화된 프레임을 양자화기에서 사용한 동일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이용하여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기와, 역양자화된 프레임을 역이산코사인변환하는 역이산코사인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15)는 프레임 저장부(12)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각 프레임별 대표값을 추출한다. 프레임 저장부(12)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는 통상 하나의 휘도와 두개의 컬러차 신호(Y, Cb, Cr)로 표현되며, 일반적으로 YCbCr 4:2:2 포맷과 YCbCr 4:2:0 포맷으로 이루진다. 일 실시예에 잇어서,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15)는 이러한 영상데이터 포맷을 갖는 프레임에 들어있는 휘도값들을 프레임 대표값으로 추출한다.
제1 버퍼부(16)는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15)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버퍼부(16)는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15)로부터 3∼4 프레임에 해당하는 프레임 대표값을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17)는 복호기(14)로부터 입력되는 복호화된 프레 임의 대표값을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잇어서,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17)는 복호화된 프레임에 들어있는 휘도값들을 프레임 대표값으로 추출한다.
제2 버퍼부(18)는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17)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버퍼부(18)는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17)로부터 3∼4 프레임에 해당하는 프레임 대표값을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부호화 제어부(19)는 부호화를 위해 자유설계가 허용된 부분으로서 예컨대, 부호화에 프레임간 예측부호화를 사용할지 프레임 내 부호화를 사용할지,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어떻게 조절할지 등등의 부호화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부호화 제어부(19)는 제2 버퍼부(18)와 제1 버퍼부(16)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기초로 PSNR(Pixel Signal To Noise Ratio, 이하, "PSNR"이라 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PSNR과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현된다. 부호화 제어부(19)의 PSNR을 산출하는 방법을 수학식 1,2로 예시한다.
Figure 112006010485918-PAT00001
여기서, MSE(Mean Squared Error)는 압축전 이미지 프레임과 복원 후 이미지 프레임의 화질 열화정도를 의미한다. f(i,j)는 제1 버퍼부(16)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 예컨대 프레임에 들어있는 휘도값이며, F(i,j)는 제2 버퍼부(18)로부 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 예컨대 프레임에 들어있는 휘도값이다. 그리고, N은 한 프레임에 들어있는 휘도 성분 개수이다.
Figure 112006010485918-PAT00002
여기서, RMSE(Root Mean Squared Error)는 MSE(Mean Squared Error)에 제곱 루트를 취하여 얻어지는 값으로, 그 값은 압축전 이미지 프레임과 복원 후 이미지 프레임 간의 실제 프레임 화질 열화값을 의미한다. PSNR은 RMSE에 로그 연산을 취하여 데시벨(dB)로 표현되는 값이다.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는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영상 장치,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나 디지털 카메라 등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나 디지털 카메라는 부호화를 위해 자유설계가 허용된 부호화 제어부가 동영상 촬영 시 모든 프레임에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 전원버튼을 눌러서 단말 전원을 온시킨다. 이후, 카메라 촬영메뉴를 선택한 후 동영상 촬영을 선택한다. 이후, 일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와 PSNR 임계치를 단말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S201).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부를 활성화시킨 후 프리뷰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면서 촬영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조작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촬영한다(S202).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입력받아 각 프레임별 대표값(A)을 추출한 후 이를 버퍼에 저장한다(S203). 여기서, 프레임별 대표값은 각 프레임에 들어있는 휘도값들이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이산 변환하고 설정된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따라 부호화한다(S204).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부호화된 프레임을 복호화(S205)하고, 복호화된 프레임의 대표값(B)을 추출한다(S206).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프레임 대표값들(A, B)을 기초로 PSNR(Pixel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한다(S20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프레임 대표값들(A, B)을 기초로 PSNR을 산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수학식 1, 2에 따른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PSNR를 산출하는 S207 단계는 복수의 프레임들의 PSNR 평균을 산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일한 압축 손실을 적용하기 위해 매 프레임별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적용하는 방식이 시스템에 과부하를 초래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3내지 5 프레임의 PSNR 이동 평균을 구하여, 다음 프레임에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산출된 PSNR과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를 비교한다(S208). 비교결과, 이동통신 단말기는 산출된 PSNR이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 안에 들면 기존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유지하고, 카메라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었는 지를 확인한다(S209). 만일 비교결과 산출된 PSNR이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보다 높으면 다음 프레임에 적용할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낮추고, 산출된 PSNR이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보다 낮으면 다음 프레임에 적용할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높인다(S2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프레임별 PSNR을 산출하여 이를 기초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복호기의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조절하여, 영상데이터의 프레임별 손실 압축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영상의 전체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각 프레임별 대표값을 추출하는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와;
    상기 제1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저장하는 제1 버퍼부와;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이산 변환하고 설정된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따라 부호화하는 부호기와;
    상기 부호기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된 프레임을 복호화하는 복호기와;
    상기 복호기로부터 입력되는 복호화된 프레임의 대표값을 추출하는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와;
    상기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저장하는 제2 버퍼부와;
    상기 제2 버퍼부와 제1 버퍼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대표값을 기초로 PSNR(Pixel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PSNR과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조절하는 부호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프레임 대표값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프레 임 대표값이 프레임에 들어있는 휘도값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제어부가 복수의 프레임들의 PSNR 평균을 산출하고, 산출된 PSNR과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입력받아 각 프레임별 대표값(A)을 추출하는 단계와;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이산 변환하고 설정된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따라 부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프레임을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프레임의 대표값(B)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대표값들(A, B)을 기초로 PSNR(Pixel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PSNR과 미리 설정된 PSNR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대표값이 프레임에 들어있는 휘도값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SNR(Pixel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하는 단계가 복수의 프레임들의 PSNR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 방법.
KR1020060013788A 2006-02-13 2006-02-13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장치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방법 KR20070081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788A KR20070081663A (ko) 2006-02-13 2006-02-13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장치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788A KR20070081663A (ko) 2006-02-13 2006-02-13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장치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663A true KR20070081663A (ko) 2007-08-17

Family

ID=3861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788A KR20070081663A (ko) 2006-02-13 2006-02-13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장치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16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984B1 (ko) * 2011-07-05 2013-01-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압축성능을 고려한 멀티코어 프로세서용 영상압축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10129504B2 (en) 2016-08-12 2018-11-13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quality of video ca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984B1 (ko) * 2011-07-05 2013-01-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압축성능을 고려한 멀티코어 프로세서용 영상압축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10129504B2 (en) 2016-08-12 2018-11-13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quality of video c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68137B (zh) 兴趣区域感知的视频编码
KR101732767B1 (ko) 비디오 코딩에서의 양자화된 펄스 코드 변조
JP4806515B2 (ja) 符号化装置、こ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装置及び符号化方法
CN102986211B (zh) 视频编码中的速率控制
JP5290325B2 (ja) Cabacコーダのためのレート歪みモデリングに基づいた量子化
KR100969645B1 (ko) 적응 가변장 부호화
KR100850706B1 (ko) 적응적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0850705B1 (ko) 시공간적 복잡도를 고려한 적응적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그 장치
US20070025441A1 (en) Method, module, device and system for rate control provision for video encoders capable of variable bit rate encoding
CN108574841B (zh) 一种基于自适应量化参数的编码方法及装置
US20140211858A1 (en) Spatially adaptive video coding
US6185253B1 (en) Perceptual compression and robust bit-rate control system
JP2007049680A (ja) イメージ圧縮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
WO201503096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justing macroblock quantization parameters to improve visual quality for lossy video encoding
KR100823145B1 (ko) 관심영역 기반의 영상 화질개선장치 및 양자화기기 및 그동작 방법
KR20070081663A (ko) 동일한 손실 압축 적용이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장치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영상 처리방법
KR102020953B1 (ko) 카메라 영상의 복호화 정보 기반 영상 재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재부호화 시스템
JP2009200871A (ja) 符号化装置
KR100987922B1 (ko) 선택적 참조영상을 이용한 움직임 보상기법을 적용한 동영상 압축부호화장치및 복호화 장치와 움직임 보상을 위한 선택적 참조영상 결정방법
US20060181650A1 (en) Encoding method and device
KR100924779B1 (ko) 적응적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20010104058A (ko) 동영상 부호화기의 부호화 모드에 따른 적응적 양자화기
JPH08256337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200704349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533051B1 (ko) 블록별 양자화 레벨을 이용한 인코딩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