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564B1 -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564B1
KR101796564B1 KR1020160010383A KR20160010383A KR101796564B1 KR 101796564 B1 KR101796564 B1 KR 101796564B1 KR 1020160010383 A KR1020160010383 A KR 1020160010383A KR 20160010383 A KR20160010383 A KR 20160010383A KR 101796564 B1 KR101796564 B1 KR 10179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ectric motor
opening
cooling hol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037A (ko
Inventor
김진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1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56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5/00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 B64D35/02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owe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B64C2700/6288
    • Y02T50/54
    • Y02T5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마그넷을 갖고,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외측에 배치되어 프로펠러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자의 제1 마그넷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넷과, 냉각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홀을 열고 닫거나, 상기 케이스의 회전속도에 따라 냉각홀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개폐조절수단;을 포함하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동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형성된 케이스의 냉각홀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조절수단을 도입하여 항공기의 정지 시에는 개폐조절수단이 케이스의 냉각홀을 자동으로 닫아 습기나 이물질이 전동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항공기의 운항 시에는 케이스의 회전력에 따라 개폐조절수단이 케이스의 냉각홀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전동모터의 냉각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IRCRAFT}
본 발명은 전동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형성된 케이스의 냉각홀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조절수단을 도입하여 항공기의 정지 시에는 개폐조절수단이 케이스의 냉각홀을 자동으로 닫아 습기나 이물질이 전동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항공기의 운항 시에는 케이스의 회전력에 따라 개폐조절수단이 케이스의 냉각홀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전동모터의 냉각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항공기에 사용되는 브러시리스 전동모터는 배터리가 연결되는 고정자와, 고정자가 내장되고,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케이스로 구성된다.
이 경우 항공기용 전동모터의 경우에는 케이스가 회전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케이스 자체가 회전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항공기의 추진력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항공기용 전동모터의 경우 케이스 자체가 회전을 하기 때문에 높은 토크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고, 또한 감속기 없이도 대형 프로펠러를 직접 돌릴 수 있으며, 감속기와 같은 부속품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전동모터를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전동모터의 경우에는 케이스 자체가 회전하기 때문에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항공기의 속도가 빠르면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전동모터가 냉각되지만, 정지비행을 주로하는 헬기의 경우에는 공기흐름이 거의 없어 전동모터가 과열되기 때문에 전동모터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항공기에 사용되는 전동모터의 경우 통상적으로 케이스의 상판은 뚫려 있거나, 또는 일정한 면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냉각홀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동모터가 구동되는 경우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한 공기 유동을 통하여 케이스의 냉각홀로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전동모터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동모터가 구동되어 케이스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비나 습기, 기타 이물질 등은 케이스의 회전력에 의하여 유입될 염려가 없으나, 항공기가 정지하여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케이스의 냉각홀로 빗물이나 습기,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빗물이나, 습기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은 합선으로 인한 전기적인 쇼트나 화재의 발생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비닐 등과 같은 방수포로 전동모터를 덮는 등의 조치를 취하였지만, 이러한 조치는 임시방편적이고, 번거롭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이 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의 냉각을 위한 냉각홀로 빗물이나 습기,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과열방지를 위한 냉각기능을 그대로 보유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65355호(2004.10.1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동모터의 열 방출을 위해 형성된 케이스의 냉각홀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조절수단을 도입하여 항공기의 정지 시에는 개폐조절수단이 케이스의 냉각홀을 자동으로 닫아 습기나 이물질이 전동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항공기의 운항 시에는 케이스의 회전력에 따라 개폐조절수단이 케이스의 냉각홀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전동모터의 냉각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 내부로 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구동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사용 연한도 연장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조절수단의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기구적인 구성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작동상의 오류를 최소화활 수 있어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고, 장치의 설치가 쉽고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모터의 속도에 따라 냉각홀의 개도량을 조절됨으로써 공기저항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개폐조절수단의 조절판에 회전방지부를 형성하여 조절판이 냉각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의 제1 구현례는 제1 마그넷을 갖고,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외측에 배치되어 프로펠러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자의 제1 마그넷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넷과, 냉각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홀을 열고 닫는 개폐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에 제2 구현례는 제1 마그넷을 갖고,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외측에 배치되어 프로펠러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자의 제1 마그넷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넷과, 냉각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냉각홀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개폐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조절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냉각홀을 열고 닫는 조절판과,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판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조절수단의 조절판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회전 중심 주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조절수단의 조절판은 외광내협(外廣內狹)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판은 상기 냉각홀의 폐쇄 시, 조절판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조절판의 단부가 접하는 회전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판의 회전방지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는 전동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형성된 케이스의 냉각홀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조절수단을 도입하여 항공기의 정지 시에는 개폐조절수단이 케이스의 냉각홀을 자동으로 닫아 습기나 이물질이 전동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항공기의 운항 시에는 케이스의 회전력에 따라 개폐조절수단이 케이스의 냉각홀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전동모터의 냉각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 내부로 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구동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사용 연한도 연장함으로써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조절수단의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기구적인 구성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작동상의 오류를 최소화활 수 있어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고, 장치의 설치를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모터의 속도에 따라 냉각홀의 개도량을 조절됨으로써 공기저항을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개폐조절수단의 조절판에 회전방지부를 형성하여 조절판이 냉각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냉각홀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판의 회전방지부가 인접한 조절판에 맞닿아 구현된다는 점에서 조절판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를 나타내는 사진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를 나타내는 개념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에서 개폐조절수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조절장치에서 조절판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힘의 성분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명세서상에서 도 1은 종래의 항공기용 전동모터를 도시한 것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터와 개폐조절수단을 도시한 것이나, 편의상 도 2 및 도 3의 도시에서 전동모터의 구성은 도 1의 종래의 것과 동일하여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는 고정자(11)와, 회전자 역할을 하고, 냉각홀(13c)가 형성된 케이스(13)를 포함하는 전동모터(10)와, 케이스(13)의 냉각홀(13c)의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조절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 즉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구동되는 전동모터(10)가 사용되는데, 이렇게 항공기에 사용되는 전동모터(10)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가 구비된 경우 브러시가 외부로 노출되어 스파크와 마찰에 노출되기 때문에 수명이 짧고 분진이 날리는 등의 문제가 있어 브러시리스 전동모터(10)를 사용한다.
이러한 전동모터(10)는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제1 마그넷(11a) 즉 전자석이 구비된 고정자(11)와, 고정자(11)가 내장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프로펠러(1)가 케이스(13)가 장착된다.
이 경우 케이스의 하판(13b)에 연결된 회전축(17)은 고정자(11)와 케이스의 상판(13b)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고, 이 회전축(17)의 상단에 프로펠러(1)가 결합되며 브래킷(15)에 의하여 프로펠러(1)는 케이스의 상판(13b)에 고정된다.
이때 케이스의 상판(13b)과 브래킷(11)에는 서로 대응하도록 볼트홀이 형성되고, 이 볼트홀에 볼트를 체결하게 되면 케이스(13)와 프로펠러(1)가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케이스(13)의 내주면에는 고정자(11)의 제1 마그넷(11a)에 대응하는 영구자석, 즉 제2 마그넷(13a)이 구비되기 때문에 케이스(13)가 회전자 역할을 하게 되어 케이스(13) 자체가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항공기용 전동모터(10)의 경우 케이스(13) 자체가 회전을 하기 때문에 높은 토크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고, 또한 감속기 없이도 대형 프로펠러(1)를 직접 돌릴 수 있으며, 감속기와 같은 부속품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전동모터(10)를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전동모터(10)의 경우에는 케이스(13) 자체가 회전하기 때문에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항공기의 속도가 빠르면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전동모터(10)가 냉각되지만, 정지비행을 주로하는 헬기의 경우에는 공기흐름이 거의 없어 전동모터(10)가 과열되기 때문에 전동모터(10)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케이스(13)의 상판(13b) 또는 하판(13b), 또는 이들 모두에 다수의 냉각홀(13c)이 형성되어 전동모터의 냉각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모터(10)가 구동되는 경우 프로펠러(1)의 회전에 의한 공기 유동을 통하여 케이스(13)의 냉각홀(13c)로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전동모터(10)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냉각홀(13c)은 케이스의 상판(13b)과 하판(13b)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냉각홀(13c)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냉각 후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냉각홀(13c)은 케이스의 상판 및 하판은 물론이고, 케이스의 측면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홀(13c)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동모터(10)가 구동되어 케이스(13)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비나 습기, 기타 이물질 등은 케이스(13)의 회전력에 의하여 유입될 염려가 없으나, 항공기가 정지하여 전동모터(1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스(13)의 냉각홀(13c)을 통하여 빗물이나 습기,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빗물이나, 습기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은 합선으로 인한 전기적인 쇼트나 화재의 발생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비닐 등과 같은 방수포로 전동모터(10)를 덮는 등의 조치를 취하였지만, 이러한 조치는 임시방편적이고, 번거롭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이 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케이스(13)의 냉각홀(13c)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조절수단(20)을 도입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개폐조절수단(20)의 구성과 기능 및 역할을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조절수단(20)은
케이스(13)의 상판(13b)에 장착되어 냉각홀(13c)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1)와, 탄성부재(21)에 의하여 지지되어 냉각홀(13c)을 열고 닫거나, 또는 냉각홀(13c)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2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조절수단(20)의 탄성부재(21)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케이스(13)의 상판(13b)에는 탄성부재(21)의 회전이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부재(21)의 일단을 지지하여 스토퍼 기능을 하는 고정돌기(25)가 형성된다.
아울러 탄성부재(21)의 타단은 조절판(23)의 일측면에 접하여 조절판(23)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개폐조절수단(20)의 조절판(23)은 일단이 케이스(13)의 회전중심 주변에 배치되도록 케이스의 상판(13b)에 힌지 결합되어 전동모터(1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조절판(23)은 탄성부재(21)에 의하여 케이스(13)의 냉각홀(13c)을 닫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3)의 냉각홀(13c)은 전동모터(1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조절판(23)에 의하여 폐쇄됨으로써 전동모터(10)가 야외에 배치되어도 빗물이나, 습기,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그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전동모터(10)가 구동되는 경우 도 3의 (b)와 같이 케이스(1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개폐조절수단(20)의 조절판(23)은 시계방향으로 원심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케이스(13)의 회전속도에 따라 조절판(23)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크기가 달리지기 때문에 원심력의 크기만큼 조절판(23)은 탄성부재(21)를 압축시켜 케이스(13)의 냉각홀(13c)을 완전히 개방하거나, 또는 냉각홀(13c)의 일부만 개방함으로써 냉각홀(13c)의 개도량을 조절하게 된다.
도 4의 도시는 전동모터(10)의 구동 시, 케이스(13)의 회전에 따라 조절판(23)에 작용하는 힘의 벡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도시에서 'O'는 전동모터(10)의 회전중심이고, ‘′'는 조절판(23)의 회전중심이며, ’는 조절판(23)의 무게중심이다.
아울러
Figure 112016009267678-pat00001
는 조절판(23)의 무게중심(G)에 작용하는 모터회전중심(O)에서의 원심력이며,
Figure 112016009267678-pat00002
는 조절판(23)의 회전중심(O′)에서의 회전력 성분이다.
따라서 전동모터(10)가 구동되면 케이스(13)가 회전하게 되고, 조절판(23)이 케이스(1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냉각홀(13c)을 개방하게 되면 개방된 냉각홀(13c)을 통하여 프로펠러(1)로부터 유도된 공기가 유입되어 전동모터(10)가 냉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10)가 구동하는 경우 조절판(23)은 탄성부재(21)를 압축시켜 냉각홀(13c)을 개방하게 되지만 전동모터(10)가 정지하는 경우에는 조절판(23)에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압축된 탄성부재(21)가 복원되면서 조절판(23)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냉각홀(13c)을 닫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조절수단(20)의 조절판(23)은 내측단부와 상판(13b)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힌지축(27)이 구비되고, 이 힌지축(27)은 조절판(23)의 회전중심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힌지축(27)은 전동모터(10)의 회전중심 주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절판(23)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원활히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판(23)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증가하도록 외광내협(外廣內狹) 형상으로 이루어져 조절판(23)의 무게중심(G)이 조절판(23) 상에서 외측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절판(23)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크기가 커지도록 함으로써 조절판(23)의 동작을 원활히 하고자 함이다.
또한 개폐조절수단의 조절판(23)은 힌지축(27)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데, 이 경우 조절판(23)이 냉각홀(13c)을 폐쇄하는 경우 조절판(23)이 정위치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절판(23)에는 회전방지부(23a)가 형성되는데, 이 회전방지부(23a)는 조절판(23)의 냉각홀(13c)을 폐쇄한 상태에서 인접한 조절판(23) 단부, 즉 케이스의 상판(13b)에 힌지 결합된 조절판(23)의 내측단부에 인접한 조절판(23)의 회전방지부(23a)가 맞닿아 조절판(23)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함으로써 조절판(23)을 정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부(23a)는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곡선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조절판(23)의 거동이 회전에 의한 거동이기 때문에 조절판(23)의 회전 시, 인접한 조절판(23)의 내측단부가 회전방지부(23a)에 자연스럽게 수용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프로펠러
10 : 전동모터
11 : 고정자 11a : 제1 마그넷
13 : 케이스 13a : 제2 마그넷
13b : 상판(하판) 13c : 냉각홀
15 : 브래킷 17 : 회전축
20 : 개폐조절수단
21 : 탄성부재 23 : 조절판
23a : 회전방지부 25 : 고정돌기
27 : 힌지축

Claims (7)

  1. 제1 마그넷(11a)을 갖고,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는 고정자(11)와,
    상기 고정자(11)의 외측에 배치되어 프로펠러(1)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자의 제1 마그넷(11a)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넷(13a)과, 냉각홀(13c)이 형성된 케이스(13)를 포함하는 전동모터(10); 및
    상기 전동모터의 케이스(13)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홀(13c)을 열고 닫는 개폐조절수단(20);
    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절수단(20)은 상기 케이스(13)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냉각홀(13c)을 열고 닫는 조절판(23)과 상기 케이스(13)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판(23)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판(23)은 상기 냉각홀(13c)의 폐쇄 시, 조절판(23)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조절판(23)의 단부가 접하는 회전방지부(23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2. 제1 마그넷(11a)을 갖고,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는 고정자(11)와,
    상기 고정자(11)의 외측에 배치되어 프로펠러(1)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자의 제1 마그넷(11a)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넷(13a)과, 냉각홀(13c)이 형성된 케이스(13)를 포함하는 전동모터(10); 및
    상기 전동모터의 케이스(13)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13)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냉각홀(13c)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개폐조절수단(20);
    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절수단(20)은 상기 케이스(13)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냉각홀(13c)을 열고 닫는 조절판(23)과 상기 케이스(13)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판(23)을 지지하는 탄성부재(21)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판(23)은 상기 냉각홀(13c)의 폐쇄 시, 조절판(23)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조절판(23)의 단부가 접하는 회전방지부(23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수단(20)의 조절판(23)의 회전중심은 상기 케이스(13)의 회전중심 주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수단(20)의 조절판(23)은 외광내협(外廣內狹)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23)의 회전방지부(23a)는 내측으로 함몰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20160010383A 2016-01-28 2016-01-28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179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383A KR101796564B1 (ko) 2016-01-28 2016-01-28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383A KR101796564B1 (ko) 2016-01-28 2016-01-28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037A KR20170090037A (ko) 2017-08-07
KR101796564B1 true KR101796564B1 (ko) 2017-11-10

Family

ID=5965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383A KR101796564B1 (ko) 2016-01-28 2016-01-28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067A (ko) 2021-04-23 2022-11-01 주식회사 아모텍 로터 및 이를 이용한 프로펠러 구동장치
WO2022225324A1 (ko) 2021-04-23 2022-10-27 주식회사 아모텍 로터, 이를 이용한 프로펠러 구동장치 및 항공기
KR20220146066A (ko) 2021-04-23 2022-11-01 주식회사 아모텍 프로펠러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항공기
KR20220146888A (ko)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아모텍 프로펠러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항공기
EP4333263A1 (en) 2021-04-26 2024-03-06 Amotech Co., Ltd. Stator, and propeller driving apparatus and aircraft using same
KR20220148360A (ko) 2021-04-28 2022-11-07 주식회사 아모텍 스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프로펠러 구동장치용 bldc 모터
KR20230023836A (ko) 2021-08-09 2023-02-20 주식회사 아모텍 버스바 구조를 갖는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프로펠러 구동모터 및 스테이터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321A (ja) 2004-09-09 2006-03-23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電動ラジコン模型飛行機用スピンナーユニット
JP2012196114A (ja) * 2011-03-14 2012-10-11 Ogawa Seiki Kk モーター冷却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321A (ja) 2004-09-09 2006-03-23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電動ラジコン模型飛行機用スピンナーユニット
JP2012196114A (ja) * 2011-03-14 2012-10-11 Ogawa Seiki Kk モーター冷却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037A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564B1 (ko) 습기침투방지 및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항공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1033792B1 (ko) 고장대응을 위한 자동차용 에어플랩 개폐장치
US10587785B2 (en) Monitoring camera and condensation suppressing method
CA2620733C (en) Cooling device of electric motor for vehicle
US4523434A (en) Air ventilator
JP2019503933A (ja) アクティブグリルシャッター用空気入口制御システム
US4476405A (en) Bearing cooling mechanism for vehicular A.C. generator
JP2007181350A (ja) ラジコン用サーボユニットのモータ構造
US20060147310A1 (en) Ceiling fan motor with stationary shaft
KR20130073580A (ko) 파워윈도우 모터용 체결장치
JP6871749B2 (ja) 電動機組立体
JP7080742B2 (ja) 留め具、電子機器
CN215416569U (zh) 一种计算机温控装置
WO2014207780A1 (ja) 巻線型回転電機
JP5426895B2 (ja) 車両用ラジエータユニット
JP4039285B2 (ja) ファンモータ取付構造および空調装置
KR20160138764A (ko) 댐퍼일체형 송풍기
JP6661382B2 (ja) 便座装置
EP3436296B1 (fr) Système pour dispositif de chauffage, de ventilation ou de climatisation d'un véhicule
KR101644782B1 (ko) 에어 유동에 의한 냉각방식의 핸드피스
EP1359326B1 (en) Centrifugal drive device for automatic opening of fan louvers
JP4596479B2 (ja) エンジン駆動式作業機およびその排風制限装置
JPH0424466A (ja) 風路切換用シャッタ装置
CN212079713U (zh) 一种耐高温防油防潮通风机
JPH11355999A (ja) 電動機の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