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071B1 -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071B1
KR101795071B1 KR1020120106978A KR20120106978A KR101795071B1 KR 101795071 B1 KR101795071 B1 KR 101795071B1 KR 1020120106978 A KR1020120106978 A KR 1020120106978A KR 20120106978 A KR20120106978 A KR 20120106978A KR 101795071 B1 KR101795071 B1 KR 101795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door
neck
hook
fuel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403A (ko
Inventor
이경태
허준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0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주입구를 개폐하는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을 균일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연료도어를 갭이 발생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손쉽게 갭 편차가 보정되도록 함으로써,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을 균일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GAP CONTROLLING DEVICE FOR FUEL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주입구를 개폐하는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을 균일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리어도어 뒤쪽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에는 마개 캡에 의하여 개폐되는 연료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마개 캡을 포함하는 연료주입구의 입구에는 연료도어(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판체)가 개폐 가능하게 힌지로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료도어의 전체 테두리부는 외관상 그리고 연료도어의 개폐 구조상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균일한 갭(GAP)을 이루어야 한다.
여기서, 종래의 연료도어 장착 구조를 첨부한 도 5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40)의 연료주입구(42)의 내측면에 연료도어 장착용 넥(30: NECK)이 일체로 장착된 상태에서, 연료도어(10)의 내면 일측부가 팝업 스프링(44) 등을 매개로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에 힌지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도어(10)가 팝업 스프링(44)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열림 또는 닫힘 방향으로 각회전을 함으로써, 연료도어(1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료도어 및 연료도어 장착용 넥은 도장 및 건조공정 등에서 함께 도장 및 건조될 때, 열변형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그에 따라 실차 장착시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의 갭이 서로 불균일하게 되는 불량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차량 구매 후, 일정 시간이 지나 열변형 또는 내구에 의한 변형으로 인하여 연료도어가 T방향(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뒤로 밀릴 경우에도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의 갭 편차가 발생하여, 연료도어의 외관 불량을 비롯한 연료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따르고 있다.
결국, 연료도어는 연료주입구의 입구에 한 번 조립이 되면 위와 같은 갭 조절이 불가능하여, 연료도어를 아예 해제하였다가 재조립해야 해야 하거나, 또는 연료도어의 변형이 심하여 위와 같은 갭 단차가 안 맞는 경우에는 아예 다른 신규부품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연료도어를 갭이 발생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손쉽게 갭 편차가 보정되도록 함으로써,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을 균일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도어의 후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넥 장착판과; 상기 넥 장착판의 일측쪽에 가압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연료도어의 내부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을 갖는 후크단과; 일측단부는 넥 장착판에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고, 타측단부는 연료주입구의 내면 일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서, 일측단 내면에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에 체결되는 후크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연료도어 장착용 넥;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넥 장착판의 타측쪽에서 연료도어의 외부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넥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도어 장착용 넥의 후크 뒤쪽 위치에는 넥 체결홈내로 끼워지도록 외부방향으로 이중 절곡된 체결지지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단의 전단 및 상하단에는 넥 장착판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절개홀이 형성되어, 후크단의 후단만이 넥 장착판과 일체로 형성되되, 일체가 되는 부분은 집중응력 방지를 위해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 이상의 싱크 방지용 강성 보강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홈의 좌우폭은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넥 장착판의 후면에서 후크단의 상단 및 하단과 이격된 위치에는 슬라이드단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도어 장착용 넥의 일측단부에는 슬라이드단과 결합되는 슬라이드홈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도어 배면의 넥 장착판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단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연료주입구 내면에 힌지 장착되는 연료도어 장착용 넥을 서로 슬라이드 이동 조절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연료도어를 갭이 발생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손쉽게 갭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렇게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 편차가 발생할 경우, 별도의 A/S를 받지 않고 연료도어를 갭 발생 부위쪽으로 간단하게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하여,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을 균일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따라서 기존에 연료도어 자체를 재조립하거나 신규 부품으로 교체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로서, 연료도어의 넥 장착판과, 연료도어 장착용 넥을 서로 결합하기 전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연료도어 개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연료도어를 갭 발생 부위로 위치 이동시켜 손쉽게 갭 편차가 보정함으로써, 항상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을 균일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첨부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도어(10)의 후면 일측에 넥 장착판(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넥 장착판(20)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40)의 연료주입구(32) 내면 일측에 힌지로 장착되는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 조절을 위한 후크단(22)이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넥 장착판(20)의 일측쪽(연료도어의 중심부를 향하는 쪽)에는 가압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는 후크단(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후크단(22)의 내측면에는 연료도어(10)의 내부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단(22)의 전단 및 상하단에는 넥 장착판(20)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절개홀(26)이 형성되어, 후크단(22)의 후단 만이 넥 장착판(20)과 일체로 형성되고, 후크단(22)의 후단과 넥 장착판(20) 간의 일체가 되는 부분(절개홀(26)의 후단끝 부분)은 집중응력 방지를 위해 라운드 처리되고, 또한 절개홀(26)의 각 구석 위치도 라운드 처리된다.
이렇게 상기 후크단(22)의 후단만이 넥 장착판(20)과 일체로 됨에 따라, 후크단(22)의 전단은 자유단이 되며, 이 자유단 부분을 눌러주면 후크단(22)은 가압되는 동시에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복원력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후크단(22)의 내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2열 이상의 싱크 방지용 강성 보강단(28)이 일체로 형성되어, 후크단(22)의 강성이 보강되는 동시에 후크단(22)은 가압시 잘 휘어지게 되며, 또한 가압된 위치에 마무르지 않고 본래 위치로 되돌아 가려는 원할한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연료도어(10)의 외경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40)은 약 3mm 정도의 갭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바, 상기 후크단(22)의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24)의 좌우폭은 연료도어(10)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40) 간의 약 3mm 갭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되도록 하며, 그 이유는 하기와 같이 연료도어의 갭 편차 조절시 후크홈(24)의 좌우폭이 3mm 보다 더 크게 형성되면 갭 조절을 하더라도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은 연료도어(10)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40)의 연료주입구(42) 간을 연결하는 동시에 연료도어(10)의 개폐용 힌지브라켓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측단부는 넥 장착판(20)에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고, 타측단부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40)의 연료주입구(42)의 내면 일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연료도어(10)의 배면에 일체로 된 넥 장착판(20)에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을 체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넥 장착판(20)의 후면에서 후크단(22)의 상단 및 하단과 이격된 위치에는 차량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슬라이드단(29)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단(29)과 대응되는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일측단 외측면에는 슬라이드단(29)이 삽입 결합되도록 차량 내측으로 오목한 슬라이드홈(36)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료도어(10)를 잡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슬라이드홈(36)을 따라 넥 장착판(20)의 슬라이드단(29)이 이동하게 되므로, 연료도어(10)의 조립 방향 및 갭 편차를 위한 이동방향을 일직선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일측단 내면에는 넥 장착판(30)의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24)에 삽입 체결되는 후크(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연료도어(10)의 넥 장착판(20)에 형성된 후크단(22)의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24)내에 사이드 아우터 패널(40)의 연료주입구(42) 내측에 힌지 장착된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후크(32)가 삽입 체결되면, 연료도어(10)는 정상 위치(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이 약 3mm 로 균일하게 유지되는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넥 장착판(20)의 타측쪽에서 연료도어(10)의 외부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오목한 넥 체결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후크(32) 뒤쪽 위치에는 연료도어의 외부방향을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되는 동시에 다시 수평으로 이중 절곡된 체결지지단(34)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도어(10)의 조립 또는 갭 편차 이동 조절시, 넥 장착판(20)의 오목한 넥 체결홈(25)에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체결지지단(34)이 삽입되어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연료도어(10)의 넥 장착판(20)과 상기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을 조립할 때,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후크(32)는 넥 장착판(20)의 내면에 형성된 정상 위치 한정용 후크홈(24)내에 삽입 체결되는 동시에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체결지지단(34)은 넥 장착판(20)의 외면에 형성된 넥 체결홈(25)에 끼워지며 밀착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연료도어(10)의 넥 장착판(20)에 형성된 후크단(22)의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24)내에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후크(32)가 삽입 체결되면, 연료도어(10)는 정상 위치(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이 약 3mm 로 균일하게 유지되는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과정을 첨부한 도 4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연료도어가 도장 및 건조공정 등에서 열변형을 일으키거나, 차량 구매 후 일정 시간이 지나 열변형 또는 내구에 의한 변형으로 인하여, T방향(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뒤로 밀리게 됨으로써,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갭 편차가 발생한다는 것은 연료도어(10)가 움직임에 따라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후크(32)가 넥 장착판(20)의 정상 위치 한정용 후크홈(24)으로부터 이탈된 것의 의미하며, 이에 연료도어의 외경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이 균일하게 3mm 수준으로 유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넥 장착판(20)의 후크단(22)을 눌러서 연료도어(10)를 갭 편차가 발생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후크단(22)을 다시 놓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후크단(22)이 본래 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후크단(22)에 형성된 후크홈(24)내에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후크(32)가 삽입 체결됨으로서, 다시 연료도어(10)는 갭 편차를 보정하면서 정상 위치(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간의 갭이 약 3mm 로 균일하게 유지되는 위치)로 조절된 상태가 된다.
10 : 연료도어 20 : 넥 장착판
22 : 후크단 24 :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
25 : 넥 체결홈 26 : 절개홀
28 : 강성 보강단 29 : 슬라이드단
30 : 연료도어 장착용 넥 32 : 후크
34 : 체결지지단 36 : 슬라이드홈
40 : 사이드 아우터 패널 42 : 연료주입구
44 : 팝업스프링

Claims (6)

  1. 연료도어(10)의 후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넥 장착판(20)과;
    상기 넥 장착판(20)의 일측쪽에 가압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연료도어(10)의 내부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24)을 갖는 후크단(22)과;
    일측단부는 넥 장착판(20)에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고, 타측단부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40)의 연료주입구(42)의 내면 일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서, 일측단 내면에는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24)에 체결되는 후크(3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연료도어 장착용 넥(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넥 장착판(20)의 타측쪽에서 연료도어(10)의 외부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넥 체결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후크(32) 뒤쪽 위치에는 넥 체결홈(25)내로 끼워지도록 외부방향으로 이중 절곡된 체결지지단(3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단(22)의 전단 및 상하단에는 넥 장착판(20)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절개홀(26)이 형성되어, 후크단(22)의 후단만이 넥 장착판(20)과 일체로 형성되되, 일체가 되는 부분은 집중응력 방지를 위해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단(22)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 이상의 싱크 방지용 강성 보강단(28)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상위치 한정용 후크홈(24)의 좌우폭은 연료도어(10)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40) 간의 갭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넥 장착판(20)의 후면에서 후크단(22)의 상단 및 하단과 이격된 위치에는 슬라이드단(29)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도어 장착용 넥(30)의 일측단부에는 슬라이드단(29)과 결합되는 슬라이드홈(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갭 조절 장치.
KR1020120106978A 2012-09-26 2012-09-26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 KR101795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78A KR101795071B1 (ko) 2012-09-26 2012-09-26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78A KR101795071B1 (ko) 2012-09-26 2012-09-26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403A KR20140040403A (ko) 2014-04-03
KR101795071B1 true KR101795071B1 (ko) 2017-11-07

Family

ID=5065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978A KR101795071B1 (ko) 2012-09-26 2012-09-26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0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419A (ja) 1999-12-28 2001-07-06 Juken Sangyo Co Ltd 調整蝶番
KR100583627B1 (ko) 2002-05-29 2006-05-26 아르투로 살리세 에스.피.에이. 힌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419A (ja) 1999-12-28 2001-07-06 Juken Sangyo Co Ltd 調整蝶番
KR100583627B1 (ko) 2002-05-29 2006-05-26 아르투로 살리세 에스.피.에이.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403A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5781B1 (en) Vehicle lid device
US10920474B2 (en) Hinge device
CN202990582U (zh) 车门的固定装置
CN113840969B (zh) 配件装置
US20090167053A1 (en) Tailgate spoiler with integrated rotating hinge cover
US20150015023A1 (en) Automotive glass channel and method
US20080284179A1 (en) Device for fixing a door or flap
US20160297279A1 (en) Air vent dial for automobile
CN113906190A (zh) 家具连接配件
KR101795071B1 (ko) 차량용 연료도어의 갭 조절 장치
KR20150029550A (ko) 공기 송풍구용 제어 요소와 조립체, 및 그 제어 요소의 장착 방법
CN102213512A (zh) 对开门冰箱
CN111094681A (zh) 用于在窗户或门上的被遮盖的装置的转动配件
US8555464B2 (en) Adjustable hinge assembly
EP3296491B1 (en) Adjustable latching hinge
JP2017218879A (ja) 扉用ヒンジ
US20190202338A1 (en) Pivot bearing for a pivotable holder of a light module in a carrier frame for a headlamp
KR101982876B1 (ko) 테일 게이트의 다이나믹 가이드 범퍼 구조
KR102213124B1 (ko) 냉장고 도어용 판넬 장착장치
US20220195769A1 (en) Hinge device
JP2010065479A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の扉取付構造
KR101366540B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장치
KR200481870Y1 (ko) 자동차용 연료도어
KR20100008581A (ko) 차량용 연료필러도어
WO2015041445A1 (en) Air vent dial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