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234B1 -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234B1
KR101794234B1 KR1020160120743A KR20160120743A KR101794234B1 KR 101794234 B1 KR101794234 B1 KR 101794234B1 KR 1020160120743 A KR1020160120743 A KR 1020160120743A KR 20160120743 A KR20160120743 A KR 20160120743A KR 101794234 B1 KR101794234 B1 KR 10179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sk
monitor
plat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희
Original Assignee
조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희 filed Critical 조세희
Priority to KR102016012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234B1/ko
Priority to JP2019516406A priority patent/JP2019535344A/ja
Priority to CN201780058376.XA priority patent/CN109788846A/zh
Priority to US16/335,156 priority patent/US20190343273A1/en
Priority to PCT/KR2017/010410 priority patent/WO201805672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3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2Adjustable forms
    • A47B39/023Adjustable forms with adjustable spacing between table and cha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2083/025Computer workstation with integrated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2Height and inclination adjustable desktop, either separately or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H02J2007/006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monitor)를 지지하는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은, 유닛 베이스; 상기 유닛 베이스에 연결되는 컬럼; 상기 컬럼의 상부에 배치되는 데스크 플레이트;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부; 및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를 전, 후진 또는 회전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Complex sliding desk system}
본 발명은,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는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전과 달리 최근에는 컴퓨터를 활용하여 개인 사무 또는 회사 업무를 보거나 PC방 등에서 게임을 즐기곤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현대 사회에 있어서 컴퓨터는 사람과 가장 밀접한 전자기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가구 회사의 경우에도 컴퓨터가 탑재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데스크, 특히 데스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여러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컴퓨터 전용 데스크나 혹은 그에 상응하는 시스템 가구, 혹은 데스크 시스템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시스템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이 높을 수밖에 없어 보급에 다소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현재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컴퓨터 전용 데스크나 혹은 그에 상응하는 시스템 가구, 혹은 데스크 시스템의 경우에는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보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장시간 앉아 업무를 보는 직업군의 사람들에게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의 시스템과는 차별화된 신개념의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0547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0547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392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4-00048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는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monitor)를 지지하는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은, 유닛 베이스; 상기 유닛 베이스에 연결되는 컬럼; 상기 컬럼의 상부에 배치되는 데스크 플레이트;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부; 및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를 전, 후진 또는 회전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를 전, 후진시키는 전, 후진 액추에이터; 및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절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가 탑재되는 구동부 탑재부; 및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은,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를 전, 후진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의 타측에 마련되되 이어폰잭, USB 충전잭 또는 데이터 연결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스위치 판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되 누운 자세를 포함해서 인체의 허리에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게끔 뒤로 젖혀지는 의자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자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자 유닛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사이드 테이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일부 절취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6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분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에서 의자 유닛과 유닛 서포팅 베이스의 배치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유닛 서포팅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의 사시도,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일부 절취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10)은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목 디스크나 허리 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시간 컴퓨터에 앉아 업무를 보거나 게임을 즐기는 직업군의 사람들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10)은 pc방, 게임방, 다목적 복합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개인 업무용, 회사 업무용, 설계/디자인 업무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의자 유닛(10), 사이드 테이블 유닛(20), 그리고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처럼 의자 유닛(10), 사이드 테이블 유닛(20), 그리고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30)을 갖추어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1)을 구축할 경우,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중에서 사이드 테이블 유닛(20) 등은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다.
의자 유닛(10)은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30)의 일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의자 유닛(10)은 누운 자세를 포함해서 인체의 허리에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게끔 뒤로 젖혀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의자 유닛(10)의 하부에는 회전원판(11)이 마련된다. 회전원판(11)으로 인해 의자 유닛(10)은 회전될 수 있는데, 이로써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30)을 향할 수도 있고, 사이드 테이블 유닛(20)을 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사이드 테이블 유닛(20)은 의자 유닛(10)의 사이드에 배치된다. 모니터(M, monitor)를 지지하는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30)과 달리, 사이드 테이블 유닛(20)은 필기를 하는 장소일 수도 있고, 간단한 물품, 예컨대 휴대폰, 컵 등을 올려두는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
사이드 테이블 유닛(20)은 이동이 편리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사이드 테이블 유닛(20)의 하부에 휠(wheel)이 갖춰질 수 있다.
한편,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30)은 모니터(M, monitor)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한 대의 모니터(M)가 개시되고 있으나 듀얼 모니터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30)은 도 3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유닛 베이스(31)와, 유닛 베이스(31)에 연결되는 컬럼(32)과, 컬럼(32)의 상부에 배치되는 데스크 플레이트(34)와, 데스크 플레이트(34) 상에서 모니터(M)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부(40)와, 데스크 플레이트(34)에 연결되며, 데스크 플레이트(34)를 전, 후진 또는 회전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스크 플레이트(34)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편의를 위해 데스크 플레이트(34)의 전면에는 절취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모니터 지지부(40)는 모니터(M)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단순한 지지방식 외에도 모니터(M)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기술하도록 한다.
플레이트 구동부(50)는 데스크 플레이트(34)의 하부에 박스(box) 형태로 마련되는 구동부 탑재부(6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4에는 편의상 구동부 탑재부(60)가 개방되었으나 구동부 탑재부(60)는 벽체에 의해 막힌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데스크 플레이트(34)의 후방에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70)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피커를 연결할 필요 없이 완벽한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30)은 스위치와, 스위치 판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는 데스크 플레이트(34)의 일측, 특히 전단부 일측에 마련되며, 데스크 플레이트(34)를 전, 후진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전, 후진 또는 회전 동작을 위해 스위치는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판넬은 데스크 플레이트(34)의 타측에 마련되되 이어폰잭, USB 충전잭 또는 데이터 연결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판넬이 갖춰질 경우,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스위치 판넬을 데스크 플레이트(34)에 직결시킬 경우, 데스크 플레이트(34)의 이동 시 스위치 판넬이 함께 이동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플레이트 구동부(50)는 도 5에 잘 나타난 것처럼 데스크 플레이트(34)를 지지하는 레일(51)에 대하여 데스크 플레이트(34)를 전, 후진시키는(L) 전, 후진 액추에이터(52)와, 데스크 플레이트(34)를 회전시키는(R) 회전 액추에이터(53)를 포함한다. 전, 후진 액추에이터(52)와 회전 액추에이터(53) 모두는 전동모터식이나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일 수 도 있다.
회전 액추에이터(53)의 동작에 의해 데스크 플레이트(34)가 도 5의 R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데스크 플레이트(34) 상에 올려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저지하기 위해 데스크 플레이트(34)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는 마찰력이 우수한 특수소재일 수도 있고, 자석방식일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들, 도 9는 도 6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11은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13은 도 11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100) 역시, 누운 자세를 포함해서 인체의 허리에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게끔 뒤로 젖혀지는 의자 유닛(110)과, 의자 유닛(110)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과, 의자 유닛(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모니터(monitor M)를 지지하되 의자 유닛(110)에 대응되는 위치로 모니터(M)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이동 가능한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의자 유닛(110),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 그리고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의 배치구조가 최적화된 구조일 수 있다.
각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의자 유닛(110)은 통상의 의자일 수 있는데, 특히 쿠션을 내재한 리클라이너 형태의 쇼파 타입의 의자일 수 있다. 이럴 경우, 편안하게 오래 앉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의자 유닛(110)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11)와, 지지부(111)의 상부를 이루되 앉는 자리로서의 좌부(112)와, 좌부(11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팔걸이부(113)와,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114)와,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좌부(112)의 경우, 일정한 쿠션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의 경우, 도면의 편의를 위해 의자 유닛(110)이 세워진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의자 유닛(110)은 도 22처럼 자유롭게 뒤로 젖혀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의자 유닛(110)에 앉아 누운 상태로 업무(학습 포함)를 볼 수 있다. 이처럼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은 의자 유닛(110)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테이블이다.
이러한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은 사이드 테이블 플레이트(121)와, 사이드 테이블 플레이트(121)를 지지하되 일측이 절곡되는 다수의 절곡형 브리지(bridge,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테이블 플레이트(121)는 서류 작업을 하거나 혹은 서류나 기타 문방용품을 올려둘 때, 활용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다수의 절곡형 브리지(122)는 사이드 테이블 플레이트(121)를 지지한다. 절곡형 브리지(122)의 단부가 절곡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사이드 테이블 플레이트(121)가 사용자에게 근접하더라도 절곡형 브리지(122)의 간섭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은 의자 유닛(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듀얼 모니터(dual monitor, M)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듀얼 모니터(M)가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모니터(M)는 1대, 혹은 3대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M)의 개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은 유닛 베이스(131), 컬럼(132), 데스크 플레이트(134), 그리고 모니터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은 도 22처럼 의자 유닛(110)이 뒤로 젖혀져서 사용자가 누운 경우, 누운 사용자의 위치에 맞게 듀얼 모니터(M)가 배치될 수 있게끔 듀얼 모니터(M)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유닛 베이스(131)는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의 하부를 이루며, 컬럼(132), 데스크 플레이트(134), 그리고 모니터 지지부(14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컬럼(132)은 유닛 베이스(131)의 상부 일측에 아크(arc) 형상으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컬럼(132)으로 인해 듀얼 모니터(dual monitor, M)가 사용자 측으로 근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데스크 플레이트(134)는 컬럼(132)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의 사이드 테이블 플레이트(121)와 마찬가지로 서류 작업을 하거나 혹은 서류나 기타 문방용품을 올려둘 때 활용할 수도 있고, 혹은 키보드 등을 올려두는 장소로 활용할 수도 있다. 특히, 키보드가 탑재된 경우, 데스크 플레이트(134)는 전진되면서 누운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누운 상태에서도 키보드 작업이 충분히 가능하다.
데스크 플레이트(134)에는 절취부(133)가 형성되는 이러한 절취부(133)는 무게 감소를 위한 부분일 수도 있고, 혹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라인(line)이 배치되는 장소일 수도 있다.
도 13의 화살표처럼 데스크 플레이트(134)가 전, 후진될 수 있도록 데스크 플레이트(134)에는 플레이트 구동부(135)가 연결된다. 즉 플레이트 구동부(135)는 컬럼(132)과 데스크 플레이트(134)에 연결되며, 컬럼(132)에 대하여 데스크 플레이트(134)를 전, 후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 구동부(135)는 안테나 구조와 같은 텔레스코픽 바아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하지만, 플레이트 구동부(135)는 LM 가이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모터와 볼 스크류, 슬라이드 레일 구조가 조합된 전동식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모니터 지지부(140)는 실질적으로 듀얼 모니터(dual monitor, M)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모니터 지지부(140)는 그 일측이 컬럼(132)에 연결되고 타측은 듀얼 모니터(M)를 지지한다.
이러한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은 플레이트 구동부(135)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배치되되 컬럼(132)에 대한 노출 길이가 조절 가능한 한 쌍의 길이 조절대(141)와, 한 쌍의 길이 조절대(141)에 연결되며, 듀얼 모니터(M)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방 지지대(142)와, 후방 지지대(142)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듀얼 모니터(M)의 배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모니터 커넥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은 막대형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효과는 뛰어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은 전술한 것처럼 구조적인 효율성으로 인해 목 디스크와 허리 디스크 발병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컴퓨터에 앉아 업무를 보는 직업군의 사람들에게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효과는 높으면서도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원가 절감에 따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가 매우 콤팩트하기 때문에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만 하는 pc방, 게임방, 다목적 복합공간 등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물론, 개인 업무용, 회사 업무용, 설계, 디자인 업무용을 위한 가정이나 회상에 설치하기도 좋다.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200) 역시, 최적의 조합으로 배치되는 의자 유닛(110),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 그리고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200)에는 유닛 서포팅 베이스(250)가 더 갖춰질 수 있다.
유닛 서포팅 베이스(250) 상에 의자 유닛(110),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 및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이 하나씩 위치별로 탑재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유닛 서포팅 베이스(250)의 위치 이동을 통해 한 세트의 의자 유닛(110),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 및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200) 역시, 최적의 조합으로 배치되는 의자 유닛(110),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 그리고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의자 유닛(110),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 그리고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은 유닛 서포팅 베이스(250) 상의 최적의 위치로 탑재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유닛 서포팅 베이스(250)의 일측에는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의 전, 후진 위치를 가이드하는 테이블 가이드 모듈(360)이 마련된다. 테이블 가이드 모듈(360)은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의 절곡형 브리지(122)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 가이드 모듈(360)은 절곡형 브리지(122)가 이동되는 가이드 홈(361)이 형성되는 모듈 바디(361)와, 가이드 홈(361)의 내측벽에 형성되고 절곡형 브리지(122)가 끼워져 배치되는 브리지 홀(3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이블 가이드 모듈(360)이 유닛 서포팅 베이스(250) 상에 마련될 경우,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의 절곡형 브리지(1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의 절곡형 브리지(122)를 안정적으로 전, 후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430) 역시, 유닛 베이스(131), 컬럼(132), 데스크 플레이트(134), 그리고 모니터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유닛 베이스(131) 상에는 컬럼(132)과 연결되어 컬럼(132)을 전, 후진 이동시키는 컬럼 전, 후진 이동부(438)이 마련된다. 컬럼 전, 후진 이동부(438)는 예컨대, LM 가이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컬럼 전, 후진 이동부(438)가 적용될 경우, 듀얼 모니터(M)를 가까이 보거나 멀리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500) 역시, 최적의 조합으로 배치되는 의자 유닛(110),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 그리고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의자 유닛(110),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 그리고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은 유닛 서포팅 베이스(550) 상의 최적의 위치로 탑재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유닛 서포팅 베이스(550)에는 일측에 요철식 돌출부(551)가 마련되고, 반대편에 요철식 돌출부(551)가 끼워 맞춤되는 요철식 홈부(55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유닛 서포팅 베이스(550) 상에 요철식 돌출부(551)와 요철식 홈부(552)가 형성되면 이들의 시공작업이 편리해지면서도 깔끔한 마무리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500) 역시, 최적의 조합으로 배치되는 의자 유닛(110),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 그리고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의자 유닛(110), 사이드 테이블 유닛(120), 그리고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130)은 유닛 서포팅 베이스(650) 상의 최적의 위치로 탑재된다.
또한 유닛 서포팅 베이스(650)에는 앞선 실시예처럼 일측에 요철식 돌출부(651)가 마련되고, 반대편에 요철식 돌출부(651)가 끼워 맞춤되는 요철식 홈부(6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요철식 돌출부(651)와 요철식 홈부(652)의 단부에는 자석(651a,652a)이 각각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요철식 돌출부(6651)와 요철식 홈부(652)에 자석(651a,652a)이 각각 마련되면 자력으로 인해 유닛 서포팅 베이스(650)의 측방향 시공이 용이해지고 또한 시공 후 결합력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에서 의자 유닛과 유닛 서포팅 베이스의 배치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유닛 서포팅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의자 유닛(710)은 유닛 서포팅 베이스(750)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유닛 서포팅 베이스(750) 상에는 의자 유닛(710)과 레일 결합되어 의자 유닛(710)을 +X축 방향 혹은 ??X축 방향으로 위치 이동, 즉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레일(771)이 마련된다. 따라서 의자 유닛(710)을 +X축 방향 혹은 ??X축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기가 용이하다.
다만, 단순히 한 쌍의 레일(771)만 적용될 경우, 의자 유닛(710)의 이동 위치를 고정시키기가 어렵다. 즉 의자 유닛(71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해당 위치에 의자 유닛(710)을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다수의 볼 플런저(773)가 마련된다. 볼 플런저(773)는 볼과 스프링의 구조로 인해 의자 유닛(710)의 이동과 멈춤 동작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볼 플런저(773)는 한 쌍의 레일(771) 내측뿐만 아니라 외측에도 일부가 적용될 수 있는데, 내외측에 마련되는 볼 플런저(773)들은 의자 유닛(710)을 +R 방향 혹은 ??R축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800) 역시, 의자 유닛(810), 사이드 테이블 유닛(820),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830), 그리고 의자 유닛(810)과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830)을 지지하는 유닛 서포팅 베이스(850)를 포함할 수 있다.
의자 유닛(81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앉은 자세로부터 약간 비스듬히 누운 자세가 가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830)은 듀얼 모니터(dual monitor, M)를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컬럼(832), 데스크 플레이트(834), 모니터 지지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데스크 플레이트(834)는 접철식 아암(835)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의자 유닛(810) 쪽으로 근접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 지지부(840) 역시, 컬럼(832)에 대해 아크(arc) 라인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듀얼 모니터(M)가 의자 유닛(810) 쪽으로 근접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될 경우, 도면처럼 의자 유닛(810)을 눕힌 후에, 데스크 플레이트(834)와 듀얼 모니터(M)을 사용자 측으로 근접되게 위치시킴으로써 좀 더 편안한 자세에서 듀얼 모니터(M)를 시청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누운 자세로 업무를 보는 등 인체의 허리에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될 수 있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10 : 의자 유닛
11 : 회전원판 20 : 사이드 테이블 유닛
30 :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 31 : 유닛 베이스
32 : 컬럼 33 : 절취부
34 : 데스크 플레이트 40 : 모니터 지지부
50 : 플레이트 구동부 51 : 레일
52 : 전, 후진 액추에이터 53 : 회전 액추에이터
60 : 구동부 탑재부 70 : 스피커 유닛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monitor)를 지지하는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은,
    유닛 베이스;
    상기 유닛 베이스에 연결되는 컬럼;
    상기 컬럼의 상부에 배치되는 데스크 플레이트;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부; 및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를 전, 후진 또는 회전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를 전, 후진시키는 전, 후진 액추에이터; 및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절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가 탑재되는 구동부 탑재부; 및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은,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를 전, 후진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데스크 플레이트의 타측에 마련되되 이어폰잭, USB 충전잭 또는 데이터 연결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스위치 판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서포팅 데스크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되 누운 자세를 포함해서 인체의 허리에 이상적인 상태의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게끔 뒤로 젖혀지는 의자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유닛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사이드 테이블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KR1020160120743A 2016-09-21 2016-09-21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KR10179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743A KR101794234B1 (ko) 2016-09-21 2016-09-21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JP2019516406A JP2019535344A (ja) 2016-09-21 2017-09-21 複合スライドデスクシステム
CN201780058376.XA CN109788846A (zh) 2016-09-21 2017-09-21 复合滑动桌面系统
US16/335,156 US20190343273A1 (en) 2016-09-21 2017-09-21 Complex sliding desk system
PCT/KR2017/010410 WO2018056721A1 (ko) 2016-09-21 2017-09-21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743A KR101794234B1 (ko) 2016-09-21 2016-09-21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234B1 true KR101794234B1 (ko) 2017-11-07

Family

ID=6038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743A KR101794234B1 (ko) 2016-09-21 2016-09-21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43273A1 (ko)
JP (1) JP2019535344A (ko)
KR (1) KR101794234B1 (ko)
CN (1) CN109788846A (ko)
WO (1) WO20180567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56B1 (ko) * 2020-05-13 2021-07-06 옥재윤 기능성 복합 데스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11690B3 (de) 2022-05-10 2023-10-12 Elmar Mack & Michael Söhngen GbR (vertretungsbersechtigte Gesellschafter: Elmar Mack, 89077 Ulm und Michael Söhngen, 72622 Nürtingen) Mehrteilige Möbelgarnitur mit Bedienelementen für eine Computerbedie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417A (ja) * 2003-05-02 2004-11-25 Itoki Crebio Corp
KR101591069B1 (ko) * 2015-10-30 2016-02-18 주식회사 대농크로바 책상 프레임의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와 그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19879Y (zh) * 2000-05-16 2001-02-21 王斌 立柱式计算机工作台
KR20080002773U (ko) * 2007-01-17 2008-07-22 김선태 설교대 장치
JP2010524633A (ja) * 2007-04-24 2010-07-22 ダンコビッチ、ジェームズ 移動可能な一体化された自立型ワークステーション
SE532789C2 (sv) * 2007-11-14 2010-04-13 Cgm Ab Bord med synkroniserade bildskärmar
US8371237B2 (en) * 2008-07-30 2013-02-12 Herman Miller, Inc. Computer work station with moveable monitor support
KR20110029240A (ko) * 2009-09-15 2011-03-23 정운규 의자 일체형 컴퓨터 테이블
CN102697288B (zh) * 2012-06-07 2014-10-22 集美大学 多功能办公桌
CN203446838U (zh) * 2013-02-07 2014-02-26 甘昌乐 电脑显示器万向活动装置
US8893628B2 (en) * 2013-03-04 2014-11-25 Watson Furniture Group, Inc. Dispatch desk with focal length adjustabi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417A (ja) * 2003-05-02 2004-11-25 Itoki Crebio Corp
KR101591069B1 (ko) * 2015-10-30 2016-02-18 주식회사 대농크로바 책상 프레임의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와 그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56B1 (ko) * 2020-05-13 2021-07-06 옥재윤 기능성 복합 데스크 시스템
WO2021230633A1 (ko) * 2020-05-13 2021-11-18 옥재윤 기능성 복합 데스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721A1 (ko) 2018-03-29
US20190343273A1 (en) 2019-11-14
CN109788846A (zh) 2019-05-21
JP2019535344A (ja)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6025B1 (en) Furniture with wall structure and articulated tablet assembly
JP3432798B2 (ja) 一体式ドッキングトレイ組立体
US20120298017A1 (en) Desk assembly
US7677678B2 (en) Wheelchair accommodating system
US11944199B2 (en) Mechanical stretching device for movable seat unit and seat unit
JP2010524633A (ja) 移動可能な一体化された自立型ワークステーション
JP7159269B2 (ja) パネル付き椅子ユニット
KR101794234B1 (ko)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US11116315B2 (en) Desk having movable split work surfaces
WO2008151002A1 (en) Table having pivoting communication modules
US20060065163A1 (en) Desk with tilt-adjustable tops
WO2002067723A1 (fr) Ensemble bureau modulable
US20050279257A1 (en) Wiring and Accessory Management Furniture
US20060065167A1 (en) Desk with tilt-adjustable tops
US6193338B1 (en) Computer desk
US20140268560A1 (en) Motorized mount for seating system
JP4537691B2 (ja) パネル付き椅子
JP3205550U (ja) 移動式卓上設置台
KR101361293B1 (ko) 프레임 어셈블리
WO2000045078A1 (en) Support and display apparatus for devices
CN202056482U (zh) 用于笔记本电脑的手臂式活动电脑架
JP2004065530A (ja) 椅子
JP2017131572A (ja) 複合家具及びその組み合わせ
JP2004261471A (ja) 作業環境構成什器
CN210696708U (zh) 一种多功能办公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