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013B1 -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013B1
KR101793013B1 KR1020160125495A KR20160125495A KR101793013B1 KR 101793013 B1 KR101793013 B1 KR 101793013B1 KR 1020160125495 A KR1020160125495 A KR 1020160125495A KR 20160125495 A KR20160125495 A KR 20160125495A KR 101793013 B1 KR101793013 B1 KR 101793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composition
inflammation
derived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철
오현철
손재학
김관우
윤치수
고원민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85Pyrazines or piper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해 해양생물 유래 진균인 SF-5497에서 분리한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마우스 유래 뇌세포에서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뇌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의약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푸미트레모르진 B는 세포 독성이 없어, 안전성이 인정될 뿐만 아니라,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를 이용한 실험 결과, 세포보호기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효소로 알려진 헤마틴 산화효소-1(Heme Oxygenase-1, HO-1)의 발현과 활성을 증가시키며, 세포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항염 조성물은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서 염증을 억제하는 항염증제 및 항염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FUMITREMORGIN B}
본 발명은 항염 효과가 있는 조성물 또는 항염증제, 구체적으로 천연물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외부에서 들어온 해로운 물질이나 유기체 등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하여 세포나 조직이 손상을 입거나 파괴되었을 때 그 손상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국소적으로 일어나는 면역반응으로서, 생체를 보호하고 조직 손상으로 생성된 산물들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방어 메카니즘이다. 상기 방어 메카니즘에 의해, 결과적으로 통증, 부종, 발적 또는 발열 등이 일어나 기능장애가 유발되기도 한다. 상기 염증을 유발하는 여러 요인에는 외상, 화상, 동상, 방사능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 산(acid)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 요인 및 항체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 염증은 정상적인 경우에는 생체 내에서 염증반응을 통하여 발병 요인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하고 상한 조직을 재생시켜서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는 작용을 하지만, 염증의 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거나 만성화되어 만성염증과 같은 질병 상태로 진행되는 경우 문제가 된다. 임상질환 가운데 거의 모든 질환에서 염증 반응을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발생과정(carcinogenesis)에서도 염증 반응과 관련된 효소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밝혀진 바에 의하면, 체내에서의 염증반응의 진행은 COX(cyclooxygenase) 효소 활성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COX 효소는 생체 내에 존재하는 프로스타그란딘(prostaglandin)의 생합성에 관련하는 주 효소로서(Smith 등, J. Biol.Chem., 271, 33157(1996)), 두 종류의 이성 효소인 COX-1과 COX-2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COX-1은 위나 신장과 같은 조직에 일정하게 존재하며, 정상적인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관여하는 반면, 상기 COX-2는 염증이나 기타 면역 반응 시 세포분열인자(mitogen)나 사이토카인(cytokines)류에 의해 세포 내에서 일시적이고 빠르게 발현되는 효소이다.
또 하나의 강력한 염증 매개물인 나이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NO)는 NO 합성효소(NOS)에 의해 L-알지닌으로부터 생성되며, UV와 같은 외부 스트레스나 엔도톡신 또는 사이토카인과 같은 물질에 의해 많은 종류의 세포에서 생성된다. 상기와 같은 염증 자극들은 세포 내의 유도성 NOS(iNOS)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하여 세포내에서 NO 생성을 유도하여, 대식 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최근 효과적인 염증 완화를 위하여, NO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 의해 개발된 항염물질의 경우 몇 가지 부작용이 문제되고 있다. 일 예로, 급성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만성 염증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들은 COX-2 효소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COX-1 효소도 억제함으로써 위장관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미화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화장품 조성물을 살펴보면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 형성에 필수 불가결한 존재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 및 기타 효능이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쓰이는 여러 가지 성분들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또는 부종 등과 여러 가지 부작용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피지 성분, 땀 성분 및 화장품 성분 중의 지방산, 고급 알코올, 단백질 등이 피부 상에 존재하는 피부 상재 균들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렇듯 화장품에 있어서 피부 부작용 유발요인은 항상 잠재되어 있으며 이를 해결 하고자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현재까지 홍반이나 부종 같은 자극완화 및 염증 완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로는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으며, 알란토인, 아즈렌, ε-아미노키프론산, 하이드로코티존,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 유도체)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항염제로 쓰이는 상기 인도메타신은 화장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고, 상기 하이드로코티존은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며, 감초산 및 그 유도체는 안정화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 않아 실제 적용 시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안전성 면이나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그러므로, 천연물질 유래 물질로 이러한 부작용이나 세포독성에 대한 위험이 없거나 적으면서, 효과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항염효과가 우수하여, 부작용 없이 염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함량의 제한 없이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천연 원료를 이용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10-2016-0078457A 10-2015-0135425A 10-1337045B
Mosmann T,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pp.55-63(1983) Jeong GS et al, Natural Product Sciences, 13, pp.268-272(2007) Li B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614, pp.58-65(2009) Tenhunen R et al, The Journal of laboratory and clinical medicine, 75, pp.410-421(1970)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작용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적은 천연물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항염물질과 달리 천연물, 구체적으로 육상 미생물이나 대기 미생물이 아닌 해양 즉, 심해 생물 유래 미생물에서 비롯한 것으로, 세포 독성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염증과 관련된 염증성 싸이토카인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NO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미세아교세포에서 항염 활성의 억제 및 이로 인한 세포 보호능이 확인되더, 뇌 염증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항염증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양성 진균 유래 성분, 구체적으로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4605397-pat00001
또한, 상기 항염 조성물은 뇌 염증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NO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염증과 관련된 여러 사이토카인(cytokine) 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세포 독성이 없으므로, 항염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항염 조성물은 항염증용 약학조성물이나 염증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4605397-pat00002
상기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은 뇌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염 조성물은 염증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즉, 항염효과가 있는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효과가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4605397-pat00003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4605397-pat00004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4605397-pat00005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항염 효과가 있는 물질, 구체적으로 뇌신경세포의 염증을 억제하고,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기존 연구개발이 정체된 토양 미생물이나 대기 미생물이 아닌 해양 미생물을 대상으로 연구하던 중, 양극해 해양생물 유래 진균인 SF-5497에서 분리한 푸미트레모르진 B이 신경세포인 미세아교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고, 염증을 직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NO 등의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결과를 통하여,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항염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염을 의미하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 또는 응용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은 약리학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과 유기산 및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약리학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과 유기산의 예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과염소산, 푸마르산, 말레산, 인산, 글리콜산, 락트산, 살리실산, 숙신산, 톨루엔-p-설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포름산, 벤조산, 말론산, 나프탈렌-2-설폰산, 벤젠설폰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약리학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나트륨, 알칼리코금속,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암모늄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효성분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약학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항염 효과 또는 염증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효과나, 뇌신경세포에서 항염 을 통한 신경세포의 보호 효과를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 치료 "란 본 발명에 따른 푸미트레모르진 B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 예방 "이란 본 발명에 따른 푸미트레모르진 B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 담체 "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4605397-pat00006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해양성 진균, 구체적으로 양극해 해양생물 유래 진균, 더욱 구체적으로 양극해 해양생물 유래 진균인 SF-5497 유래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염증을 직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NO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염증 완화 효과 및 이에 의한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헤마틴 산화효소-1(Heme Oxygenase-1, HO-1)의 발현과 활성을 증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은 염증을 억제하거나 염증을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은 일반적인 염증질환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일 예로 상기 염증질환은 각종 피부염, 알레르기, 전신성 홍반성 낭창,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췌장염, 관절염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알레르기는 과민증(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urticaria),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를 포함한다.
상기 항염 조성물은 신경세포, 구체적으로 뇌신경세포 또는 뇌조직의 염증을 억제하거나 염증을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염 조성물은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 응용되거나, 상기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로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일 예로 상기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또는 상기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4605397-pat00007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를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중량% 내지 99.9 중량% 또는 0.01 중량% 내지 5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고, 소화기관, 배설기관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상기 항염 조성물 내에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약제로 사용되거나, 의약 또는 약학적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거나 희석제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 내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함량은 0.001 중량 % 내지 99.9 중량 %, 0.1 중량% 내지 99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의 사용태양 및 사용방법에 따라 상기 화합물의 함량은 바람직한 함량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pH 조절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알긴산 및 그의 염, 펙트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라이드, 글리세린,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푸미트레모르진 B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공지의 항염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된 물질, 일 예로 COX-2 저해제, NO 저해제 또는 항염증제 등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약제로 사용하는 경우 투여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가능하며, 일 예로는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TABLETS), 알약, 연질 또는 경질 캅셀제(CAPSULES), 환제(PILLS), 산제(POWDERS) 및 과립제(GRANULES)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SUSTESIONS), 내용액제, 유제(EMULSIONS) 및 시럽제(SYRUPS)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형태는 크림(CREAM), 로션제(LOTIONS), 연고제(ONITMENTS), 경고제(PLASTERS), 액제(LIQUIDS AND SOUL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유동엑스제(FRUIDEXTRACTS), 엘릭서(ELIXIR), 침제(INFUSIONS), 향낭(SACHET), 패취제(PATCH) 또는 주사제(INJECTIONS)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의 중증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일 예로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1 mg/kg(체중) 내지 500 mg/kg(체중), 0.1 mg/kg(체중) 내지 400 mg/kg(체중) 또는 1 mg/kg(체중) 내지 300 mg/kg(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또는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또는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4605397-pat00008
상기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또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혼합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유효성분은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또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전체에 대해 0.1 중량%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통상 0.001 중량%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또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각종 만성 염증 질환, 패혈증, 쇼크, 장기이식의 거부반응과 같은 각종 급성 염증 질환, 안과질환, 기관지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의 일예로는 물,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락토스,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 덱스트로스,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담체 또는 부형제는 2종이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또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또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공지의 항염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또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 과립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리모나데제, 산제, 시럽제, 안연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점안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제, 캅셀제, 크림제, 환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또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진피내, 근육내, 복막내, 정맥내, 피하내, 코안, 경막외 및 구강경로를 통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본 발명의 항염증용 약학조성물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1 ㎎/㎏(체중) 내지 100 ㎎/㎏(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천연물질 유래로 세포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염증 억제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항염 및 항자극 활성이 뛰어나므로, 화장품에 포함된 성분들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및 외부 환경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또는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는 염증 개선 및 완화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바디 화장료, 두발용 화장료, 두피용 화장료, 면도용 화장료 또는 구강용 화장료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 화장료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고,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의 예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상기 바디 화장료의 예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고, 상기 두발용 화장료의 예로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무쓰, 헤어 리퀴드, 포마드,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리치제 또는 칼라 린스 등이 있으며, 상기 두피용 화장료의 예로는 헤어 토닉 또는 스칼프 트리트먼트 등이 있고, 상기 면도용 화장료의 예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또는 셰이빙 크림 등이 있으며, 상기 구강용 화장료의 예로는 치약 또는 마우스 워셔 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외에 사용용도 및 화장료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고 있는 성분, 일예로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비타민류, 동식물 추출성분, 소화제, 미백제, 혈관확장제, 수렴제, 청량제, 호르몬제 등을 추가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약물 또는 유효성분을 피부조직으로 침투 또는 이행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용도 및 화장료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일예로 수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유액계, 겔계, 페이스트계, 연고계, 에어졸계, 물-기름 2층계 또는 물-기름-분말 3층계일 수 있으며, 상기 제형의 예는 단순한 예시일 뿐, 상기 예시에 의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및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0.01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으나, 상기 함량은 제형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외의 성분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함량에 의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푸미트레모르진 B는 천연물인 해양 미생물 유래 물질로, 세포독성이 없으며, 뇌신경세포인 미세아교세포에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과 N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신경세포 보호능을 가진 HO-1의 발현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어, 항염 효과와 뇌신경세포 보호능을 통해서 항염 조성물 또는 염증질환을 개선, 치료 또는 예방하는 효과가 우수함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푸미트레모르진 B는 천연물 유래 물질로서 세포독성이 없고, 염증과 관련된 NO 분비량 및 여러 사이토카인(cytokine)의 전사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효과적으로 염증을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뇌신경세포를 통해 확인한 결과, 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HO-1 발현 증가에 의해, 세포 보호 및 염증 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은 염증을 억제하여 염증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항염증제 또는 항염증용 약학조성물 및 특정 제형 등과 관련하여 화장품 제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또는 외부환경으로 인한 피부의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등에 응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 대한 치료와 관련된 의료산업 및 피부염증의 제어와 관련된 화장품 산업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해 해양생물 유래 진균인 SF-5497로부터 푸미트레모르진 B를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극해 해양생물 유래 진균인 SF-5497로부터 분리한 물질에 관한 자료로, 도 2a는 SF-5497 균주로부터 분리한 물질의 1H-NMR(A) 분석 결과, 도 2b는 SF-5497 균주로부터 분리한 물질의 13C-NMR(B)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F-5497 균주로부터 분리한 물질의 HMBC(Heteronuclear Multiple Bond Coherence)에 의해 확인된 물질의 구조, 즉 푸미트레모르진 B의 구조를 나타낸 화학식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푸미트레모르진 B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한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로, 세로축의 수치는 대조군인 무처리군(control)을 기준으로 세포수를 상대적으로 계산한 것이고, 가로축의 수치는 첨가량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미트레모르진 B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도 5 a), IL-6(도 5b) 및 TNF-a(도 5c)의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도 4에서 세로축은 무처리군을 기준으로 mRNA 발현 양을 의미하고, 가로축의 수치는 첨가량을 의미하며, ' + '는 물질을 처리한 것을 의미하고, ' - '는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미트레모르진 B의 NO 생성 억제 효과(도 6a), PGE2 생성 억제 효과(도 6b) 및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량 억제 효과(도 6c)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6a 및 도 6b의 그래프와 도 6c의 사진의 가로축의 수치는 첨가량을 의미하며, ' + '는 물질을 처리한 것을 의미하고, ' - '는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항염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핵 분획에서 NF-κB 이량체인 p65와 p50의 전사 억제 효과(도 7a), 세포질 분획에서 IκB-α 분해 억제 및 인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도 7b) 및 핵 분획에서 NF-κB의 p65의 결합 활성(Binding activity)을 억제하는 효과(도 7c)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도 7a 및 도 7b의 그래프와 도 7c의 사진의 가로축의 수치는 첨가량을 의미하며, ' + '는 물질을 처리한 것을 의미하고, ' - '는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미트레모르진 B의 헤마틴 산화효소-1(Heme Oxygenase-1, HO-1)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8의 사진의 가로축의 수치는 첨가량을 의미하고, SF5497-5132는 푸미트레모르진 B를 의미하며, ' + '는 물질을 처리한 것을 의미하고, ' - '는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미트레모르진 B의 헤마틴 산화효소-1(Heme Oxygenase-1, HO-1)의 발현 인자인 정도를 Nrf2의 핵 내로의 이동 여부를 확인한 것으로, 상기 도 9의 사진의 SF5497-5132는 푸미트레모르진 B를 의미하고, 가로축의 수치는 푸미트레모르진 B 첨가 후, 경과된 시간을 의미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미트레모르진 B의 헤마틴 산화효소-1(Heme Oxygenase-1, HO-1) 발현 촉진에 의한 NO 생성 억제 효과(도 10a) 및 PGE2 생성 억제 효과(도 10b)를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도 10a 및 도 10b의 그래프에서' + '는 물질을 처리한 것을 의미하고, ' - '는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푸미트레모르진 B의 분리
양극해 해양생물 유래 진균 SF-5497에서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igin B)의 분리는 도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배양된 양극해 해양생물 유래 진균 SF-5497을 수득한 후, 100%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6시간 동안 소니케이션한 뒤 24시간 동안 10 내지 20℃에 방치하여 100%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3.0 g을 얻었다. 상기 100%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단계적 기울기 용리법을 이용하여(20%, 40%, 60%, 80%, 100%( 메탄올 : 물, v/v)) 역상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6가지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각각의 분획물에 대해 항염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가장 항염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5번째 분획물을 세파덱스 LH-20(Sephadex LH-20 C.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고, 클로로포름 메탄올 혼합액(클로로포름 : 메탄올 = 10 : 1, v/v)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4가지 분획을 수득하였다.
상기 4가지 분획에 대해 항염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가장 항염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1번째 분획을 역상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고, 메탄올 수용액(메탄올 : 물 = 2.5 : 1, v/v)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3가지 분획을 수득하였다.
상기 3가지 분획에 대해 항염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가장 항염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3번째 분획을 60% 내지 100% ACN in H2O(0.1 % formic acid)의 용매 기울기 조건으로 70분간 역상 HPLC를 실시하여 단일 화합물 3.5 mg을 분리하였다.
상기 단일 화합물의 구조 동정을 위해, NMR 분석을 수행한 결과, 1H-NMR 분석 결과(도 2a) 및 13C-NMR 분석 결과(도 2b)를 확인하여 구조 동정을 하였으며, 상기 결과를 분석하여 구조 동정된 화합물은 도 3의 화학식 즉, 화학식 1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인 푸미트레모르진 B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분리된 화합물인 푸미트레모르진 B는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 배양 및 세포독성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2 ×105 cells/well)를 10% heat-inactivated FBS, 페니실린 G (penicillin G, 100 IU/ml, Gibco, 15240062)와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μg/ml, Gibco, 15240062)을 함유한 DMEM 배지에 분주하고 5% 이산화탄소 배양기(Sanyo, MCO175) 내에서 37 ℃ 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푸미트레모르진 B를 농도 별로 처리하고 24 시간 동안 5 % CO2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으며, 세포생존율은 MTT 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치는 대조군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평균치로 표시하였으며, 각각 3회 반복 실험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측정한 바와 같이, 40μM의 농도로 처리할 때까지는 세포가 사멸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40μM의 농도에서 약간의 세포수가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푸미트레모르진 B는 40μM의 농도로 처리할 때까지는 세포가 사멸하지 않고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항염 효과 1 - 사이토카인 mRNA 발현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2의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푸미트레모르진 B를 10, 20 및 40 μM 함량으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반응을 유발한 다음, 6시간 동안 5%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에 대해 RT-PCR로 실험결과, IL-1β(도 5a), IL-6 (도 5b) 및 TNF-α(도 5c)의 mRNA 발현양을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미트레모르진 B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하던 IL-1β(도 5a), IL-6 (도 5b) 및 TNF-α(도 5c)의 mRNA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항염 효과 2 - 염증 매개 물질 발현 억제 효과
푸미트레모르진 B의 BV2 세포에서의 염증 매개 인자들인 NO, PGE2의 생성과 iNOS 및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헌(Kim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1, pp. 267-276(2013))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우선, BV2 세포에 푸미트레모르진 B를 10, 20 및 40 μM의 농도로 처리 3시간 배양하여 전처리한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로 염증반응을 유발한 다음, 24 시간 동안 5%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 후, NO, PGE2의 생성량과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후, 도 6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함량에 따른 NO, PGE2의 생성량과 iNOS, COX-2 단백질 발현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럿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수행한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60 mm 디쉬에 3 X 106 cells/ml 농도로 BV2 세포 12시간 배양한 후, 푸미트레모르진 B를 농도 별로 처리 후 3시간 동안 배양하는 전처리를 수행한 다음, 리포폴리싸카라이드를 1μg/ml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염증반응을 유발하였다. 상기 배양 후, RIPA(89900, Thermo) 버퍼를 첨가하고, 4℃ 및 14,000 X g의 조건에서 2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상등액에서 단백질 정량은 BSA 단백질 실험 키트(Pierce Biotechnology)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상세하게, 상기 상등액을 7.5%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polyacrylamide gel)를 이용하여 2시간 동안 전기영동한 후, 나이트로셀룰로스 맴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 NC membrane)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로부터 전사하였다. 상기 전사된 나이트로셀룰로스 맴브레인을 5% 무지방유가 포함된 신선한 블로킹 버퍼(blocking buffer, 0.1% Tween 20 in Tris-buffered saline)에서 1시간 동안 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반응 정지 후, 상기 멤브레인을 PBST(PBS, 0.1% Tween 20)로 10분에 1회씩 3회 세척한 후에, iNOS(SC-650, Santacruz biotechnology, USA), COX-2(SC-1745, Santacruz biotechnology, USA)의 항체(Ab)를 1:1000으로 희석하여 넣고 3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후, 상기 PBST로 10분에 1회씩 3회 세척하고, 2차 항체(Anti-rabbit IgG, SC-2004, Santacruz biotechnology, USA)를 1:1000으로 희석하여 넣고 1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후, PBST로 10분에 1회씩 3회 세척한 다음, ECL(Amersham Pharmacia Biotech) 용액을 1:1로 잘 섞어서 나이트로셀룰로스 맴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 NC membrane) 위에 부어서 발광시키고, 암실에서 X선 필름에 감광한 후 현상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액틴(Actin)에 대한 항체(SC-1616, Santacruz biotechnology, USA)를 이용하여 액틴(Actin)의 함량을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정량하였다. 상기 측정 및 정량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폴리싸카라이드를 처리 하였을 때 증가하던 NO 및 PGE2 생성이 푸미트레모르진 B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증 매개 인자로 알려진 단백질 발효 모두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현저하게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항염 효과 3
푸미트레모르진 B의 BV2 세포에서의 NF-κB 관련 경로에 대한 항염 효과를 살펴 보기 위해, IκB-α 분해 억제 효과, IκB-α 인산화 억제 효과, NF-κB p65와 p50 핵내 전사 억제 효과 및 NF-κB p65 결합능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헌(Kim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1, pp. 267-276(2013))의 방법과 상기 실험예 4의 웨스턴 블럿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BV2 세포에 푸미트레모르진 B를 10, 20 및 40 μM을 첨가하고 3 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로 염증 반응 경로를 유발한 다음, 1시간 동안 5%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NF-κB p65 및 p50(SC-8008, SC-7178, Santacruz biotechnology, USA) 핵내 전사 억제, IκB-α(SC-371, Santacruz biotechnology, USA) 분해 억제, IκB-α 인산화 억제(p-IκBα, SC-8404, Santacruz biotechnology, USA) 및 NF-κB p65 결합능의 억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핵분리 실험을 진행 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미트레모르진 B를 처리하는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NF-Κb의 p65와 p50의 핵내 전사량이 감소되었고(도 7a), 세포질에서의 IκB-α의 인산화가 감소되고 분해 정도가 증가하였으며(도 7b), NF-κB p65 결합능이 감소하여(도 7c), 상기 결과로부터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항염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6.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항염 효과 4 - HO -1의 발현 유도 효과
푸미트레모르진 B의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HO-1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험예 4의 웨스턴 블럿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 HO-1의 발현을 유도하는 CoPP를 10 μM을 사용하였고, 푸미트레모르진 B를 10, 20 및 40 μM의 농도로 처리하여 12시간 동안 5%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HO-1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미트레모르진 B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HO-1 발현이 유도되었고, 푸미트레모르진 B를 40 μ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HO-1 발현 유도제인 CoPP를 10 μM을 처리한 것과 거의 유사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7.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항염 효과 5 - Nrf2의 핵 내로 전사 효과
푸미트레모르진 B의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HO-1 단백질의 발현에 작용하는 전사 인자인 Nrf2의 핵 안으로의 전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 문헌 (Lee et al.,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10, pp. 850-858(2010))의 방법과 상기 실험예 4의 웨스턴 블럿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 푸미트레모르진 B를 40 mM 함량으로 각각 30, 60 및 90분 동안 처리한 후, 전사 인자인 Nrf2의 핵 안으로의 전사 여부를 웨스턴 블럿 분석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날수록 BV2 세포에서 HO-1 발현에 작용하는 전사 인자 중 하나인 Nrf2가 세포질(Cytosol-Nrf2)에서는 감소하고, 핵 내(Nuclear-Nrf2)에서는 증가하여,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Nrf2의 핵 내로의 전사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8. 푸미트레모르진 B의 항염 효과 6 - HO -1에 의한 염증 반응 억제 확인
상기 항염효과가 확인된 푸미트레모르진 B의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HO-1 단백질의 발현에 의한 염증 반응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푸미트레모르진 B에 의한 HO-1의 발현이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리포폴리싸카라이드로 유발하여 발생한 염증 반응에 주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우선, HO-1 발현 억제제인 SnPP를 10 μM 전 처리한 후에 푸미트레모르진 B를 40 μM을 처리한 후, 염증 유도제인 리포폴리싸카라이드를 처리하였으며, NO 및 PGE2의 생성량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리포폴리싸카라이드로 유발하여 증가시킨 NO 및 PGE2의 생성량은 푸미트레모르진 B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HO-1 단백질 발현 억제제인 SnPP를 함께 전처리하였을 때에는 억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푸미트레모르진 B는 HO-1 발현을 통해 NO 및 PGE2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60537610-pat00009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은 뇌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효과가 있는 화장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60537610-pat00010
  5. 삭제
  6.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푸미트레모르진 B(FUMITREMORGIN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94605397-pat00011
  7. 삭제
KR1020160125495A 2016-09-29 2016-09-29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93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495A KR101793013B1 (ko) 2016-09-29 2016-09-29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495A KR101793013B1 (ko) 2016-09-29 2016-09-29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013B1 true KR101793013B1 (ko) 2017-11-02

Family

ID=6038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495A KR101793013B1 (ko) 2016-09-29 2016-09-29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0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2775B1 (en) 1998-05-27 2002-04-16 American Cyanamid Company Reversal of multidrug resistance in human colon carcinoma cells
US20100009927A1 (en) 2008-07-14 2010-01-14 Herbalscience Group Llc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y Extracts from Nettle
WO2011032000A2 (en) 2009-09-10 2011-03-17 New York University Method for protection of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drugs from inactivation by nitric oxi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2775B1 (en) 1998-05-27 2002-04-16 American Cyanamid Company Reversal of multidrug resistance in human colon carcinoma cells
US20100009927A1 (en) 2008-07-14 2010-01-14 Herbalscience Group Llc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y Extracts from Nettle
WO2011032000A2 (en) 2009-09-10 2011-03-17 New York University Method for protection of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drugs from inactivation by nitric oxid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 Pharm. Bull. 28(1) 245-254 (1980)
PLoS Pathogens November 2005, Volume 1, Issue 3, e30
비특허문헌 :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3661A (ko)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1116852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주름 개선용조성물
TWI747280B (zh) 余甘子萃取發酵物及其製備與應用
KR20090039649A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KR20170069050A (ko) 다슬기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1403396B1 (ko) 개꼬시래기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US20160193265A1 (en) Medical composition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KR101793013B1 (ko) 푸미트레모르진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60069919A (ko) 삼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90038702A (ko) 다시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50108088A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40133B1 (ko) 그리세우스라진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52407B1 (ko) 스피루리나에서 유래한 파이코시아노블린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078258A (ja) エンドセリン変換酵素阻害剤
JP5588408B2 (ja) 美白剤
KR102157247B1 (ko)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39307A1 (ko) 플록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조성물
JP2017510630A (ja) 植物製剤の相乗的組み合わせによってトリグリセリド合成を阻害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JP5405782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KR20130032995A (ko) 타마린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6924532B1 (ja) Pdk1の活性化抑制剤
KR102385221B1 (ko)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