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947B1 -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 - Google Patents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947B1
KR101792947B1 KR1020160068083A KR20160068083A KR101792947B1 KR 101792947 B1 KR101792947 B1 KR 101792947B1 KR 1020160068083 A KR1020160068083 A KR 1020160068083A KR 20160068083 A KR20160068083 A KR 20160068083A KR 101792947 B1 KR101792947 B1 KR 10179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otator
base
join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안
곽경석
Original Assignee
정도안
곽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안, 곽경석 filed Critical 정도안
Priority to KR102016006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화, 드라마 촬영 및 공연장 등에서 자동차, 오토바이, 항공기, 배와 같은 각종 이동수단의 특수효과를 위한 다양한 움직임을 이동수단을 이용해 직접 시행하지 않고, 기계적 동작에 의해 인위적으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오토바이, 항공기, 배와 같은 각종 이동수단(10)의 특수효과를 위한 다양한 움직임을 인위적으로 연출하는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로서, 이동수단(10)이 고정설치되는 탑재부(111)가 구비되되, 상기 탑재부(111)가 선단에 마련된 제1관절부(110) 및, 상기 제1관절부(110)에 힌지결합되는 제2관절부(120)의 접철 동작에 의해 다관절 작동하는 암대(100)와; 상기 제2관절부(120)가 힌지결합되면서 암대(100)를 지지하는 베이스(200)와; 상기 탑재부(111)에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탑재부(111)를 제자리 회전시켜 3차원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제1로테이터(300)와; 상기 베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200)를 제자리 회전시켜 2차원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제2로테이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 {DEVICE FOR PROVIDING 3-DIMENSIONAL MOTION}
본 발명은 영화, 드라마 촬영 및 공연장 등에서 자동차, 오토바이, 항공기, 배와 같은 각종 이동수단의 특수효과를 위한 다양한 움직임을 이동수단을 이용해 직접 시행하지 않고, 기계적 동작에 의해 인위적으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수효과용 움직임 제공장치는 영화, 드라마와 같은 각종 영상물을 제작하는 세트장이나, 뮤지컬, 연극 등의 무대시설에서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인위적으로 시행하여 특수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2999호를 살펴보면, X-Y 평면에 위치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탑재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탑재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탑재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되되, 상기 제1 구동수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구동수단 및 제3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수단은 X-Z 평면상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고, 상기 제2 구동수단 및 상기 제3 구동수단 각각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Y-Z 평면에 수직인 회전축 및 X-Z 평면에 수직인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탑재 프레임은 X-Z 평면상에서 상기 제1 구동수단과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고, X-Z 평면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상기 제1 구동수단, 상기 제2 구동수단 및 상기 제3 구동수단 각각과 이루는 각도들 각각이 가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 선행기술문헌을 배경으로 다양한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이들은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이 탑재 위치에 고정되면 이동수단이 전후좌우의 상하 움직임 및, 2차원적인 회전작동만 수행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특수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인위적인 움직임이 매우 단조롭고, 그 움직임 역시 제한적임에 따라 특수효과를 연출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이동수단이 탑재 위치에 고정되면 제자리에서 이동하지 못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촬영 피사체인 이동수단의 촬영 앵글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2999호(공개일:2015.12.23)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션장치의 이동수단 탑재 부분을 관절 작동방식으로 대체하면서, 그 탑재 부분이 2차원 회전 동작과 함께 3차원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특수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인위적인 움직임이 매우 다양하고, 그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 각종 이동수단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가깝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장치의 이동수단 탑재부분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촬영 피사체인 이동수단의 촬영 앵글에 맞게 탑재부분을 직접 전후 이동시켜서 원하는 앵글로 간편하게 맞추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 오토바이, 항공기, 배와 같은 각종 이동수단의 특수효과를 위한 다양한 움직임을 인위적으로 연출하는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로서,
이동수단이 고정설치되는 탑재부가 구비되되, 상기 탑재부가 선단에 마련된 제1관절부 및, 상기 제1관절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관절부의 접철 동작에 의해 다관절 작동하는 암대와;
상기 제2관절부가 힌지결합되면서 암대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탑재부에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탑재부를 제자리 회전시켜 3차원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제1로테이터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를 제자리 회전시켜 2차원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제2로테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션장치의 탑재 부분으로 다관절 동작에 의해 이동수단이 다각도로 움직이는 동작이 가능한 암대로 제작하면서, 그 암대의 탑재 부분과 설치 부분으로 각각 2차원 회전 동작 및 3차원 회전 동작이 가능한 로테이터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특수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수단의 인위적인 움직임이 매우 다양하고, 그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 각종 이동수단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가깝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션장치의 암대를 대차를 이용해 레일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 구성함으로써 촬영 피사체인 이동수단의 촬영 앵글에 맞게 이동수단이 탑재된 암대가 대차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후 이동하면서 원하는 앵글로 간편하게 맞출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의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모션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이동수단(10)이 고정설치되는 탑재부(111)가 구비되되, 접철 동작에 의해 다관절 작동하는 암대(100)와, 암대(100)를 지지하는 베이스(200)와, 탑재부(111)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제1로테이터(300)와, 베이스(200)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제2로테이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의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션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션장치의 평면도이다.
먼저, 상기 암대(100)는;
이동수단(10)이 고정설치되는 탑재부(111)가 구비되되, 상기 탑재부(111)가 선단에 마련된 제1관절부(110) 및, 상기 제1관절부(110)에 힌지결합되는 제2관절부(120)의 접철 동작에 의해 다관절 작동하여, 이동수단(10)이 기울어지는 움직임을 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암대(100)는 자동차, 오토바이, 항공기, 배와 같은 이동수단(10)을 전체 하중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그 하중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 특성을 갖도록 제작하는데,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상황이 빈번함으로 수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암대(100)의 표면에 부식 방지를 위한 표면처리를 하거나, 도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암대(100)는; 제1관절부(110), 제2관절부(120), 제1실린더(130), 제2실린더(140), 연결봉(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암대(100)는; 이동수단(10)을 고정설치하는 탑재부(111)가 전단에 고정형으로 구비되는 제1관절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관절부(110)는 직사각의 빔 형태로 제작되되, 전단에 원판 형태의 탑재부(111)가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그 후방 측면에 제2관절부(120)에 힌지결합되게 하는 제1핀홀(112)이 관통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암대(100)는; 상기 제1관절부(110)의 후방에 끼워져 힌지결합되면서, 그 반대쪽이 베이스(200)에 힌지결합되어 다단 접철 동작에 의해 다관절 작동되게 하는 제2관절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관절부(120)는 직사각의 빔 형태로 제작되되, 전방 측면으로 상기 제1관절부(110)의 제1핀홀(112) 측으로 삽입되면서 힌지결합되게 하는 제2핀홀(121)이 관통형성되고, 그 후방 측면으로 후술하는 베이스(200)에 힌지결합되게 하는 제3핀홀(122)이 관통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암대(100)는; 상기 제1관절부(110)와 제2관절부(120) 사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관절부(110)를 신축 동작에 의해 임의 각도로 접철시키는 제1실린더(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실린더(130)는 유압 실린더로 제작되는데 상기 제1실린더(130)의 실린더 하우징은 상기 제2관절부(120)의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실린더(130)의 로드는 상기 제1관절부(110)의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고정됨으로, 상기 제1실린더(130)의 로드가 신장하면 제1관절부(110)가 상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실린더(130)의 로드가 수축하면 제1관절부(110)가 하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실린더(130)가 신축하는 과정에서 정지하면, 상기 제1관절부(110)가 제2관절부(120)에서 접철된 각도로 임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암대(100)는; 상기 제2관절부(120)와 베이스(200) 사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관절부(120)를 신축 동작에 의해 임의 각도로 접철시키는 제2실린더(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실린더(140)는 유압 실린더로 제2관절부(1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제2실린더(140)의 실린더 하우징은 후술하는 베이스(200)에 힌지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실린더(140)의 로드는 상기 제2관절부(120)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고정됨으로, 상기 제2실린더(140)의 로드가 신장하면 제2관절부(120)가 상향으로 히전하고, 상기 제2실린더(140)의 로드가 수축하면 제2관절부(120)가 하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2실린더(140)가 신축하는 과정에서 정지하면, 상기 제2관절부(120)가 베이스(200)에서 접철된 각도로 임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암대(100)는; 탑재부(111)의 전방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이동수단(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연결봉(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봉(150)은 원형 봉 형태로 제작되는 연결봉(150)의 일단이 원판 형태로 형성됨으로 그 원판 형태를 이용해 상기 탑재부(111)의 전면에 볼트체결 방식으로 탈착시켜 사용하고, 상기 연결봉(150)이 탑재부(111)에 결합되면 연결봉(150)의 일면에 이동수단(10)의 저부가 안착되면서 용접 및 별도의 브래킷을 이용해 체결하여, 그 이동수단(10)이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하중을 견고하게 지탱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제2관절부(120)가 힌지결합되면서 암대(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200)는 암대(100)와 더불어, 그 암대(100)에 설치된 이동수단(10)의 전체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하중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제작되되, 베이스(200)의 상면으로 촬영을 위한 장비 및 작업자가 머무르는 공간을 제공함으로 베이스(200)의 상면으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 또는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200)는; 작업대(210), 대차(220), 무게추(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200)는; 상부 전방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된 연결부(211)를 이용해 제2관절부(120)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게 하면서, 상면에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작업대(210)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되, 상부 전방 중앙에 수직 바 형태의 연결부(211)가 용접으로 결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211)의 상부에는 상기 제2관절부(120)의 제3핀홀(122)이 힌지결합되는 제4핀홀(211a)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는; 제2로테이터(4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레일(222)을 통해 전후 슬라이드 되는 작동을 이용해 상기 베이스(200)를 전후 이동시키는 대차(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대차(220)는 사각 박스 형태로 하부 양측에 레일(222)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작동하기 위한 다수의 바퀴(221)가 각각 마련되고, 후술하는 제2로테이터(400)가 작업대(210)의 저면에 설치되면, 상기 제2로테이터(400)의 하부에 대차(220)의 상면이 결합되고, 그 대차(220)의 하부로 레일(222)이 수평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레일(222)은 한 쌍의 레일빔(222a)이 수평 직선형의 프레임 형태로 상호 연결되어 제작되며, 상기 레일(222)을 설치 장소의 지면에 고정시켜 대차(220)의 슬라이드 작동을 통해 베이스(200)를 전후 동작되게 하거나, 또는 상기 레일(222)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촬영을 위해 특수하게 개조된 차량에 탑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탑재부(111)에 고정설치되는 이동수단(10)의 무게에 대응하여 베이스(20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되, 그 설치되는 무게를 늘리거나 줄여서 암대(100)의 균형을 조정하는 무게추(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게추(230)는 박스 형태로 제작되되, 무게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에 대응하여 그 수를 조절하면서 상기 작업대(210)의 저면 후방에 고정설치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1로테이터(300)는;
상기 탑재부(111)에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탑재부(111)를 제자리 회전시켜 3차원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로테이터(300)는 탑재부(111)의 전방에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고정설치됨으로 이동수단(10)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회전 작동 부분이 유동이 없도록 제작되고, 별도로 제1로테이터(300)의 회전 작동을 보조하도록 하는 센서와 같은 전기, 기계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로테이터(300)가 암대(100)의 선단에 구비되면서, 그 암대(100)의 각도 조절 및 제1로테이터(300)의 회전작동에 의해 이동수단(10)이 3차원 방향에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로테이터(300)는; 제1구동휠(310), 제1모터(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로테이터(300)는; 탑재부(111)의 선단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외주에 기어 이(gear tooth)가 형성된 제1구동휠(3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휠(310)은 탑재부(111)의 안쪽에 고정된 제1내륜(311) 및 상기 제1내륜(311)의 외주에 미끄럼 마찰하도록 결합되면서 탑재부(111)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외륜(312)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외륜(312)의 외주에 기어 이가 마련됨으로, 후술하는 제1모터(320)가 상기 제1외륜(312)에 기어 이를 이용해 기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고, 그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제1외륜(312)이 제1내륜(311)의 둘레에서 제자리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로테이터(300)는; 상기 제1관절부(110)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휠(310)에 기어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모터(320)는 전동모터이며, 그 선단의 구동축에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제1모터(320)가 제1관절부(110)의 상측에 볼트체결로 고정결합되면, 상기 제1모터(320)의 구동축에 마련된 기어가 상기 제1구동휠(310)의 제1외륜(312)에 기어 연결됨으로 제1모터(320)의 구동력을 제1구동휠(310)에 전달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2로테이터(400)는;
상기 베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200)를 제자리 회전시켜 2차원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2로테이터(400)는 베이스(200)의 작업대(210)와 대차(220) 사이에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고정설치됨으로 암대(100) 및 이동수단(10)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회전 작동 부분이 유동이 없도록 제작되고, 별도로 제2로테이터(400)의 회전 작동을 보조하도록 하는 센서와 같은 전기, 기계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로테이터(400)가 베이스(200)의 작업대(210)와 대차(220) 사이에 구비되면서, 제2로테이터(400)가 수평 방향에서 제자리 회전작동함에 따라 이동수단(10)이 암대(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2차원 방향에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제2로테이터(400)는; 제2구동휠(410), 제2모터(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로테이터(400)는; 상측은 작업대(210)의 저면에, 하측은 대차(220)의 상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외주에 기어 이(gear tooth)가 형성된 제2구동휠(4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구동휠(410)은 대차(220)의 상면에 고정된 제2외륜(411), 상기 제2외륜(411)의 내주에 미끄럼 마찰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210)의 저면에 회전판(413)을 이용해 고정되는 제2내륜(412) 및 상기 제2내륜(412)을 작업대(210)에 고정하면서 제2외륜(411)에 연결되는 제2모터(420)를 고정하는 회전판(413)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2외륜(411)의 외주에 기어 이가 마련됨으로, 후술하는 제2모터(420)가 상기 제2외륜(411)에 기어 이를 이용해 기어 연결되고, 상기 회전판(413)에 고정된 제2모터(420)가 작동하면 제2외륜(411)의 둘레에서 구름 운동하면서 회전판(413)이 직접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내륜(412)은 제2외륜(411)의 내주에 지지되면서 회전판(413)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로테이터(400)는; 상기 회전판(413)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외륜(411)에 기어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통해 회전판(413)이 구름 운동되게 하는 제2모터(4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모터(420)는 전동모터이며, 그 선단의 구동축에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제2모터(420)가 회전판(413)의 상측에 볼트체결로 고정결하되면, 상기 제2모터(420)의 구동축에 마련된 기어가 상기 제2외륜(411)에 기어 연결됨으로 제2모터(420)가 작동하면 제2외륜(411)에 구름 마찰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판(413)이 구름 운동으로 제자리 회전하는 구조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에 의하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모션장치(1)는, 최초 드라마, 영화촬영, 각종 무대에서 자동차, 오토바이, 항공기, 배와 같은 이동수단(10)의 특수효과를 연출하기 위해 그 이동수단(10)을 모션장치(1)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10)은 제1관절부(110)의 선단에 마련된 탑재부(111)의 연결봉(150)을 이용해 이동수단(10)을 안착시켜서 용접 및 별도의 브래킷을 덧대어 고정설치함으로 이동수단(10)을 움직이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수단(10)이 고정설치되면, 상기 암대(100)를 작동하는데, 상기 제1관절부(110) 및 제2관절부(12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철하여 이동수단(10)의 기울어지는 각도를 가변시켜서 움직임을 제공하게 된다.
도 5에 의하면, 상기 암대(100)에 의해 이동수단(10)의 기울어지는 움직임이 제공되면, 상기 제1로테이터(300)가 작동하면서 이동수단(10)을 길이방향에서 좌우로 직접 회전시켜서 암대(100)의 각도와 더불어, 이동수단(10)이 제1로테이터(300)를 통해 좌우로 3차원 회전 움직임을 제공하게 된다.
도 6에 의하면, 상기 제1로테이터(300)에 의해 이동수단(10)의 3차원 회전 움직임이 제공되면, 상기 제2로테이터(400)가 작동하면서 이동수단(10)이 고정설치된 암대(100) 전체를 이동수단(10)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전시키고, 상기 이동수단(10)은 베이스(200)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2차원 회전 움직임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수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수단(10)의 인위적인 움직임이 매우 다양하고, 그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 각종 이동수단(10)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가깝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모션장치 100; 암대
110; 제1관절부 120; 제2관절부
130; 제1실린더 140; 제2실린더
200; 베이스 210; 작업대
220; 대차 230; 무게추
300; 제1로테이터 400; 제2로테이터

Claims (5)

  1. 자동차, 오토바이, 항공기, 배와 같은 각종 이동수단(10)의 특수효과를 위한 다양한 움직임을 인위적으로 연출하는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로서,
    이동수단(10)이 고정설치되는 탑재부(111)가 구비되되, 상기 탑재부(111)가 선단에 마련된 제1관절부(110) 및, 상기 제1관절부(110)에 힌지결합되는 제2관절부(120)의 접철 동작에 의해 다관절 작동하는 암대(100)와;
    상기 제2관절부(120)가 힌지결합되면서 암대(100)를 지지하는 베이스(200)와;
    상기 탑재부(111)에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탑재부(111)를 제자리 회전시켜 3차원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제1로테이터(300)와;
    상기 베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200)를 제자리 회전시켜 2차원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제2로테이터(400)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200)는, 상부 전방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된 연결부(211)를 이용해 제2관절부(120)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게 하면서, 상면에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로테이터(300)는, 탑재부(111)의 안쪽에 고정된 제1내륜(311) 및 상기 제1내륜(311)의 외주에 미끄럼 마찰하도록 결합되면서 탑재부(111)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외륜(312)으로 이루어져, 상기 탑재부(111)의 선단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외주에 기어 이가 형성된 제1구동휠(310)과;
    상기 제1관절부(110)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휠(310)의 제1외륜(312)에 기어 연결됨으로 회전 동력을 상기 제1구동휠(310)에 전달하는 제1모터(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로테이터(400)는, 대차(220)의 상면에 고정되며 외주에 기어 이가 마련된 제2외륜(411), 상기 제2외륜(411)의 내주에 미끄럼 마찰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210)의 저면에 회전판(413)을 이용해 고정되는 제2내륜(412), 상기 제2내륜(412)을 작업대(210)에 고정하면서 제2외륜(411)에 연결되는 제2모터(420)를 고정하는 회전판(413)으로 이루어진 제2구동휠(410)과;
    상기 회전판(413)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2외륜(411)에 기어 연결됨으로 회전 동력을 제공하면 상기 회전판(413)을 제2외륜(411)에 구름 마찰되는 작용으로 제자리 회전되게 하는 제2모터(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대(100)는; 탑재부(111)의 전방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이동수단(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동수단(10)의 저부가 안착되면 용접 및 브래킷을 이용해 체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봉(150)을 더 포함한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탑재부(111)에 고정설치되는 이동수단(10)의 무게에 대응하여 베이스(20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되, 그 설치되는 무게를 늘리거나 줄여서 암대(100)의 균형을 조정하는 무게추(230)를 더 포함하는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
KR1020160068083A 2016-06-01 2016-06-01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 KR101792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083A KR101792947B1 (ko) 2016-06-01 2016-06-01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083A KR101792947B1 (ko) 2016-06-01 2016-06-01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947B1 true KR101792947B1 (ko) 2017-11-02

Family

ID=6038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083A KR101792947B1 (ko) 2016-06-01 2016-06-01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9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031B1 (ko) * 2003-06-30 2006-01-24 신현정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KR100907256B1 (ko) * 2009-03-31 2009-07-10 고정수 폐차 해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031B1 (ko) * 2003-06-30 2006-01-24 신현정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KR100907256B1 (ko) * 2009-03-31 2009-07-10 고정수 폐차 해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2023B (zh) 一种智能化视觉跟踪焊接爬车
JP2018512283A (ja) 第1のチューブ状のコンポーネントと第2のコンポーネントの恒久的な接合のための溶接アッセンブリ
CA2790874C (en) A motion platform system
JP2005505783A (ja) 運転シミュレータ
KR920009518A (ko) 소망하는 방향으로 공구를 유지시키기 위한 로봇아암시스템 및 로봇아암 제어 방법
JP2007527763A (ja) X線システムに対する天井取付具
CN108465929B (zh) 一种搅拌摩擦焊接装置及包括其的搅拌摩擦焊接系统
JP2004524982A5 (ko)
KR102507876B1 (ko) 3차원 스캐너 플랫폼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스캔장치
CN108436967B (zh) 水平多关节型机器人及其倒置设置方法
CN101772399B (zh) 接收夹具设备及使用该设备的工作机
US9289693B1 (en) Motion platform for a simulation device
JP2011117870A (ja) 可動部位の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KR101775275B1 (ko) 발전기용 스테이터 바의 가공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CN107962281A (zh) 背保护装置及具有背保护装置的焊接背保护系统
KR101792947B1 (ko) 특수효과용 3차원 입체 모션장치
CN105082110A (zh) 驱动冗余式三自由度稳定平台
JP6373658B2 (ja) 電磁波測定装置
JP6960761B2 (ja) 搬送装置
KR102135405B1 (ko) 3축 조절이 가능한 한쌍의 용접머신을 탑재하여 정밀성과 신속성이 부여되는 용접장치
KR101438631B1 (ko)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의 각도 조절 클램프
JP3599976B2 (ja) 運動試験装置
JP4256205B2 (ja) 風洞模型支持装置
CN105817793A (zh) 一种智能焊接机器人用可调式悬臂支架
JP2022523132A (ja) モーショ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