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143B1 - 다관절 선 정리구 - Google Patents

다관절 선 정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143B1
KR101792143B1 KR1020150151638A KR20150151638A KR101792143B1 KR 101792143 B1 KR101792143 B1 KR 101792143B1 KR 1020150151638 A KR1020150151638 A KR 1020150151638A KR 20150151638 A KR20150151638 A KR 20150151638A KR 101792143 B1 KR101792143 B1 KR 10179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ail
pipe
cap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283A (ko
Inventor
윤영민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1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Abstract

본 발명의 다관절 선 정리구는 길이방향으로 선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캡 및 파이프캡의 사이를 연결하며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관절 선 정리구{MULTI-LINK WIRE HOLDER}
본 발명은 선이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복잡한 배선에 적용될 수 있는 선 정리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들이 직선이 아닌 직각 또는 다양한 각도로 휘어지는 구간에서도 주변의 미관을 헤치지 않고 배선을 보호하며 심미성을 높일 수 있는 선 정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전자기기의 발달로 실내외에서 사용하게 되는 전자기기, 데이터기기들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따라,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여러 용도의 배선이 사용되고 있다.
주거공간 또는 사무공간의 전자기기와 데이터통신기기들이 늘어나면서 복잡하게 연결되는 배선들을 정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생겨나고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배선들은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변으로부터 가해지는 손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케이블타이와 같은 체결도구로 배선들을 일정간격으로 묶어서 정리하거나 파이프와 같은 관체 내부로 배선이 수용되도록 하여 정리하는 방법으로 상술한 단점들을 보완하여 왔으나, 케이블타이의 경우 한번 결속된 배선은 단단히 고정되어 길이를 조절하거나 일부 배선만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이미 체결되어 있는 케이블타이를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배선이 외부로 여전히 노출되어 있어 손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데는 변함이 없었다.
또한 파이프와 같은 관체 내부로 배선을 수용하여 정리하는 기술은 다양한 곡면을 지닌 실내공간 또는 여러 각도로 배선이 휘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될 수가 없었고, 단지 배선이 직선구간으로 배치된 구간에서만 실시가 가능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배선의 외측을 감싸 보호하면서 정리될 수 있도록 하여 배선을 보호함과 동시에 심미적인 기능까지 제공하고, 배선이 직서이 아닌 소정의 각도로 꺽여서 배치되거나 벽면의 돌출부등을 피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로 변형이 가능한 선 정리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관절 선 정리구는 길이방향으로 선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캡 및 파이프캡의 사이를 연결하며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링크를 포함한다.
또는, 파이프캡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는 링크레일을 포함하고, 링크는 링크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캡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캡고정부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는, 파이프캡은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내측공간으로 수용되거나 외측으로 전개되는 전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부는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외측둘레를 따라 길게 장공으로 형성되는 전개레일 및 전개레일에 중단이 구속되어 전개레일의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일단은 전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돌기를 포함한다.
또는, 전개부는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수용되거나 외측으로 전개되며 링크레일과 교차되는 부분이 개방되어 링크레일의 개방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링크수용공을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관절 선 정리구는 복잡하게 얽혀있는 배선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심미성을 높이고, 배선의 외측을 둘러 감싸서 보호하므로 배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직선으로 배치되는 곳이 아닌 배선이 꺽이거나 휘어지는 구간에서도 여러 각도로 회동되는 링크로 배선을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길이방향으로 전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가 다양한 각도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파이프캡이 베이스부와 전개부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파이프캡이 베이스와 전개부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파이프캡의 베이스와 전개부가 수납 및 전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를 크게 구분하여 보면 선의 길이방향으로 선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캡(100,200), 파이프캡(100,200)의 사이를 연결하며 힌지결합부(500)를 포함하여 힌지결합부(5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링크(300,40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파이프캡(100,200)은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배선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원통형상 또는 그 단면의 형상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캡(100,200)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어 배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파이프캡(100,200)이 직렬로 배치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파이프캡(100) 및 제2파이프캡(200)으로 구분하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캡(100,200)은 다수개가 직렬로 배치되어 실시될 수 있다.
파이프캡(100,20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 또는 PE,PP와 같은 합성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목재등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캡(100,20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형성되는 링크레일(110,210)이 구비된다.
상술한 제1파이프캡(100) 및 제2파이프캡(200)은 링크(300,40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링크(300,400)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구비되어도 될 것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파이프캡(100)과 연결되는 제1링크(300) 및 제2파이프캡(200)과 연결되는 제2링크(4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링크(300)의 일단은 제1파이프캡(100)에 형성된 제1링크레일(110)에 체결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형성된 제1링크레일(110)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1링크(300)가 제1링크레일(1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은 제1캡고정부(310)로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캡고정부(31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링크(300)는 그 일단에 형성된 제1캡고정부(310)가 제1링크레일(110)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된다.
제1링크(300)의 타단은 제2링크(400)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부(500)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링크(400)의 타단은 제2캡고정부(410)가 구비되어 제2파이프캡(200)의 제2링크레일(210)에 체결되며, 상술하였던 제1캡고정부(310)와 동일하게 제2링크레일(210)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제2캡고정부(41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1파이프캡(100) 및 제2파이프캡(200)은 그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링크레일(110,210)이 형성될 수 있고, 링크(300,400)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복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길이방향으로 전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가 다양한 각도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는 제1캡고정부(310), 제2캡고정부(410) 및 힌지결합부(500)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다양한 각도로 접힐 수 있게 되고, 제1링크(300) 및 제2링크(400)가 파이프캡(100,200)의 링크레일(110,210)을 따라 이동가능하므로 길이조절도 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파이프캡이 베이스부와 전개부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파이프캡이 베이스와 전개부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파이프캡의 베이스와 전개부가 수납 및 전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이프캡(100,200)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0) 및 전개부(130)로 구성되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의 너비가 조절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는 길쭉하게 형성되며 그 단면의 형상은 일정한 곡률을 지닌 원호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된다. 또한, 그 내측은 전개부(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단으로 전개부(130)가 삽입된다.
베이스부(120)는 그 둘레에 직경방향을 따라서 장공으로 형성되는 전개레일(122)이 구비된다.
전개부(130)는 베이스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베이스부(120)의 두께보다 얇아 베이스부(120)의 일측단으로 삽입되어 베이스부(120)의 내측으로 수용되거나 외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작돌기(132)는 일단이 전개부(130)의 일면에 고정되고, 중단은 전개레일(122)에 구속되어 전개레일(122)을 따라 이동되며, 타단은 전개레일(122)을 관통하여 베이스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조작돌기(132)를 조작함으로 전개부(130)가 베이스부(120)의 내측으로 수용되거나 외측으로 전개 되도록 하는 작동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부(130)는 베이스부(120)에 수용되거나 전개되며 링크레일(110,210)과 겹쳐지는 부분이 개방되어 링크수용공(134)이 형성되고, 이는 전개부(130)의 작동에도 링크레일(110,210)에 결합되는 캡고정부(310,410)의 이동 및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의 작동을 설명한다.
파이프캡(100,20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곳으로 배선이 수용되고, 배선의 수용을 위하여 또는 수용되는 배선의 두께에 따라서 전개부(130)를 베이스부(120)에 수용 및 전개되도록 조작하여 배선을 파이프캡(100,200)의 내측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이 설치된 경로를 따라서 다수개의 파이프캡(100,2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배선이 휘어지거나 또는 각이 진 곳에서 꺽이게 되는 지점에서 힌지결합부(500) 및 캡고정부(310,410)를 회전시키거나, 링크레일(110,210)에 체결된 캡고정부(310,410)를 이동시켜 배선의 경로를 온전히 보호하도록 한다.
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특수한 목적에 의하여 배선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해야 하거나, 휘어져서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다관절 선 정리구에 배선을 수용하여 파이프캡(100,200) 및 링크(300,4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 배선을 지지하여 배선의 꺽임 또는 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제1파이프캡 110 : 제1링크레일
120 : 베이스부 122 : 전개레일
130 : 전개부 132 : 조작돌기
134 : 링크수용공
200 : 제2파이프캡 210 : 제2링크레일
300 : 제1링크 310 : 제1캡고정부
400 : 제2링크 410 : 제2캡고정부
500 : 힌지결합부

Claims (5)

  1.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공간으로 수용되거나 외측으로 전개되는 전개부를 포함하고, 길이방향으로 선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캡; 및
    각각의 상기 파이프캡의 사이를 연결하며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외측둘레를 따라 길게 장공으로 형성되는 전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전개부는 상기 전개레일에 중단이 구속되어 상기 전개레일의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일단은 상기 전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돌기가 구비되는 다관절 선 정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캡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는 링크레일; 및
    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캡고정부;를 포함하는
    다관절 선 정리구.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수용되거나 외측으로 전개되며 상기 링크레일과 교차되는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링크레일의 개방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링크수용공;을 포함하는
    다관절 선 정리구.
KR1020150151638A 2015-10-30 2015-10-30 다관절 선 정리구 KR10179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638A KR101792143B1 (ko) 2015-10-30 2015-10-30 다관절 선 정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638A KR101792143B1 (ko) 2015-10-30 2015-10-30 다관절 선 정리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283A KR20170050283A (ko) 2017-05-11
KR101792143B1 true KR101792143B1 (ko) 2017-10-31

Family

ID=5874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638A KR101792143B1 (ko) 2015-10-30 2015-10-30 다관절 선 정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1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673A (ja) * 2005-06-10 2006-12-21 Ricoh Printing Systems Ltd ケーブル保持機構
JP2007124860A (ja) * 2005-10-31 2007-05-17 Kubota Ci Kk ケーブル保護管およびケーブル敷設構造
JP4885125B2 (ja) * 2004-05-05 2012-02-29 カーベルシュレップ ゲーエムベーハー 伝動チェーン用チェーンリンク、及び拡大有効断面を有する伝動チェー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5125B2 (ja) * 2004-05-05 2012-02-29 カーベルシュレップ ゲーエムベーハー 伝動チェーン用チェーンリンク、及び拡大有効断面を有する伝動チェーン
JP2006345673A (ja) * 2005-06-10 2006-12-21 Ricoh Printing Systems Ltd ケーブル保持機構
JP2007124860A (ja) * 2005-10-31 2007-05-17 Kubota Ci Kk ケーブル保護管およびケーブル敷設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283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3307B2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TWI546472B (zh) 導向裝置
US7437052B2 (en) Line combination
JP2002044827A (ja) 電線保護ケーシングおよび引込みクランプ
US6730850B2 (en) Protective guide for drawing cable or the like
US20120175470A1 (en) Cable management system
JP6898517B2 (ja) 多関節支持部材
US6812407B1 (en) Door wire routing system
KR100638637B1 (ko) 와이어링 간격유지용 밴드케이블
JP5554632B2 (ja) 電線用カバー
KR101792143B1 (ko) 다관절 선 정리구
EP1157894B1 (en) Bellows cable grommet
JP2016025728A (ja) 鳥害防止具
JP4857449B2 (ja) 伸縮自在の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4979541B2 (ja) ケーブル固定具の固定方法
KR102085836B1 (ko)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JP7269079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外装構造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200446541Y1 (ko) 배가름형 튜브
JP2021046872A (ja) 配管・配線保護カバー
KR200187599Y1 (ko) 전선 포설용 전선 안내관
JP5150322B2 (ja) 伸縮自在の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102334208B1 (ko)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JP7097243B2 (ja) 角形電線管、直線状管路の敷設構造、管路の敷設構造、管路の敷設方法および角形電線管の段積み管路の敷設方法
JP5024714B2 (ja) 結束用ナイロンバンド及びその結束方法
JP2003220903A (ja) ドア用電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