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340B1 - 테이프 절단기 - Google Patents

테이프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340B1
KR101791340B1 KR1020160061502A KR20160061502A KR101791340B1 KR 101791340 B1 KR101791340 B1 KR 101791340B1 KR 1020160061502 A KR1020160061502 A KR 1020160061502A KR 20160061502 A KR20160061502 A KR 20160061502A KR 101791340 B1 KR101791340 B1 KR 101791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unit
roll
roll tap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만
김기영
Original Assignee
홍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만 filed Critical 홍성만
Priority to KR102016006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340B1/ko
Priority to CN201610672451.9A priority patent/CN10639548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with means for deliver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9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ength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장착부에 장착되는 롤 테이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롤 테이프를 인출시킨 다음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에는 롤 테이프가 장착되는 테이프 장착부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커팅부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 장착부에 장착된 롤 테이프의 일측 단부를 상기 커팅부로 인출시키는 인출 유닛;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출 유닛과 커팅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장착부에는 롤 테이프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한 다음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출 유닛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1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절단기{DEVICE FOR CUTTING TAPE}
본 발명은 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장착부에 장착되는 롤 테이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롤 테이프를 인출시킨 다음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의 포장 작업을 할 때, 롤 테이프를 조금씩 풀어 칼 또는 가
위로 절단하면서 작업을 하거나 절단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에 롤 테이프를 장착한 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포장을 연속적으로 해야 하는 백화점, 수퍼마켓 및 대형 마트 등에서는 수작업으로 테이프를 절단하여 포장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길어 질 뿐만 아니라 절단된 테이프의 길이나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포장된 상품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 자동 절단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프 자동 절단기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상품의 포장 작업과 같이 절단된 일정한 길이의 테이프를 계속적으로 요구하는 경우에 보다 간편하게 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 자동 절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는 상,하부 케이스(A1)(A2)와, 상,하부 케이스(A1)(A2) 내에 설치되고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테이프 인출 장치(B)와, 상부 케이스(A1)의 전방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절단부(C)로 구성되며, 테이프 지지부(2)에 장착된 롤 테이프가 가이드 장치 및 로울러(4)를 거쳐 절단부(C)의 입구에 설치한 센서(3)의 감지에 의하여 설정된 길이로 의하여 절단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 자동 절단기는, 테이프 지지부(2)에 장착된 롤 테이프를 조금 푼 다음 테이프 인출 장치(B)에 롤 테이프의 풀린 부분을 부착시키고 수동 조작을 함으로써, 테이프 인출 장치(B)에 의해 롤 테이프가 인출되어 절단부(C)에 의해 절단되는 등 테이프 자동 절단기가 작동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롤 테이프를 교체하는 경우 매번 수동 조작을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 자동 절단기는 테이프 인출 장치(B)에 의해 롤 테이프가 인출되는 도중에 말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롤 테이프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테이프 인출 장치(B)를 수동 조작을 함으로써, 말리거나 구겨진 롤 테이프를 떼어 내고, 다시 롤 테이프를 조금 푼 다음 테이프 인출 장치(B)에 롤 테이프의 풀린 부분을 부착시키고 수동 조작을 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KR 20-0250041 Y1(2001.12.2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테이프 장착부에 장착되는 롤 테이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롤 테이프를 인출시킨 다음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 테이프가 인출 도중에 말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롤 테이프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롤 테이프 인출 유닛이 작동되도록 하여 말리거나 구겨진 롤 테이프를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테이프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방에는 롤 테이프가 장착되는 테이프 장착부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커팅부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 장착부에 장착된 롤 테이프의 일측 단부를 상기 커팅부로 인출시키는 인출 유닛;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출 유닛과 커팅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장착부에는 롤 테이프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한 다음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출 유닛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1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공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롤 테이프를 감지한 다음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팅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2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감지 센서에 의해 롤 테이프가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출 유닛이 자동으로 작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롤 테이프가 상기 제2감지 센서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롤 테이프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인출 유닛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테이프 장착부는, 홈 형태로 이루어져서 롤 테이프가 수용되어 상기 롤 테이프의 일측 단부가 상기 인출 유닛에 의해 인출되는 경우 상기 롤 테이프가 풀리면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이프 장착부의 바닥면은, 상기 인출 유닛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테이프 장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롤 테이프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가 테이프의 인출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테이프 장착부의 바닥면 중 상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상기 롤 테이프의 풀려진 부분이 상기 인출 유닛에 의해 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테이프 장착부에 설치되는 제1감지 센서의 위치와 대응되게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테이프 장착부에 제1감지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롤 테이프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한 다음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출 유닛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롤 테이프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공의 주위에 제2감지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배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롤 테이프를 감지한 다음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커팅부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기설정된 길이로 롤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감지 센서에 의해 롤 테이프가 감지되어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출 유닛이 자동으로 작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롤 테이프가 제2감지 센서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롤 테이프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출 유닛이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롤 테이프가 인출 도중에 말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말리거나 구겨진 롤 테이프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 장착부의 바닥면을 인출 유닛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롤 테이프의 둘레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 자동 절단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에 롤 테이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로부터 롤 테이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의 테이프 장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의 테이프 장착부를 위에서 내려다 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의 인출 유닛에 롤 테이프의 일측 단부를 접근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에 롤 테이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로부터 롤 테이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는 케이스(10), 인출 유닛(2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10)는 전방에 배출공(11a)이 형성된 커팅부(11)가 마련되고, 후방에 롤 테이프(1)가 장착되는 홈 형태의 테이프 장착부(15)가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13은 디스플레이부이고, 미설명 부호 14는 테이프 장착부의 폭 간격을 조절하는 레버이다.
또한, 케이스(10)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공(11a)의 주위에는 제2감지 센서(12)를 설치하여 배출공(11a)을 통해 인출되는 롤 테이프(1)를 감지한 다음 후술할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커팅부(11)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인출 유닛(20)은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테이프 장착부(15)에 장착된 롤 테이프(1)의 일측 단부(1a)를 커팅부(11)로 인출시키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506399호에 개시된 "회전 케이스를 구비한 테이프 절단기"의 이송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인출 유닛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1은 롤 테이프(1)의 일측 단부(1a)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롤 테이프(1)를 인출하는 인출 롤러이고, 미설명 부호 22는 인출 롤러와 맞물려서 회전하면서 롤 테이프(1)의 일측 단부(1a)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이다.
제어부는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제어 신호에 따라 커팅부(11)와 인출 유닛(20)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메모리에 미리 설정한 값들을 저장시켜 놓고 필요에 따라 임의의 설정 값을 선택하여 선택된 설정 값대로 테이프 절단기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후술할 제1감지 센서(15a)에 의해 롤 테이프(1)가 감지되어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출 유닛(20)이 자동으로 작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롤 테이프(1)가 제2감지 센서(12)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롤 테이프(1)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출 유닛(20)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인출 유닛(20)의 인출 롤러(21)와 지지 롤러(22)가 역회전하도록 하여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롤 테이프(1)가 후진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롤 테이프(1)가 인출 도중에 말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말리거나 구겨진 롤 테이프(1)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의 테이프 장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의 테이프 장착부를 위에서 내려다 본 사진이다.
테이프 장착부(15)에는 롤 테이프(1)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한 다음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출 유닛(20)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1감지 센서(15a)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 장착부(15)에 제1감지 센서(15a)를 설치함으로써, 롤 테이프(1)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한 다음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출 유닛(20)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롤 테이프(1)를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감지 센서(15a)에 의해 롤 테이프(1)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3)에는 "AUTO"라고 표시되고 자동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의 LED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자동 모드로 전환된 것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테이프 장착부(15)는, 홈 형태로 이루어져서 롤 테이프(1)가 수용되어 롤 테이프(1)의 일측 단부가 인출 유닛(20)에 의해 인출되는 경우 롤 테이프(1)가 풀리면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테이프 장착부(15)의 바닥면은, 인출 유닛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롤 테이프(1)의 둘레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테이프 장착부(15)의 바닥면에는, 롤 테이프(1)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16)가 롤 테이프(1)의 인출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고, 테이프 장착부(15)의 바닥면 중 상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롤 테이프(1)의 풀려진 부분이 인출 유닛(20)에 의해 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17)가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 부재(17)에는, 테이프 장착부(15)에 설치되는 제1감지 센서(15a)의 위치와 대응되게 복수의 관통공(17a)이 형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8은 가이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506399호에 개시된 "회전 케이스를 구비한 테이프 절단기"의 가이드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의 인출 유닛에 롤 테이프의 일측 단부를 접근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절단기의 테이프 장착부(15)에 롤 테이프(1)를 장착한 다음, 가이드 부재(17)를 경유하여 롤 테이프(1)의 일측 단부(1a)를 인출 롤러(21)에 접근시키면 테이프 장착부(15)에 설치된 제1감지 센서(15a)가 롤 테이프(1)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출 유닛(20)이 작동되면서 롤 테이프(1)가 배출공(11a) 방향으로 인출되게 된다.
이때, 제1감지 센서(15a)에 의해 롤 테이프(1)가 감지되어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출 유닛(20)이 자동으로 작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롤 테이프(1)가 제2감지 센서(12)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롤 테이프(1)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출 유닛(20)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에는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고 부저가 울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롤 테이프(1)가 인출 도중에 말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말리거나 구겨진 롤 테이프(1)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스(10)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공(11a)의 주위에 설치된 제2감지 센서(12)가 배출공(11a)을 통해 인출되는 롤 테이프(1)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커팅부(11)는 기설정된 길이에 맞게 롤 테이프(1)를 자동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롤 테이프 10 : 케이스
11 : 커팅부 11a : 배출공
12 : 제2감지 센서 15 : 테이프 장착부
15a : 제1감지 센서 16 : 가이드 롤러
17 : 가이드 부재 17a : 관통공
20 : 인출 유닛

Claims (7)

  1. 후방에는 롤 테이프가 장착되는 테이프 장착부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커팅부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 장착부에 장착된 롤 테이프의 일측 단부를 상기 커팅부로 인출시키는 인출 유닛;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출 유닛과 커팅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장착부에는 롤 테이프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한 다음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출 유닛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1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공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롤 테이프를 감지한 다음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팅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2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감지 센서에 의해 롤 테이프가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출 유닛이 자동으로 작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롤 테이프가 상기 제2감지 센서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롤 테이프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인출 유닛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장착부의 바닥면은,
    상기 인출 유닛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장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롤 테이프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가 테이프의 인출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테이프 장착부의 바닥면 중 상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상기 롤 테이프의 풀려진 부분이 상기 인출 유닛에 의해 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
  7. 삭제
KR1020160061502A 2016-05-19 2016-05-19 테이프 절단기 KR101791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502A KR101791340B1 (ko) 2016-05-19 2016-05-19 테이프 절단기
CN201610672451.9A CN106395484B (zh) 2016-05-19 2016-08-16 胶带切割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502A KR101791340B1 (ko) 2016-05-19 2016-05-19 테이프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340B1 true KR101791340B1 (ko) 2017-10-30

Family

ID=5800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502A KR101791340B1 (ko) 2016-05-19 2016-05-19 테이프 절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1340B1 (ko)
CN (1) CN1063954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2983B (zh) * 2021-03-22 2022-05-13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封箱胶带剪切装置
CN113086738B (zh) * 2021-05-06 2023-04-28 法如自动化(苏州)有限公司 一种能自动输出胶带头部的贴胶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341B1 (ko) * 2006-12-07 2008-06-09 홍면기 롤 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의 롤 테이프 걸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0223A (en) * 1940-12-19 1942-07-21 Cleef Bros Van Tape cutter
JPH0330365Y2 (ko) * 1986-02-18 1991-06-27
JPH04347670A (ja) * 1991-05-27 1992-12-02 Tokyo Electric Co Ltd ラベルプリンタ
JP3462380B2 (ja) * 1997-11-28 2003-11-05 株式会社エルム・インターナショナル 電動テープカッターにおける安全装置
CN2538753Y (zh) * 2002-03-06 2003-03-05 温松柏 新型胶纸机
CN2536558Y (zh) * 2002-04-13 2003-02-19 温松柏 电动胶纸机
CN203794307U (zh) * 2014-04-08 2014-08-27 厦门华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胶纸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341B1 (ko) * 2006-12-07 2008-06-09 홍면기 롤 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의 롤 테이프 걸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95484A (zh) 2017-02-15
CN106395484B (zh)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7546B2 (en) Method for actuating the band driving device of a strapping machine and corresponding strapping machine
JP4988739B2 (ja) 積み重ねられた物品のバンディング
KR101791340B1 (ko) 테이프 절단기
KR101597626B1 (ko) 포장 대상물이 포장 드럼을 통과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포장하는 자동 랩핑 포장 장치
US20180148202A1 (en) Rear discharge mat rolling machine with wrapper
KR101781319B1 (ko) 승강로 케이블용 케이블 재단탈피장치
EP25146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ying a web of packaging material to an indexing-motion packaging machine
KR20130130065A (ko) 페이퍼 홀더 장치
JP2016528112A (ja) 自動化された膨張装置
KR102246433B1 (ko) 롤 필름 공급기를 가지는 포장 실링기계
US20140323281A1 (en) Bag making machine and method
KR101404804B1 (ko) 자동말림 슬리브직물의 열선절단장치
KR20020042326A (ko) 엔드마크 방지용 패드 자동삽입장치
KR200482963Y1 (ko) 롤형 비닐봉투의 인출 및 절단장치
KR100574388B1 (ko) 과일포장용 오픈박스의 투명커버 부착장치
KR100420800B1 (ko) 포장기의 밴드급송 길이 조정장치
KR102562298B1 (ko) 스치로폼 박스의 테이핑 장치
JP2008030263A (ja) 単板の巻取方法
KR101636724B1 (ko) 클리핑 시스템의 가이드장치용 게이트유니트
US20240132319A1 (en) Automatic tape dispensing system
JP2007284076A (ja) 自動テープ掛け機
JP6167322B2 (ja) ペーパーホルダー
JP2001130834A (ja) 巻き取り物の送り装置
KR200293724Y1 (ko) 라벨 자동 인출기
WO2001085543A1 (en) Machine for airtight sealing a film or the like on food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