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261B1 - 스텝퍼 - Google Patents

스텝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261B1
KR101791261B1 KR1020150161227A KR20150161227A KR101791261B1 KR 101791261 B1 KR101791261 B1 KR 101791261B1 KR 1020150161227 A KR1020150161227 A KR 1020150161227A KR 20150161227 A KR20150161227 A KR 20150161227A KR 101791261 B1 KR101791261 B1 KR 10179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blocking
base
stepp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918A (ko
Inventor
추앙 룽-페이
Original Assignee
추앙 룽-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앙 룽-페이 filed Critical 추앙 룽-페이
Publication of KR20160112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5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vertical plane, e.g. steppers with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1Replaceable resistance units of different strengths, e.g. for sw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9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plastic deformable materials, e.g. lead bars or kneadable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63B22/00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the exercises for arms and legs being functionally independ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58Step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스텝퍼는 베이스, 연결 로드, 2개의 페달 및 2개의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로드는 베이스에 배치된다. 상기 조절 메커니즘 각각은 블로킹 부재, 조절 베이스 및 편심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킹 부재는 제1 블로킹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 베이스는 베이스에 배치된다. 상기 편심 부재는 조절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은 제1 블로킹 표면을 선택적으로 저항한다. 페달들 중 하나가 하강하면, 제1 블로킹 표면들 중 하나와 제2 블로킹 표면들 중 하나는 연결 로드의 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경사지며, 연결 로드의 타단은 동심원적으로 회전되며, 다른 제1 블로킹 표면은 다른 제2 블로킹 표면에 의하여 저항되며, 이에 의하여 다른 페달을 회전 및 상승시킨다.

Description

스텝퍼{Stepper}
본 발명은 스텝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페달 스트로크(stroke)와 스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텝퍼에 관한 것이다.
직업 유형의 변화로 인하여, 대부분의 사람은 움직임이 적은 실내 일을 하게 되고, 육체적 노동을 요구하는 일들은 자동 기계로 대체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간 신체의 근육들은 운동 부족이 발생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건강에 역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사람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는 실내 피트니스 장비가 시중에 나와 있으며, 이와 같은 실내 피트니스 장비들 중에서, 발 근육을 훈련시키기 위하여 계단을 오르거나 언덕길을 걷는 것을 모방하기 위한 스텝퍼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운동 목적을 성취할 수 있으며, 건강한 신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스텝퍼는 복잡한 연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좌우 페달의 이동 경로들이 고정되어 있어, 페달 스트로크와 스윙 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스텝퍼는 다양한 사용자의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페달 스트로크(stroke)와 스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텝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스텝퍼가 제공된다. 상기 스텝퍼는 베이스(base), 연결 로드(linking rod), 2개의 페달 및 2개의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 로드는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로드는 서로 동심원적으로 회전되는 2개의 단부를 포함한다. 페달 각각은 페달 부재와 페달 암(arm)을 포함한다. 상기 페달 암은 페달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 암은 페달 부재를 왕복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연결 로드의 일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절 메커니즘 각각은 블로킹(blocking) 부재, 조절 베이스 및 편심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블로킹 부재는 페달 암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킹 부재는 제1 블로킹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 베이스는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편심 부재는 조절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으며, 축(axial) 중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편심 부재는 적어도 2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은 다른 거리로 축 중심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은 제1 블로킹 표면에 선택적으로 저항(resist)한다. 페달들 중 하나가 하강하면, 제1 블로킹 표면들 중 하나와 제2 블로킹 표면들 중 하나는 연결 로드의 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경사지며, 연결 로드의 타단은 동심원적으로 회전하며, 다른 제1 블로킹 표면은 다른 제2 블로킹 표면에 의하여 저항(resisted)되어, 다른 페달을 회전 및 상승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스텝퍼가 제공된다. 상기 스텝퍼는 베이스, 연결 로드, 2개의 페달 및 2개의 조절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로드는 베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로드는 서로 동심원적으로 회전되는 2개의 단부를 포함한다. 페달 각각은 페달 부재와 페달 암을 포함한다. 상기 페달 암은 페달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페달 암은 페달 암을 왕복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연결 로드의 일 단부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절 메커니즘 각각은 블로킹 부재와, 조절 베이스와, 편심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킹 부재는 페달 암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킹 부재는 제1 블로킹 표면을 구비한다. 상기 조절 베이스는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편심 부재는 조절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으며, 축 중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편심 부재는 제2 블로킹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블로킹 표면은 블로킹 부재의 제1 블로킹 표면을 선택적으로 저항한다. 상기 조절 부재는 편심 부재의 회전각도 또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 베이스에 배치된다. 페달들 중 하나가 하강하면, 제1 블로킹 표면들 중 하나와 제2 블로킹 표면들 중 하나는 연결 로드의 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경사지며, 연결 로드의 다른 단부는 동심원적으로 회전되며, 다른 제1 블로킹 표면은 다른 제2 블로킹 표면에 의하여 저항되어, 다른 페달을 스윙 및 상승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스텝퍼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a) 왕복 운동 스템핑 기능성은 연결 로드 및 조절 메커니즘의 단순한 구조를 이용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b) 페달의 상하 스윙 운동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연결 로드 및 메커니즘의 구조는 레버의 원리 및 V-유형 스윙을 이용하는 종래의 연결 구조보다 더 안정적이다.
(c) 연결 로드, 블로킹 부재의 경사 방향 및 조절 메커니즘의 편심 부재를 제공하여 페달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스윙 운동할 수 있다.
(d) 페달 스트로크 및 스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편심 부재의 제2 블로킹 표면의 해당하는 축(axial) 거리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e) 다양한 사용자들을 위한 페달 스트로크 및 페달 스윙의 여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조절 메커니즘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으며, 제1 블로킹 표면 및 제2 블로킹 표면의 경사각도 및 위치는 조절 부재, 조절 베이스, 조절 시트 및 나사를 조절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텝퍼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텝퍼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제2 블로킹 표면과 축 중심 사이의 제1 거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제2 블로킹 표면과 축 중심 사이의 제2 거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c는 도 3의 제2 블로킹 표면과 축 중심 사이의 제3 거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d는 도 3의 제2 블로킹 표면과 축 중심 사이의 제4 거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스텝퍼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b는 도 4b의 스텝퍼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c는 도 4c의 스텝퍼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d는 도 4d의 스텝퍼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a는 편심 부재가 3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갖는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b는 편심 부재가 5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갖는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c는 편심 부재가 6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갖는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스텝퍼의 전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텝퍼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도 8의 스텝퍼의 액션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스텝퍼의 일 측면의 액션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스텝퍼의 다른 측면의 액션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스텝퍼의 측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스텝퍼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스텝퍼의 전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스텝퍼의 측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스텝퍼의 측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스텝퍼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그 예시들은 첨부된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재를 표시하는데 있어 도면과 상세한 설명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조절할 수 없었던 페달 스트로크, 스윙 진폭(amplitude), 스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텝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텝퍼는 서로 다른 사용자의 조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100)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스텝퍼(100)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텝퍼(100)의 측면도이다. 상기 스텝퍼(100)는 베이스(200), 연결 로드(300), 2개의 페달(202), 2개의 조절 메커니즘(500) 및 2개의 복구 메커니즘(6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00)는 평면 위에 안정되게 놓인다. 베이스(200)는 중심부(210), 연장부(220) 및 2개의 측면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중심부(210)로부터 수직으로 그리고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측면부(230)는 중심부(210)의 2개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2개의 측면부(230)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벌어진 아치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연결 로드(300)는 베이스(200)에 피복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로드(300)는 서로 동심원적으로 회전되는 2개의 단부(310) 및 원형 중심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원형 중심부(320)는 연결 로드(300)의 중앙에 위치하며, 원형 중심부(320)는 피봇 축(axis)(330)에 의하여 연장부(220)의 외부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베이스(200)를 중심으로 연결 로드(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페달(400) 각각은 페달 부재(410), 페달 암(420) 및 피봇부(430)를 포함한다. 페달 부재(410)는 스템핑(stamping)을 위하여 사용된다. 페달 암(420)은 L-형상이며, 페달 부재(410)에 연결되어 있다. 피봇부(430)는 페달 암(4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피봇부(430) 각각은 연결 로드(300)의 2개의 단부(31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페달 부재(410)를 왕복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하여 페달 암(420)이 연결 로드(30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절 메커니즘(500) 각각은 블로킹 부재(510), 조절 베이스(520) 및 편심 부재(550)를 포함한다. 2개의 블로킹 부재(510)는 2개의 페달 암(420)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블로킹 부재(510)는 제1 블로킹 표면(51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블로킹 표면(511)은 원호 표면일 수 있으며, 제1 블로킹 표면(511)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조절 베이스(520)는 베이스(200)의 중심부(210)에 배치되어 있다. 편심 부재(550) 각각은 조절 베이스(520)에 배치되어 있으며, 축(axis) 중심(c)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편심 부재(550)는 블로킹 부재(510)의 제1 블로킹 표면(511)에 저항하기 위하여 최소한 2개의 제2블로킹 표면(55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편심 부재(550)는 4개의 제2블로킹 표면(551)을 포함한다.
복구 메커니즘(600) 각각은 2개의 측면부(230)에 위치된다. 복구 메커니즘(600) 각각은 연결 로드(300)의 2개의 단부(310)와 베이스(200)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구 메커니즘(600)은 연결 바(bar)(610) 및 인장 스프링(62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바(610)의 일 단부는 연결 로드(300)의 일 단부(3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바(610)의 타단은 인장 스프링(620)에 연결되어 있다. 복구력은 압축 스프링, 강철 케이블, 공기압 실린더 또는 오일 실린더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페달(400)이 스템핑(stamping)되면, 페달(400)에 배치된 블로킹 부재(510)의 제1 블로킹 표면(511)은 편심 부재(550)의 제2 블로킹 표면(551)에 의하여 저항(resisted)되며, 이에 따라 연결 로드(300)의 2개의 단부(310)는 동심원적으로 회전된다. 한편, 다른 블로킹 부재(510)의 제1 블로킹 표면(511)은 다른 편심 부재(550)의 제2 블로킹 표면(551)에 의하여 저항되어, 다른 페달(400)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연결 로드(300)를 동심원적으로 회전시키고, 블로킹 부재(510) 및 편심 부재(550)에 저항하기 위한 방법으로 좌측 페달(400) 또는 우측 페달(400)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심 부재(550)에서의 다른 축(axial) 방향 거리에 해당되는 서로 다른 제2 블로킹 표면(551)이 선택되면, 페달 스트로크 및 페달(400)의 스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a, 도 4a 내지 4d 및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한다. 도 4a는 제2 블로킹 표면(551)과 축 중심(c) 사이의 제1 거리(d1)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b는 제2 블로킹 표면(551)과 축 중심(c) 사이의 제2 거리(d2)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c는 제2 블로킹 표면(551)과 축 중심(c) 사이의 제3 거리(d3)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d는 제2 블로킹 표면(551)과 축 중심(c) 사이의 제4 거리(d4)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스텝퍼(100)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b는 도 4b의 스텝퍼(100)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c는 도 4c의 스텝퍼(100)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d는 도 4d의 스텝퍼(100)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페달 부재 설명은 생략되고,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5a 내지 도 5d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블로킹 표면(551)의 개수는 4개이며, 제2 블로킹 표면(551) 각각 및 축 중심(c)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d1), 제2 거리(d2), 제3 거리(d3) 및 제4 거리(d4)이다. 제1 거리(d1)가 가장 짧으며, 다른 거리들은 순서대로증가하여, 제4 거리(d4)가 가장 길다. 스텝퍼(100)가 작동되면, 제1 거리(d1), 제2 거리(d2), 제3 거리(d3) 및 제4 거리(d4)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페달 암(420)의 스트로크가 다르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암(420)은 가장 작은 스트로크가 구비되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암(420)은 가장 큰 스트로크를 갖는다.
도 6a는 편심 부재가 3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갖는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b는 편심 부재가 5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갖는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c는 편심 부재가 6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갖는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스트로크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편심 부재(550)의 제2 블로킹 표면(551)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제2 블로킹 표면(551) 및 축 중심(c)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면, 페달 스트로크가 변경될 뿐만 아니라, 스윙 각도도 변경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100)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스텝퍼(100)의 전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텝퍼(100)의 측면도이다. 스텝퍼(100)는 베이스(200), 연결 로드(300), 2개의 페달(400) 및 2개의 조절 메커니즘(500)을 포함한다.
베이스(200)는 평면 위에 안정되게 놓여진다.
연결 로드(300)는 베이스(200)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며, 연결 로드(200)는 서로에 대하여 동심원적으로 회전되는 2개의 단부(310)를 포함한다.
페달(400) 각각은 페달 부재(410), 페달 암(420) 및 피봇부(430)를 포함한다. 페달 부재(410)는 스템핑을 위하여 사용된다. 페달 암(420)은 L-형상이며, 페달 부재(410)에 연결되어 있다. 피봇부(430)는 페달 암(4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피봇부(430) 각각은 연결 로드(300)의 2개의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페달 암(420)이 연결 로드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페달 부재(410)를 왕복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조절 메커니즘(500) 각각은 블로킹 부재(510), 조절 베이스(520), 조절 시트(530), 조절 부재(540), 편심 부재(550) 및 2개의 나사(560)를 포함한다. 블로킹 부재(510)는 2개의 페달 암(420)에 배치된다. 블로킹 부재(510)는 제1 블로킹 표면(5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블로킹 표면(511)은 원호 형상의 표면일 수 있으며, 제1 블로킹 표면(511)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조절 베이스(520)는 베이스(200)에 배치되며, 조절 베이스(520)는 복수개의 조절 구멍(521)을 갖는다. 조절 시트(530)는 복수개의 고정 구멍(531)을 갖는다. 조절 부재(540)는 조절 베이스(520)의 조절 구멍(521) 내부 및 조절 시트(530)의 고정 구멍(531) 내부에 작용 가능하게(actively) 배치된다. 편심 부재(550)는 조절 부재(540), 고정 구멍(531) 및 조절 구멍(521)을 통하여 조절 베이스(520)에 조절 가능하게 배치된다. 편심 부재(550)는 블로킹 부재(510)의 제1 블로킹 표면(511)에 저항하기 위한 제2 블로킹 표면(551)을 포함한다. 2개의 나사(560)는 2개의 고정 구멍(531) 및 2개의 조절 구멍(521)을 통하여 배치되며, 편심 부재(550) 및 조절 시트(530)를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 부재(540)는 볼트 또는 플러그일 수 있다. 조절 구멍(521), 고정 구멍(531) 및 상기 조절 구멍(521) 및 고정 구멍(31)에 대응되는 나사(560)의 위치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및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도 10a는 도 8의 스텝퍼(100)의 액션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스텝퍼(100)의 일 측면의 액션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스텝퍼(100)의 다른 측면의 액션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조절 부재(540)는 2개의 조절 구멍(521) 및 2개의 고정 구멍(531)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다른 조절 구멍(521) 및 고정 구멍(531)은 조절 시트(530)의 다른 경사각도 및 편심 부재(550)의 다른 각도를 만들 수 있게 되어, 페달(400)의 페달 스트로크 및 스윙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페달(400)이 중력 방향(g)을 따라 하강하면, 블로킹 부재(510)의 제1 블로킹 표면(511) 및 편심 부재(550)의 제2 블로킹 표면(551)은 중력 방향(g)으로 경사지게 되어, 이에 따라 연결 로드(300)의 2개의 단부(310)가 동심원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으로는, 다른 편심 부재(550)의 제2 블로킹 표면(551)은 다른 블로킹 부재(510)의 제1 블로킹 표면(511)에 경사 상태로 저항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른 페달(400)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페달(400)은 연결 로드(300)를 동심원적으로 회전시키고, 편심 부재(550) 및 블로킹 부재(510)에 저항하면서 상하부 및 좌우 방향으로 스윙 운동을 한다.
편심 부재(550) 및 블로킹 부재(510)의 한정에 따라, 페달(400)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스윙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조절 구멍(521) 및 고정 구멍(531)을 조절 부재(540)를 통하여 배치함으로써, 페달 스트로크 및 스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편심 부재(550)가 블로킹 부재(510)에 저항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른 페달 스트로크 및 스윙 각도에 따라, 사람들은 조절 베이스(520), 조절 시트(530), 조절 부재(340), 편심 부재(550) 및 나사(560)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스텝퍼의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부재는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메커니즘(500)은 도 8의 조절 시트(530)를 제거시키며, 조절 부재(540)는 조절 베이스(520)의 조절 구멍(521) 및 편심 부재(550)를 통하여 직접 배치된다. 조절 구멍(521)이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기 때문에, 편심 부재(550)의 서로 다른 높이 위치는 다른 조절 구멍(521)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심 부재(550)의 제2 블로킹 표면(551)이 블로킹 부재(510)의 제1 블로킹 표면(511)을 저항하는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달 암(420)의 페달 스트로크 및 스윙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100)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스텝퍼(100)의 측면도이다.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메커니즘(500)은 도 8의 조절 시트(530)를 제거시키며, 조절 부재(540)는 조절 베이스(520)의 조절 구멍(521)과 편심 부재(550)를 통하여 직접 배치된다. 조절 구멍(521)이 수평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편심 부재(550)의 다른 수평 위치는 다른 조절 구멍(521)을 조절시켜서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심 부재(550)의 제2 블로킹 표면(551)이 블로킹 부재(510)의 제1 블로킹 표면(511)을 저항할 때의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달 암(420)의 페달 스트로크 및 스윙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100a)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스텝퍼(100a)의 전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스텝퍼(100)의 측면도이다. 도 15에는, 페달 부재가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 메커니즘(500a) 만이 변경되며, 베이스(200a), 연결 로드(300a) 및 2개의 페달(400a)은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조절 메커니즘(500a)은 블로킹 부재(510a), 조절 베이스(520a), 조절 시트(530a), 조절 부재(540a), 편심 부재(550a) 및 3개의 나사(560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 시트(530a)의 2개의 고정 구멍(531)은 슬롯 형상으로 만들어 진다. 조절 부재(540a)는 조절 헤드(541a), 고정 튜브(542a) 및 푸시 헤드(543a)를 포함한다. 조절 헤드(541a)는 고정 튜브(542a)에 의하여 푸시 헤드(543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푸시 헤드(543a)는 편심 부재(550a) 쪽으로 푸시한다. 편심 부재(550a)는 홈(552a) 및 축(axis)(553a)을 포함한다. 홈(552a)은 원호 형상이며, 편심 부재(550a)에 개구되어 형성되며, 조절 부재(540a)에 대응한다. 편심 부재(550a)를 조절 베이스(520a)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축(553a)이 제공된다. 축(553a)은 그 측면에서 나사 구멍(554a)을 개구시키며, 나사 구멍(554a)은 푸시 헤드(543a)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2개의 나사(560a)는 고정 구멍(531a)을 관통하며, 편심 부재(550a)의 축(553a)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2개의 나사(560a)는 조절 구멍(521a) 및 2개의 슬롯 형상의 고정 구멍(531a)을 통하여 삽입되며, 고정 튜브(542a)의 두 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슬롯 형상의 고정 구멍(531a)은 나사(560a)에 의하여 조절 구멍(521a) 내에 위치하며, 스윙 가능한 각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편심 부재(550a)는 조절 시트(530a)의 2개의 고정 구멍(531a)을 통하여 다른 나사(560a)에 의하여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편심 부재(550a)의 회전 각도와 편심 부재(550a)의 위치는 슬롯 형상의 고정 구멍(531a) 및 원호 형상의 홈과 상호 협력 하에 축(553a)의 나사 구멍(554a) 내에서 조절 헤드(541a)를 회전시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편심 부재(550a)의 제2 블로킹 표면(551a)의 경사각도 및 블로킹 부재(520a)의 제1 블로킹 표면(511a)의 경사각도는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페달(400a)의 페달 스트로크 및 스윙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퍼(100a)를 도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스텝퍼(100a)의 측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시트(530a)(도 14에 도시)가 제거되고, 조절 부재(540a)는 일체로 구성된다. 조절 부재(540a)는 조절 베이스(520a)에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조절 구멍(521a) 중 2개가 조절 부재(540a)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개구되며, 신장되기 때문에, 편심 부재(550a)의 위치는 신장된 조절 구멍(521)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블로킹 부재(520a)의 제1 블로킹 표면(511a)의 경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페달(400a)의 페달 스트로크와 스윙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스텝퍼(100a)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스텝퍼(100a)의 측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시트(530a)(도 14에 도시)가 제거되며, 조절 부재(540a)는 일체로 구성된다. 2개의 조절 구멍(521a)이 수평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편심 부재(550a)의 수평 위치는 조절 구멍(521)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블로킹 부재(520a)의 제1 블로킹 표면(511a)의 경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페달(400a)의 페달 스트로크 및 스윙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따라서 아래의 특허청구범위들의 정신 및 범위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구성에 다양한 수정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상기의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정 및 변형들을 포함한다.

Claims (1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고 양쪽 2개의 단부가 원형중심부를 동심원으로 하여 회전되는 연결 로드; 페달 부재, 상기 페달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페달 부재를 왕복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 로드의 일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페달 암을 포함하는 2개의 페달; 2개의 조절 메커니즘; 2개의 복구 메커니즘; 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는, 상기 2개의 조절 베이스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수직으로 그리고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중심부의 양쪽 단부에 연결되고 벌어진 아치 형상으로 배치된 2개의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연결 로드의 중앙에 위치하는 원형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중심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2개의 단부가 원형 중심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2개의 페달 각각은 상기 페달 암에 일체로 연결된 피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부 각각은 상기 연결 로드의 양쪽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 로드를 축으로 페달 각각을 회전시키며,
    상기 조절 메커니즘 각각은, 상기 페달 암에서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 배치되고 제1 블로킹 표면을 갖는 블로킹 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조절 베이스와; 상기 조절 베이스에 배치된 편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구 메커니즘 각각은, 상기 2개의 측면부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양쪽 단부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됨으로써 페달의 스템핑시 상기 연결 로드의 단부를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복구력을 제공하며,
    상기 편심 부재는 축(axial)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편심 부재는 상기 제1 블로킹 표면과 접하는 적어도 2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은 상호 분리되되 축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블로킹 표면은 상기 2개의 제2 블로킹 표면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접하게 되며,
    상기 페달들 중 하나의 페달을 스템핑시 하나의 페달이 중력 방향을 따라 하강하는 동시에 연결 로드의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블로킹 표면들 중 하나 및 제2 블로킹 표면들 중 하나는 중력 방향을 따라 경사지며,
    동시에 상기 연결 로드의 타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블로킹 표면들 중 다른 하나는 제2 블로킹 표면들 중 다른 하나의 접촉 저항 및 상기 복구 메커니즘들 중 다른 하나의 복구력에 의하여 페달의 다른 하나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로킹 표면은 원호 형상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로킹 표면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부재는 3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부재는 4개의 제2 블로킹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부재의 회전각도 또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 베이스에 배치되는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플러그(plu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베이스는 복수 개의 조절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 부재는 상기 조절 구멍 내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메커니즘은,
    복수 개의 고정 구멍을 갖는 조절 시트와;
    조절 구멍을 통하여 배치되며, 고정 구멍 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부재는 2개의 고정 구멍 및 2개의 조절 구멍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이에 의하여 조절 부재 및 조절 시트에 의하여 편심 부재를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메커니즘은,
    상기 조절 구멍들 중 하나 내에 배치되는 조절 부재와;
    슬롯 형상의 2개의 조절 구멍과;
    축 중심으로 통하여 조절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고 나사 구멍이 조절 부재에 해당하는 축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편심 부재 내에 위치하는 원호 형상인 홈 및 축(axis)을 포함하는 편심 부재와;
    상기 편심 부재의 2개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2개의 조절 구멍 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메커니즘은,
    2개의 고정 구멍이 슬롯 형상인 복수개의 고정 구멍을 갖는 조절 시트와;
    상기 조절 구멍을 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고정 구멍 내에 위치하며, 하나가 편심 부재의 2개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슬롯 형상의 조절 구멍 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나사와;
    축 중심을 통하여 조절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고 조절 부재를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축의 일 측면에 나사 구멍이 형성되며, 편심 부재 내에 위치하는 원호 형상인 홈 및 축을 포함하는 편심 부재와;
    고정 튜브를 통하여 푸시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 헤드, 편심 부재의 홈에 배치되며 축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푸시 헤드 및 2개의 슬롯 형상의 고정 구멍에 대응하며 나사를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고정 튜브를 포함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로킹 표면은 원호 형상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로킹 표면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KR1020150161227A 2015-03-20 2015-11-17 스텝퍼 KR101791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204233U TWM503236U (zh) 2015-03-20 2015-03-20 踏步機
TW104204233 2015-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918A KR20160112918A (ko) 2016-09-28
KR101791261B1 true KR101791261B1 (ko) 2017-10-27

Family

ID=5393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227A KR101791261B1 (ko) 2015-03-20 2015-11-17 스텝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37754B2 (ko)
JP (1) JP3201972U (ko)
KR (1) KR101791261B1 (ko)
DE (1) DE202015105421U1 (ko)
FR (2) FR3033708B3 (ko)
TW (1) TWM50323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017Y1 (ko) 2018-10-01 2019-08-13 주식회사 이고진 기능성 스텝퍼
KR20230085045A (ko)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코트라스 단일 모터형 재활운동용 전동 스텝퍼
KR20230085046A (ko)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코트라스 개별 모터형 재활운동용 전동 스텝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469116U (zh) * 2015-03-20 2015-07-15 庄龙飞 踏步机
CN204469117U (zh) * 2015-03-20 2015-07-15 庄龙飞 踏步机
USD965083S1 (en) * 2021-07-22 2022-09-27 Ying Wang Exercise stepp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5926A1 (en) 2001-04-24 2002-10-24 Shu-Chtung Lat Exerci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3001A (en) * 1983-12-16 1986-01-07 Juris Terauds Portable exercising device
US5232421A (en) * 1992-07-29 1993-08-03 Jin-Liang Chen Stepper
US5246410A (en) * 1992-12-14 1993-09-21 Luxqueen Sporting Goods Mfg., Co. Gymnastic pedaling apparatus
US6315697B1 (en) * 2000-10-10 2001-11-13 Tsung-Yu Chen Stepping exerciser having depth adjustable pedals
US20050272563A1 (en) * 2004-05-22 2005-12-08 Liang Yung J Lower muscle training device
TWM260277U (en) * 2004-06-25 2005-04-01 Hsin Lung Accessories Co Ltd Improved treadmill
US20070219060A1 (en) * 2006-03-17 2007-09-20 Yung-Jen Liang Sewing machine type stepping foot trainer
TWM503233U (zh) * 2014-11-27 2015-06-21 Chiu-Hsiang Lo 具緩衝機構之踏步機
TWD171093S (zh) * 2015-03-20 2015-10-11 莊龍飛 踏步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5926A1 (en) 2001-04-24 2002-10-24 Shu-Chtung Lat Exercising devic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07111 UR
JP03169692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017Y1 (ko) 2018-10-01 2019-08-13 주식회사 이고진 기능성 스텝퍼
KR20230085045A (ko)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코트라스 단일 모터형 재활운동용 전동 스텝퍼
KR20230085046A (ko)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코트라스 개별 모터형 재활운동용 전동 스텝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71440A1 (en) 2016-09-22
KR20160112918A (ko) 2016-09-28
FR3033707B3 (fr) 2017-04-21
FR3033708B3 (fr) 2017-05-05
DE202015105421U1 (de) 2016-01-27
FR3033707A3 (fr) 2016-09-23
JP3201972U (ja) 2016-01-14
US9737754B2 (en) 2017-08-22
FR3033708A3 (fr) 2016-09-23
TWM503236U (zh) 201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261B1 (ko) 스텝퍼
JP3202024U (ja) ステッパー
US7097591B2 (en) Adjustable stride elliptical motion exercise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s
KR200478887Y1 (ko) 헬스기구
US20120190508A1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with declining adjustable ramp
US7845728B2 (en) Infant rocking chair and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same
US20060166791A1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elliptical path
US9254404B2 (en) Exercise apparatus having a targeted fluid support system
JP3113147U (ja) ステッパーの構造
JP3748412B2 (ja) 板ばねを使用した弾性度可変型トランポリン
WO2016150243A1 (zh) 踏步机
WO2016150244A1 (zh) 踏步机
KR20070006256A (ko) 완력기
KR101778879B1 (ko) 시소형태의 밸런스 운동기구
US9776031B2 (en) Torsion based exerciser
US11185734B2 (en) Twisting stepper apparatus
KR100843644B1 (ko) 하체 운동기구
US20190308063A1 (en) Pivoting Stepper Apparatus
JP3111598U (ja) ツイストエクササイズ器具
AU2012259467B2 (en) Exercise apparatus having a targeted fluid support system
KR200324289Y1 (ko) 완력기의 운동 강도 조절구조
JP3121382U (ja) ステッパーの構造装置
KR200317963Y1 (ko) 제자리 달리기 운동기구
KR20130004023U (ko) 허리 운동기구
TWM507282U (zh) 踏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