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644B1 - 하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644B1
KR100843644B1 KR1020070054189A KR20070054189A KR100843644B1 KR 100843644 B1 KR100843644 B1 KR 100843644B1 KR 1020070054189 A KR1020070054189 A KR 1020070054189A KR 20070054189 A KR20070054189 A KR 20070054189A KR 100843644 B1 KR100843644 B1 KR 10084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seesaw member
saddle
resistan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철
Original Assignee
황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철 filed Critical 황인철
Priority to KR102007005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는, 지주, 지주의 상측에 횡 방향으로 배치된 주축, 주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시소부재, 지주의 상측에 배치되는 손잡이, 주축의 후방 쪽으로 시소부재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안장 및 지주와 시소부재사이에 배치되어 안장이 내려갈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저항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서는 과정을 반복하여 운동 또는 물리치료를 실시할 수 있고, 특히 시소부재는 L자 형태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양 무릎을 붙이더라도 신체와 운동기구 사이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더욱 원활하게 운동 또는 물리치료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는, 저항부재가 앉는 동작에서 저항력을 발휘하여 천천히 앉을 수 있게 하고, 저항부재가 일어서는 동작에서는 더욱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라도 쉽게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할 수 있다.
하체 운동, 하체 교정, 물리치료, 안짱다리

Description

하체 운동기구 {Lower part of the body sportign goods}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에서 장력을 조절하는 부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에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에서 안장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제3, 제4,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에서 관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는 사용자가 일어서 있는 상태이고, 도 10 은 사용자가 앉은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b, 10c, 10d: 하체 운동기구
11: 베이스 플레이트
12: 발 위치 템플엣 13: 지주
14: 주축 15: 하측 장착대
20: 시소부재 21: 전방 파트
22: 후방 파트 23: 안장 축
24, 25: 제1, 제2 패킹 30: 안장
41, 42: 제1, 제2 저항부재 43: 손잡이
50: 장력조절부 51: 걸림 홈
52: 슬라이드 홈 60: 손잡이
70, 80, 90: 제3, 제4, 제5 저항부재
71, 81, 91a, 91b: 제1, 제2, 제3, 제4 실린더
72, 82, 92a, 92b: 제1, 제2, 제3, 제4 로드
100: 관절부
101: 제6 저항부재
본 발명은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하체를 단련시키는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체 운동을 할 때에는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반복하고, 이때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양손으로 손잡이와 같은 고정체를 붙잡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하체운동을 특정한 목적으로 실시할 때가 있는데, 예를 들어 하체를 교정하기 위하여 물리치료를 병행할 때에는 하체의 상태에 따라 양쪽 무릎을 붙인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서는 과정을 반복하기를 물리치료사가 권하지만 실제로 무릎을 붙이고 앉았다 일어서는 과정을 반복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특히 재활을 목적으로 하체운동을 실시하는 자는 대부분 노약자임을 감안하면 물리치료사가 권하는 형태로 하체운동을 쉽게 실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체를 단련함에 있어서 무릎을 붙인 상태에서도 앉았다 일어서는 과정을 쉽게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측에 횡 방향으로 배치된 주축; 상기 주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시소부재; 상기 지주의 상측에 배치되는 손잡이; 상기 주축의 후방 쪽으로 상기 시소부재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안장; 및 상기 지주와 상기 시소부재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장이 내려갈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저항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소부재는, 상기 주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파트가 L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의 하측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양 발 모양의 형상과 발의 각도가 표현된 발 위치 템플엣;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소부재에 상기 저항부재가 장착되는 위치를 가변 하는 장력조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부재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시소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걸림 홈 이 배치되고, 여러 개의 걸림 홈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걸림 홈에 상기 저항부재의 한쪽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소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단일의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여러 개의 걸림 홈은 상기 슬라이드 홈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소부재에서 상기 여러 개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구간은 측면에서 볼 때에 만곡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장은 상기 시소부재의 끝부분에서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장착되고, 상기 안장의 저면 또는 상기 시소부재 중에 어느 한쪽에 제1 패킹 또는 제2 패킹이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한계가 한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지주봉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부재는, 상기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시소부재의 전방과 지주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안장이 하강할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부재는, 상기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시소부재의 전방과 지주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안장이 하강할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가스스프링(gas-sprin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부재는, 상기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시소부재의 후방과 지주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안장이 하강할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가스스프링(gas-sprin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스프링(gas-spring)은 양쪽에 로드가 배치되어 신장신축 되는 복동 가스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부재는, 상기 주축에 끼워져 어느 한쪽은 주축에 장착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시소부재에 닿도록 하여 상기 안장이 하강할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토션-스프링(torsion-spring)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는 지주(13)의 상측에 주축(14)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지주(13)의 상측에는 손잡이(60)가 배치되며, 상술한 주축(14)에는 시소부재(2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시소부재(20)는 주축(14)을 기준으로 전방파트(21)와 후방파트(22)로 나뉘며, 후방파트(22)의 끝부분에 안장(30)이 배치되고, 전방파트(21)에는 장력조절부(50)가 배 치된다.
또한, 상술한 지주(13)의 하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가 더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는 발 위치 템플엣(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발 위치 템플엣(12)은 첨부도면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발 모양의 도안이 배치되고, 발모양의 도안에는 발위치의 각도를 가늠할 수 있는 각도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술한 발 위치 템플엣(12)은 안짱다리일 때, 또는 반대방향으로 심하게 팔자걸음거리처럼 발끝이 심하게 벌려져있을 때를 가늠할 수 있고, 하체의 교정 시기 또는 단계별로 발 위치를 바꿔가면서 운동과 물리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상술한 안장(30)은, 첨부도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파트(22)의 끝 부분에 안장 축(23)을 그 안장 축(23)에 안장(30)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다.
특히 안장(30)이 전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후방파트(22)의 끝부분에 장착되고, 안장(30)의 기울어지는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제1 패킹(24) 또는 제2 패킹(25)을 더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패킹(24)은 안장(3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한계를 제한하고, 제2 패킹(25)은 안장(3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한계를 제한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패킹(24) 또는 제2 패킹(25)을 첨부도면 도 3b에서 후방파트(22)에 배치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패킹(24) 또는 제2 패킹(25)은 안장(30)의 하측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또 다른 한편으로 제1 패킹(24) 또는 제2 패킹(25)은 안장(30)이 기울어질 때에 완충하는 역할도 한다.
상술한 손잡이(60)는 운동 또는 물리치료를 실시할 때에 사용자가 균형을 잡기 위해서 잡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손잡이(60)는 지주(13)의 상측에서 배치될 수 있고, 손잡이(60)의 지주봉(61)은 전방을 향하여 구부려진 형태일 수 있으며, 이렇게 지주봉(61)이 전방을 향하여 구부려진 형태일 때에 손잡이와 사용자의 신체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안장(30)에 앉기 위해서는 어느 한쪽 다리는 딛고서고 다른 한쪽 다리를 건너편으로 넘겨서 딛고서야 하는데 이때 다른 한쪽으로 다리를 이동할 때에 혹시라도 있을 수 있는 신체와 운동기구(특히 지주봉(61)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주봉(61)이 구부려진 형태로 배치함으로서 실제로는 인력(人力)으로 쉽게 구부려지지 않더라도 심리적으로 구부려지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좀 더 안정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시소부재(20)는 첨부도면 도 1a, 도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파트(22)가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특히 이렇게 후방파트(22)가 L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안장(30)의 높이가 가장 낮은 위치일 때에 후방파트(22)가 바닥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부딪히거나 간섭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안장(30)의 높이가 가장 높은 위치일 때에도 후방파트(22)의 위치는 첨부도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릎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신체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술한 장력조절부(50)는 지주(13)의 하측과 시소부재(20)의 전방파트사이에 제1 저항부재(41)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안장(30)에 앉을 때에 천천히 앉을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일어설 때에는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상술한 제1 저항부재(41)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고, 미관과 안전을 고려하여 인장스프링의 외측에 자바라 형태의 주름 관을 더 씌워줄 수 있다.
또한 제1 저항부재(41)와 병렬로 다른 제2 저항부재(42)를 더 배치할 수 있는 것으로 복수 개의 저항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지주(13)의 하측에는 하측 장착대(15)를 더 배치하고, 상술한 제1 저항부재(41)의 하측 또는 제2 저항부재(42)의 하측은 상술한 하측 장착대(15)에 장착할 수도 있다.
상술한 하측 장착대(15)는 복수개의 저항부재를 좀 더 쉽게 배치 및 장착할 수 있도록 공간적인 여유를 갖게 한다.
또한, 전방파트(21)에는 상술한 제1 저항부재(41)의 상측 또는 제2 저항부재(42)의 상측이 장착되는데, 그 장착되는 위치는 주축(14)으로부터 가까운 거리 또는 먼 거리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전방파트(21)는 첨부도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걸림 홈(51)이 형성될 수 있고, 여러 개의 걸림 홈(51) 중에서 선택된 걸림 홈(51)에 상술한 제1 저항부재(41)의 상측 또는 제2 저항부재(42)의 상측을 고정하는 것이다.
제1 저항부재(41)의 상측 또는 제2 저항부재(42)의 상측에는 손잡이(43)가 배치된다.
손잡이(43)와 제1 저항부재(41)의 상측 또는 제2 저항부재(42)의 상측에 나사로 체결 될 수 있고 또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용접을 통하여 영구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제1 저항부재(41)의 상측 또는 제2 저항부재(42)의 상측이 전방파트(21)에 장착되는 위치가 주축(14)에 가까운 위치일수록 사용자는 더욱 안장(30)을 내리 누를 때에 쉽게 내려질 수 있고, 반대로 장착되는 위치가 주축(14)에서 먼 위치일수록 사용자는 안장(30)을 더욱 큰 힘으로 가하여야 내리 누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파트(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드 홈(52)이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여러 개의 걸림 홈(51)은 상술한 슬라이트 홈(52)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방파트(21)를 측면에서 볼 때에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1 저항부재(41) 또는 제2 저항부재(42)를 완전하게 분리/해체 하지 않고서도 손잡이(43)를 잡아 당겨 여러 개의 걸림 홈(51)중에서 소망하는 위치의 걸림 홈(51)에 쉽게 이동시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방파트(21)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손잡이(43)를 잡아당겨 이동할 때에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이를 부연설명하면 만약 전방파트(51)가 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제2 저항부재(41)(42)를 이동시킬 때에 많은 힘이 소요되고 특히 제1 저항부재(41)의 하측 또는 제2 저항부재(42)의 하측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먼 위치의 걸림 홈(51)에 제1 저항부재(41)의 상측 또는 제2 저항부재(42)의 상측을 고정시키고자할 때에 무척 많은 수고를 필요로 하게 되지만, 특히 전방파트(21)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제1, 제2 저항부재(41)(42)의 하측으로부터 여러 개의 걸림 홈(51)의 거리가 비슷하여 필요이상의 부단한 수고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는 첨부도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장(30)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손잡이(60)를 잡고 앉았다 일어서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양 무릎은 서로 붙인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서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고 시소부재(20)의 후방파트(22)는 신체 특히 무릎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장력조절부(50)에서는 적절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이 다소 좋을 때(힘이 있을 때)에는 장력조절부(50)에서 장력을 강한 위치로 조절하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이 다소 좋지 않을 때(허약할 때)에 장력이 약한 위치로 조절하게 된다.
장력 조절은 제1 저항부재(41)의 상측 또는 제2 저항부재(42)의 상측이 전방파트(21)에 장착될 때에 주축(14)으로 부터의 먼 거리 또는 가까운 거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 위치 템플엣(12)을 참조하여 발 모양에 있어서도 똑바로 섰을 때에 발끝이 심하게 벌어진다거나 또는 반대로 발끝이 심하게 좁게 서있을 때에는 적절한 물리치료를 실시하게 된다.
즉 상태의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발모양을 V자 형태 또는 역V자 형로 발 위치(발 모양)를 바꿔가면서 물리치료를 실시할 수 있고, 진척되는 상태를 발 위치 템플엣(12)과 비교하면서 파악할 수 있어 다리 교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a)는 전방파트(21)와 지주봉(61)사이에 제3 저항부재(70)를 배치한 것이고, 그 외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와 대동소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게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a)에서 전방파트(21)의 전방에는 제1 실시예의 하체 운동기구(10)의 장력조절부(50)가 뒤집혀진 형태로 배 치되는 것이 뿐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상술한 제3 저항부재(70)는 실린더(71)의 내부에 스프링이 배치되고 그 스프링에는 로드(72)가 배치되는 가스스프링(gas-spring)을 적용한 것이다.
제3 저항부재(70)의 실린더(71)는 지주(13)의 상측에 장착되고 로드(72)는 상술한 장력조절부(50)에 장착된다.
또한, 반대로 제3 저항부재(70)의 로드(72)는 지주(13)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고, 실린더(71)는 상술한 장력조절부(5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저항부재(70)의 실린더(71)는 지주봉(61)에 장착되고 로드(72)는 상술한 장력조절부(5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3 저항부재(70)의 로드(72)는 지주봉(61)에 장착될 수 있고, 실린더(71)는 상술한 장력조절부(5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제3 저항부재(70)는 어떠한 형태로 배치되더라도 사용자가 안장(30)에 앉은 상태에서 안장(30)을 내릴 때에 내려가려는 방향에 저항하는 힘을 발휘하게 되고 장력조절부(50)에 제3 저항부재(70)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장력이 조절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b)는 후방파트(22)와 지주(13)의 하측사이에 제4 저항부재(80)를 배치한 것이고, 그 외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와 대동소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게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후방파트(22)에는 장력조절부(50)가 배치되고, 그 장력조절부(50)에는 상술한 제4 저항부재(80)의 한쪽 끝부분이 장착된다.
상술한 제4 저항부재(80)는 실린더(81)의 내부에 스프링이 배치되고 그 스프링에는 로드(82)가 배치되는 가스스프링(gas-spring)을 적용한 것이다.
제4 저항부재(80)의 실린더(81)는 지주(13)의 하측에 장착되고 로드(82)는 후방파트(22)에 배치되는 장력조절부(50)에 장착된다.
또한, 지주(13)의 하측에는 하측 장착대(15)가 더 배치될 수 있고, 그 하측 장착대(15)에 상술한 제4 저항부재(80)의 한쪽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4 저항부재(80)의 로드(82)는 지주(13)의 하측에 장착될 수 있고, 실린더(81)는 상술한 장력조절부(5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제4 저항부재(80)는 어떠한 형태로 배치되더라도 사용자가 안장(30)에 앉은 상태에서 안장(30)을 내릴 때에 내려가려는 방향에 저항하는 힘을 발휘하게 되고 장력조절부(50)에 제4 저항부재(80)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장력이 조절된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c)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c)는 후방파트(22)와 지주(13) 의 하측사이에 제5 저항부재(90)를 배치한 것이고, 그 외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와 대동소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게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후방파트(22)에는 장력조절부(50)가 배치되고, 그 장력조절부(50)에는 상술한 제5 저항부재(90)의 한쪽 끝부분이 장착된다.
상술한 제5 저항부재(90)는 복동 가스스프링(gas-spring)을 적용한 것으로 제3 실린더(91a)와 제4 실린더(91b)가 일체로 구성되고 각각 제3 로드(92a)와 제4 로드(92b)를 갖는다.
상술 제5 저항부재(90)의 제3 로드(92a) 또는 제4 로드(92b) 중에 어느 하나는 지주(13)의 하측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로드(82)는 후방파트(22)에 배치되는 장력조절부(50)에 장착된다.
상술한 제5 저항부재(90)는 양 쪽에 제3 로드(92a)와 제4 로드(92b)가 배치됨으로서 신축신장의 행정거리가 길어져 안장(30)의 최저 높이와 최고 높이의 차이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즉, 제5 저항부재(90)는 사용자가 안장(30)에 앉은 상태에서 안장(30)을 내릴 때에 내려가려는 방향에 저항하는 힘을 발휘하게 되고 장력조절부(50)에 제5 저항부재(90)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장력이 조절된다.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d)를 설명하 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d)는 주축(14)에 관절부(100)를 배치하고 특히 관절부(100)에는 제6 저항부재(101)를 내장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고, 그 외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와 대동소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게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d)에서 관절부(1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관절부(100)는 주축(14)에 제6 저항부재(101)를 내장한 것이다.
상술한 제6 저항부재(101)는 토션-스프링(torsion-spring)으로서 주축(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6 저항부재(101)의 한쪽 끝 부분은 지주(13)에 닿게 하고, 제6 저항부재(101)의 다른 쪽 끝 부분은 시소부재(20)에 닿도록 한 것이다.
특히 제6 저항부재(101)와 지주(13) 또는 제6 저항부재(101)와 시소부재(20)에서 닿는 부분은 서로 결속이 풀리지 않도록 구멍 또는 걸림 홈 등을 형성시켜 더욱 견고하게 결속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6 저항부재(101)는 사용자가 안장(30)에 앉은 상태에서 안장(30)을 내릴 때에 내려가려는 방향에 저항하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주축(14)에는 베어링이 더 장착될 수 있고, 베어링이 장착됨으로서 시소부재(20)가 더욱 원활하게 시소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 10a ~ 10d)는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서는 과정을 반복하여 운동 또는 물리치료를 실시할 수 있고, 특히 시소부재(20)의 후방파트(22)는 L자 형태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양 무릎을 붙이더라도 신체와 운동기구 사이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더욱 원활하게 운동 또는 물리치료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 10a ~ 10d)는 무릎을 붙인 상태에서도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는데, 특히 제1 내지 제6 저항부재는 앉는 동작에서 저항력을 발휘하여 천천히 앉을 수 있게 하고, 일어서는 동작에서는 더욱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라도 쉽게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서는 과정을 반복하여 운동 또는 물리치료를 실시할 수 있고, 특히 시소부재(20)의 후방파트(22)는 L자 형태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양 무릎을 붙이더라도 신체와 운동기구 사이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더욱 원활하게 운동 또는 물리치료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는 무릎을 붙인 상태에서도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는데, 특히 제1 내지 제6 저항부재는 앉는 동작에서 저항력을 발휘하여 천천히 앉을 수 있게 하고, 일어서는 동작에서는 더욱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라도 쉽게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다리가 안짱다리이거나 또는 심하게 발끝이 벌려져 있을 때에도 발 위치 템플엣과 대조하면서 교정할 수 있으므로 교정되는 단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더욱 효과적으로 다리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지주;
    상기 지주의 상측에 횡 방향으로 배치된 주축;
    상기 주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시소부재;
    상기 지주의 상측에 배치되는 손잡이;
    상기 주축의 후방 쪽으로 상기 시소부재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안장; 및
    상기 지주와 상기 시소부재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장이 내려갈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저항부재;
    를 포함하는 하체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부재는, 상기 주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파트가 L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하측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양 발 모양의 형상과 발의 각도가 표현된 발 위치 템플엣;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부재에 상기 저항부재가 장착되는 위치를 가변 하는 장력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하체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시소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걸림 홈이 배치되고, 여러 개의 걸림 홈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걸림 홈에 상기 저항부재의 한쪽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단일의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여러 개의 걸림 홈은 상기 슬라이드 홈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부재에서 상기 여러 개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구간은 측면에서 볼 때에 만곡된 형태인 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은 상기 시소부재의 끝부분에서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장착되고, 상기 안장의 저면 또는 상기 시소부재 중에 어느 한쪽에 제1 패킹 또는 제2 패킹이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한계가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지주봉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상기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시소부재의 전방과 지주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안장이 하강할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상기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시소부재의 전방과 지주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안장이 하강할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가스스프링(gas-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상기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시소부재의 후방과 지주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안장이 하강할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가스스프링(gas-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스프링(gas-spring)은 양쪽에 로드가 배치되어 신장신축 되는 복동 가스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상기 주축에 끼워져 어느 한쪽은 주축에 장착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시소부재에 닿도록 하여 상기 안장이 하강할 때에 저항력을 발휘하는 토션-스프링(torsion-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KR1020070054189A 2007-06-03 2007-06-03 하체 운동기구 KR10084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89A KR100843644B1 (ko) 2007-06-03 2007-06-03 하체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89A KR100843644B1 (ko) 2007-06-03 2007-06-03 하체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644B1 true KR100843644B1 (ko) 2008-07-03

Family

ID=3982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189A KR100843644B1 (ko) 2007-06-03 2007-06-03 하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2132A1 (en) * 2009-01-19 2010-07-22 Tv Products (Hk), Ltd Back and thigh exercise apparatus
KR101546974B1 (ko) 2009-09-14 2015-08-24 황인철 목 운동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2269A (en) 1994-01-04 1994-08-30 Richard Huang Arm oscillating exerciser
US5478298A (en) 1995-02-27 1995-12-26 Chen; Paul Convertible horse-riding type exerciser
KR20040003806A (ko) * 2002-07-04 2004-01-13 표옥근 온몸운동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2269A (en) 1994-01-04 1994-08-30 Richard Huang Arm oscillating exerciser
US5478298A (en) 1995-02-27 1995-12-26 Chen; Paul Convertible horse-riding type exerciser
KR20040003806A (ko) * 2002-07-04 2004-01-13 표옥근 온몸운동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2132A1 (en) * 2009-01-19 2010-07-22 Tv Products (Hk), Ltd Back and thigh exercise apparatus
KR101546974B1 (ko) 2009-09-14 2015-08-24 황인철 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384B2 (en) Multi-link exercise machine
KR101425558B1 (ko) 좌석형 재활 운동장치
WO2009122479A1 (ja) 運動装置
KR10102878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US7951056B2 (en) Rockable exercise apparatus
KR20090067007A (ko) 운동 기구
EP1948328A2 (en) Stationary exercise bicycle
CA2661469A1 (en) Leg rehabilitation apparatus
JP3217330U (ja) スクワット運動フィットネス器具
KR100843644B1 (ko) 하체 운동기구
KR20190020585A (ko) 헬스기구겸용 데스크체어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JP3112700U (ja) 脚部用運動器具
KR100693202B1 (ko) 허리강화 걷기운동기구
JP2002200194A (ja) 運動具
EP1993678B1 (en) Multi-link exercise machine
US20050272563A1 (en) Lower muscle training device
WO2005053799A1 (ja) 運動器具用サドルおよび同サドルを用いた運動器具
KR100761036B1 (ko) 스텝퍼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JP5179164B2 (ja) 運動補助装置
JP3206326U (ja) 腕力強化用トレーニング装置
US9776031B2 (en) Torsion based exerciser
KR102252959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2434927B1 (ko) 다리 뻗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