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013B1 - 위치알림기능을 갖는 접이식 구명보트 - Google Patents

위치알림기능을 갖는 접이식 구명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013B1
KR101791013B1 KR1020160119074A KR20160119074A KR101791013B1 KR 101791013 B1 KR101791013 B1 KR 101791013B1 KR 1020160119074 A KR1020160119074 A KR 1020160119074A KR 20160119074 A KR20160119074 A KR 20160119074A KR 101791013 B1 KR101791013 B1 KR 101791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central body
folding
centr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연
김광현
곽동주
Original Assignee
서영연
김광현
곽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연, 김광현, 곽동주 filed Critical 서영연
Priority to KR102016011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1Boats, rafts, buoy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3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with fold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2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 시 선박에 구비되고 사고 시에 바다에 띄워지는 구명보트로서, 상기 구명보트는 몸체(110)와 구명제어장치(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는 우측 중앙몸체(110E-CR)와 좌측 중앙몸체(110E-CL)로 이루어지는 중앙 몸체(110C)와 상기 중앙몸체에 결합되는 접이체(110E-R2, 110E-R3, 110E-L2, 110E-L3)와, 상기 접이체 사이에 결합되는 접이소체(110E-R1, 110E-R4, 110E-L1, 110E-L4)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몸체, 접이체, 접이소체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물에 뜨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몸체와 접이체는 상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며, 접이체와 접이소체는 상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우측 중앙몸체(110E-CR)와 좌측 중앙몸체(110E-CL)는 하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접이소체와 접이소체는 하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몸체, 접이체, 및 접이소체 중 어느 하나에는 구조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구명제어장치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위치알림기능을 갖는 접이식 구명보트{FOLDING TYPE LIFEBOAT}
본 발명은 선박 사고 시 승무원이나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구명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 원형을 이루고 있다가 바다에서 보트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는 접이식 구명보트에 관한 것이다.
크고 작은 선박 사고는 심각한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선박에 좌초, 전복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최대한 빠른 시간에 구명보트의 위치를 찾는 것은 승무원이나 승객의 생존을 높일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150호의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튜브는 SOS발신 및 위치추적용 발신장치를 구명튜브에 내장하여 위치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튜브를 제안한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구명튜브는 중앙이 관통되어 튜브형상을 이루는 구명튜브로서 외주면에 다수개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구명끈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명튜브의 하단부에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구명장치들은 단순히 위치를 알릴 수 있는 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나, 설치된 통신수단의 고장유무를 확인하거나 구명장치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장치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 물에 빠진 사람들이 구명장치를 쉽게 찾기란 매우 어렵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150호의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튜브”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선박의 기울어지면 자동으로 구명보트가 전개(펼쳐짐)되어 물에 투입될 수 있는 구명보트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명보트에 설치된 통신 및 전자 장치들의 고장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명보트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물에 빠진 사람들에게 쉽게 구명보트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구명보트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평상 시 선박에 구비되고 사고 시에 바다에 띄워지는 구명보트로서, 상기 구명보트는 몸체(110)와 구명제어장치(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는 우측 중앙몸체(110E-CR)와 좌측 중앙몸체(110E-CL)로 이루어지는 중앙 몸체(110C)와 상기 중앙몸체에 결합되는 접이체(110E-R2, 110E-R3, 110E-L2, 110E-L3)와, 상기 접이체 사이에 결합되는 접이소체(110E-R1, 110E-R4, 110E-L1, 110E-L4)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몸체, 접이체, 접이소체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물에 뜨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몸체와 접이체는 상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며, 접이체와 접이소체는 상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우측 중앙몸체(110E-CR)와 좌측 중앙몸체(110E-CL)는 하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접이소체와 접이소체는 하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몸체, 접이체, 및 접이소체 중 어느 하나에는 구조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구명제어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명보트는 우측 중앙몸체와 좌측 중앙몸체가 결합되어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되는 중앙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에 결합되는 접이체와, 상기 접이체에 결합되는 접이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몸체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우상 접이소체, 우상 접이체, 우하 접이체, 우하 접이소체, 좌하 접이소체, 좌하 접이체, 좌상 접이체, 좌상 접이소체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우상 접이체, 우측 중앙몸체, 우하 접이체의 모서리가 모두 모이는 제1 영역은 우상 접이체, 우측 중앙몸체, 우하 접이체의 다른 부분들 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소재를 형성하고, 상기 좌상 접이체, 좌측 중앙몸체, 좌하 접이체의 모서리가 모두 모이는 제2 영역은 좌상 접이체, 좌측 중앙몸체, 좌하 접이체의 다른 부분들 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소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명제어장치는 선박에 설치된 컨트롤러와 무선통신으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구명제어장치는 구명보트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와, 구명보트의 위치 좌표를 출력하는 GPS 모듈과, 사고 시 구명보트를 선박으로 분리하는 로킹부와, 구명보트의 위치를 알려주는 부저 및 엘이디와, 구조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부와, 평상 시 구명제어장치의 배터리 충전상태와 통신부의 동작상태를 점검하고 사고 시 기울기 값을 기초로 구명보트를 분리시키며 구명보트 S/N으로 이루어지는 고장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컨트롤러로 점검신호를 출력하는 점검신호 출력부와, 초기 기울기 값과 구명보트의 S/N을 저장하는 기록부와,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관리부와, 구명보트의 초기 기울기 값과 실시간 기울기 값을 비교하는 기울기 비교부와, 상기 기울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미리 설정된 허용 기울기 값을 넘을 경우 사고로 판단하고 선박으로부터 고명보트를 분리하는 연결 해제부, 분리된 구명보트의 위치를 알려주는 부저 및 엘이디 구동부와, GPS 좌표와 구명보트 S/N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신호를 송출하는 구조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는 평소에 구 형상으로 선박에 설치되어 있다가 선박이 사고로 기울어질 때 보트 형상으로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소형으로 많은 개수의 구명보트를 실을 수 있다.
또한 구명보트에 기울기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선박의 기울어지면 자동으로 구명보트가 전개되어 구명보트의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또한 평상시 점검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구명보트에 설치된 통신 및 전자 장치들의 고장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저 및 엘이디에 의해 청각적 그리고 시각적 관심을 유도하여 물에 빠진 사람들에게 쉽게 구명보트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의 사진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의 배면을 나타낸 사진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의 중앙몸체, 접이체, 및 접이소체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접어진 구명보트를 펼쳐지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에 설치되는 구명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제어장치의 구동 제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평상시 구명제어장치의 동작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에 설치된 구명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는 구명보트와 상기 구명보트(100)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구명보트는 평상시 선박에 장착되었다가 사고시 선박으로부터 분리되어 바다 위에 펼쳐진다.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 개의 구명보트가 정상동작하는 지를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컨트롤러는 구명보트에 설치된 구명제어장치의 통신부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의 사진 이미지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의 배면을 나타낸 사진 이미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100)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구명제어장치(120)를 포함한다. 구명보트의 몸체(110)은 복수 개의 조각들이 하나로 연결되며, 평상 시(선박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복수 개의 조각들이 접혀져서 공처럼 구형을 이루게 되며, 선박 사고 시(선박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는 바다 위에서 펼쳐져서 작은 보트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구명보트(100)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가장자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가장자리부는 서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연결체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체에 의해 중앙부와 복수 개의 가장자리부는 구 형상 또는 펼져진 보트 형상을 이루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각 형상의 중앙 몸체(110C)이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몸체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우상 접이소체, 우상 접이체, 우하 접이체, 우하 접이소체, 좌하 접이소체, 좌하 접이체, 좌상 접이체, 좌상 접이소체가 배치된다.
상기 중앙 몸체(110C)는 우측 중앙몸체(110E-CR)와 좌측 중앙몸체(110E-CL)로 이루어진다. 우측 중앙몸체와 좌측 중앙몸체는 각각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으로 직각의 마주하는 변은 서로 대응하도록 맞대어져 배치된다. 따라서 우측 중앙몸체와 좌측 중앙몸체는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름모 형상의 중앙몸체의 변 부분에는 각각 접이체가 결합된다.
상기 접이체는 우하 접이체(110E-R2), 우상 접이체(110E-R3), 좌하 접이체(110E-L2), 좌상 접이체(110E-L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이체들은 모두 직각이등변삼각형이며 동일한 변의 어느 한 변이, 마름모 형상으로 결합된 중앙 몸체의 한 변과 상면에서 결합되며, 다른 한 변은 접이소체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접이소체는 접이체를 대칭되게 절반으로 절단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접이소체 역시 대략 직각 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우하 접이체(110E-R2)에는 우하 접이소체(110E-R1)가 결합되고, 좌하 접이체(110E-L2)에는 좌하 접이소체(110E-L1)가 결합된다. 상기 우하 및 좌하 접이소체의 빗변(직각과 마주하고 있는 변)은 접이체와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하 접이소체와 좌하 접이소체가 맞대어진 변은 결합되어 있는데, 결합된 우하 접이소체와 좌하 접이소체는 접이체의 형상과 동일하게 된다.
한편, 우상 접이체와 결합되는 우상 접이소체(110E-R4)와 좌상 접이체와 결합되는 좌상 접이소체(110E-L4)는, 앞서 설명한 우하 접이소체와 좌하 접이소체의 결합방식과 동일하지만, 형상이 상이하다. 도면은 참조하면, 우상 접이소체와 좌상 접이소체의 결합된 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우상 접이소체와 좌상 접이소체는 앞서 설명한 우하 접이소체와 좌하 접이소체와 동일한 형상, 즉 직각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몸체와 접이소체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제1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이체는 제1 플레이트에 라운드진 볼록부(R-RD, R-RU, R-LD, R-LU)가 더욱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의 중앙몸체, 접이체, 및 접이소체의 결합을 나타낸 것인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앙 몸체, 접이체, 및 접이소체의 결합은 탄성 결합체(COA)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a)는 구명보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인데, 중앙 몸체와 접이체의 결합은 상측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접이소체와 접이체의 결합은 상측에서 이루어진다.
도 3(b)는 구명보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인데, 접이소체의 결합, 중앙 몸체의 결합은 모두 하측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앙 몸체, 접이체, 접이소체의 결합에서 말하는 “상측”과 “하측”은 제1 플레이트가 일정한 두께를 가지므로, 펼쳐진 구명보트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플레이트의 윗 부분을 상측이라 하였고, 제1 플레이트의 아래 부분을 하측이라 하였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중앙 몸체(110C)의 상부에는 보관소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보관소에는 물, 담요, 배터리 등 생존에 필요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우하 접이체에는 구명제어장치(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명제어장치는 중앙 몸체, 접이체, 접이소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 1과 달리, 중앙 몸체에 형성되는 생필품 보관소와 구명제어장치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4는 접어진 구명보트를 펼쳐지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인데, 도 4(a)는 접어진 구명보트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반쯤 펼쳐지는 구명보트를 나타낸 것이다. 완전히 펼쳐지면, 도 1과 같은 구명보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의 몸체를 이루는 중앙 몸체, 접이체, 접이소체, 및 볼록부는 물에 쉽게 뜰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몸체, 접이체, 접이소체는 모두 동일한 소재의 플레이트를 제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볼록부는 중앙몸체, 접이체, 접이소체와 같은 소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우상 접이체, 우측 중앙몸체, 우하 접이체의 모서리가 모두 모이는 제1 영역은 우상 접이체, 우측 중앙몸체, 우하 접이체의 다른 부분들 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소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좌상 접이체, 좌측 중앙몸체, 좌하 접이체의 모서리가 모두 모이는 제2 영역은 좌상 접이체, 좌측 중앙몸체, 좌하 접이체의 다른 부분들 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소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하면 접어진 구명보트가 바닷물에 떨어졌을 때 제1 및 제2 형역이 아래로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명보트가 펼져질 때 구명보트의 상측이 위를 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에 설치되는 구명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평상시 구명제어장치의 동작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제어장치(120)는 기울기 센서(121)와, GPS 모듈(122)과, 배터리(123)와, 구동 제어부(124)와, LOCKING 부(125)와, 부저(126)와, 엘이디(127)와, 통신부(1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울기 센서(121)는 구명보트의 기울기를 검출한다.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 각도는 구동 제어부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GPS 모듈(122)는 구명보트의 GPS 좌표를 생성하여 구동 제어부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123)는 선박으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배터리는 구명제어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는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제어부(124)는 평상 시에 배터리의 충전상태와 통신부의 동작상태를 일정 주기로 점검한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와 구동제어회로의 동작상태는 선박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는 선박 사고 시를 대비하여 항상 완전한 충전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통신부는 선박 사고 시에 정상적으로 구조신호를 출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일정 주기로 컨트롤러로 점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점검신호는 선박 사고시의 구조신호와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통신부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구명보트 S/N(Serial Number)를 독출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상태와 구명보트 S/N으로 이루어지는 점검신호는 컨트롤러(300)으로 전송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점검신호는 GPS 좌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신호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여, 배터리의 급격한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제어부는 기울기 센서로부터 기울기 값을 전송받고, GPS 모듈로부터 현재 위치의 GPS 좌표를 전송받는다. 구동 제어부는 전송된 기울기 값을 기초하여 록킹부(125), 부저(126), 및 엘이디(127)를 동작시킨다.
또한 구동 제어부는 사고 시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와 구명보트 S/N(Serial Number)로 이루어지는 구조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GPS 좌표는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일 수 있으며, 상기 구명보트 S/N에는 관할기관에 등록된 선박의 인식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명제어장치의 통신부(128)는 평상 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컨트롤러로 점검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통신부는 사고 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고장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300)는 배터리 충전상태와 통신부의 구동상태를 관리자에게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만약 배터리 충전상태와 통신부의 구동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을 때에는 배터리와 통신부의 고장여부를 출력한다. 관리자는 점검신호로부터 고장난 보트 S/N을 확인하고 고장난 구명보트를 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에는 선박에 설치된 복구 개의 구명보트의 S/N을 저장하고 있다. 컨트롤러는 복수 개의 구명보트로부터 각각 점검신호를 전송받는다. 만약 특정 구명보트로부터 점검신호를 전송받지 못한다면, 해당 구명보트의 통신부를 포함한 구명제어장치가 고장이라는 것을 의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장 유무의 판단은 점검신호에 포함된 구명보트의 S/N 값으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점검신호로부터 구명보트에 탑재된 구명제어장치는 사고시 정상적인 구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제어장치의 구동 제어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제어장치의 구동 제어부(124)는 점검신호 출력부(124-1), 기록부(124-2), 배터리 관리부(124-3), 기울기 비교부(124-4), 연결 해제부(124-5), 부저 구동부(124-6), 엘이디 구동부(124-7), 구조신호 출력부(12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점검신호 출력부(124-1)는 점검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로 점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점검신호 출력부는 기록부(124-2)에 저장된 구명보트의 S/N와, 배터리 관리부(124-3)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컨트롤러로 통신부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상기 기록부에는 초기 기울기 값과 구명보트의 S/N이 저장되며, 배터리 관리부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기울기 비교부(124-4)는 평상시 선박에 장착된 구명보트의 기울기 값과 실시간 기울기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미리 설정된 허용 기울기 값을 넘을 경우 선박에 사고가 난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선박에 사고가 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연결 해제부(124-5)는 선박으로부터 구 형상의 구명보트의 연결을 해제하고 구명보트를 선박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구명보트는 바다에 떨어뜨려진다. 이어서, 구 형상의 구명보트는 설정된 시간 이후에 보트 형상으로 전개된다.
상기 부저 구동부(124-6)와 엘이디 구동부(124-7)는 각각 부저와 엘이디를 구동한다. 상기 부저와 엘이디는 물에 빠진 승무원 또는 승객에게 구명보트의 위치를 알려준다. 특히, 야간에 부저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엘이디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쉽게 구명보트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부저와 엘이디는 일정 주기로 구동된다. 상기 일정 주기는 1분~5분 사이의 시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저와 엘이디는 수동으로 동작을 ON 또는 OFF할 수 있다. 바닷물에 빠진 승객이 구명보트에 탑승하여 부저와 엘이디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구조신호 출력부(124-8)는 구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조신호는 현재 구명보트의 GPS 좌표와 구명보트 S/N(Serial Number)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명보트 S/N에는 관할기관에 등록된 선박의 인식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사고 시 본 발명에 따른 구명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에 설치된 구명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선박의 엔진을 구동시키면, 구명제어장치의 구동 제어부는 기울기 센서로부터 기울기 값을 전송받고 최초 기울기 값을 기록부(124-2)에 저장한다. 선박에 장착된 복수 개의 구명보트는 구 형상으로서, 각각 서로 다른 기울기로 선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최초 기울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선박이 기울어지는 지를 검출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일정 범위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은 정상적으로 선박이 운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기울기 센서로부터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다는 의미의 기울기 값을 전송받는다면 선박이 사고로 침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구동 제어부는 선박으로부터 구명보트를 분리한다. 분리된 구 형상의 구명보트는 바닷물 위에 떨어지게 되고, 분리된 구명보트는 일정 시간 후 구 형상에서 펼쳐진 보트 형상으로 변화한다.
이후, 구동 제어부의 부저 구동부와 엘이디 구동부를 동작시킨다. 부저 구동부에 의해 부저는 소리를 발생시키고, 엘이디 구동부에 의해 점멸 빛을 출사한다. 이러한 소리와 점멸 빛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부저와 엘이디는 야간시에만 구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구명제어장치는 통신부로 구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조신호는 GPS 좌표와 구명보트의 S/N일 수 있다. 상기 구조신호에 포함된 GPS 좌표로부터 선박 사고 구조원이 구명보트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상기 구조신호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여, 배터리의 급격한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구명보트
110 : 몸체
110C : 중앙 몸체
110E-R2, R3, L2, L3 : 접이체
110E-R1, R4, L1, L4 : 접이소체
R-RD, R-RU, R-LD, R-LU : 볼록부
120 : 구명제어장치
121 : 기울기 센서
122 : GPS 모듈
123 : 배터리
124 : 구동 제어부
124-1 : 점검신호
124-2 : 출력부기록부
124-3 : 배터리 관리부
124-4 : 기울기 비교부
124-5 : 연결 해제부
124-6 : 부저 구동부
124-7 : 엘이디 구동부
124-8 : 구조신호 출력부
125 : LOCKING 부
126 : 부저
127 : 엘이디
128 : 통신부
300 ; 컨트롤러

Claims (5)

  1. 평상 시 접혀져서 구형을 이루고, 선박 사고 시 선박으로부터 분리된 후, 바다 위에서 떨어진 다음, 설정된 시간 후에 펼쳐지는 구명보트로서,
    상기 구명보트는 몸체(110)와 구명제어장치(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는 우측 중앙몸체(110E-CR)와 좌측 중앙몸체(110E-CL)로 이루어지는 중앙 몸체(110C)와, 상기 중앙몸체에 결합되는 접이체(110E-R2, 110E-R3, 110E-L2, 110E-L3)와, 상기 접이체 사이에 결합되는 접이소체(110E-R1, 110E-R4, 110E-L1, 110E-L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이체에는 라운드진 볼록부(R-RD, R-RU, R-LD, R-LU)가 결합되며,
    상기 중앙 몸체는 우측 중앙몸체와 좌측 중앙몸체가 결합되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이체는 우상 접이체(110E-R3), 우하 접이체(110E-R2), 좌하 접이체(110E-L2), 좌상 접이체(110E-L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이소체는 우상 접이소체(110E-R4), 우하 접이소체(110E-R1), 좌하 접이소체(110E-L1), 좌상 접이소체(110E-L4)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몸체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우상 접이소체, 우상 접이체, 우하 접이체, 우하 접이소체, 좌하 접이소체, 좌하 접이체, 좌상 접이체, 좌상 접이소체가 배치되고,
    상기 중앙몸체, 접이체, 접이소체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물에 뜨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몸체와 접이체는 상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며, 접이체와 접이소체는 상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우측 중앙몸체(110E-CR)와 좌측 중앙몸체(110E-CL)는 하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접이소체와 접이소체는 하측에서 탄성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몸체, 접이체, 및 접이소체 중 어느 하나에는 구조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구명제어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구명제어장치는 선박에 설치된 컨트롤러와 무선통신으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구명제어장치는 구명보트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와, 구명보트의 위치 좌표를 출력하는 GPS 모듈과, 사고 시 구명보트를 선박으로 분리하는 로킹부와, 구조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부와, 사고 시 기울기 값을 기초로 구명보트를 분리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명제어장치의 구동 제어부는 구명보트의 초기 기울기 값과 실시간 기울기 값을 비교하는 기울기 비교부와, 상기 기울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미리 설정된 허용 기울기 값을 넘을 경우 사고로 판단하고 선박으로부터 고명보트를 분리하는 연결 해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명보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상 접이체, 우측 중앙몸체, 우하 접이체의 모서리가 모두 모이는 제1 영역은 우상 접이체, 우측 중앙몸체, 우하 접이체의 다른 부분들 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소재를 형성하고,
    상기 좌상 접이체, 좌측 중앙몸체, 좌하 접이체의 모서리가 모두 모이는 제2 영역은 좌상 접이체, 좌측 중앙몸체, 좌하 접이체의 다른 부분들 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소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명보트.
  4. 삭제
  5. 삭제
KR1020160119074A 2016-09-19 2016-09-19 위치알림기능을 갖는 접이식 구명보트 KR10179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74A KR101791013B1 (ko) 2016-09-19 2016-09-19 위치알림기능을 갖는 접이식 구명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74A KR101791013B1 (ko) 2016-09-19 2016-09-19 위치알림기능을 갖는 접이식 구명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013B1 true KR101791013B1 (ko) 2017-11-20

Family

ID=6080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074A KR101791013B1 (ko) 2016-09-19 2016-09-19 위치알림기능을 갖는 접이식 구명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638B1 (ko) * 2018-08-30 2019-08-28 (주)자람테크놀로지 해난 구조를 위한 구명조끼 및 이를 이용한 해난 구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088A (ja) * 2002-12-11 2004-07-08 Elna Co Ltd 海難救助報知装置および海難救命ボート
KR100874366B1 (ko) * 2007-05-09 2008-12-16 상 태 전 마이크로 칩이 내장된 선박용 구명정/구조정 스위치 보드패널
KR101618256B1 (ko) * 2015-02-02 2016-05-09 대한민국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088A (ja) * 2002-12-11 2004-07-08 Elna Co Ltd 海難救助報知装置および海難救命ボート
KR100874366B1 (ko) * 2007-05-09 2008-12-16 상 태 전 마이크로 칩이 내장된 선박용 구명정/구조정 스위치 보드패널
KR101618256B1 (ko) * 2015-02-02 2016-05-09 대한민국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638B1 (ko) * 2018-08-30 2019-08-28 (주)자람테크놀로지 해난 구조를 위한 구명조끼 및 이를 이용한 해난 구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15761B2 (en) Self-propelled craft
CN102971211B (zh) 用于人员落水情况的船上被动式安全系统及设备
US10583903B2 (en) Underwater positioning system for scuba divers
KR101804129B1 (ko) 안전 부표
US7612686B1 (en) Emergency underwater notification device
US9799193B2 (en) Shock detector systems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KR101791013B1 (ko) 위치알림기능을 갖는 접이식 구명보트
JP2006232109A (ja) 水中溺れ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KR20180032848A (ko) V-pass 기반 개인휴대 위치발신장치를 활용한 해양수색구조 시스템 및 그 탐색 제어방법
KR101687457B1 (ko) 라우터를 갖는 인명구조함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구조 시스템
US7125298B1 (en) Man overboard beacon
JP2000103391A (ja) 救難ブイ
CN115723913A (zh) 一种船舶及船载卫星导航通信终端
KR20190125552A (ko) 위치추적기능을 갖는 구명조끼
KR102410574B1 (ko) 해상 조난자 위치 추적 장치
KR200399150Y1 (ko)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튜브
CN113799723A (zh) 一种车辆落水救援定位系统及方法
KR101364603B1 (ko)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CN104574825A (zh) 水域定位报警器
JP6577276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KR102468822B1 (ko) 선박용 다기능 블랙박스
KR102448955B1 (ko) 해상인명구조용 무선 경보신호기 및 이를 이용한 해상인명구조 경보 시스템
KR102398845B1 (ko) 해상인명구조 스마트부표시스템
KR102612750B1 (ko) 구명동의 및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