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603B1 -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603B1
KR101364603B1 KR1020120045021A KR20120045021A KR101364603B1 KR 101364603 B1 KR101364603 B1 KR 101364603B1 KR 1020120045021 A KR1020120045021 A KR 1020120045021A KR 20120045021 A KR20120045021 A KR 20120045021A KR 101364603 B1 KR101364603 B1 KR 101364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er
function
distress
switc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635A (ko
Inventor
염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인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인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인스타
Priority to KR1020120045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60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출과 동시에 안전핀이 탈착되며 해상에서 수용성 실이 물에 녹으면서 보호가방과 스트리머(streamer)가 순차적으로 전개되고, 튜브 마개의 수용성 실이 녹으면서 스위치가 작동되어 조도감지센서와 위치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의 작동 신호에 따라 SOS 구조 신호, 플래쉬(Flash) 기능, 적외선 기능, 발광소자를 오프(off)하는 침묵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수용성 실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보호가방과, 상기 보호가방 내부에 접어서 수용성 실로 묶어 보관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트리머(streamer)와, 상기 스트리머의 한쪽 또는 양쪽 면에 배치된 복수의 스트럿(strut) 및, 상기 스트리머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하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Mounted A Survivor Loca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종사 또는 승무원 등이 해상이나 육상에 조난을 당했을 때 주/야간 조난 위치 식별 신호를 보내 구조대의 구조작업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해주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조난용 위치확인장치는 항공기나 헬기 조종사가 강이나 바다 등에 빠져서 조난당했을 때 위치를 알리는 신호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조난용 위치 확인 장치는 긴 띠 모양의 스트리머(stream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간 및 야간에도 눈에 잘 띄도록 표면이 형광 또는 반사 물질로 되어 있고, 표면에 국제조난신호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난용 위치확인장치는 주간에 스트리머(streamer)의 전개에 의해 자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알리지만, 야간에는 위치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일본 특허 제95-315930호(95.11.09) 일본 특허 제96-208623호(96.08.07)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종사 또는 승무원 등이 해상이나 육상에서 조난을 당했을 때 스트리머(streamer)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를 이용하여 주/야간 조난신호를 보내 원거리에서도 조난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출과 동시에 안전핀이 탈착되며 해상에서 수용성 실이 물에 녹으면서 보호가방과 스트리머(streamer)가 순차적으로 전개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해상 조난시 해수 또는 담수에 의해 튜브 마개의 수용성 실이 녹으면서 스위치가 작동되어 조도감지센서와 위치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트리머(streamer)가 뒤집어져도 위치센서에 의해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앞뒤에 부착된 조도감지센서와 발광소자가 작동하여 공중을 향해 조난 신호를 발생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간에는 스트리머(streamer)로 구조 신호를 보내고, 야간에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를 통해 구조 신호를 보내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도감지센서에 의해 야간에만 조난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레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침묵 모드, 적외선 기능, 전원 오프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트리머 시트의 중간 중간에 스트럿(strut)을 부착하여 스트리머 시트가 파도나 바람에 뒤집혀 지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트리머(streamer)에 소정의 각도로 전개용 날개를 부착하여 파도나 물결에 의해 스트리머(streamer)를 자동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 기판의 발광소자 주변과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가 부착된 스트리머(streamer)에 주변에 반사 필름을 부착하여 주야간 발광 효율 및 신호 식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광소자의 깜박임 정도에 따라 정상 동작 상태, 배터리 잔량 상태 등을 알 수 있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수용성 실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보호가방과, 상기 보호가방 내부에 접어서 수용성 실로 묶어 보관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트리머(streamer)와, 상기 스트리머의 한쪽 또는 양쪽 면에 배치된 복수의 스트럿(strut) 및, 상기 스트리머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하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가방은, 상기 스트리머가 접힌 상태로 안착하는 사각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측 방향에 연결된 상측 덮개와, 상기 바닥면의 하측 방향에 연결된 하측 덮개와, 상기 바닥면의 좌측 방향에 연결된 좌측 덮개 및, 상기 바닥면의 우측 방향에 연결된 우측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좌/우측 덮개는 수용성 실에 의해 묶여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사출 시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안전핀이 탈착되고, 해수 또는 담수에서 상기 보호가방의 수용성 실이 녹으면 상기 보호가방이 열리고, 상기 스트리머의 수용성 실이 녹으면 상기 스트리머가 자동으로 풀어지면서 전개되고,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스위치를 오프 상태에서 묶어 놓은 수용성 실이 녹으면 상기 스위치가 작동되면서 자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는,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조도감지센서와 위치센서에 의해 야간에만 공중을 향해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따라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적외선 기능, 침묵 모드, 전원 오프(off)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는, 원통형의 투명 튜브와, 상기 투명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부에 조도감지센서와 발광소자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조도감지센서와 위치센서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의 발광소자를 동작하여 공중을 향해 구조 신호를 발생하는 기판과, 상기 투명 튜브의 일측에 개폐되고 상기 기판의 일측을 고정하며 상기 기판으로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전위 스위치가 설치된 제 1 튜브 마개 및, 상기 투명 튜브의 타측에 개폐되고 상기 기판의 타측을 고정하며 상기 발광소자를 통해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적외선 기능, 침묵 모드, 전원 오프(OFF)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전환 스위치가 설치된 제 2 튜브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와, 상기 기판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배치된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와, 상기 기판의 상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제 1 및 제 2 튜브 마개의 전원 스위치 및 기능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전원 스위치 및 기능전환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조도감지센서와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기판에 배치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 상기 제어부를 포함한 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ON) 동작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 및, 상기 배터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는 LED 소자, 적외선 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ON) 동작시 상기 조도감지센서와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야간에만 공중을 향해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따라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적외선 기능, 침묵 모드, 전원 오프(off)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와,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현재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송신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는 상기 전원 스위치 및 기능전환 스위치에 달린 자석의 움직임을 신호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튜브 마개는, 몸체(body)와, 상기 몸체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토션 스프링에 의해 회전되며, 일측에 핀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 자석이 배치된 전원 스위치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핀 구멍과 상기 몸체의 핀 구멍에 동시에 끼워서 상기 전원 스위치를 전원 오프(OFF) 위치에 고정시키는 안전핀과, 상기 투명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 방향에 형성된 튜브 삽입부와, 상기 튜브 삽입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결합 홈에 끼워서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돌기가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튜브 삽입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 튜브를 밀폐시키는 오링(O-ring)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튜브 마개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측면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아서 설치된 수용성 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실이 물에 녹으면 상기 전원 스위치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튜브 마개는, 몸체(body)와, 상기 몸체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토션 스프링에 의해 회전되며, 일측에 핀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 자석이 배치된 기능전환 스위치와,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의 핀 구멍과 상기 몸체의 핀 구멍에 동시에 끼워서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를 전원 오프(OFF) 위치에 고정시키는 안전핀과, 상기 투명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 방향에 형성된 튜브 삽입부와, 상기 튜브 삽입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결합 홈에 끼워서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돌기가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튜브 삽입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 튜브를 밀폐시키는 오링(O-ring)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튜브 마개는,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의 측면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아서 설치된 수용성 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실이 물에 녹으면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여 자동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가 설치된 상기 스트리머의 주변과 상기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가 설치된 상기 기판의 주변에 반사 필름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상기 스트리머의 한쪽 끝단에 부착된 외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 속에 배치된 내부 튜브와, 상기 내부 튜브 속에 연결된 견인줄과, 상기 견인줄에 부착된 연결 고리와, 상기 포장봉투 내부에 한쪽이 연결된 안전줄 및, 상기 안전줄의 다른 한쪽에 연결되고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 위치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안전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상기 스트리머(streamer)에 상기 스트리머와 동일 재질의 필름을 이용하여 소정의 각도로 부착된 전개용 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트럿(strut)은 상기 전개용 날개의 끝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는,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리머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상기 스트리머에 부착되고,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가 부착된 상기 스트리머의 일부분이 절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종사 또는 승무원 등이 해상이나 육상에서 조난을 당했을 때 스트리머(streamer)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를 이용하여 주/야간 조난신호를 보내 원거리에서도 조난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출과 동시에 안전핀이 탈착되며 해상에서 수용성 실이 물에 녹으면서 보호가방과 스트리머(streamer)가 순차적으로 전개되며, 물에 의해 튜브 마개의 수용성 실이 녹으면서 스위치가 작동되어 조도감지센서와 위치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주간에는 스트리머(streamer)로 구조 신호를 보내고, 야간에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를 통해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스위치 조작에 의해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를 플래쉬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머(streamer)가 뒤집어져도 위치센서에 의해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앞뒤에 부착된 조도감지센서와 발광소자가 작동하여 공중을 향해 조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조도감지센서에 의해 야간에만 조난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고,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스위치를 돌려서 수동으로 조난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레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침묵 모드, 적외선 기능, 전원 오프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머 시트의 중간 중간에 스트럿(strut)이 부착되어 스트리머 시트가 파도나 바람에 뒤집혀 지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머(streamer)에 소정의 각도로 부착된 스트럿(strut) 부착 날개로 인해 해상에서 파도나 물결에 의해 스트리머(streamer)를 자동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조난신호 자동발신기 기판의 발광소자 주변과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가 부착된 스트리머(streamer) 주변에 반사 필름을 부착하여 주야간 발광 효율 및 신호 식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비상시 사출하는 사출장비, 군장, 구명정, 구명보트 등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머 시트의 표면이 형광 또는 반사 물질로 되어 있고, 신호 발신기가 구비되어 있어 조난시 위치 확인이 기존의 장치에 비해 월등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광소자의 깜박임 정도에 따라 정상 동작 상태, 배터리 잔량 상태 등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의 전개 과정을 보인 제품 사진
도 5는 보호가방에 설치된 스트리머(streamer)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모습을 나타낸 제품 사진
도 6 및 도 7은 스트리머(streamer)에 설치된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양쪽 측면 모습을 각각 나타낸 확대 사진
도 8은 스트리머(streamer)와 연결된 견인줄 및 연결 고리를 나타낸 사진
도 9는 스트리머(streamer)의 견인줄 연결 부분의 확대 사진
도 10은 1개의 조난신호 자동발신기가 구비된 스트리머(streamer)의 전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2개의 조난신호 자동발신기가 구비된 스트리머(streamer)의 전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해수 또는 담수의 물결에 의해 스트리머(streamer)가 자동으로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13 및 도 14는 스트리머(streamer)에 설치된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전면 및 후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스트리머에 부착된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전면 및 후면 사진
도 17 및 도 18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전면 및 후면 확대 사진
도 19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사시도
도 20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튜브 마개의 사시도
도 22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상부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
도 23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하부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
도 24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기판의 상부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
도 25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기판의 하부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
도 26은 제 2 튜브 마개의 정면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
도 27은 제 2 튜브 마개의 저면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
도 28은 제 2 튜브 마개의 측면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
도 29는 제 2 튜브 마개의 수용성 실이 감긴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
도 30은 기능전환 스위치의 수동 조작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
도 31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동작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
도 32 내지 도 43은 해상에서 스트리머(streamer)가 전개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의 실시 예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의 전개 과정을 보인 제품 사진이다. 도 5는 보호가방에 설치된 스트리머(streamer)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모습을 나타낸 제품 사진이고, 도 6 및 도 7은 스트리머(streamer)에 설치된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양쪽 측면 모습을 각각 나타낸 확대 사진이다, 그리고, 도 8은 스트리머(streamer)와 연결된 견인줄 및 연결 고리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9는 스트리머(streamer)의 견인줄 연결 부분의 확대 사진이다.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9의 제품 사진과 같이, 보호가방(101), 스트리머(streamer)(110), 스트럿(strut)(도 10 및 도 11의 120,130 참조), 안전줄(103), 견인줄(104), 연결 고리(105),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호가방(101)는 직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고밀도의 나일론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가방(101)는 내부에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부착된 상기 스트리머(110)를 접어서 보관한다.
상기 보호가방(101)은, 상기 스트리머(110)가 접힌 상태로 안착하는 사각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측 방향에 연결된 상측 덮개(101a)와, 상기 바닥면의 하측 방향에 연결된 하측 덮개(101b)와, 상기 바닥면의 좌측 방향에 연결된 좌측 덮개(101c)와, 상기 바닥면의 우측 방향에 연결된 우측 덮개(101d)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호가방(101)은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부착된 상기 스트리머(110)를 접어서 상기 바닥면에 안착한 후 상기 스트리머(110) 상에 상기 좌/우측 덮개(101c, 101d)를 덮어서 상기 좌/우측 덮개(101c, 101d)에 각각 형성된 구멍(102)에 수용성 실(115)을 넣고 묶는다. 이 후, 상기 하/상측 덮개(101b, 101a)를 덮어서 상기 하/상측 덮개(101b, 101a)에 각각 형성된 구멍(102)에 수용성 실(115)을 넣고 묶는다. 상기 보호가방(101)은 상기 보호가방(101)이 물에 빠졌을 때 상기 수용성 실(115)이 물에 녹으면서 상기 상/하/좌/우측 덮개(101a∼101d)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열리면서 전개된다.
상기 보호가방(101)의 크기는 예를 들어, 가로 400㎜× 세로 290㎜× 두께 38㎜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 크기를 가지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규격이 달라질 수도 있다.
상기 스트리머(streamer)(110)는 도 4와 같이, 상기 보호가방(101) 내부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리머(1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일정 크기로 접힌 상태에서 수용성 실(115)에 의해 묶여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성 실(115)은 상기 스트리머(11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 구멍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머(110)는 물에 뜨는 부양성 재질의 형광 또는 반사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오렌지 색을 포함한 칼라 색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머(110)는 소정의 길이와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08㎜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머(110)는 상기 수용성 실(115)이 물에 녹으면 상기 보호가방(101)과 분리되면서 자동으로 전개된다.
상기 스트럿(strut)(도 10 및 도 11의 120,130 참조)은 상기 스트리머(110)의 중간 중간에 부착되어 상기 스트리머(110)가 파도나 바람에 뒤집혀 지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럿(120,130)은 상기 스트리머(110)의 한쪽 또는 양쪽 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럿(120,130)은 상기 스트리머(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럿(120,130)은 상기 스트리머(110)에 직접 부착하거나 접착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스트리머(110)와 동일한 재질의 필름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트리머(110)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부착된 전개용 날개(도 10 내지 도 12의 112 참조)에 상기 스트럿(130)을 넣어서 부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트럿(120,130)은 물에 뜨는 부양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견인줄(104)은 상기 스트리머(110)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고리(105)가 부착되어 있다. 도 9의 제품 확대 사진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견인줄(104)은 상기 스트리머(110)의 한쪽 끝단에 부착된 외부 튜브(106) 속에 배치된 내부 튜브(10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외부 튜브(106)는 상기 스트리머(110)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내부 튜브(107)는 상기 외부 튜브(106) 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고리(105)는 조종사 또는 승무원 등이 해상이나 육상에서 조난을 당했을 때, 구명조끼, 조종복, 전투복, 구명정 등에 부착된 고리에 걸어서 상기 스트리머(11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연결 고리(105)는 도 1 및 도 8과 같이, 금속 재질로 구성될 있으나, 플라스틱 재질의 슈벨 고리, 클립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줄(103)은 상기 연결 고리(105)에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의 스위치(도 6의 223 참조)를 오프 위치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안전핀(도 6의 221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안전줄(103)에 연결된 상기 안전핀(221)은 사출시 탈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의 스위치(도 17, 도 23 및 도 24의 223 참조)를 오프 상태에서 묶어 놓은 수용성 실(도 17, 도 23 및 도 24의 222 참조)이 녹으면 상기 스위치(223)가 작동되면서 조도감지 후 자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는 상기 스트리머(11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는 상기 스트리머(110)의 한쪽 면에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접착테이프(도 14의 114 참조)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부착된 상기 스트리머(110)의 반대쪽 면에는 상기 스트리머(110)가 반대편으로 뒤집어 졌을 때 조난 신호가 공중으로 발생 되도록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부착된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 참조)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는 상기 스위치(223)의 온(ON) 동작시 조도감지센서(도 20 및 도 21의 215 참조)와 위치센서(미도시)에 의해 야간에만 공중을 향해 구조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223)의 작동 신호에 따라 SOS 구조 신호, 플래쉬(Flash) 기능, 적외선 기능, 발광소자를 오프(off) 하는 침묵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5 내지 도 31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100)는, 사출 장치(또는, 장비), 구명정 등에 연결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100)는 사출시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의 안전핀(221)이 탈착된다. 이후, 해상에 조난을 당하게 되면 상기 보호가방(101) 및 상기 스트리머(110)를 고정하고 있는 수용성 실(115)이 녹으면서 상기 보호가방(101)이 상하좌우로 벌어지면서 상기 스트리머(110)가 전개된다. 이때, 상기 스트리머(110)에 장착된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의 수용성 실(115)이 물이 녹으면서 상기 스위치(223)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는 상기 스위치(223)의 작동에 따라 조도감지센서(도 22 및 도 23의 215,216 참조)에 의해 조도를 감지한 후 자동으로 SOS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100)는 해상에서 조난을 당했을 때 상기 스트리머(110)가 자동으로 전개되고,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조도를 감지한 후 자동으로 SOS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100)는 상기 스트리머(110)와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를 이용하여 주/야간 조난신호를 보내 원거리에서도 조난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0은 1개의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구비된 스트리머(110)의 전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2개의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구비된 스트리머(110)의 전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해수 또는 담수의 물결에 의해 스트리머(110)가 자동으로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해상이나 육상에서 조난을 당했을 때, 상기 보호가방(101)에서 상기 스트리머(110)가 분리되어 전개되면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펼쳐진다. 참고로, 도 27 및 도 38은 해상에서 스트리머(streamer)가 전개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스트리머(110)에는 복수의 스트럿(strut)(120,130)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상기 스트리머(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트럿(120,130)은 상기 스트리머(110)의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부착된 전개용 날개(112)의 끝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개용 날개(112)는 상기 스트리머(110)에 상기 스트리머(110)와 동일한 재질의 필름을 이용하여 소정의 각도로 부착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트럿(120,130)은 상기 전개용 날개(112)의 접힌 부분의 끝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개용 날개(112)가 상기 스트리머(110)에 소정의 각도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도나 물결이 상기 전개용 날개(112)를 밀면서 상기 스트리머(110)를 자동으로 전개 시킬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기 전개용 날개(112)가 상기 스트리머(110)의 하단에 위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스트리머(110)의 상단에 위치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실시 예
도 13 및 도 14는 스트리머(110)에 설치된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의 전면 및 후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스트리머(110)에 부착된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의 전면 및 후면 사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의 전면 및 후면 확대 사진이다.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100)는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설치된 상기 스트리머(110)의 주변과 상기 발광소자(211)가 설치된 상기 기판(210)의 주변에 반사 필름(140,212)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는 상기 스트리머(110)의 한쪽 면에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접착테이프(113)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부착된 상기 스트리머(110)의 반대쪽 면은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의 조난 신호가 공중으로 발생 되도록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다.
도 19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튜브 마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상부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이고, 도 23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하부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이고, 도 24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기판의 상부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이고, 도 25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기판의 하부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이고, 도 26은 제 2 튜브 마개의 정면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이고, 도 27은 제 2 튜브 마개의 저면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이고, 도 28은 제 2 튜브 마개의 측면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이고, 도 29는 제 2 튜브 마개의 수용성 실이 감긴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이고, 도 30은 기능전환 스위치의 수동 조작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이고, 도 31은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동작 모습을 보인 제품 사진이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투명 튜브(240)와, 상기 튜브 튜브(240)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210)과, 상기 투명 튜브(240)의 일측 및 타측에 개폐되어 상기 기판(210)을 고정하는 제 1 및 제 2 튜브 마개(230,220)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튜브 마개(220)
먼저,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는 도 22 내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body)(220a), 안전핀(221), 수용성 실(222), 기능전환 스위치(223), 나사(223a), 핀 구멍(223b), 자석(223c), 토션 스프링(223d), 핀 구멍(224), 튜브 삽입부(225), 오링(O-ring)(226), 결합부(227), 돌기(22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는 상기 몸체(220a)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중앙에 체결된 상기 나사(223a)를 중심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223d)에 의해 회전되며, 일측에 상기 핀 구멍(223b)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자석(223c)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는 상기 안전핀(221)이 상기 핀 구멍(223b,224)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223d)의 탄성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는 최초 상기 안전핀(221)의 분리에 의해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가 조도감지센서에 의해 발광소자를 점등시켜 SOS 구조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하도록 한다. 이후, 수동 조작에 의해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적외선 기능, 침묵 모드, 전원 오프(OFF)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핀 구멍(223b)과 상기 몸체(220a)의 핀 구멍(224)은 상기 안전핀(221)을 끼워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자석(223c)은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가 상기 토션 스프링(223d)의 탄성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기판(210)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218)를 작동시켜 감지 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상기 안전핀(221)은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핀 구멍(223b)과 상기 몸체(220a)의 핀 구멍(224)에 동시에 끼워서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를 전원 오프(OFF)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 안전핀(221)은 도 20과 같이, 견인줄(103)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튜브 삽입부(225)는 상기 투명 튜브(24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220a)의 타측 방향에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튜브 삽입부(225)에는 결합부(227)가 상기 튜브 삽입부(225)의 양쪽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227)에는 돌기(228)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27)의 돌기(228)는 상기 튜브 삽입부(225)가 상기 투명 튜브(240)의 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기판(2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214)에 끼워 상기 기판(210)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튜브 삽입부(225)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링(O-ring)(226)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링(O-ring)(226)은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가 상기 투명 튜브(240)에 끼워서 고정할 때, 상기 기판(210)이 설치된 상기 투명 튜브(240) 내부로 물이나 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가 상기 투명 튜브(240)에서 쉽게 이탈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성 실(222)은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측면과 상기 몸체(220a)의 외주면을 감아서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를 전원 오프(OFF)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성 실(222)은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가 해수 또는 담수에 착수되었을 때, 물에 의해 용해된다. 상기 수용성 실(222)이 물에 녹으면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가 상기 토션 스프링(223d)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를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조난신호 발신장치(200)는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5,216)와 위치 센서(미도시)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211,217)를 동작시켜 공중을 향하여 SOS 구조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킨다.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는 상기 안전핀(221)과 상기 수용성 실(222)을 모두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안전핀(221)과 상기 수용성 실(222) 중에서 어느 하나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 2 튜브 마개(220)는 상기 제 1 튜브 마개(210)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233)가 온(ON) 상태일 때, 상기 안전핀(221)과 상기 수용성 실(222)이 모두 분리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223d)의 탄성에 의해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가 작동하여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조난신호 발신장치(200)는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5,216)와 위치 센서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211,217)를 동작시켜 야간에만 공중을 향하여 SOS 구조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는 수동 조작에 의해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적외선 기능, 침묵 모드, 전원 오프(OFF)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제 1 튜브 마개(230)
다음으로, 상기 제 1 튜브 마개(230)는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와 구성이 동일하다. 즉, 상기 제 1 튜브 마개(230)도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와 마찬가지로, 몸체(body)(도 26의 220a 참조), 안전핀(231), 수용성 실(232), 나사(도 26의 223a 참조), 핀 구멍(도 26의 223b 참조), 자석(도 26의 223c 참조), 토션 스프링(도 28의 223d 참조), 핀 구멍(도 26의 224 참조), 튜브 삽입부(도 28의 225 참조), 오링(O-ring)(도 28의 226 참조), 결합부(도 28의 227 참조), 돌기(도 28의 228 참조)를 포함하고 있고, 다만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의 기능전환 스위치(223) 대신에 전원 스위치(233)가 구성된 점이 다르다.
상기 전원 스위치(233)는 상기 몸체(220a)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중앙에 체결된 상기 나사(223a)를 중심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223d)에 의해 회전되며, 일측에 상기 핀 구멍(223b)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자석(223c)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233)는 상기 안전핀(231)이 상기 핀 구멍(223b,224)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223d)의 탄성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전원 스위치(233)는 상기 안전핀(231)의 분리에 의해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는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의 기능전환 스위치(223)가 작동해야 동작을 한다.
상기 전원 스위치(233)의 핀 구멍(223b)과 상기 몸체(220a)의 핀 구멍(224)은 상기 안전핀(231)을 끼워 상기 전원 스위치(22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자석(223c)은 상기 전원 스위치(233)가 상기 토션 스프링(223d)의 탄성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기판(210)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218)를 작동시켜 감지 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상기 안전핀(231)은 상기 전원 스위치(233)의 핀 구멍(223b)과 상기 몸체(220a)의 핀 구멍(224)에 동시에 끼워서 상기 전원 스위치(223)를 전원 오프(OFF)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 안전핀(231)은 도 19 및 도 20과 같이, 견인줄(103)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실(232)은 상기 전원 스위치(233)의 측면과 상기 몸체(220a)의 외주면을 감아서 상기 전원 스위치(233)를 전원 오프(OFF)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성 실(232)은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가 해수 또는 담수에 착수되었을 때, 물에 의해 용해된다. 상기 수용성 실(232)이 물에 녹으면 상기 전원 스위치(233)가 상기 토션 스프링(223d)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조난신호 발신장치(200)는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의 기능전환 스위치(223)가 작동되었을 때,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5,216)와 위치 센서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211,217)를 동작시켜 공중을 향하여 SOS 구조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튜브 마개(230)는 상기 안전핀(231)과 상기 수용성 실(232)을 모두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안전핀(231)과 상기 수용성 실(232) 중에서 어느 하나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 1 튜브 마개(230)는 상기 안전핀(231)과 상기 수용성 실(232)이 모두 분리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223d)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전원 스위치(233)가 작동하여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후, 상기 조난신호 발신장치(200)는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의 기능전환 스위치(223)가 작동되었을 때,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5,216)와 위치 센서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211,217)를 동작시켜 야간에만 공중을 향하여 SOS 구조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킨다.
상기 투명 튜브(240)와 상기 제 1 및 제 2 튜브 마개(230,22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210)
상기 기판(210)은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211,217),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6,216), 배터리(213), 결합홈(214), 배터리 잔량 표시 LED(243),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218), 반사 필름(212), 위치 센서(미도시), 제어부(미도시), 배터리 감시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211,217)는 상기 기판(210)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배치될 수 있으며, LED 소자, 적외선 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6,216)는 상기 기판(21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조도를 감지하여 주/야간을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6,216)에 의해 상기 조난신호 발신장치(200)는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의 기능전환 스위치(223)가 작동되었을 때, 야간에만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수동 조작에 의해 주간에도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기판(210)의 상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위치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211,217)가 작동하여 공중을 향해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218)는 상기 기판(210)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튜브 마개(230,220)의 전원 스위치(233) 및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동작을 각각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218)는 상기 전원 스위치(233) 및 기능전환 스위치(223)가 상기 안전핀(231,221) 또는 상기 수용성 실(232,222)의 분리에 따라 상기 토션 스프링(223d)의 탄성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전원 스위치(233) 및 기능전환 스위치(223)에 부착된 상기 자석(223c)의 자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218)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기판(210)의 회로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5,216)와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211,217)의 동작을 제어하여 야간에만 공중을 향하여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스위치(233)와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온(ON) 동작시 상기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5,216)와 상기 위치센서(244)에 의해 야간에만 공중을 향해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수동 조작에 따라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적외선 기능, 침묵 모드, 전원 오프(off)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배터리 감지부는 상기 전원 스위치(233)의 온(ON) 동작시 상기 배터리(213)의 전원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 LED(243)는 상기 배터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LED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 LED(243)는 상기 전원 스위치(233)의 온(ON) 동작에 의해 처음으로 작동시 깜박임에 의해 회로의 작동 이상 여부를 알린다.
상기 배터리(213)는 상기 전원 스위치(233)의 온(ON) 동작시 상기 기판(210)에 배치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5,216), 상기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211,217),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218), 상기 제어부, 상기 배터리 감시부,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 LED(243), 상기 위치센서를 포함한 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터리(213)는 일회용 건전지나 충전기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210)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211,217)가 설치된 상기 기판(210)의 상부 및 하부 주변에 반사 필름(도 22 및 도 23의 212 참조)을 각각 부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난신호 발신장치(200)는 반사 필름(212)을 통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211,217)에서 발생하는 광을 반사시켜 출력함으로써, 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기판(210)은 일측 및 타측의 양쪽 측면에 결합홈(2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214)은 상기 기판(210)이 상기 투명 튜브(240)의 내부에 설치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튜브 마개(230,220)의 결합부(227)에 형성된 돌기(228)가 끼워지는 곳으로, 상기 기판(210)과 상기 제 1 및 제 2 튜브 마개(230,2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기판(210)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미도시)와,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현재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송신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의 동작 예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스위치(233)가 작동하면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가 작동되면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5,216)와 위치 센서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211,217)를 동작시켜 야간에만 공중을 향하여 SOS 구조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작동 신호에 따라 SOS 구조 신호, 플래쉬(Flash) 기능, 적외선 기능, 발광소자를 오프(off) 하는 침묵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는 해상이나 육상에서 조난을 당했을 때 주/야간 조난신호를 보내 원거리에서도 조난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의 기능전환 스위치(223)는 터치 토글 스위치로서, 터치 토글 1회마다 다음 기능으로 넘어가며, 작동순서에 맞추어 순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는 상기 제 2 튜브 마개(220)의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수동 조작에 따라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침묵 모드(Silent mode)(전원 온(on) 상태), 전원 오프(off) 기능 순으로 동작 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SOS 기능은 상기 안전핀(221)과 상기 수용성 실(222)이 모두 분리되면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가 작동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215,216)에 의해 조도감지 후 자동으로 SOS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211,217)가 계속 켜진 상태이며, 야간 조난 시 위치표시용 조명, 독도, 이동용 조명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수동 SOS 기능은 주변의 밝기에 상관없이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223)의 조작에 따라 미 해안경비대 규격을 충족하는 SOS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침묵 모드(Silent mode)는 야간에 적진 조난 혹은 적의 추적 징후 포착시 즉시 야간신호 기능을 중지시키는 기능으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211,217)가 오프(off) 상태이지만 배터리는 소모된다.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는 상기 기능 외에 적외선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기능은 조난을 당했을 때 위치를 알리는 신호용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피아식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기능은 섬광불빛이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고 고글(나이트비전) 등의 적외선 장비를 통해서만 섬광불빛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적에게 자신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고 조난 신호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200)는 적외선 LED를 상기 기판(210)의 상/하부에 각각 하나 이상씩 배치하거나, 또는 LED 소자에 적외선 렌즈 덮개를 씌워 적외선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100)의 작동방법
다음은, 본 발명의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10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해상에서의 조난
1) 사출과 동시에 안전핀이 탈착되며 해상에서 수용성 실이 물에 녹으면서 보호가방(101)과 스트리머(110)가 분리되면서 자동으로 전개된다. 이와 함께, 해수 또는 담수에 의해 튜브 마개(220)의 수용성 실(222)이 녹으면서 스위치(223)가 작동되어 조도감지센서(215)와 위치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한다.
2) 야간의 경우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정상적으로 점등되는지 확인한다.
3) 만약,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위치(223)를 토글하여, 레드 플래쉬(Red Flash) 모드, 수동 SOS 모드, 적외선 모드 등으로 변경한다.
4) 적의 탐색 작전 감지시 상기 스위치(223)를 토글하여, 적외선 모드 또는 침묵 모드로 변경한다.
5) 적의 탐색 혹은 위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트리머(110)를 완전히 감아서 상기 보호가방(101)에 다시 넣는다.
6) 제품의 회수시 상기 스위치(223)를 원위치로 돌린 후 상기 안전핀(221)을 끼워 넣어 신호를 위한 전력을 아낀다.
7) 필요 시 재전개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2. 육상에서의 조난
1) 상기 보호가방(101)에서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의 스위치(223)에 꽂힌 상기 안전핀(221)을 뽑아낸다. 이때, 상기 안전핀(221)이 탈착되면 상기 스위치(223)가 작동되어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조도감지 후 자동으로 SOS 신호를 발생한다. 만약, 상기 스위치(223)에 수용성 실(222)이 묶겨 있을 경우 수용성 실(222)을 끊어서 상기 스위치(223)를 작동시킨다.
2) 상기 보호가방(101)와 연결된 상기 안전선(103)과 상기 안전핀(221)이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것을 확인한 후, 돌풍에 의한 제품의 이탈을 방지할 만한 고정체에 상기 견인줄(104) 또는 상기 연결 고리(105)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3) 상기 스트리머(110)를 천천히 풀어 전개한 후 바람에 의해 상기 스트리머(110)가 날리지 않도록 중간 중간에 돌로 고정한다.
4) 야간의 경우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정상적으로 점등되는지 확인한다.
5) 만약,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2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위치(223)를 토글하여, 레드 플래쉬(Red Flash) 모드, 수동 SOS 모드, 적외선 모드 등으로 변경한다.
6) 적의 탐색 작전 감지시 상기 스위치(223)를 토글하여, 적외선 모드 또는 침묵 모드로 변경한다.
7) 적의 탐색 혹은 위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트리머(110)를 완전히 감아서 상기 보호가방(101)에 다시 넣는다.
8) 제품의 회수시 상기 스위치(223)를 원위치로 돌린 후 상기 안전핀(221)을 끼워 넣어 신호를 위한 전력을 아낀다.
9) 필요 시 재전개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실험 예
도 32 내지 도 43은 해상에서 스트리머(streamer)가 전개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를 해상에 빠뜨렸을 때, 수용성 실이 녹으면서 보호가방(101)이 열리고 스트리머(110)가 자동으로 전개되었다. 상기 스트리머(110)가 완전히 전개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20분 정도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사출과 동시에 안전핀이 탈착되며 해상에서 수용성 실이 물에 녹으면서 보호가방과 스트리머(streamer)가 순차적으로 전개되고, 튜브 마개의 수용성 실이 녹으면서 스위치가 작동되어 조도감지센서와 위치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의 작동 신호에 따라 SOS 구조 신호, 플래쉬(Flash) 기능, 적외선 기능, 발광소자를 오프(off)하는 침묵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항공 조종사 및 승무원이 착용하는 조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군장(군용 배낭), 등산용 배낭, 구명정, 구명 뗏목, 보트, 항공기, 무인항공기 등 조난시 위치를 알리기 위한 모든 물건이나 물체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100 :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101 : 보호가방
102 : 구멍 103 : 안전줄
104 : 견인줄 105 : 고리
106 : 외부 튜브 107 : 내부 튜브
108 : 접착 테이프 110 : 스트리머(streamer)
111 : 필름 112 : 전개용 날개
113 : 접착 테이프 114 : 접착 테이프
120 : 스트럿(strut) 130 : 스트럿(strut)
140 : 반사 필름 200 : 조난신호 자동발신기
210 : 기판 211 : 상부 발광소자
212 : 반사 필름 213 : 배터리
214 : 결합 홈 215 : 상부 조도감지센서
216 : 하부 조도감지센서 217 : 하부 발광소자
218 :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 220 : 제 2 튜브 마개
220a : 몸체 221 : 안전 핀
222 : 수용성 실 223 : 기능전환 스위치
223a : 나사 223b : 핀 구멍
223c : 자석 223d : 토션 스프링
224 : 핀 구멍 225 : 튜브 삽입부
226 : 오링(O-ring) 227 : 결합부
228 : 돌기 230 : 제 1 튜브 마개
231 : 안전 핀 240 : 투명 튜브
232 : 수용성 실 233 : 전원 스위치
243 : 배터리 잔량 표시 LED

Claims (17)

  1. 수용성 실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보호가방; 상기 보호가방 내부에 접어서 수용성 실로 묶어 보관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트리머(streamer); 상기 스트리머의 한쪽 또는 양쪽 면에 배치된 복수의 스트럿(strut); 및 상기 스트리머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며, 구조 신호를 발생하는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는,
    원통형의 투명 튜브; 상기 투명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부에 조도감지센서와 발광소자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조도감지센서와 위치센서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의 발광소자를 동작하여 공중을 향해 구조 신호를 발생하는 기판; 상기 투명 튜브의 일측에 개폐되고 상기 기판의 일측을 고정하며 상기 기판으로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전위 스위치가 설치된 제 1 튜브 마개; 및 상기 투명 튜브의 타측에 개폐되고 상기 기판의 타측을 고정하며 상기 발광소자를 통해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적외선 기능, 침묵 모드, 전원 오프(OFF)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전환 스위치가 설치된 제 2 튜브 마개;를 포함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가방은,
    상기 스트리머가 접힌 상태로 안착하는 사각형의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상측 방향에 연결된 상측 덮개;
    상기 바닥면의 하측 방향에 연결된 하측 덮개;
    상기 바닥면의 좌측 방향에 연결된 좌측 덮개; 및
    상기 바닥면의 우측 방향에 연결된 우측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좌/우측 덮개는 수용성 실에 의해 묶여 있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사출 시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안전핀이 탈착되고, 해수 또는 담수에서 상기 보호가방의 수용성 실이 녹으면 상기 보호가방이 열리고, 상기 스트리머의 수용성 실이 녹으면 상기 스트리머가 자동으로 풀어지면서 전개되고,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스위치를 오프 상태에서 묶어 놓은 수용성 실이 녹으면 상기 스위치가 작동되면서 자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는,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조도감지센서와 위치센서에 의해 야간에만 공중을 향해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따라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적외선 기능, 침묵 모드, 전원 오프(off)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
    상기 기판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배치된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
    상기 기판의 상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상기 제 1 및 제 2 튜브 마개의 전원 스위치 및 기능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전원 스위치 및 기능전환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조도감지센서와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발광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기판에 배치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조도감지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 상기 제어부를 포함한 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ON) 동작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 및
    상기 배터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 LED;
    를 포함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는 LED 소자, 적외선 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ON) 동작시 상기 조도감지센서와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야간에만 공중을 향해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따라 자동 SOS 기능, 레드 플래쉬(Red Flash) 기능, 수동 SOS 기능, 적외선 기능, 침묵 모드, 전원 오프(off)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및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현재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송신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감지부는,
    상기 전원 스위치 및 기능전환 스위치에 달린 자석의 움직임을 신호로 감지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 마개는,
    몸체(body);
    상기 몸체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토션 스프링에 의해 회전되며, 일측에 핀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 자석이 배치된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의 핀 구멍과 상기 몸체의 핀 구멍에 동시에 끼워서 상기 전원 스위치를 전원 오프(OFF) 위치에 고정시키는 안전핀;
    상기 투명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 방향에 형성된 튜브 삽입부;
    상기 튜브 삽입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결합 홈에 끼워서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돌기가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튜브 삽입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 튜브를 밀폐시키는 오링(O-ring);
    을 포함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 마개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측면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아서 설치된 수용성 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실이 물에 녹으면 상기 전원 스위치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 마개는,
    몸체(body);
    상기 몸체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토션 스프링에 의해 회전되며, 일측에 핀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 자석이 배치된 기능전환 스위치;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의 핀 구멍과 상기 몸체의 핀 구멍에 동시에 끼워서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를 전원 오프(OFF) 위치에 고정시키는 안전핀;
    상기 투명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 방향에 형성된 튜브 삽입부;
    상기 튜브 삽입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결합 홈에 끼워서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돌기가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튜브 삽입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 튜브를 밀폐시키는 오링(O-ring);
    을 포함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 마개는,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의 측면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아서 설치된 수용성 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실이 물에 녹으면 상기 기능전환 스위치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여 자동 SOS 구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가 설치된 상기 스트리머의 주변과 상기 상부 및 하부 발광소자가 설치된 상기 기판의 주변에 반사 필름이 각각 부착된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상기 스트리머의 한쪽 끝단에 부착된 외부 튜브;
    상기 외부 튜브 속에 배치된 내부 튜브;
    상기 내부 튜브 속에 연결된 견인줄;
    상기 견인줄에 부착된 연결 고리;
    한쪽은 연결 고리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안전핀에 연결되는 안전줄; 및
    상기 안전줄의 다른 한쪽에 연결되고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 위치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안전핀;
    을 포함하는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는,
    상기 스트리머(streamer)에 상기 스트리머와 동일 재질의 필름을 이용하여 소정의 각도로 부착된 전개용 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트럿(strut)은 상기 전개용 날개의 끝 부분에 배치된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는,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리머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상기 스트리머에 부착되고, 상기 조난신호 자동발신기가 부착된 상기 스트리머의 일부분이 절개된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KR1020120045021A 2012-04-29 2012-04-29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KR101364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021A KR101364603B1 (ko) 2012-04-29 2012-04-29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021A KR101364603B1 (ko) 2012-04-29 2012-04-29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635A KR20130121635A (ko) 2013-11-06
KR101364603B1 true KR101364603B1 (ko) 2014-02-20

Family

ID=4985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021A KR101364603B1 (ko) 2012-04-29 2012-04-29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812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씨뱅크 조난구조 효율성이 향상된 조난신호 송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 조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073B1 (ko) * 2021-07-22 2023-07-17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구명조끼 장착형 위치추적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935A (ko) * 2000-01-11 2001-07-23 김용일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US20080070457A1 (en) 2005-07-07 2008-03-20 Yonover Robert N Water-activated and light-assisted visual locating device
KR101003926B1 (ko) 2010-08-25 2011-01-03 주식회사인스타 조난용 위치 확인 장치
KR101306530B1 (ko) 2012-04-29 2013-09-09 주식회사인스타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935A (ko) * 2000-01-11 2001-07-23 김용일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US20080070457A1 (en) 2005-07-07 2008-03-20 Yonover Robert N Water-activated and light-assisted visual locating device
KR101003926B1 (ko) 2010-08-25 2011-01-03 주식회사인스타 조난용 위치 확인 장치
KR101306530B1 (ko) 2012-04-29 2013-09-09 주식회사인스타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812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씨뱅크 조난구조 효율성이 향상된 조난신호 송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 조끼
KR102312825B1 (ko) 2019-11-26 2021-10-15 주식회사 씨뱅크 조난구조 효율성이 향상된 조난신호 송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 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635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69211B2 (en) Water-activated and light-assisted visual locating device
US10227114B1 (en) Visual distress signal device
US6260508B1 (en) Position indica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DK2397401T3 (en) Dummy with a positioning system to help in rescue operations of persons and ships at sea
US5029293A (en) Device for locating an individual fallen into the sea
US5945912A (en) Ocean safe
US9080764B2 (en) Conspicuity devices and methods
US5445103A (en) Anchor drift indicator
KR101306530B1 (ko)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
CN110958976A (zh) 自主飞机定位器系统
KR101003926B1 (ko) 조난용 위치 확인 장치
KR101364603B1 (ko)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JP2015209110A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US7125298B1 (en) Man overboard beacon
KR101484124B1 (ko) 휴대형 조난위치식별장치
US6850152B1 (en) Non-flammable land and sea marker
KR101101131B1 (ko) 비상신호용 자동 스트로브 라이트
KR200432023Y1 (ko) 구명환
KR20190083744A (ko) 해상 조난시 위치 표시하고 조난자가 사용할 수 있는 조난 구명구
KR102398845B1 (ko) 해상인명구조 스마트부표시스템
CN104058079A (zh) 带定位通信功能的新型救生示位灯及控制方法
JP6577276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CN208715445U (zh) 一种水域遥控救生艇
US202003467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c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