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256B1 -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 Google Patents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256B1
KR101618256B1 KR1020150016206A KR20150016206A KR101618256B1 KR 101618256 B1 KR101618256 B1 KR 101618256B1 KR 1020150016206 A KR1020150016206 A KR 1020150016206A KR 20150016206 A KR20150016206 A KR 20150016206A KR 101618256 B1 KR101618256 B1 KR 10161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hip
buckle
gate
upper housing
til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1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6Cast or life lines; Attachments thereto; Containers therefor; Rescue n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복원력을 감지하여 선체 격벽에 비치된 콘테이너를 전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하우징(250)과 하부 하우징(210)으로 분리된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콘테이너(10)와, 상부 하우징(250)내부에 구비된 제어 칩(270)과,
상기 제어 칩(270)의 내측에 구비된 메모리(271)와, 하부 하우징(210) 내부에 구비된 버클(211)과, 버클(211)의 상면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212)와, 제어 칩(27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250)의 일측면 격벽으로 디스플레이(260)가 노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212)와 버클(211)의 이격된 측면에 구비된 허브(220)와, 디스플레이(260)는 하단에 구비된 설정 버튼(261)과, 상기 제어 칩(270)은 각각 관리 명령(S301)과 이탈 명령(S302)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특정 시간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장치가 부팅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있는 이탈기의 작동을 유도하고 장치의 교체시기를 알림으로써 유지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Resilient sense release device to ship body}
본 발명은 선체의 복원력을 감지하여 선체 격벽에 비치된 콘테이너를 전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기울기 센서와 전자식 작동벨트 및 버클을 활용함으로써 이탈장치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체의 격벽에는 슬라이드 장치, 재밍기, 구조장치 등과 같은 용구들을 넣을 수 있는 콘테이너를 비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콘테이너는 이탈기와 같은 매체를 사용하여 선체가 비상 상황이거나 전복되었을 시에만 열리도록 하여 콘테이너 안에 넣어 둔 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쓰이고 있던 이탈기는 수압분리형의 기계식 이탈기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따라서 선박이 전복되거나 일정 기울기 이상 기울어 침수되었을 시에만 작동이 되도록 되어있었다.
대표적으로 일본 공개 특허공보 공개평 제 08198180호에 게시된 조난 침몰 용선 위치 표시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는데, 본원 기술의 요지에 의하면 선박 본체의 조타실 근방 등의 선체 밖 상부에 수압으로 작동되는 다이아 프램으로 축을 스톱퍼 축으로 하는 작동 캠을 규제해서 되는 수압식 자동 이탈기를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 조임 밴드에서 설치한 개폐 뚜껑을 갖고 밀봉형 유체 격납 용기를 갖춘다.
또, 부유 격납 용기 안에 물의 침입으로 작동하는 격침와 가스 봄베로 구성된 자동 가스 충전 장치를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 폴더형 유체를 부유와 격납 용기 1칸을 잇는 소정 길이의 견인 장치와 함께 수용하는 유닛 구성으로 되기 위해 침몰 때 자동적으로 커진 부유체를 해면에 부유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장치 이외에 별도로 상용화 된 다른 방식의 장치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는데, 단순한 기계식 장치의 작동으로는 분명한 작동상의 한계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시스템은 수압분리기의 작동 특성상 장치가 오작동할 위험이 컸으며 비교적 안정적이지 않은 장비의 사용 실시 빈도로 인해 실제 많은 선박들이 장치를 구비하고도 제대로 작동 및 유지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특정 시간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장치가 부팅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있는 이탈기의 작동을 유도하고 장치의 교체시기를 알림으로써 유지에 용이한 자동 이탈장치를 얻고자 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 상부 하우징(250)과 하부 하우징(210)으로 분리된 프레임(200)과, 상기 상부 하우징(250)내부에 구비된 제어 칩(270)이 장치의 상태를 상시 관리하도록 하고, 선박의 위급상황 발생 시 상기 하부 하우징(210) 내부에 구비된 버클(211)이 상기 버클(211)의 상면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212)의 지속적인 선박의 기울기 감지로 인해 풀림으로써, 상기 프레임(20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콘테이너(10)가 자동으로 열리게 할 수 있는 자동 이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요지에 있어서 그 내용을 상세히 서술하면 선박이 위기상황에서 일정 시간동안 빠져 나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콘테이너(10)의 자동적으로 이탈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된 버클(211)이 상기 버클(211) 상면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212)가 일정 시간동안 선박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기울기 센서(212)가 이러한 사실을 감지하면 상기 기울기 센서(212)와 버클(211)의 이격된 측면에 구비된 허브(220)를 통해 상부 하우징(25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 칩(270)이 판단하고, 제어 칩(270)의 판단이 다시 허브(220)를 통해 버클(211)로 이탈 명령(S302)이 전달된다.
버클(211)에 이탈 명령이 전해지면 상기 버클의 일측면에 연결 되어있던 벨트 훅(12)이 분리 이탈되면서 콘테이너(10)가 열리고, 상기 콘테이너(10)의 내부에 있던 장치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260)는 상기 상부 하우징(250)의 일측면 격벽으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바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260)는 하단에 설정 버튼(261)이 있는데, 기록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의 작동 시기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칩(270)은 두 가지의 개별적인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각각 관리 명령(S301)과 이탈 명령(S302)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제어 칩(270)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60)와 대응 이격 구비된 배터리(280)가 지속적인 절전형 전류를 공급해 주도록 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250)에 구비된 모든 구성요소의 누전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250)상단에 덮개(201)를 구비한다.
본 원 발명에 의한 장치를 이상과 같이 구성하여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원 발명에 의하면 특정 시간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장치가 부팅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있는 이탈기의 작동을 유도하고 장치의 교체시기를 알림으로써 유지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의한 장치를 콘테이너(10)에 장착한 것을 예시로 도시한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200)의 내부를 분해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칩(270)의 이탈 명령(S302)을 상세히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칩(270)의 관리 명령(S301)을 상세히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의한 장치가 이탈 명령(S302)에 의해 이탈된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있어서 도면과 실시예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부 하우징(250)과 하부 하우징(210)으로 분리된 프레임(200)과, 상기 상부 하우징(250)내부에 구비된 제어 칩(270)이 장치의 상태를 상시 관리하도록 하고, 선박의 위급상황 발생 시 상기 하부 하우징(210) 내부에 구비된 버클(211)이 상기 버클(211)의 상면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212)의 지속적인 선박의 기울기 감지로 인해 풀림으로써, 상기 프레임(20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콘테이너(10)가 자동으로 열리게 할 수 있는 자동 이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요지에 있어서 그 내용을 상세히 서술하면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내용과 같이 선박이 위기상황에서 일정 시간동안 빠져 나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콘테이너(10)의 자동적으로 이탈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된 버클(211)이 상기 버클(211) 상면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212)가 일정 시간동안 선박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이는 일시적으로 선박이 기울게 되는 상황이 아닌, 특정한 시간까지 선박이 기운 상태에서 회복을 하지 않으면 기울기 센서(212)가 그러한 사실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울기 센서(212)가 이러한 사실을 감지하면 상기 기울기 센서(212)와 버클(211)의 이격된 측면에 구비된 허브(220)를 통해 상부 하우징(25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 칩(270)이 판단하고, 제어 칩(270)의 판단이 다시 허브(220)를 통해 버클(211)로 이탈 명령(S302)이 전달된다.
버클(211)에 이탈 명령이 전해지면 상기 버클의 일측면에 연결 되어있던 벨트 훅(12)이 분리 이탈되면서 콘테이너(10)가 열리고, 상기 콘테이너(10)의 내부에 있던 장치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이탈 명령 기능을 구비한 제어 칩(270)은, 상기 제어 칩(270)의 일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60)를 통해 남은 전력량 및 정기 관리 일자까지 남은 시간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260)는 상기 상부 하우징(250)의 일측면 격벽으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바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260)는 하단에 설정 버튼(261)이 있는데, 기록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의 작동 시기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본 원 발명에 의한 장치는 평소에는 대기 전력에 의해 절전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기울기 센서(212)에 의한 버클(211)의 작동은 반드시 제어 칩(270)이 활성 상태일 때만 작동하도록 하되, 정기 유지 관리를 목적으로 디스플레이(260) 하단에 구비된 설정 버튼(261)의 설정에 의한 정기적인 일시 활성 상태일 경우 버클(211)이 움직이지 않는다.
즉, 제어 칩(270)은 두 가지의 개별적인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각각 관리 명령(S301)과 이탈 명령(S302)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칩(270)의 이탈 명령(S302)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 있는 기울기 센서(212)가 상기 기울기 센서(212)의 내측에 구비된 타이머 센서(213)로 입력신호가 전달하는데,
그 후 타이머 센서(213)는 작동이 되어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을 차단하고, 선박이 기운 상태가 상기 타이머 센서(213)의 설정 임계시간을 돌파하게 되면 게이트A(249)는 출력신호를 상기 허브(220)를 통해 제어 칩(270)으로 전달해서 상기 제어 칩(270)이 이탈 명령(S302)을 버클(211)로 개별 전송하면서 벨트 훅(12)이 버클(211)과 이격 분리된다.
이때 게이트A(249)는 AND게이트를 통해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칩(270)의 관리 명령(S301)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 있는 제어 칩(270)이 설정 버튼(261)을 통해 임의로 설정되어 상기 제어 칩(270)의 내측에 구비된 메모리(271)에 기억 되어있는 부팅간격을 대기 전력 상태에 있던 제어 칩(270)이 가동시키고, 그 후 게이트B(299)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 칩(270)이 일시적으로 부팅되도록 한다.
그 후 현재 시각, 배터리 잔량을 체크한 다음 1분 내지 3분간 부팅 상태에서 다시 절전되고, 상기 제어 칩(270)의 부팅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 버튼(261)을 통해 임의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게이트B(299)는 AND게이트를 통해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제어 칩(270)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60)와 대응 이격 구비된 배터리(280)가 지속적인 절전형 전류를 공급해 주도록 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250)에 구비된 모든 구성요소의 누전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250)상단에 덮개(201)를 구비한다.
한 편, 덮개(201)는 그 하단부에 다수의 스토퍼(202)가 구비되는데, 각각 배터리(280), 제어 칩(270), 디스플레이(260)의 상면을 압박해 줌으로써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장치를 재사용함에 있어서, 콘테이너(10)의 외주면 일측 하면에 벨트 고정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11)는 벨트 훅(12)이 일정 거리 이상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벨트(15)의 일측단 끝을 고정하며, 상기 벨트(15)의 대응된 일측단 끝은 벨트 훅(12)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탈 명령(S302)이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시 수동 버튼(240)을 통해서 강제 이탈에 가능케 하는데, 수동 버튼(240)은 상기 버클(211)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하부 하우징(210)에 노출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는 프레임(200), 덮개(201), 콘테이너(10)등 본 원 발명에 의한 구성요소 중 외벽에 노출된 모든 구성요소가 스테인레스 혹은 합성 플라스틱 등과 같이 녹이 슬지 않고 오랜 시간동안 내부에 있는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원 발명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서술 한 바 특허 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하나 그의 실시범위는 당업자가 본 원 기술로부터 자명한 개선을 도출할 수 있는 범위에까지 미칠 수 있도록 한다.
10 : 콘테이너 11 : 벨트 고정부
12 : 벨트 훅 15 : 벨트
200 : 프레임 201 : 덮개
202 : 스토퍼 210 : 하부 하우징
211 : 버클 212 : 기울기 센서
213 : 타이머 센서 220 : 허브
240 : 수동 버튼 249 : 게이트A
250 : 상부 하우징 260 : 디스플레이
261 : 설정 버튼 270 : 제어 칩
271 : 메모리 280 : 배터리
299 : 게이트B S301 : 관리 명령
S302 : 이탈 명령

Claims (5)

  1.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250)과 하부 하우징(210)으로 분리된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콘테이너(10)와,
    상부 하우징(250)내부에 구비된 제어 칩(270)과,
    상기 제어 칩(270)의 내측에 구비된 메모리(271)와,
    하부 하우징(210) 내부에 구비된 버클(211)과,
    버클(211)의 상면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212)와,
    제어 칩(27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250)의 일측면 격벽으로 디스플레이(260)가 노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212)와 버클(211)의 이격된 측면에 구비된 허브(220)와,
    디스플레이(260)는 하단에 구비된 설정 버튼(261)과,
    상기 제어 칩(270)은 각각 관리 명령(S301)과 이탈 명령(S302)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250)상단에 구비된 덮개(201)와,
    덮개(201)의 하단부에 구비된 다수의 스토퍼(202)와,
    콘테이너(10)의 외주면 일측 하면에 구비된 벨트 고정부(11)와,
    상기 벨트 고정부(11)에 일측단 끝이 고정되며, 대응된 일측단 끝은 벨트 훅(12)과 연결 구비된 벨트(15)와,
    제어 칩(270)을 기준으로 배터리(280)가 상기 디스플레이(260)와 대응 이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칩(270)의 이탈 명령(S302)은 대기 상태에 있는 기울기 센서(212)가 상기 기울기 센서(212)의 내측에 구비된 타이머 센서(213)로 입력신호가 전달되도록 하고,
    타이머 센서(213)는 이후 작동이 되어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타이머 센서(213)의 설정 임계시간을 돌파하게 되면 게이트A(249)는 출력신호를 허브(220)를 통해 제어 칩(270)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 칩(270)이 이탈 명령(S302)을 버클(211)로 개별 전송하면서 벨트 훅(12)이 버클(211)과 이격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게이트A(249)는 AND게이트를 통해 실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칩(270)의 관리 명령(S301)은 대기 상태에 있는 제어 칩(270)이 설정 버튼(261)을 통해 임의로 설정되어 메모리(271)에 기억 되어있는 부팅간격을 대기 전력 상태에 있던 제어 칩(270)이 가동시키고,
    게이트B(299)를 통해 출력신호를 전달하고 제어 칩(270)이 일시적으로 부팅되고,
    그 후 제어 칩(270)은 현재 시각, 배터리 잔량을 체크한 다음 1분 내지 3분간 부팅 상태에서 다시 절전되면서 관리 명령(S301)이 종료되고,
    이때 상기 제어 칩(270)의 부팅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 버튼(261)을 통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게이트B(299)는 AND게이트를 통해 실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KR1020150016206A 2015-02-02 2015-02-02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KR10161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06A KR101618256B1 (ko) 2015-02-02 2015-02-02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06A KR101618256B1 (ko) 2015-02-02 2015-02-02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256B1 true KR101618256B1 (ko) 2016-05-09

Family

ID=5602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206A KR101618256B1 (ko) 2015-02-02 2015-02-02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013B1 (ko) * 2016-09-19 2017-11-20 서영연 위치알림기능을 갖는 접이식 구명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31B1 (ko) 2012-06-21 2013-04-08 이정훈 침몰시 상승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백을 구비한 잠수함 구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31B1 (ko) 2012-06-21 2013-04-08 이정훈 침몰시 상승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백을 구비한 잠수함 구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013B1 (ko) * 2016-09-19 2017-11-20 서영연 위치알림기능을 갖는 접이식 구명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5483C (zh) 电子装置
US9725144B2 (en) Self-propelled craft
DK158884B (da) Fastholdelsesindretning, som er indrettet til ved paavirkning at blive frigjort
KR101618256B1 (ko) 선체의 복원력 감지 이탈장치
US20090042460A1 (en) Status indicators for use with a watercraft propulsion system
US20160109914A1 (en) Wearable device without a power button
US10988212B2 (en) Modular mooring buoy system, and buoyant body and modular unit thereof
KR20120019084A (ko) 선박의 침몰 방지 시스템
US9297235B2 (en) Shutting down an underwater fluid production well
KR20150119587A (ko) 소형선박 자동 복원 시스템
KR102151600B1 (ko) 구명정 투하 방법
JPH10338189A (ja) 海中観測係留系の係留状況監視装置
CN103323078A (zh) 一种具有无线功能的液位检测报警装置
SE185125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al mode of a powertrain of a vehicle based on identification data
RU2296700C1 (ru) Затвор для сосудов
KR102375317B1 (ko) 잠수함 스노클 중 함내 압력 강하 완화장치 및 이를 통한 잠수함 운용방법
KR101520483B1 (ko) 배터리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및 그설정방법
NO312319B1 (no) Innretning som kan berges for lagring og arkivering av driftsspesifikke data til flytende fartöy
KR20160139717A (ko) 선박의 자동 부력 제공장치와 그 제어방법
ITUB20155770A1 (it) Un sistema di sicurezza
KR20180074243A (ko) 침몰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083018B1 (ko) 조난통보 장치용 보관함
JP2000051385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1343793B1 (ko) 해양구조물의 응급상황을 위한 해양구조물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배출 방법
JPH117596A (ja) データ検出装置及びその電源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