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750B1 - 구명동의 및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명동의 및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750B1
KR102612750B1 KR1020220004447A KR20220004447A KR102612750B1 KR 102612750 B1 KR102612750 B1 KR 102612750B1 KR 1020220004447 A KR1020220004447 A KR 1020220004447A KR 20220004447 A KR20220004447 A KR 20220004447A KR 102612750 B1 KR102612750 B1 KR 10261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fe
location
gps
life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840A (ko
Inventor
김종석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Priority to KR102022000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75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구명동의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의, 상기 부의에 결합되고 수중에 잠기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에 따라 수중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수중 센서, 상기 수중 신호가 활성화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시작하고 GPS 위치를 생성하는 GPS 검출부 및 상기 GPS 위치를 기초로 구명신호를 생성하고 LoRA (Long Range) 통신을 통해 상기 구명신호를 발산하여 선박 또는 드론을 통해 감시 구명신호가 검출되도록 하는 LoRA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명동의 및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LIFE JACKET AND NETWORK SYSTEM FOR SEARCHING FOR LIFE JACKET IN OCEAN ACCIDENT}
본 발명은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 잠기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구명신호를 발산하여 선박 또는 드론을 통해 감시 구명신호가 검출되도록 하는 구명동의 및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다, 강 및 호수 등의 수상에서 각종 기구를 타고 즐기는 수상 레저 스포츠가 인기를 끌면서 바다, 강으로 여행을 가는 인구가 늘고 있다. 하지만, 수상레저 스포츠 이용자의 증가와 신종 수상레저기구의 등장에 따라 해양 안전사고 발생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이 사고가 대부분 수상에서 발생하여 심각한 부상을 당하거나 구조가 지연되어 익사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해양 사고를 대처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고 발생시부터 구조대 출동 및 구조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매우 중요하나, 통상적인 강, 바다 등에서 발생하는 수상사고의 경우, 구조대원이 직접 조난자를 수색하는 방법에 의존하여 조치를 취하는 시간이 길고, 이로 인해 사고자의 생명을 구할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해양 사건사고에 대해, 드론(drone)을 이용한 수색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드론(drone)은 조종사가 필요치 않은 무인 비행체로, 국제 분쟁 지역에서 군사용 목적으로 개발 및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과 조작의 용이성으로 인해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드론을 이용하여 재해 및 재난 지역에서 정찰하는 임무 및 해상·산악 사고를 모니터링하는 임무에까지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드론을 이용하여 인명 구조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2018-0094935호는 인명 구조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조난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조난 경보를 발령하는 관제 서버와 연동하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조난자의 조난위치정보에 따라 구조 활동을 수행하는 드론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관제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설정된 비행경로에 따라 회전익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듈과, 상기 GPS 신호에 따라 드론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난위치정보 및 드론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항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와, 하나 이상의 구조 수단과 연결되는 투하모듈과, 각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항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2018-0094935호 (2018.08.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중에 잠기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구명신호를 발산하여 선박 또는 드론을 통해 감시 구명신호가 검출되도록 하는 구명동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명신호를 캐치할 수 있는 드론을 무선으로 연결한 선박으로 구명신호를 발산하는 LoRA (Long Range) 센서를 결합한 구명동의를 탐색할 수 있는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과의 LoRA 연결성을 유지하도록 드론을 제어하여 구명동의를 탐색할 수 있는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론을 제어하여 GPS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전후좌우 위치들에서 구명신호의 캐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구명동의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는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동의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의, 상기 부의에 결합되고 수중에 잠기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에 따라 수중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수중 센서, 상기 수중 신호가 활성화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시작하고 GPS 위치를 생성하는 GPS 검출부 및 상기 GPS 위치를 기초로 구명신호를 생성하고 LoRA (Long Range) 통신을 통해 상기 구명신호를 발산하여 선박 또는 드론을 통해 감시 구명신호가 검출되도록 하는 LoRA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LoRA 통신부는 배터리의 잔량을 기초로 상기 구명신호의 발산 주기를 제어하고 상기 선박 또는 드론으로부터 탐색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구명신호의 신호 세기를 최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은 구명신호를 발산하는 LoRA (Long Range) 센서를 결합한 구명동의, LoRA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구명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명동의의 위치를 결정하며 위성통신을 통해 상기 구명동의의 위치를 해양 구조 서버에 제공하는 선박 및 LoRA 중계기를 탑재하고 상기 LoRA 게이트웨이와의 연결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선박의 주위를 비행하고 상기 구명신호를 캐치하여 상기 LoRA 게이트웨이에 제공하는 드론을 포함한다.
상기 선박은 상기 구명신호와 함께 상기 드론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드론을 제어하여 상기 GPS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전후좌우 위치들에서 상기 구명신호의 캐치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GPS 위치 및 상기 전후좌우 위치들 중 상기 구명신호가 캐치되는 GPS 위치 중 가장 신호 세기가 큰 적어도 3 개의 GPS 위치들을 결정하여 상기 구명동의의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GPS 위치들이 결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거리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구명신호의 캐치를 다시 수행한다.
상기 선박은 상기 적어도 3 개의 GPS 위치들 각각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GPS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GPS 유효성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 거리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구명신호의 캐치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동의는 수중에 잠기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구명신호를 발산하여 선박 또는 드론을 통해 감시 구명신호가 검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은 구명신호를 캐치할 수 있는 드론을 무선으로 연결한 선박으로 구명신호를 발산하는 LoRA (Long Range) 센서를 결합한 구명동의를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은 선박과의 LoRA 연결성을 유지하도록 드론을 제어하여 구명동의를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은 드론을 제어하여 GPS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전후좌우 위치들에서 구명신호의 캐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구명동의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구명동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선박에 탑재된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구명동의(110), 드론(120), 선박(130), 해양 구조 서버(150) 및 해양구조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명동의(110)는 부의로 구성되어 구명조끼로 불릴 수 있고, 착용하기 위한 끈이 달려 있으며 선박(130)에 격납되어 있다. 구명동의(110)는 비상시에 착용할 수 있고 해양에서 구조되기를 기다릴 때 활용될 수 있다. 구명동의(110)는 그 부력에 의하여 머리를 물 위로 내놓고 물에 떠 있도록 할 수 있다.
구명동의(110)는 방수처리되어 수중에서도 정상 동작 가능한 LoRA (Long Range) 센서(112)를 결합할 수 있다. LoRA 센서(112)는 사용자의 위급 상황(즉, 수중에 있는 상황)을 인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구명신호를 발산한다. LoRA 센서(112)는 구명신호의 발산 과정에서 배터리(미도시됨)의 잔량을 기초로 발산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LoRA는 장거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단순히 전송거리만 긴 게 아니라 전력 소모가 무척 적으며, LPWAN(Low-Power Wide-Area Network)에 해당할 수 있다.
드론(120)은 무선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로서, 카메라, 센서, 통신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고 25g부터 1200kg까지 무게와 크기도 다양하다. 드론은 군사용도로 처음 생겨났지만 고공 촬영, 배달을 수행할 수 있으며, 농약의 살포, 공기질의 측정을 수행하는데까지 활용되고 있다.
드론(120)은 LoRA 중계기(122)를 탑재하고 선박(130)에 있는 LoRA 게이트웨이(132)와의 연결성을 유지하도록 선박(130)의 주위를 비행한다. 즉, 드론(120)은 LoRA 연결성을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선박(130)을 중심으로 비행한다. 드론(120)은 LoRA 센서(112)에서 발산된 구명신호를 캐치하여 LoRA 게이트웨이(132)에 제공한다.
선박(130)은 해양 구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물에 떠서 사람, 가축, 물자를 싣고, 물 위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물에 해당하며 LoRA 게이트웨이(132) 및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장치(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장치(134)는 LoRA 게이트웨이(132)를 통해 구명신호를 수신하고 구명동의(110)의 위치를 결정하며 위성통신을 통해 구명동의(110)의 위치를 해양 구조 서버(150)에 제공할 수 있다.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장치(134)는 LoRA 게이트웨이(132)를 통해 LoRA 중계기(122)와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드론(120)의 비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해양 구조 서버(150)는 선박(130)으로부터 구명동의(110)의 위치를 제공받고 필요에 따라 긴급구조수단(예를 들어, 헬리콥터)을 구명동의(110)의 위치로 파견할 수 있다. 또한, 해양 구조 서버(150)는 조난자의 응급처치를 위해 응급처리수단(예를 들어, 앰블런스)을 도착 예상되는 해안에 배치할 수 있다.
해양구조 데이터베이스(170)는 해양 구조 서버(150)와 연결되고 구명동의(110) 및 선박(130)의 위치들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긴급구조수단 및 응급처리수단의 현재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해양구조 데이터베이스(170)는 선박(130)을 통한 해양사고의 접수를 수행할 수 있고, 해양사고에 관한 일별, 월별, 계절별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구명동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명동의(110)는 부의(210) 및 구명모듈(230)을 포함한다. 구명모듈(230)은 수중 센서(231),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검출부(232), LoRA 통신부(233), 배터리(234), 및 마이크로컨트롤러(MCU, Micro-controller)(235)를 포함한다.
부의(210)는 부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즉, 재난자)를 수중에 가라앉지 않도록 띄울 수 있고, 예를 들어, 구명조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중 센서(231)는 부의에 결합되고 수중에 잠기는 것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중 센서(231)는 수중에 순간적으로 잠기고 수중에서 탈출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거나 또는 수중에 지속적으로 잠겨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수중 센서(231)는 이러한 감지 과정에서 부의의 낙하를 우선하여 감지할 수 있다. 수중 센서(231)는 수중의 잠김 감지에 따라 수중 신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GPS 검출부(232)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GPS 검출부(232)는 재난 상황의 발생과 무관하게 현재 위치를 검출하면 배터리(234)의 전력소모를 일으키므로 수중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즉, GPS 검출부(232)는 재난 상황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GPS 검출부(232)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검출되면 GPS 위치를 생성한다.
LoRA 통신부(233)는 GPS 위치를 기초로 구명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구명신호는 LoRA 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로서, GPS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LoRA 통신부(233)는 LoRA 통신을 통해 구명신호를 발산하고 선박 또는 드론을 통해 구명신호가 검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oRA 통신부(233)는 배터리(234)의 잔량을 기초로 구명신호의 발산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oRA 통신부(233)는 배터리(234)의 잔량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발산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특정 기준 초과인 경우에는 기준 주기에 맞춰 발산 주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LoRA 통신부(233)는 선박(130) 또는 드론(120)으로부터 탐색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탐색 신호는 구명동의(110)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LoRA 통신을 통한 데이터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LoRA 통신부(233)는 이러한 검출이 수행되면 배터리(234)의 잔량과 무관하게 특정 시간 동안 구명신호의 신호 세기를 최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시간은 LoRA 통신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 동안을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234)는 수중 센서(231),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검출부(232), LoRA 통신부(233) 및 마이크로컨트롤러(235)에 전력을 제공하고, 유선 또는 무선 충전을 통해 재충전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235)는 구명모듈(2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수중 센서(231),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검출부(232), LoRA 통신부(233) 및 배터리(234)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선박에 탑재된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130)는 프로세서(310), 메모리(330), 사용자 입출력부(3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분석 기반의 구조물 이상감지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3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3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330), 사용자 입출력부(3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3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들의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3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35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370)은 네트워크를 통해 구조물 객체(110)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입출력부(370)는 학습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이나 4G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구명동의(110)는 LoRA (Long Range) 센서(112)를 통해 구명신호를 발산한다(단계 S310).
선박(130)은 LoRA 게이트웨이(132)를 통해 구명신호를 수신하고 구명동의(110)의 위치를 결정하며 위성통신을 통해 구명동의(110)의 위치를 해양 구조 서버(150)에 제공한다(단계 S320).
선박(130)은 구명신호와 함께 드론(120)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를 수신한다. 선박(130)은 구명동의(110)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드론(120)을 제어하여 GPS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전후좌우 위치들에서 구명신호의 캐치 여부를 확인한다. 즉, 선박(130)은 드론(120)을 GPS 위치를 중심으로 특정 반경만큼 돌리면서 구명신호의 캐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선박(130)은 GPS 위치 및 전후좌우 위치들 중 구명신호가 캐치되는 GPS 위치 중 가장 신호 세기가 큰 적어도 3 개의 GPS 위치들을 결정하여 구명동의의 위치를 추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130)은 기준 신호 세기 이상인 GPS 신호들 중에서 가장 신호 세기가 큰 GPS 신호들을 선별할 수 있고, 선별된 GPS 신호들 중 적어도 3 개의 GPS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선박(130)은 적어도 3 개의 GPS 위치들이 결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특정 거리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구명신호의 캐치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즉, 선박(130)은 GPS 신호가 잘못 수신되었다고 가정하고, GPS 위치에서 더 멀어지는 거리만큼 드론(120)을 이동시켜 GPS 위치를 중심으로 돌리면서 구명신호의 캐치를 시도할 수 있다.
선박(130)은 적어도 3 개의 GPS 위치들 각각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GPS 유효성을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130)은 적어도 3 개의 GPS 위치들 각각의 개별 유효성 및 적어도 3 개의 GPS 위치들 간의 상관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별 유효성은 특정 기준 이상의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GPS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관 유효성은 GPS 신호들 각각 간의 거리가 특정 기준 이상으로 떨어지지 않는 것을 기준으로 GPS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박(130)은 GPS 유효성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특정 거리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구명신호의 캐치를 다시 수행한다. 즉, 선박(130)은 GPS 신호가 잘못 수신되었다고 가정하고, GPS 위치에서 더 멀어지는 거리만큼 드론(120)을 이동시켜 GPS 위치를 중심으로 돌리면서 구명신호의 캐치를 시도할 수 있다.
드론(120)은 LoRA 중계기(122)를 탑재하고 LoRA 게이트웨이(132)와의 연결성을 유지하도록 선박(130)의 주위를 비행하고 구명신호를 캐치하여 LoRA 게이트웨이(132)에 제공한다(단계 S33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
110 : 구명동의
120 : 드론
130 : 선박
150 : 해양 구조 서버
170 : 해양구조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부력을 제공하는 부의;
    상기 부의에 결합되고 수중에 잠기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에 따라 수중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수중 센서;
    상기 수중 신호가 활성화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시작하고 GPS 위치를 생성하는 GPS 검출부; 및
    상기 GPS 위치를 기초로 구명신호를 생성하고 LoRA (Long Range) 통신을 통해 상기 구명신호를 발산하여 선박 또는 드론을 통해 감시 구명신호가 검출되도록 하는 LoRA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선박은
    상기 구명신호와 함께 상기 드론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를 수신하고,
    구명동의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여 상기 GPS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전후좌우 위치들에서 상기 구명신호의 캐치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GPS 위치 및 상기 전후좌우 위치들 중에서, 상기 구명신호가 캐치되는 위치 중 가장 신호 세기가 큰 적어도 3 개의 위치들을 결정하여 상기 구명동의의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위치들이 결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거리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구명신호의 캐치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위치들 각각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해당 위치들 간의 거리가 특정 기준 이상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해당 위치들 간의 거리가 특정 기준 이상으로 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 거리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구명신호의 캐치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동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oRA 통신부는
    배터리의 잔량을 기초로 상기 구명신호의 발산 주기를 제어하고 상기 선박 또는 드론으로부터 탐색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구명신호의 신호 세기를 최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동의.
  3. 구명신호를 발산하는 LoRA (Long Range) 센서를 결합한 구명동의;
    LoRA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구명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명동의의 위치를 결정하며 위성통신을 통해 상기 구명동의의 위치를 해양 구조 서버에 제공하는 선박; 및
    LoRA 중계기를 탑재하고 상기 LoRA 게이트웨이와의 연결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선박의 주위를 비행하고 상기 구명신호를 캐치하여 상기 LoRA 게이트웨이에 제공하는 드론을 포함하되,
    상기 선박은
    상기 구명신호와 함께 상기 드론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구명동의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여 상기 GPS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전후좌우 위치들에서 상기 구명신호의 캐치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GPS 위치 및 상기 전후좌우 위치들 중에서, 상기 구명신호가 캐치되는 위치 중 가장 신호 세기가 큰 적어도 3 개의 위치들을 결정하여 상기 구명동의의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위치들이 결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거리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구명신호의 캐치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위치들 각각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해당 위치들 간의 거리가 특정 기준 이상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해당 위치들 간의 거리가 특정 기준 이상으로 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 거리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구명신호의 캐치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
  4. 삭제
KR1020220004447A 2022-01-12 2022-01-12 구명동의 및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 KR10261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447A KR102612750B1 (ko) 2022-01-12 2022-01-12 구명동의 및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447A KR102612750B1 (ko) 2022-01-12 2022-01-12 구명동의 및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840A KR20230108840A (ko) 2023-07-19
KR102612750B1 true KR102612750B1 (ko) 2023-12-13

Family

ID=8742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447A KR102612750B1 (ko) 2022-01-12 2022-01-12 구명동의 및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7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2671A (ja) * 2019-03-07 2020-09-1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救命具射出ドローンおよび水難救助システム
JP2021016178A (ja) * 2018-11-09 2021-02-12 M・S・K株式会社 遭難者捜索救助支援システム、遭難者捜索救助支援方法、救難タグ、救命具、遠隔管理システム、遠隔管理方法および管理タ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350A (ko) * 2014-11-06 2016-05-16 동강엠텍(주) 조난신호 발생장치
TW201722903A (zh) 2015-12-18 2017-07-01 陶氏全球科技責任有限公司 用於純化甲基丙烯酸甲酯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6178A (ja) * 2018-11-09 2021-02-12 M・S・K株式会社 遭難者捜索救助支援システム、遭難者捜索救助支援方法、救難タグ、救命具、遠隔管理システム、遠隔管理方法および管理タグ
JP2020142671A (ja) * 2019-03-07 2020-09-1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救命具射出ドローンおよび水難救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840A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1158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search and rescue system
US10668997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search and rescue system
US9443207B2 (en) Water area management system
US9223027B1 (en) Rescue method and system for an overboard passenger
KR101812487B1 (ko) 드론을 이용한 해상 인명구조시스템
KR101927983B1 (ko) 인명 구조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조난 구조 시스템
KR102128677B1 (ko) 해상 추진 무인비행장치
US119520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scue mission assistance
JP2014097785A5 (ko)
CN111953937B (zh) 落水人员救生系统及落水人员救生方法
KR20150071472A (ko) 무인 수상 구조 로봇과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및 방법
JP6594607B2 (ja) 捜索システム
US20230150625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Search and Rescue System
KR20160048737A (ko) 간편운전기능을 가지는 인명구조, 환경감시용 드론
KR20200106278A (ko) 해상 조난자 위치 발신 장치 및 수색용 드론 운용 시스템
KR102055583B1 (ko)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조난자 구조신호 관제시스템
Ajgaonkar et al. Development of a Lifeguard assist Drone for coastal search and rescue
KR102612750B1 (ko) 구명동의 및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탐색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70351B1 (ko) 선상에서 추락한 조난자를 위한 해상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119204B1 (ko)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
KR101942020B1 (ko) 군집통신 기반의 부표용 riu 시스템
KR20230108841A (ko) 해양사고에 따른 구명동의 추적 네트워크 시스템
KR102373707B1 (ko) 수상 인명 구조용 드론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455865B1 (ko) 자동 발사형 구명 장치
CN114348264B (zh) 一种基于海洋环境的无人机搜救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