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661B1 - 에어 면취기 - Google Patents

에어 면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661B1
KR101789661B1 KR1020160104802A KR20160104802A KR101789661B1 KR 101789661 B1 KR101789661 B1 KR 101789661B1 KR 1020160104802 A KR1020160104802 A KR 1020160104802A KR 20160104802 A KR20160104802 A KR 20160104802A KR 101789661 B1 KR101789661 B1 KR 101789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ing
coupled
cut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삼
Original Assignee
(주)신일프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프리노스 filed Critical (주)신일프리노스
Priority to KR102016010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043Accessories for spind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02Use of a particular power source
    • B23C2270/025Hydraul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02Driving working spindles
    • B23Q2705/04Driving working spindles by fluid pressure

Abstract

본 개시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구동부로 분진, 절삭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 면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면취기는 일측 단부에 복수개의 에어 배출홀이 형성된 제1 보디와, 제1 보디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에어 호스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제2 보디와, 제1 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터부와, 제1 보디의 일측 외주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커터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면취기{Rounding and Chamfering device}
본 개시는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을 라운딩 또는 모따기 가공하는 에어 면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을 라운딩 가공하거나 모따기 가공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에어공구를 이용한 면취기는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공구의 헤드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삽입설치되는 회전축의 하단에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을 절삭가공하는 회전커터가 가이드베어링이 구비된 커터고정볼트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헤드부의 하단에는 중앙에 축삽입공이 관통형성된 회전마운트가 나사결합되며, 회전마운트의 하부에는 중앙에 통공이 관통형성된 원판형상의 지지가이드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에어공구를 이용한 면취기는, 헤드부의 하단에 나사결합된 회전마운트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지지가이드판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커터의 절삭높이를 가공치수에 맞게 조절하여 셋팅을 완료한 후, 피가공물의 상면에 지지가이드판의 하면 일측이 면접촉되도록 하는 동시에 피가공물의 측면에 회전커터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베어링이 접촉되도록 하고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에 회전커터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절삭날부가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에어공구를 구동시켜 모서리방향으로 천천히 이동시킴으로써,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커터의 절삭날부에 의해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을 용이하게 라운딩 가공하거나 모따기 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공구를 이용한 면취기는 면취작업시 발생되는 분진, 절삭칩 등이 헤드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의 구동부위 내측으로 유입됨으로써 회전축의 구동부위를 마모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축에 헤드부가 수직으로 장착되는 베벨기어에 의한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부품 수가 많아 가격상승의 요인이 됨은 물론 동력전달에 있어서도 구조가 복잡하여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65734호(2006.12.29)
본 개시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구동부로 분진, 절삭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 면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의한 에어 면취기는 일측 단부에 복수개의 에어 배출홀이 형성된 제1 보디와, 제1 보디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에어 호스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제2 보디와, 제1 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터부와, 제1 보디의 일측 외주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커터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는 제1 보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복수개의 에어 배기홀이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끼움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샤프트가 관통 설치된 로터와, 복수개의 끼움홈에 삽입되어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샤프트의 일단에 끼워져 케이싱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론트 플레이트와, 샤프트의 타단에 끼워져 케이싱의 후방에 결합되고, 소정 위치에 에어 유입홀이 형성된 리어 플레이트와, 샤프트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제1 보디의 내주면 소정 위치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리브와 면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베어링이 구비된 공구척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커터부는 공구척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부에 삽입, 고정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삭날부가 형성된 회전커터와, 회전커터의 상부면에 위치되게 끼움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베어링과, 끼움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결합되어 회전커터와 가이드베어링이 끼움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는 제1 보디의 일측 외주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구와, 체결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체결구의 내주면 일부분에는 관통홀을 향해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속되는 경사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구동부로 분진, 절삭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면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 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보디와 구동부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 보디와 지지부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면취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면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 선의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에어 면취기(100)는 도 2를 참조하면, 제1 보디(110), 제2 보디(120), 구동부(130), 커터부(140), 지지부(150)로 구성된다.
제1 보디(1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에어 배출홀(110a)이 형성되고, 제1 보디(110)의 내주면 소정 위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리브(110b)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리브(110b) 사이에는 공간부(S)가 형성되는데, 이 공간부(S)는 복수개의 에어 배출홀(110a)과 연결된다.
또한, 제1 보디(11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112)와 제1 보디(110)의 결합구조는 제1 보디(11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체결홀(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체결홀에 손잡이(112)를 결합하거나, 제1 보디(112)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클램프(114)를 설치하고, 클램프(114)의 외주면에 체결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손잡이(112)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보디(120)는 제1 보디(110)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에어 호스(미도시)와 연결되는 연결부(122)가 구비된다. 연결부(122)는 에어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제2 보디(120)와 제1 보디(110)의 내부에 공급되게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보디와 구동부의 결합 단면도이다.
구동부(130)는 제1 보디(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 보디(120)의 연결부(122)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커터부(140)를 구동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케이싱(132), 프론트 플레이트(133), 로터(134), 리어 플레이트(135), 복수개의 블레이드(136), 공구척(138)으로 구성된다.
케이싱(132)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보디(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복수개의 에어 배기홀(132a)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배기홀(132a)은 연결부(122)를 통해 제1 보디(110)의 내부로 공급된 에어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레이트(135)에 형성된 에어 유입홀(135a)을 통해 케이싱(132)의 내부로 공급되어 블레이드(136)와 부딪혀 로터(134)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킨 다음 제1 보디(110)의 내주면을 향해 배출되게 한다.
복수개의 배기홀(132a)을 통해 제1 보디(110)의 내주면을 향해 배출된 에어는 전술한 공간부(S)로 이동한 다음 복수개의 에어 배출홀(110a)을 통해 제1 보디(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케이싱(132)의 양단부 내주면에는 케이싱(132)의 내부에 구비된 중공부(132b)와 연결되는 한 쌍의 홈부(132c)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한 쌍의 홈부(132c)는 케이싱(132)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홀(132d)을 통해 상호 연통된다.
이는 연결부(122)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가 후술하는 리어 플레이트(135)에 형성된 에어 유입홀(135a)을 통해 한 쌍의 홈부(132c) 중 어느 하나의 홈부에 공급될 때 그 일부가 연결홀(132d)을 통해 나머지 홈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로터(134)의 상부와 하부에 동시에 에어가 공급되게 한다.
즉, 로터(134)를 회전시키는 블레이드(136)의 상부와 하부에 에어가 동시에 공급되기 때문에 로터(134)의 회전력이 증가된다.
로터(134)는 케이싱(13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끼움홈(134a)이 일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샤프트(134b)가 관통 설치된다.
복수개의 블레이드(136)는 연결부(122)를 통해 제1 보디(110)의 내부로 공급되어 후술하는 리어 플레이트(135)에 형성된 에어 유입홀(135a)을 통과한 후 케이싱(132)의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와 부딪혀 로터(134)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끼움홈(134a)에 삽입된다.
프론트 플레이트(133)는 샤프트(134b)의 일단에 끼워져 케이싱(132)의 전방에 결합된다.
리어 플레이트(135)는 샤프트(134b)의 타단에 끼워져 케이싱(132)의 후방에 결합되는 된다.
또한, 리어 플레이트(135)의 원주면 소정 위치에는 제2 보디(120)에 구비된 연결부(122)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가 케이싱(132)의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에어 유입홀(135a)이 두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33, 135)는 케이싱(13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터(134)가 회전될 때 축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게 로터(134)의 중심부에 관통 설치된 샤프트(134b)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내부에는 샤프트(134b)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다.
공구척(138)은 로터(134)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샤프트(134b)의 일단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공구척(138)의 외주면에는 제1 보디(110)의 내주면 소정 위치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리브(110b)에 면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베어링(138a)이 구비된다.
여기서, 지지베어링(138a)이 복수개의 지지리브(110b)에 면결합되는 것은 공구척(138)이 로터(134)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때 축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커터부(140)는 공구척(138)의 단부에 결합되어 공구척(138)과 함께 회전되면서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을 라운딩 가공하거나 모따기 가공한다.
이러한, 커터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척(138)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부(138b)에 삽입, 고정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삭날부(142a)가 형성된 회전커터(142)와, 회전커터(142)의 상부면에 위치되게 끼움부(138b)에 삽입되는 가이드베어링(144)과, 끼움부(138b)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홀(H)에 결합되어 회전커터(142)와 가이드베어링(138a)이 끼움부(138b)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고정볼트(146)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베어링(144)은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과 인접된 측면에 접촉, 지지되어 회전커터(142)가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지지부(150)는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과 인접된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을 라운딩 또는 모따기 가공하는 커터부(140)의 면취 가공을 돕는 것으로서, 제1 보디(110)의 일측 외주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커터부(14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15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150)는 제1 보디(110)의 일측 외주면 소정 위치에 나사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관통홀(152a)이 형성된 체결구(152)와, 체결구(1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플레이트(154)로 이루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구(152)의 내주면 일부분에는 관통홀(152a)을 향해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속되는 경사부(152b)가 형성되는데, 이 경사부(152b)는 제1 보디(1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에어 배출홀(110a)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가 회전커터(142)로 공급되게 안내한다.
즉, 경사부(152b)를 통해 안내되어 회전커터(142)로 공급되는 에어는 회전커터(142)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면취 가공시 발생되는 분진, 절삭칩 등이 구동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체결구(152)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제1 보디(110)에 나사 결합된 체결구(152)가 제1 보디(110)로부터 풀리지 않게 하는 잠금볼트(B)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면취기의 작동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과 인접된 상면에 지지부(150)를 접촉, 지지하고, 커터부(140)의 회전커터(142)가 모서리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커터부(140)의 가이드베어링(144)은 피가공물의 모서리부분과 인접된 측면에 접촉, 지지된다.
이후, 제2 보디(120)의 타측에 구비된 연결부(122)를 통해 제1 보디(110)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면, 공급된 에어는 구동부(130)의 리어 플레이트(135)에 형성된 에어 유입홀(135a)을 통해 케이싱(132)의 내부로 공급된다.
에어 유입홀(135a)을 통해 케이싱(132)의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로터(134)에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홈(134a)에 삽입된 블레이드(136)와 부딪혀 로터(134)를 회전시킨 후, 케이싱(132)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에어 배기홀(132a)을 통해 제1 보디(110)의 내부로 배출된다.
제1 보디(110)의 내부로 배출된 에어는 제1 보디(110)의 내주면 소정 위치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리브(110b)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를 통해 제1 보디(1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에어 배출홀(110a)을 통해 제1 보디(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복수개의 에어 배출홀(110a)을 통해 제1 보디(110)의 외부로 배출된 에어는 지지부(150)의 체결구(152)의 내주면에 일부분에 형성된 경사부(152b)를 따라 안내되어 이동한 후 관통홀(152a)을 통해 커터부(140)의 회전커터(142)를 향해 배출되어, 회전커터(142)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면취 가공시 발생되는 분진, 절삭칩 등이 구동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1 보디
112; 손잡이
114; 클램프
120; 제2 보디
122; 연결부
130; 구동부
132; 케이싱
133; 프론트 플레이트
134; 로터
135; 리어 플레이트
136; 블레이드
138; 공구척
140; 커터부
142; 회전커터
144; 가이드베어링
146; 고정볼트
150; 지지부
152; 체결구
154; 지지플레이트

Claims (6)

  1. 일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에어 배출홀이 형성된 제1 보디;
    상기 제1 보디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에어 호스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제2 보디;
    상기 제1 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터부; 및,
    상기 제1 보디의 일측 외주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커터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보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복수개의 에어 배기홀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끼움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샤프트가 관통 설치된 로터;
    상기 복수개의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끼워져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끼워져 상기 케이싱의 후방에 결합되고, 소정 위치에 에어 유입홀이 형성된 리어 플레이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보디의 내주면 소정 위치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리브와 면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의 지지베어링이 구비된 공구척;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양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된 중공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홈부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홈부는 상기 케이싱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홀을 통해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면취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상기 공구척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부에 삽입, 고정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절삭날부가 형성된 회전커터와, 상기 회전커터의 상부면에 위치되게 상기 끼움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베어링과, 상기 끼움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커터와 상기 가이드베어링이 상기 끼움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면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보디의 일측 외주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구의 내주면 일부분에는 상기 관통홀을 향해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속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면취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디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면취기.
KR1020160104802A 2016-08-18 2016-08-18 에어 면취기 KR101789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02A KR101789661B1 (ko) 2016-08-18 2016-08-18 에어 면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02A KR101789661B1 (ko) 2016-08-18 2016-08-18 에어 면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661B1 true KR101789661B1 (ko) 2017-10-25

Family

ID=6029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802A KR101789661B1 (ko) 2016-08-18 2016-08-18 에어 면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6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5531B1 (ja) * 2021-08-23 2022-11-21 株式会社信濃製作所 面取り機
KR102546147B1 (ko) * 2022-03-18 2023-06-21 김수영 철판용 에어면취기
KR102591273B1 (ko) * 2022-10-25 2023-10-19 대한민국 수중 작업용 에어 그라인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5531B1 (ja) * 2021-08-23 2022-11-21 株式会社信濃製作所 面取り機
KR102546147B1 (ko) * 2022-03-18 2023-06-21 김수영 철판용 에어면취기
KR102591273B1 (ko) * 2022-10-25 2023-10-19 대한민국 수중 작업용 에어 그라인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8152B1 (en) Accessory attachment for rotary hand tools
KR101789661B1 (ko) 에어 면취기
US4461195A (en) Multi-machine cutter holder
JP5015823B2 (ja) 保持装置若しくは緊締装置における駆動軸とスピンドルとの間の連結装置
KR100888041B1 (ko) 툴 조립체
US20090044674A1 (en) Cutting tool
KR101498685B1 (ko) 면취용 커터
ATE359142T1 (de) Auswerfeinheit für werkzeugmaschine
KR20190001137A (ko) 공작 기계의 앵글 헤드
TWI469837B (zh) Composite function side milling cutter seat
KR20160070961A (ko) 지그 장치 및 홀 가공방법
US3119304A (en) Air operated tool
KR102217335B1 (ko) 건드릴 머신의 숏드릴 연결구조
CN111015083B (zh) 一种离合器助力器壳体的加工工艺
JP2015521959A (ja) 面取り加工/開先加工工具−金属用ルータヘッド
KR101487544B1 (ko) 연마 가공을 위한 소재 고정지그
KR101477110B1 (ko) 대상물 이중 절삭 장치
JP2002000037A (ja) 伝動装置ヘッド
KR960010552B1 (ko) 전삭공구의 칩 배출기구
CN219837183U (zh) 带旋转刀架的车床
JPH07227709A (ja) 切削加工装置
JP5629185B2 (ja) 切削用ホルダ及び切削装置
KR101953511B1 (ko) 절단기
KR20150042462A (ko) 공작 기계의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
JPH07195251A (ja) エンドミル加工における切屑吸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