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684B1 -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684B1
KR101787684B1 KR1020170062041A KR20170062041A KR101787684B1 KR 101787684 B1 KR101787684 B1 KR 101787684B1 KR 1020170062041 A KR1020170062041 A KR 1020170062041A KR 20170062041 A KR20170062041 A KR 20170062041A KR 101787684 B1 KR101787684 B1 KR 101787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support
support bar
conveying table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환
Original Assignee
곽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상환 filed Critical 곽상환
Priority to KR1020170062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 B23B5/12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for peeling bars or tubes by making use of cutting bits arranged around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23B13/126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013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B2215/72Tub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Abstract

본 발명은 관부재의 외주면을 가공할 때, 가공유닛에 의해 관부재가 일측으로 밀려서 관부재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는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E)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는 관부재(1)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F)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수단(F)은 상기 본체(A)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1 이송대(10)와, 상기 제1 이송대(10)에 연결되어 제1 이송대(10)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측방향위치조절수단(20)과, 상기 제1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2 이송대(30)와, 상기 제2 이송대(30)에 연결되어 제2 이송대(30)가 전후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40)과, 상기 제2 이송대(3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바(50)와, 상기 지지바(5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는 지지휠(54)로 구성되어, 상기 가공유닛(D)을 이용하여 관부재(1)의 외주면을 절삭할 때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어 관부재(1)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가공유닛(D)으로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할 때, 관부재(1)의 중간부가 전방으로 밀려 관부재(1)의 외주면을 정확히 가공하지 못하게 되거나, 관부재(1)가 진동하여 관부재(1) 또는 상기 가공유닛(D)의 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pipe surface fin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관부재의 외주면을 가공할 때, 가공유닛에 의해 관부재가 일측으로 밀려서 관부재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미사일의 몸체는 길이가 길고 지름이 작은 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관부재는 외경이 일정하게 가공된다.
이와 같이, 관부재의 외경이 일정해지도록 관부재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데 사용되는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일단을 고정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척(B)과, 상기 본체(A)의 타측에 상기 척(B)쪽으로 위치조절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척(B)에 의해 회전되는 관부재(1)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대(C)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관부재(1)의 후측 둘레면에 밀착되어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가공유닛(D)과, 상기 척(B)과 지지대(C) 및 가공유닛(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A)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부재(1)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되어 회전된다.
상기 가공유닛(D)은 상기 본체(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시 안된 구동수단에 의해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는 것으로,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툴과 상기 툴의 전후 및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툴을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관부재(1)의 후측면에 밀착시켜 관부재(1)를 절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E)은 작업자가 작업시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4)이 구비된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관부재(1)의 양단을 고정한 후, 상기 입력수단(4)을 조작하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척(B)과 지지대(C) 및 가공유닛(D)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관부재(1)의 둘레면을 정해진 형상으로 가공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는 상기 가공유닛(D)에 구비된 툴을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관부재(1)의 후측면에 밀착시켜 관부재(1)를 가공함으로, 소형 미사일의 몸체와 같이, 지름이 작고 길이가 긴 관부재(1)를 가공할 경우, 관부재(1)의 후측면에 밀착되는 툴에 의해 관부재(1)가 전방쪽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툴을 이용하여 관부재(1)의 외주면을 정확한 형태로 가공하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회전되는 관부재(1)가 진동을 하여, 관부재(1)나 툴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34655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부재의 외주면을 가공할 때, 가공유닛에 의해 관부재가 일측으로 밀려서 관부재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일단을 고정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척(B)과, 상기 본체(A)의 타측에 상기 척(B)쪽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척(B)에 의해 회전되는 관부재(1)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대(C)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관부재(1)의 후측 둘레면에 밀착되어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가공유닛(D)과, 상기 척(B)과 지지대(C) 및 가공유닛(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포함하며, 상기 가공유닛(D)은 상기 본체(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며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툴과 상기 툴의 전후 및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툴을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관부재(1)의 후측면에 밀착시켜 관부재(1)를 절삭할 수 있도록 된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E)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는 관부재(1)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F)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F)은 상기 본체(A)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1 이송대(10)와, 상기 제1 이송대(10)에 연결되어 제1 이송대(10)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측방향위치조절수단(20)과, 상기 제1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2 이송대(30)와, 상기 제2 이송대(30)에 연결되어 제2 이송대(30)가 전후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40)과, 상기 제2 이송대(3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바(50)와, 상기 지지바(5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는 지지휠(54)을 포함하여, 상기 가공유닛(D)을 이용하여 관부재(1)의 외주면을 절삭할 때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어 관부재(1)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따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휠(54)이 상기 관부재(1)의 전면 중에서 상기 가공유닛(D)에 의해 가공된 부위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수단(F)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50)는 상기 제2 이송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1 지지바(51)와, 상기 제1 지지바(51)에 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부에 상기 지지휠(54)이 구비되는 제2 지지바(52)와, 상기 제1 지지바(51)와 제2 지지바(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바(52)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휠(54)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 지지바(52)가 탄성적으로 전방쪽으로 밀리면서 지지휠(54)에 가해진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가 제공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바(52)에 구비되어 제2 지지바(52)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60)과, 상기 제2 지지바(52)의 후단부에 상기 관부재(1)의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80)과, 급기관(91)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8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8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0)과, 상기 급기관(9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관(91)을 통해 분사노즐(80)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급기제어밸브(100)와, 상기 제어수단(E)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수단(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휠(54)과 제2 지지바(52)에 진동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기제어밸브(100)를 개방하여 상기 급기수단(90)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분사노즐(80)을 통해 관부재(1)의 둘레부로 분사되어 관부재(1)의 둘레면에 부착된 칩을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급기제어밸브(100)가 개방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진동감지수단(60)에 지속적으로 진동이 감지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관부재(1)가 진동하거나 관부재(1)의 가공에 오차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110)을 구동시키고 상기 척(B)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유닛(D)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관부재(1)의 가공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바(51)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바(52)가 후방으로 밀리면 이를 감지하는 후퇴감지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감지수단(60)과 상기 후퇴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감지수단(60)에는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후퇴감지수단(70)에 상기 제2 지지바(52)가 후퇴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관부재(1)의 가공에 오차가 발생된 것을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110)을 구동시키고 상기 척(B)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유닛(D)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관부재(1)의 가공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지지바(5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후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1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바(52)는 후단부가 상기 제1 지지바(5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상기 걸림턱(51a)의 전면에 밀착되는 돌출턱(52a)이 형성되며, 상기 후퇴감지수단(70)은 상기 제1 지지바(51)에 상기 걸림턱(51a)의 전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바(52)의 돌출턱(52a)에 의해 밀폐되는 급기구(71) 및 배기구(72)와, 상기 급기수단(90)과 상기 급기구(71)를 연결하는 보조급기관(73)과, 상기 보조급기관(7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급기관(73)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는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E)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는 관부재(1)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F)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수단(F)은 상기 본체(A)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1 이송대(10)와, 상기 제1 이송대(10)에 연결되어 제1 이송대(10)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측방향위치조절수단(20)과, 상기 제1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2 이송대(30)와, 상기 제2 이송대(30)에 연결되어 제2 이송대(30)가 전후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40)과, 상기 제2 이송대(3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바(50)와, 상기 지지바(5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는 지지휠(54)로 구성되어, 상기 가공유닛(D)을 이용하여 관부재(1)의 외주면을 절삭할 때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어 관부재(1)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가공유닛(D)으로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할 때, 관부재(1)의 중간부가 전방으로 밀려 관부재(1)의 외주면을 정확히 가공하지 못하게 되거나, 관부재(1)가 진동하여 관부재(1) 또는 상기 가공유닛(D)의 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일단을 고정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척(B)과, 상기 본체(A)의 타측에 상기 척(B)쪽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척(B)에 의해 회전되는 관부재(1)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대(C)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관부재(1)의 후측 둘레면에 밀착되어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가공유닛(D)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가공유닛(D)은 상기 본체(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시 안된 구동수단에 의해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는 것으로,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툴과 상기 툴의 전후 및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툴을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관부재(1)의 후측면에 밀착시켜 관부재(1)를 절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작업자가 작업시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4)이 구비된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관부재(1)의 양단을 고정한 후, 상기 입력수단(4)을 조작하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척(B)과 지지대(C) 및 가공유닛(D)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관부재(1)의 둘레면을 정해진 형상으로 가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가공유닛(D)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관부재(1)를 지지대(C)쪽 단부(도면의 경우 관부재(1)의 우측단부)로부터 척(B)쪽(도면의 경우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관부재(1)의 둘레면을 가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A)에는 상기 제어수단(E)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는 관부재(1)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F)이 구비되어, 상기 가공유닛(D)을 이용하여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할 때 관부재(1)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수단(F)은 상기 본체(A)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1 이송대(10)와, 상기 제1 이송대(10)에 연결되어 제1 이송대(10)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측방향위치조절수단(20)과, 상기 제1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2 이송대(30)와, 상기 제2 이송대(30)에 연결되어 제2 이송대(30)가 전후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40)과, 상기 제2 이송대(3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바(50)와, 상기 지지바(50)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는 지지휠(54)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A)에는 상기 척(B)과 지지대(C)의 전방 하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레일(2)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대(10)는 사각의 블록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측방향위치조절수단(20)은 상기 가이드레일(2)과 평행을 이루도록 양단이 상기 본체(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리드스크류(21)와, 상기 리드스크류(21)에 연결되어 리드스크류(21)를 정확한 각도로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리드스크류(21)는 중간부가 상기 제1 이송대(10)를 양측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2)로 상기 리드스크류(21)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류(21)의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이송대(10)가 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절된다.
상기 제2 이송대(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이송대(10)의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40)은 상기 제1 이송대(1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중간부가 상기 제2 이송대(3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리드스크류(41)와, 상기 리드스크류(41)에 연결된 구동모터(42)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42)로 리드스크류(41)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제2 이송대(30)가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된다.
상기 지지바(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대(3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1 지지바(51)와, 상기 제1 지지바(51)에 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부에 상기 지지휠(54)이 구비되는 제2 지지바(52)와, 상기 제1 지지바(51)와 제2 지지바(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바(52)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로 구성된다.
제1 지지바(5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후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바(52)는 후단부가 상기 제1 지지바(5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상기 걸림턱(51a)의 전면에 밀착되는 돌출턱(52a)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결합공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지지바(52)의 돌출턱(52a)이 상기 제1 지지바(51)의 걸림턱(51a)에 걸리도록 후방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관부재(1)의 전면에 상기 지지휠(54)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휠(54)에 진동이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2 지지바(52)가 탄성적으로 후퇴하면서 상기 지지휠(54)에 가해진 진동이나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휠(54)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측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제2 지지바(52)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대(3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관부재(1) 중심축의 전방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관부재(1)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관부재(1)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수단(F)의 제1 이송대(10)는 본체(A)의 지지대(C)쪽(도면의 우측)으로 후퇴되고, 상기 제2 이송대(30)는 전방으로 후퇴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관부재(1)를 고정한 후, 상기 제어수단(E)의 입력수단(4)을 조작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E)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가공유닛(D)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관부재(1)를 지지대(C)쪽 단부(도면의 경우 관부재(1)의 우측단부)로부터 척(B)쪽으로 이동하면서 관부재(1)의 둘레면을 가공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상기 가공유닛(D)이 관부재(1)를 가공하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수단(F)의 작동을 제어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공유닛(D)에 의해 관부재(1)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E)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휠(54)이 상기 관부재(1)의 전면 중에서 상기 가공유닛(D)에 의해 가공된 부위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수단(F)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공유닛(D)은 상기 관부재(1)의 우측단부로 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관부재(1)의 둘레면을 가공함으로,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휠(54)이 상기 가공유닛(D)에 구비된 툴이 관부재(1)에 밀착되어 관부재(1)를 가공하는 위치에 비해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관부재(1)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휠(54)이 상기 관부재(1)를 후방으로 밀지 않고 지지휠(54)의 둘레면이 상기 관부재(1)의 가공된 부위의 전면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휠(54)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즉, 관부재(1)의 경우, 가공되기 전에는 둘레면의 형상에 오차가 있어서, 지지휠(54)을 관부재(1)의 둘레면에 정확히 밀착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나, 상기 관부재(1)의 가공된 부위의 경우, 오차가 거의 없이 가공됨으로, 상기 제2 이송대(30)의 전후방향 위치를 정확히 조절함으로서,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의 둘레면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유닛(D)이 점차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수단(F)의 지지휠(54) 역시 점차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관부재(1)의 전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공유닛(D)이 관부재(1)의 가공을 완료하면, 상기 제어수단(E)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유닛(D)과 지지수단(F)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는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E)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는 관부재(1)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F)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수단(F)은 상기 본체(A)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1 이송대(10)와, 상기 제1 이송대(10)에 연결되어 제1 이송대(10)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측방향위치조절수단(20)과, 상기 제1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2 이송대(30)와, 상기 제2 이송대(30)에 연결되어 제2 이송대(30)가 전후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40)과, 상기 제2 이송대(3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바(50)와, 상기 지지바(5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는 지지휠(54)로 구성되어, 상기 가공유닛(D)을 이용하여 관부재(1)의 외주면을 절삭할 때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어 관부재(1)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가공유닛(D)으로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할 때, 관부재(1)의 중간부가 전방으로 밀려 관부재(1)의 외주면을 정확히 가공하지 못하게 되거나, 관부재(1)가 진동하여 관부재(1) 또는 상기 가공유닛(D)의 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휠(54)이 상기 관부재(1)의 전면 중에서 상기 가공유닛(D)에 의해 가공된 부위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수단(F)의 작동을 제어함으로, 상기 지지수단(F)의 지지휠(54)이 상기 관부재(1)의 둘레면에 정확히 밀착되어, 상기 관부재(1)가 지지휠(54)에 의해 상기 가공유닛(D)쪽으로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관부재(1)는 외주면이 가공되기 전에는 둘레면의 형태에 오차가 발생됨으로,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의 가공되지 않은 부위에 밀착될 경우, 지지휠(54)에 의해 관부재(1)가 후방, 즉, 상기 가공유닛(D)쪽으로 밀리게 되거나, 지지휠(54)이 관부재(1)에 정확히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공유닛(D)을 이용하여 관부재(1)를 가공할 때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지지휠(54)은 관부재(1)의 전면 중에서 상기 가공유닛(D)에 의해 가공된 부위의 전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를 후방으로 밀지 않도록 정확히 밀착되어 관부재(1)가 전방으로 밀리지만 않도록 정확히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50)는 상기 제2 이송대(3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1 지지바(51)와, 상기 제1 지지바(51)에 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부에 상기 지지휠(54)이 구비되는 제2 지지바(52)와, 상기 제1 지지바(51)와 제2 지지바(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바(52)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휠(54)이 칩에 걸리는 등의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지지휠(54)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 지지바(52)가 탄성적으로 전방쪽으로 밀리면서 지지휠(54)에 가해진 외력을 흡수함으로서, 상기 관부재(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부재(1)의 외주면에 관부재(1)를 가공할 때 발생되는 칩이 부착되어, 상기 지지휠(54)이 칩을 타고 넘는 등의 상황에서 상기 지지휠(54)이나 관부재(1)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 지지바(52)에 구비되어 제2 지지바(52)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60)과, 상기 제1 지지바(51)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바(52)가 후방으로 밀리면 이를 감지하는 후퇴감지수단(70)과, 상기 제2 지지바(52)의 후단부에 상기 관부재(1)의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80)과, 급기관(91)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8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8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0)과, 상기 급기관(9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관(91)을 통해 분사노즐(80)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급기제어밸브(100)와, 상기 제어수단(E)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수단(1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진동감지수단(60)은 상기 제2 지지바(52)에 구비된 진동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휠(54)에 진동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한다.
상기 후퇴감지수단(70)은 도 12와 도 1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바(51)에 상기 걸림턱(51a)의 전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바(52)의 돌출턱(52a)에 의해 밀폐되는 급기구(71) 및 배기구(72)와, 상기 급기수단(90)과 상기 급기구(71)를 연결하는 보조급기관(73)과, 상기 보조급기관(7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급기관(73)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74)로 구성된다.
이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바(52)가 탄성부재(53)에 의해 전진된 상태에는 상기 돌출턱(52a)이 상기 걸림턱(51a)의 전면에 밀착되어 급기구(71)와 배기구(72)를 밀폐함으로, 상기 보조급기관(7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급기구(71)를 통해 제1 지지바(51)의 내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급기관(73) 내부의 기압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바(52)가 전방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돌출턱(52a)이 상기 걸림턱(51a)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급기구(71)와 배기구(72)가 개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급기관(73) 내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구(71)와 배기구(7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상기 보조급기관(73) 내부의 기압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기압센서(74)로 상기 보조급기관(73) 내부의 기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제2 지지바(52)가 전방으로 밀렸을 때, 이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급기수단(90)은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공급하는 일반적인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상기 급기제어밸브(100)는 상기 급기관(9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E)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급기관(91)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다.
상기 경보수단(110)은 상기 제어수단(E)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경광과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휠(54)과 제2 지지바(52)에 진동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제어밸브(100)를 개방하여 상기 급기수단(90)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분사노즐(80)을 통해 관부재(1)의 둘레부로 분사되어 관부재(1)의 둘레면에 부착된 칩을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급기제어밸브(100)가 개방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진동감지수단(60)에 지속적으로 진동이 감지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관부재(1)가 진동하거나 관부재(1)의 가공에 오차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110)을 구동시키고 상기 척(B)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유닛(D)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관부재(1)의 가공을 정지시킨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공유닛(D)을 이용하여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할 때는 상기 관부재(1)는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됨으로, 상기 관부재(1)가 일정한 원을 이루도록 가공되지 못하거나, 관부재(1)가 알 수 없는 이유에 의해 진동할 경우, 그리고, 상기 관부재(1)에 칩이 부착된 경우, 상기 관부재(1)에 밀착된 지지휠(54)에 진동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휠(54)을 통해 제2 지지바(52)에 진동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E)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제어밸브(100)를 개방하여 상기 분사노즐(80)을 통해 상기 관부재(1)의 둘레부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관부재(1)에 부착된 칩을 제거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관부재(1)의 둘레부로 공기가 분사된 후에도 상기 제2 지지바(52)에 진동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관부재(1)에 칩이 부착된 것이 아니라, 관의 가공에 오차가 발생되거나, 알 수 없는 이유로 관부재(1)가 진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110)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고, 상기 척(B)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유닛(D)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관부재(1)의 가공을 정지시킴으로써, 관부재(1) 또는 가공유닛(D)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진동감지수단(60)에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퇴감지수단(70)에 제2 지지바(52)가 후퇴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관부재(1)가 정확한 치수로 가공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110)을 구동시키고 상기 척(B)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유닛(D)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관부재(1)의 가공을 정지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가공유닛(D)을 유지보수하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수단(F)은 상기 지지휠(54)이 가공된 관부재(1)의 둘레면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위치조절됨으로, 관부재(1)가 정확한 치수로 가공된 경우, 상기 제2 지지바(52)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반대로,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에 밀착되도록 할 때, 제2 지지바(52)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것은 상기 가공유닛(D)에 구비된 툴의 마모 등에 의해 상기 관부재(1)가 정확한 치수보다 크게 가공되지 못한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감지수단(60)에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퇴감지수단(70)에 제2 지지바(52)가 후퇴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관부재(1)가 정확한 치수로 가공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110)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고, 상기 척(B)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유닛(D)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관부재(1)의 가공을 정지시킴으로써, 관부재(1) 또는 가공유닛(D)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는 상기 진동감지수단(60)과 후퇴감지수단(70)을 이용하여, 관부재(1)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을 정지시킴으로써, 관부재(1)가 진동되거나 관부재(1)의 가공에 오차가 발생된 상태에서 관부재(1)의 가공을 지속하여, 최종적으로 불량품이 생산되거나, 관부재(1) 또는 가공유닛(D)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진동감지수단(60)에 진동이 감지될 경우, 분사노즐(80)을 통해 관부재(1)의 둘레부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칩을 제거함으로서, 관부재(1)에 부착된 칩에 의해 진동감지수단(60)에 진동이 감지할 경우에 불필요하게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지지바(5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후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1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바(52)는 후단부가 상기 제1 지지바(5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상기 걸림턱(51a)의 전면에 밀착되는 돌출턱(52a)이 형성되며, 상기 후퇴감지수단(70)은 상기 제1 지지바(51)에 상기 걸림턱(51a)의 전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바(52)의 돌출턱(52a)에 의해 밀폐되는 급기구(71) 및 배기구(72)와, 상기 급기수단(90)과 상기 급기구(71)를 연결하는 보조급기관(73)과, 상기 보조급기관(7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급기관(73)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74)로 구성됨으로, 상기 제2 지지바(52)가 조금만 전방으로 밀리더라도 이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본체 B. 척
C. 지지대 D. 가공유닛
E. 제어유닛 F. 지지수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관부재(1)의 일단을 고정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척(B)과,
    상기 본체(A)의 타측에 상기 척(B)쪽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척(B)에 의해 회전되는 관부재(1)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대(C)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관부재(1)의 후측 둘레면에 밀착되어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가공유닛(D)과,
    상기 척(B)과 지지대(C) 및 가공유닛(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포함하며,
    상기 가공유닛(D)은 상기 본체(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며 관부재(1)의 외주면을 가공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툴과 상기 툴의 전후 및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툴을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관부재(1)의 후측면에 밀착시켜 관부재(1)를 절삭할 수 있도록 된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E)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척(B)과 지지대(C)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는 관부재(1)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F)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F)은
    상기 본체(A)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1 이송대(10)와,
    상기 제1 이송대(10)에 연결되어 제1 이송대(10)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측방향위치조절수단(20)과,
    상기 제1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2 이송대(30)와,
    상기 제2 이송대(30)에 연결되어 제2 이송대(30)가 전후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40)과,
    상기 제2 이송대(3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바(50)와,
    상기 지지바(5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비되며 상기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는 지지휠(54)을 포함하여,
    상기 가공유닛(D)을 이용하여 관부재(1)의 외주면을 절삭할 때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의 전면에 밀착되어 관부재(1)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휠(54)이 상기 관부재(1)의 전면 중에서 상기 가공유닛(D)에 의해 가공된 부위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수단(F)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지지바(50)는
    상기 제2 이송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1 지지바(51)와,
    상기 제1 지지바(51)에 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부에 상기 지지휠(54)이 구비되는 제2 지지바(52)와,
    상기 제1 지지바(51)와 제2 지지바(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바(52)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휠(54)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 지지바(52)가 탄성적으로 전방쪽으로 밀리면서 지지휠(54)에 가해진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지지바(52)에 구비되어 제2 지지바(52)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60)과,
    상기 제2 지지바(52)의 후단부에 상기 관부재(1)의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80)과,
    급기관(91)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8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8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0)과,
    상기 급기관(9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관(91)을 통해 분사노즐(80)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급기제어밸브(100)와,
    상기 제어수단(E)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수단(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휠(54)과 제2 지지바(52)에 진동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기제어밸브(100)를 개방하여 상기 급기수단(90)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분사노즐(80)을 통해 관부재(1)의 둘레부로 분사되어 관부재(1)의 둘레면에 부착된 칩을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급기제어밸브(100)가 개방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진동감지수단(60)에 지속적으로 진동이 감지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관부재(1)가 진동하거나 관부재(1)의 가공에 오차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110)을 구동시키고 상기 척(B)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유닛(D)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관부재(1)의 가공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51)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바(52)가 후방으로 밀리면 이를 감지하는 후퇴감지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지지휠(54)이 관부재(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감지수단(60)과 상기 후퇴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감지수단(60)에는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후퇴감지수단(70)에 상기 제2 지지바(52)가 후퇴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관부재(1)의 가공에 오차가 발생된 것을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110)을 구동시키고 상기 척(B)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유닛(D)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관부재(1)의 가공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제1 지지바(5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후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1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바(52)는 후단부가 상기 제1 지지바(5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상기 걸림턱(51a)의 전면에 밀착되는 돌출턱(52a)이 형성되며,
    상기 후퇴감지수단(70)은
    상기 제1 지지바(51)에 상기 걸림턱(51a)의 전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바(52)의 돌출턱(52a)에 의해 밀폐되는 급기구(71) 및 배기구(72)와,
    상기 급기수단(90)과 상기 급기구(71)를 연결하는 보조급기관(73)과,
    상기 보조급기관(7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급기관(73)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KR1020170062041A 2017-05-19 2017-05-19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KR101787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041A KR101787684B1 (ko) 2017-05-19 2017-05-19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041A KR101787684B1 (ko) 2017-05-19 2017-05-19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684B1 true KR101787684B1 (ko) 2017-10-18

Family

ID=6029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041A KR101787684B1 (ko) 2017-05-19 2017-05-19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6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697B1 (ko) * 2018-05-09 2018-07-27 곽상환 관부재 운반장치
KR102157461B1 (ko) * 2020-03-19 2020-09-17 김용석 선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5567A (ja) * 2010-05-24 2011-12-08 Okuma Corp ねじ旋削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ねじ旋削制御装置
KR101441053B1 (ko) * 2013-09-27 2014-09-17 주식회사 동화티씨에이 선반(旋盤)용 동환봉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5567A (ja) * 2010-05-24 2011-12-08 Okuma Corp ねじ旋削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ねじ旋削制御装置
KR101441053B1 (ko) * 2013-09-27 2014-09-17 주식회사 동화티씨에이 선반(旋盤)용 동환봉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697B1 (ko) * 2018-05-09 2018-07-27 곽상환 관부재 운반장치
KR102157461B1 (ko) * 2020-03-19 2020-09-17 김용석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5283B2 (en) Tool cleaning device for machine tool
KR101787684B1 (ko) 관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US11331769B2 (en) Polishing apparatus and polishing method
JP3482495B2 (ja) 工作機械及び、工作機械用潤滑剤噴出状態検出装置
US9440321B2 (en) System for positioning a workpiece on a machine worktable
US6272981B1 (en) Chip compressing apparatus
JP7193834B2 (ja) ワーク治具及びこれを備えたワーク支持システム
US5559713A (en) Chip buildup detection an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2019084563A (ja) プレス装置
JP2015104795A (ja) バイト切削装置及び高さ位置検出方法
TW201509619A (zh) 切屑去除方法及切屑去除裝置
JP2006326761A (ja) 切屑除去方法及び加工装置
JPH0631551A (ja) 部品の装着位置検査装置
KR101848025B1 (ko)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JP3495325B2 (ja) パイプ切断設備の切粉除去装置
KR101229920B1 (ko) 튜브용 쇼트피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676568B2 (ja) ドリルの異常判定装置
JP4392459B1 (ja) 丸鋸切断機
JPWO2014027464A1 (ja) 加工システムおよび加工システムにより短尺の棒状のワークを加工する方法
US6514016B1 (en) Stuck tool detector and related method
JP2003175404A (ja) ワーク供給排出装置および方法
JP2003236748A (ja) 研削装置
KR100526144B1 (ko) Rubber Mounting 자동 사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S5856095Y2 (ja) 切断機における自動上限設定装置
JP3696425B2 (ja) ダボ打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