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025B1 -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 Google Patents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025B1
KR101848025B1 KR1020170170688A KR20170170688A KR101848025B1 KR 101848025 B1 KR101848025 B1 KR 101848025B1 KR 1020170170688 A KR1020170170688 A KR 1020170170688A KR 20170170688 A KR20170170688 A KR 20170170688A KR 101848025 B1 KR101848025 B1 KR 101848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bearing unit
air
steering shaf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명자
이상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정밀
Priority to KR102017017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00Constructional modifications of parts of machines or apparatus for the purpose of 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9/00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 F16N29/04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enabling a warning to be given; enabling moving parts to be sto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1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 B05C11/1021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4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장치에 구비되는 조향축의 베어링유닛에 자동으로 그리스를 도포할 수 있도록 된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도포시스템은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가 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지그(B)와, 상기 지그(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A)에 구비되며 전후진구동수단(C)에 의해 상기 지그(B)쪽으로 전후진되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그리스도포수단(D)이 구비되며, 상기 지그(B)에는 상기 베어링유닛(1b)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20)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그(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바(21)와, 상기 슬라이드바(21)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기 스파라인부(1a)의 하측둘레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a)이 형성된 가압부재(22)와, 상기 가압부재(22)에 연결되어 가압부재(22)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되어, 상기 베어링유닛(1b)이 상기 슬라이드바(21)의 전단부에 걸리도록 제1 조향축(1)을 상기 지그(B)에 결합하면, 상기 가압부재(22)에 의해 베어링유닛(1b)이 전방으로 가압되어, 베어링유닛(1b)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으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를 도포할 때, 그리스(3)가 베어링유닛(1b)의 정확한 위치에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steering column grease sp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장치에 구비되는 조향축의 베어링유닛에 자동으로 그리스를 도포할 수 있도록 된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조향장치에는 조향휠에 연결되는 조향축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향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에 스파라인부(1a)가 형성된 제1 조향축(1)과, 상기 스파라인부(1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조향축(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조향축(1,2)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조향축 전체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에는 상기 제1 조향축(1)과 제2 조향축(2)이 원활히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베어링유닛(1b)이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조향축(1)과 제2 조향축(2)을 결합할 때는 상기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를 도포한 후, 상기 베어링유닛(1b)을 상기 제2 조향축(2)에 끼움결합한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이와 같이, 상기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장치가 개발되지 못하여, 상시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를 도포할 때는 작업자가 붓이나 수동 도포기를 이용하여 그리스를 도포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를 도포할 때는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일정한 양의 그리스를 도포하여야 하지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그리스를 도포할 경우, 그리스에 정확한 양의 그리스를 도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2484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조향장치에 구비되는 조향축의 베어링유닛에 자동으로 그리스를 도포할 수 있도록 된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것으로,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가 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지그(B)와, 상기 지그(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A)에 구비되며 전후진구동수단(C)에 의해 상기 지그(B)쪽으로 전후진되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그리스도포수단(D)을 포함하며, 상기 지그(B)에는 상기 베어링유닛(1b)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20)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그(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바(21)와, 상기 슬라이드바(21)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기 스파라인부(1a)의 하측둘레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a)이 형성된 가압부재(22)와, 상기 가압부재(22)에 연결되어 가압부재(22)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여, 상기 베어링유닛(1b)이 상기 슬라이드바(21)의 전단부에 걸리도록 제1 조향축(1)을 상기 지그(B)에 결합하면, 상기 가압부재(22)에 의해 베어링유닛(1b)이 후방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A)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1)이 구비되고,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은 상기 가이드레일(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대(26)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결합공(27a)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7a)의 중심축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중심축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대(26)에 구비된 하우징(2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27)의 결합공(27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28)과, 상기 회전축(28)에 연결되어 회전축(28)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9)와, 상기 회전축(28)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30)와, 상기 지지바(30)에 구비되며 내부에 그리스(3)가 저장되고 전단부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연장된 공급관(44)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관(44)은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선단부가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작동시 내부에 저장된 그리스(3)가 상기 공급관(44)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하는 그리스도포유닛(40)과,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에 연결되어 그리스도포유닛(40)의 내부로 그리스(3)를 공급하는 그리스공급수단(50)과, 상기 지지바(30)에 구비되며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을 작동시키는 에어실린더(60)와, 상기 에어실린더(60)에 연결되어 에어실린더(6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은 선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에는 배출구(41a)가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이 연결되는 공급공(41b)이 형성된 제1 실린더(41)와,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에 구비되며 후측면에는 상기 제1 실린더(4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실린더(60)에 연결되는 제1 피스톤로드(43)가 구비된 제1 피스톤(42)과, 상기 배출구(41a)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공급관(44)을 포함하여,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로 그리스(3)를 공급한 후,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상기 제1 피스톤(42)을 전진시키면, 제1 실린더(41) 내부의 그리스(3)가 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공급관(44)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그리스도포수단(D)을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근접되도록 전진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공급관(44)의 단부에서 그리스(3)가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29)를 구동시키면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그리스도포수단(D)이 후퇴되도록 하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그리스(3)를 도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수단(70)에 연결되어 급기수단(70)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도포된 그리스(3)의 둘레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실린더(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바(30)에 고정된 제2 실린더(61)와, 상기 제2 실린더(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실린더(61) 내부의 공간을 전방의 제1 챔버(61a)와 후방의 제2 챔버(61b)로 구획하는 제2 피스톤(62)과, 상기 제2 피스톤(62)의 전면에서 상기 제2 실린더(61)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1 피스톤로드(43)에 연결된 제2 피스톤로드(63)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수단(70)은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제1 챔버(61a)를 연결하는 제1 급기관(72)과, 상기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제2 챔버(61b)를 연결하는 제2 급기관(73)과, 상기 제2 급기관(73)에서 분기되어 상기 공기분사노즐(80)로 연결되는 분기관(74)을 포함하여, 상기 제2 급기관(73)을 통해 상기 제2 챔버(61b)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을 구동시키면 상기 분기관(74)을 통해 상기 공기분사노즐(80)로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공급관(44)을 통해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도포된 그리스(3)의 외측으로 공기가 분사하여 그리스(3)가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관(44)의 단부에 구비되어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되는 그리스(3)를 감지하는 그리스감지수단(90)과, 상기 그리스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과 전후진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29)를 구동시켜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한 후,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축소시켜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1 피스톤(42)을 후퇴시켜 상기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된 그리스(3)가 공급관(44)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고,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할 때, 상기 그리스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단부로 그리스(3)가 배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29)와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30)는 상기 회전축(28)의 전단부에 회전축(28)의 중심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치조절수단(100)에 의해 위치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이 제1 조향축(1)쪽으로 전진될 때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 또는 베어링유닛(1b)을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수단(110)과, 상기 제어수단(E)에 연결된 경보수단(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그리스도포유닛(40)을 상기 제1 조향축(1)쪽으로 전진시킬 때, 상기 충돌감지수단(1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 또는 베어링유닛(1b)을 충돌할 위험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120)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은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가 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지그(B)와, 상기 지그(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A)에 구비되며 전후진구동수단(C)에 의해 상기 지그(B)쪽으로 전후진되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그리스도포수단(D)이 구비되며, 상기 지그(B)에는 상기 베어링유닛(1b)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20)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그(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바(21)와, 상기 슬라이드바(21)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기 스파라인부(1a)의 하측둘레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a)이 형성된 가압부재(22)와, 상기 가압부재(22)에 연결되어 가압부재(22)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되어, 상기 베어링유닛(1b)이 상기 슬라이드바(21)의 전단부에 걸리도록 제1 조향축(1)을 상기 지그(B)에 결합하면, 상기 가압부재(22)에 의해 베어링유닛(1b)이 전방으로 가압되어, 베어링유닛(1b)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으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를 도포할 때, 그리스(3)가 베어링유닛(1b)의 정확한 위치에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향축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 도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 도포장치의 지그를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3의 F-F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 도포장치의 그리스도포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 도포장치의 그리스도포수단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 도포장치의 그리스도포수단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도 7의 G-G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 도포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 도포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 도포장치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 도포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 도포장치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은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가 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지그(B)와, 상기 지그(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A)에 구비되며 전후진구동수단(C)에 의해 상기 지그(B)쪽으로 전후진되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그리스도포수단(D)과,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과 그리스감지수단(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A)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 것으로, 후방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1)이 구비된다.
상기 지그(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제1 조향축(1)을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대(A)의 전방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지그(B)에는 상기 베어링유닛(1b)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20)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수단(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그(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바(21)와, 상기 슬라이드바(21)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기 스파라인부(1a)의 하측둘레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a)이 형성된 가압부재(22)와, 상기 가압부재(22)에 연결되어 가압부재(22)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3)는 상기 슬라이드바(21)의 둘레면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지그(B)의 후측면과 상기 가압부재(22)의 전면에 밀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유닛(1b)이 상기 슬라이드바(21)의 전단부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를 상기 삽입홈(22a)에 삽입하고, 제1 조향축(1)의 후단부를 상기 지그(B)에 결합하면, 상기 가압부재(22)에 의해 베어링유닛(1b)이 후방으로 가압되어, 베어링유닛(1b)의 위치가 고정됨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으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를 도포할 때, 그리스(3)가 베어링유닛(1b)의 정확한 위치에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대(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리드스크류(24)와, 상기 리드스크류(24)에 연결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4)를 정역회전시키는 서보모터(25)로 구성된다.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대(26)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결합공(27a)이 형성된 하우징(2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27)의 결합공(27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28)과, 상기 회전축(28)에 연결되어 회전축(28)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9)와, 상기 회전축(28)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30)와, 상기 지지바(30)에 구비되며 작동시 내부에 저장된 그리스(3)를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하는 그리스도포유닛(40)과,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에 연결되어 그리스도포유닛(40)의 내부로 그리스(3)를 공급하는 그리스공급수단(50)과, 상기 지지바(30)에 구비되며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을 작동시키는 에어실린더(60)와, 상기 에어실린더(60)에 연결되어 에어실린더(6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0)과,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수단(70)에 연결된 공기분사노즐(80)과, 상기 공급관(44)의 단부에 구비되어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되는 그리스(3)를 감지하는 그리스감지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대(26)는 상기 가이드레일(11)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리드스크류(24)의 중간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4)가 정역회전되면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전후진된다.
상기 하우징(27)은 상기 결합공(27a)의 중심축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중심축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대(26)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7)의 둘레면에는 후술하는 연결관(51)과 제1 급기관(72) 및 제2 급기관(73)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 3 공급공(41b)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28)은 양단이 상기 하우징(27)의 전후단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둘레면과 내부에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급공(27b,27c,27d)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8)의 전단부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3 유로(28a,28b,28c)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9)는 상기 회전축(28)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축(28)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바(30)와 그리스도포유닛(40)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를 따라 회전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29)는 상기 회전축(28)을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지지바(30)는 상기 회전축(28)에 고정된 수직부(31)와, 상기 수직부(31)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부(3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부(32)는 상기 지그(B)에 결합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은 선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에는 배출구(41a)가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이 연결되는 공급공(41b)이 형성된 제1 실린더(41)와,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에 구비되며 후측면에는 상기 제1 실린더(4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실린더(60)에 연결되는 제1 피스톤로드(43)가 구비된 제1 피스톤(42)과, 상기 배출구(41a)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공급관(44)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44)은 강도가 높은 금속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선단부가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를 향하도록 기억자로 벤딩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는 그리스도포수단(D)이 지그(B)쪽으로 전진되었을 때, 단부가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가깝게 근접되도록 길이조절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피스톤(42)이 후퇴되고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에 그리스(3)가 충전된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피스톤(42)이 전진되면, 제1 실린더(41)의 내부에 충전된 그리스(3)가,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로 배출된다.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은 연결관(51)을 통해 상기 제1 실린더(41)의 공급공(41b)에 연결되어, 도시 안된 그리스저장통에 저장된 그리스(3)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관(51)을 통해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51)의 중간부는 상기 제1 공급공(27b)과 제1 유로(28a)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8)과 함께 지지바(30)와 그리스도포유닛(40)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를 따라 회전될 때, 지속적으로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과 제1 실린더(41)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51)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 실린더(41)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52)가 구비되어, 제1 실린더(41)의 내부로 공급된 그리스(3)가 역류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실린더(6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바(30)에 고정된 제2 실린더(61)와, 상기 제2 실린더(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실린더(61) 내부의 공간을 전방의 제1 챔버(61a)와 후방의 제2 챔버(61b)로 구획하는 제2 피스톤(62)과, 상기 제2 피스톤(62)의 전면에서 상기 제2 실린더(61)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1 피스톤로드(43)에 연결된 제2 피스톤로드(63)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챔버(61a)로 공기가 공급되면 제2 피스톤(62)과 제2 피스톤로드(63)가 후퇴되면서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1 피스톤(42)을 후방으로 당기고, 상기 제2 챔버(61b)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제2 피스톤(62)과 제2 피스톤로드(63)가 전진되면서,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2 피스톤(62)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즉, 상기 제2 피스톤(62)과 제2 피스톤로드(63)가 전진되어 에어실린더(60)가 신장되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에 저장된 그리스(3)가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로 배출된다.
상기 급기수단(70)은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제1 챔버(61a)를 연결하는 제1 급기관(72)과, 상기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제2 챔버(61b)를 연결하는 제2 급기관(73)과, 상기 제2 급기관(73)에서 분기되어 상기 공기분사노즐(80)로 연결되는 분기관(7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급기관(72)과 제2 급기관(73)의 중간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75)가 구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5)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면, 상기 에어컴프레서(71)에서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급기관(73)을 통해 상기 에어실린더(60)의 제1 또는 제2 챔버(61a,61b)로 공급되어, 상기 제2 피스톤(62)과 제2 피스톤로드(63)가 전후진되도록 한다.
즉, 상기 급기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스톤(43)을 전후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실린더(41) 내부의 그리스(4)를 상기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피스톤(62)을 후퇴시켜, 상기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된 그리스(3)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급기관(72)과 제2 급기관(73)의 중간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및 제3 공급공(27c,27d)과 상기 제2 및 제3 유로(28b,28c)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8)과 함께 지지바(30)와 그리스도포유닛(40)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를 따라 회전될 때, 지속적으로 상기 에어실린더(6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기관(74)의 중간부에는 상기 분기관(74)의 전단부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76)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분사노즐(80)은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에서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이 회전하는 쪽의 반대방향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상기 공기분사노즐(8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에서 반시계방향위치, 즉, 좌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노즐(80)에는 상기 분기관(74)이 연결되어, 상기 급기수단(70)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실린더(60)가 신장되도록 할 때, 즉, 상기 제2 급기관(73)을 통해 상기 에어실린더(60)의 제2 챔버(61b)에 공기를 공급할 때, 제2 급기관(7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분기관(74)을 통해 공기분사노즐(80)로 공급되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로 분사된다.
상기 그리스감지수단(9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91)와 수광부(92)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 일측에 구비된 브라켓에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를 향하도록 빛을 조사하고,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로 배출된 그리스(3)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로 그리스(3)가 배출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발광부(91)와 수광부(92)를 이용하여 그리스(3) 등과 같은 물체를 감지하는 장치는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그리스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과 그리스도포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작업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이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실린더(60)에 의해 상기 제1 피스톤(42)이 후퇴되고,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에 의해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에 그리스(3)가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장치(12)가 상기 지그(B)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이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의 전방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수단(E)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상기 공급관(44)의 단부가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을 전진시킨다.
그리고,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이 정해진 위치로 전진되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정지시키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70)을 구동시켜 상기 제2 급기관(73)을 통해 상기 에어실린더(60)의 제2 챔버(61b)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실린더(60)가 신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실린더(60)가 신장되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1 피스톤(42)이 전진되면서 제1 실린더(41)의 내부에 저장된 그리스(3)를 가압하여 그리스(3)가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로 배출되어,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된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제2 급기관(73)을 통해 에어실린더(60)의 제2 챔버(61b)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경우,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급기관(73)을 통해 공급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공기분사노즐(80)을 통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그리스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단부로 그리스(3)가 배출되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되는 것이 감지되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9)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28)과 지지바(30)와 그리스도포유닛(40)이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이 후퇴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44)의 둘레부로 배출된 그리스(3)가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나선형태로 도포되며, 이때, 도 15에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분사노즐(80)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도포된 그리스(3)가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가압된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8)과 지지바(30)와 그리스도포유닛(40)이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를 360°회전되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구동모터(29)를 정지시키고, 상기 급기수단(70)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실린더(60)의 제1 챔버(61a)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제2 피스톤(62)과 제2 피스톤로드(63)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후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피스톤(62)과 제2 피스톤로드(63)가 후방으로 후퇴되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1 피스톤(42)이 후방으로 후퇴되며, 이에 따라, 도 17에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44)의 내부로 공급된 그리스(3)가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로 역류함과 동시에,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된 그리스(3)가 공급관(44)의 내부로 흡입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44)에서 배출되어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된 그리스(3)와, 상기 공급관(44)의 단부에 남아있는 그리스(3)의 중간부가 떨어져,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된 그리스(3)의 단부가 깔끔하게 정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제어하여,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 후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이 후퇴되면, 상기 제어수단(E)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70)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실린더(60)가 축소되면서 상기 제1 피스톤(42)이 후퇴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을 구동시켜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로 그리스(3)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새로운 제1 조향축(1)이 고정된 지그(B)가 그리스도포수단(D)의 전방으로 이송되면,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새로운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은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가 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지그(B)와, 상기 지그(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A)에 구비되며 전후진구동수단(C)에 의해 상기 지그(B)쪽으로 전후진되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그리스도포수단(D)이 구비되며, 상기 지그(B)에는 상기 베어링유닛(1b)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20)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그(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바(21)와, 상기 슬라이드바(21)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기 스파라인부(1a)의 하측둘레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a)이 형성된 가압부재(22)와, 상기 가압부재(22)에 연결되어 가압부재(22)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되어, 상기 베어링유닛(1b)이 상기 슬라이드바(21)의 전단부에 걸리도록 제1 조향축(1)을 상기 지그(B)에 결합하면, 상기 가압부재(22)에 의해 베어링유닛(1b)이 전방으로 가압되어, 베어링유닛(1b)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으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를 도포할 때, 그리스(3)가 베어링유닛(1b)의 정확한 위치에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A)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1)이 구비되고,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은 상기 가이드레일(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대(26)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결합공(27a)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7a)의 중심축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중심축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대(26)에 구비된 하우징(2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27)의 결합공(27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28)과, 상기 회전축(28)에 연결되어 회전축(28)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9)와, 상기 회전축(28)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30)와, 상기 지지바(30)에 구비되며 내부에 그리스(3)가 저장되고 전단부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연장된 공급관(44)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관(44)은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선단부가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작동시 내부에 저장된 그리스(3)가 상기 공급관(44)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하는 그리스도포유닛(40)과,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에 연결되어 그리스도포유닛(40)의 내부로 그리스(3)를 공급하는 그리스공급수단(50)과, 상기 지지바(30)에 구비되며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을 작동시키는 에어실린더(60)와, 상기 에어실린더(60)에 연결되어 에어실린더(6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0)으로 구성되며,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은 선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에는 배출구(41a)가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이 연결되는 공급공(41b)이 형성된 제1 실린더(41)와,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에 구비되며 후측면에는 상기 제1 실린더(4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실린더(60)에 연결되는 제1 피스톤로드(43)가 구비된 제1 피스톤(42)과, 상기 배출구(41a)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공급관(44)으로 구성되어,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로 그리스(3)를 공급한 후,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상기 제1 피스톤(42)을 전진시키면, 제1 실린더(41) 내부의 그리스(3)가 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공급관(44)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그리스도포수단(D)을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근접되도록 전진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공급관(44)의 단부에서 그리스(3)가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29)를 구동시키면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그리스도포수단(D)이 후퇴되도록 하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그리스(3)를 도포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균일하게 그리스(3)를 도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 일측에는 상기 급기수단(70)에 연결되어 급기수단(70)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도포된 그리스(3)의 둘레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80)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실린더(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바(30)에 고정된 제2 실린더(61)와, 상기 제2 실린더(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실린더(61) 내부의 공간을 전방의 제1 챔버(61a)와 후방의 제2 챔버(61b)로 구획하는 제2 피스톤(62)과, 상기 제2 피스톤(62)의 전면에서 상기 제2 실린더(61)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1 피스톤로드(43)에 연결된 제2 피스톤로드(63)로 구성되고, 상기 급기수단(70)은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제1 챔버(61a)를 연결하는 제1 급기관(72)과, 상기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제2 챔버(61b)를 연결하는 제2 급기관(73)과, 상기 제2 급기관(73)에서 분기되어 상기 공기분사노즐(80)로 연결되는 분기관(74)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급기관(73)을 통해 상기 제2 챔버(61b)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을 구동시키면 상기 분기관(74)을 통해 상기 공기분사노즐(80)로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공급관(44)을 통해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도포된 그리스(3)의 외측으로 공기가 분사하여 그리스(3)가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된 그리스(3), 특히, 상기 베어링유닛(1b)의 하측면에 도포된 그리스(3)가 베어링유닛(1b)에 정확히 밀착되지 못하고, 하측으로 늘어져 상기 제1 조향축(1)을 제2 조향축(2)에 결합할 때, 그리스(3)가 제2 조향축(2)의 다른 부분에 묻어, 조립된 조향축이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44)의 단부에 구비되어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되는 그리스(3)를 감지하는 그리스감지수단(90)과, 상기 그리스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과 전후진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29)를 구동시켜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한 후,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축소시켜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1 피스톤(42)을 후퇴시켜 상기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된 그리스(3)가 공급관(44)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를 도포한 후,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을 원래의 위치로 후퇴시킬 때,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된 그리스(3)의 단부가 깔끔하게 정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그리스(3)는 점도가 매우 높아서, 상기 공급관(44)을 통해 그리스(3)를 배출하여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한 후,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된 그리스(3)를 흡입하지 않고 그리스도포수단(D)을 원래의 위치로 후퇴시키면,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된 그리스(3)의 단부가 길게 늘어지게 되며, 상기 컨베이어장치(12)를 이용하여 지그(B)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와 같이 늘어진 그리스(3)가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묻어 지저분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를 도포한 후, 상기 제1 피스톤(42)을 후퇴시켜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된 그리스(3)를 공급관(44)의 내부로 흡입하면, 그리스도포수단(D)을 후퇴시킬 때,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된 그리스(3)의 단부가 깔끔하게 정리되어, 그리스(3)가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할 때, 상기 그리스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단부로 그리스(3)가 배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29)와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함으로,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정확한 양의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은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를 도포한 후, 상기 제1 피스톤(42)을 후퇴시켜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된 그리스(3)를 공급관(44)의 내부로 흡입함으로, 상기 공급관(44)의 단부에는 그리스(3)가 충전되지 않은 빈 공간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에 다시 그리스(3)를 충전하고, 상기 에어실린더(60)로 제1 피스톤(42)을 전진시켜 공급관(44)의 단부로 그리스(3)가 배출되도록 할 때, 잠시동안 그리스(3)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에어실린더(60)가 전진된 후부터 공급관(44)의 단부로 그리스(3)가 배출될 때까지의 시간에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됨으로, 에어실린더(6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구동모터(29)를 구동시킬 경우,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가 도포되지 않은 구역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상기 제어수단(E)이 상기 그리스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단부로 그리스(3)가 배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29)와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 전체에 정해진 양의 그리스(3)가 정확히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바(30)는 상기 회전축(28)의 전단부에 회전축(28)의 중심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치조절수단(100)에 의해 위치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28)의 전단부에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승강레일(28d)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30)는 상기 승강레일(28d)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수단(100)은 상기 회전축(28)에 상기 승강레일(28d)과 평행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중간부에 상기 지지바(30)의 후단부가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101)와, 상기 리드스크류(101)에 연결된 구동모터(102)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102)로 리드스크류(101)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류(101)의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지지바(30)가 회전축(28)의 중앙부쪽으로 전후진되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 전면에는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이 제1 조향축(1)쪽으로 전진될 때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 또는 베어링유닛(1b)을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수단(11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E)에는 경보수단(120)이 구비된다.
상기 충돌감지수단(110)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자외선이나 초음파를 출력하여 전방에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제어수단(E)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음이나 경광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램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그리스도포유닛(40)을 상기 제1 조향축(1)쪽으로 전진시킬 때, 상기 충돌감지수단(1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 또는 베어링유닛(1b)을 충돌할 위험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120)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은 상기 지지바(30)가 상기 회전축(28)의 전단부에 회전축(28)의 중심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치조절수단(100)에 의해 위치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지그(B)에 결합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의 지름에 따라 상기 지지바(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 전면에는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이 제1 조향축(1) 쪽으로 전진될 때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 또는 베어링유닛(1b)을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수단(11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E)에는 경보수단(120)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그리스도포유닛(40)을 상기 제1 조향축(1)쪽으로 전진시킬 때, 상기 충돌감지수단(1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 또는 베어링유닛(1b)을 충돌할 위험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120)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지지바(30)의 위치를 잘못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공급관(44)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 또는 베어링유닛(1b)에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지지바(30)는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 공급관(44)의 단부가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근접되도록 위치설정되어야 하는데, 작업자가 상기 지지바(30)의 위치를 잘못 설치할 경우,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이 전진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관(44)의 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나 베어링유닛(1b)에 충돌하여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충돌감지수단(1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 또는 베어링유닛(1b)을 충돌할 위험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120)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함으로, 작업자가 실수로 지지바(30)의 위치를 잘못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이 전진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급관(44)의 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나 베어링유닛(1b)에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충돌감지수단(110)은 전방으로 자외선이나 초음파를 출력하여 전방에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충돌감지수단(110)은 상기 공급관(44)이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나 베어링유닛(1b)에 충돌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A. 지지대 B. 지그
C. 전후진구동수단 D. 그리스도포수단

Claims (5)

  1.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것으로,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가 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지그(B)와,
    상기 지그(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A)에 구비되며 전후진구동수단(C)에 의해 상기 지그(B)쪽으로 전후진되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에 그리스(3)를 도포하는 그리스도포수단(D)을 포함하며,
    상기 지그(B)에는 상기 베어링유닛(1b)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20)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그(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바(21)와,
    상기 슬라이드바(21)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기 스파라인부(1a)의 하측둘레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a)이 형성된 가압부재(22)와,
    상기 가압부재(22)에 연결되어 가압부재(22)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여,
    상기 베어링유닛(1b)이 상기 슬라이드바(21)의 전단부에 걸리도록 제1 조향축(1)을 상기 지그(B)에 결합하면, 상기 가압부재(22)에 의해 베어링유닛(1b)이 후방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A)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1)이 구비되고,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은
    상기 가이드레일(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대(26)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결합공(27a)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7a)의 중심축이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중심축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대(26)에 구비된 하우징(2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27)의 결합공(27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28)과,
    상기 회전축(28)에 연결되어 회전축(28)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9)와,
    상기 회전축(28)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30)와,
    상기 지지바(30)에 구비되며 내부에 그리스(3)가 저장되고 전단부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연장된 공급관(44)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관(44)은 상기 지그(B)에 고정된 제1 조향축(1)의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선단부가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작동시 내부에 저장된 그리스(3)가 상기 공급관(44)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도포하는 그리스도포유닛(40)과,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에 연결되어 그리스도포유닛(40)의 내부로 그리스(3)를 공급하는 그리스공급수단(50)과,
    상기 지지바(30)에 구비되며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을 작동시키는 에어실린더(60)와,
    상기 에어실린더(60)에 연결되어 에어실린더(6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은
    선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에는 배출구(41a)가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이 연결되는 공급공(41b)이 형성된 제1 실린더(41)와,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에 구비되며 후측면에는 상기 제1 실린더(4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실린더(60)에 연결되는 제1 피스톤로드(43)가 구비된 제1 피스톤(42)과,
    상기 배출구(41a)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공급관(44)을 포함하여,
    상기 그리스공급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실린더(41)의 내부로 그리스(3)를 공급한 후,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상기 제1 피스톤(42)을 전진시키면, 제1 실린더(41) 내부의 그리스(3)가 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공급관(44)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그리스도포수단(D)을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근접되도록 전진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공급관(44)의 단부에서 그리스(3)가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29)를 구동시키면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그리스도포수단(D)이 후퇴되도록 하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이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그리스(3)를 도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수단(70)에 연결되어 급기수단(70)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도포된 그리스(3)의 둘레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실린더(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바(30)에 고정된 제2 실린더(61)와,
    상기 제2 실린더(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실린더(61) 내부의 공간을 전방의 제1 챔버(61a)와 후방의 제2 챔버(61b)로 구획하는 제2 피스톤(62)과,
    상기 제2 피스톤(62)의 전면에서 상기 제2 실린더(61)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1 피스톤로드(43)에 연결된 제2 피스톤로드(63)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수단(70)은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제1 챔버(61a)를 연결하는 제1 급기관(72)과,
    상기 에어컴프레서(71)와 상기 제2 챔버(61b)를 연결하는 제2 급기관(73)과,
    상기 제2 급기관(73)에서 분기되어 상기 공기분사노즐(80)로 연결되는 분기관(74)을 포함하여,
    상기 제2 급기관(73)을 통해 상기 제2 챔버(61b)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을 구동시키면, 상기 분기관(74)을 통해 상기 공기분사노즐(80)로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공급관(44)을 통해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도포된 그리스(3)의 외측으로 공기가 분사하여 그리스(3)가 베어링유닛(1b)의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44)의 단부에 구비되어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되는 그리스(3)를 감지하는 그리스감지수단(90)과,
    상기 그리스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그리스도포수단(D)과 전후진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29)를 구동시켜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한 후,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축소시켜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의 제1 피스톤(42)을 후퇴시켜 상기 공급관(44)의 단부로 배출된 그리스(3)가 공급관(44)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고, 상기 에어실린더(60)를 신장시켜 상기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할 때, 상기 그리스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단부로 그리스(3)가 배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29)와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베어링유닛(1b)의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그리스(3)가 도포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30)는 상기 회전축(28)의 전단부에 회전축(28)의 중심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치조절수단(100)에 의해 위치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그리스도포유닛(40)이 제1 조향축(1)쪽으로 전진될 때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 또는 베어링유닛(1b)을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수단(110)과,
    상기 제어수단(E)에 연결된 경보수단(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그리스도포유닛(40)을 상기 제1 조향축(1)쪽으로 전진시킬 때, 상기 충돌감지수단(1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관(44)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조향축(1)의 스파라인부(1a) 또는 베어링유닛(1b)을 충돌할 위험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전후진구동수단(C)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120)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KR1020170170688A 2017-12-12 2017-12-12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KR101848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688A KR101848025B1 (ko) 2017-12-12 2017-12-12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688A KR101848025B1 (ko) 2017-12-12 2017-12-12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025B1 true KR101848025B1 (ko) 2018-04-12

Family

ID=6196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688A KR101848025B1 (ko) 2017-12-12 2017-12-12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4616A (zh) * 2021-01-28 2021-06-11 深圳市磐锋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的自动涂润滑油治具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192A (ja) 1998-12-25 2000-07-14 Nsk Ltd 転がり軸受への潤滑油塗布方法
WO2016158557A1 (ja) 2015-03-27 2016-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グリス塗布装置およびグリス塗布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192A (ja) 1998-12-25 2000-07-14 Nsk Ltd 転がり軸受への潤滑油塗布方法
WO2016158557A1 (ja) 2015-03-27 2016-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グリス塗布装置およびグリス塗布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4616A (zh) * 2021-01-28 2021-06-11 深圳市磐锋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的自动涂润滑油治具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771B1 (ko) 자동나사조임장치
KR101848025B1 (ko) 조향축 그리스도포시스템
US10308473B2 (en) Automatically coiling pipes in spool form with a constant internal pressure
TW201607622A (zh) 注射器裝卸機構及具備該機構之裝置
US8499409B2 (en)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cleaning head and method for cleaning hose-type tube filters
MY187148A (en) Resin molding apparatus, resin molding method, discharge mechanism, and discharge apparatus
KR101848026B1 (ko) 조향축 그리스도포장치
US20200088349A1 (en) Lubricating oil pump device
JP5934514B2 (ja) 真空吸着ヘッドを有する物品供給装置
US4832588A (en) Crosshead extruders
CN106999966A (zh) 具有改善的压力控制的液体分配系统
WO2019181812A1 (ja) 液体材料吐出装置
JP5400475B2 (ja) 充填装置用検知構造及び充填装置用検知構造の保護ケース
US7559435B2 (en) Nut feeder
EP2954956B1 (en) Apparatus for dosing and controlling a nebulized spray on an elongated hollow body particularly for food or medical use
JP4758452B2 (ja) 潤滑剤吹付装置付鍛造プレス
JP2005111559A (ja) ナット供給装置
US20040231123A1 (en) Remote fastener presenter
CN211728216U (zh) 加工设备
KR20230143700A (ko) 포대 입구부 크린장치
KR20130051391A (ko) 밴딩관 및 코일관 내면 코팅장치
KR102266221B1 (ko) 액체 토출장치
US88884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rill with interrupted feed
JP5954582B2 (ja) 搬送部品の停止通過ユニット
WO2022014536A1 (ja) ディスペ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