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216B1 - 에어백용 천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216B1
KR101787216B1 KR1020157014701A KR20157014701A KR101787216B1 KR 101787216 B1 KR101787216 B1 KR 101787216B1 KR 1020157014701 A KR1020157014701 A KR 1020157014701A KR 20157014701 A KR20157014701 A KR 20157014701A KR 101787216 B1 KR101787216 B1 KR 101787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loth
fabric
tmax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105A (ko
Inventor
후미아키 이세
가즈유키 오바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1/00Marking textile materials; Marking in combination with metering or inspecting
    • D06H1/02Marking by printing or analogous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2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silic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30Ink jet prin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6Vehicles, transportation
    • D06N2211/268Air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Woven Fabr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 정보 및 규격 식별 및 개체 식별 정보 등을 표시한 에어백 제조용 천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에어백용 천은 생산 정보가 천에 직접 잉크젯으로 인자되어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용 천{FABRIC FOR AIRBAG}
본 발명은, 탑승물의 충돌시 승객 보호 장치인 에어백 장치의 주머니로서 이용되는 에어백용 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 탑승물의 충돌 사고에서의 인체에 대한 충격 완화를 위해, 탑승물에 대한 에어백의 장착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충돌시, 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인체에 대한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에어백으로서, 운전석용 및 조수석용 에어백에 더하여, 커튼 에어백이나 사이드 에어백, 니 에어백, 리어 에어백 등의 차량 중으로의 장착이, 탑승자 보호를 위해 계속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보행자 보호를 위해, 차량의 객실 외측에서 팽창하도록 장착되는 에어백도 제안되어, 장착이 확대되어 오고 있다.
전면 충돌 안전 에어백에 관해서는, 주된 안전 장치인 시트 벨트에 부가하는 보조 구속 장치의 자리매김이기도 하여, 에어백은 중요 부품으로서 개체 식별 관리되고 있다. 또한, 에어백 장치 중에서도, 에어백 주머니에도 생산상의 개체 식별 번호(품번, 생산 로트 넘버 등)가 부여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는, 에어백 주머니에 스탬프로 찍거나, 라벨 시일이 첩부되어 왔다. 이들은 에어백 주머니의 식별이고, 에어백용 천에 관한 개체 식별 정보는, 에어백 천에 부여되는 경우는 없고, 에어백 주머니에도 부여되는 경우가 없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봉제 실에 의해 에어백 주머니의 식별을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에어백 봉제용의 부분천에 있어서, 재단 형상으로 부품 식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에어백용 천 자체에 개체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는 없었다.
현재까지, 에어백용 천의 식별은, 개체 식별로서는 피륙 롤에 대한 라벨 첩부나 인자뿐이고, 천 자체에 개체 식별 표시는 없었다. 코팅 기초천의 경우, 코팅 수지의 색상에 의해, 표리의 식별이나 에어백용 천의 규격 식별을 행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에어백 봉제용의 재단 후의 부분천에는 개체 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는 없었다. 논코트 기초천의 경우, 에어백용의 부분천으로 재단한 후에는, 재단 천조각 자체로부터는 개체 식별 정보를 얻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표리의 식별은 할 수 없고, 또한, 직조 밀도 등 천의 특성을 분석하는 등의 수고를 들이지 않으면 규격 식별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직조 밀도 규격이 상이한 에어백용 천을 잘못 생산 공정에 투입하는 것은 품질 보증상 용인될 수 없는 것으로, 오류 없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생산 관리에 있어 중요하다. 또한, 부품의 개체 식별 정보를 확인 기록하여 조립 생산하는 것도 생산 관리에 있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피륙 롤의 식별 정보는 생산 대장에 의해 에어백 주머니에 관련지을 뿐이고, 재단된 에어백 봉제용의 부분천 자체에 표시는 없었다. 그 때문에, 조립시에 사용 오류의 가능성이 있고, 또한, 봉제 후의 에어백 주머니의 천으로부터 생산 이력을 추적하려면 수고가 듦과 동시에, 이력을 정확히 확정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에어백용 천 자체에 생산 관리를 위한 개체 식별 정보나 회수를 위한 소재 표시를 나타낼 것이 요구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654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72046호 공보
본 발명은, 소재 정보 및 규격 식별 및 개체 식별 정보 등을 표시한 에어백 제조용 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에어백용 천 자체에 정보 표시함으로써, 생산 관리를 용이하게 엄밀화할 수 있고, 생산 이력의 추적이 용이해지는 에어백 제조용 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에어백용 천에 생산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을 검토한 결과, 천에 직접 인자함으로써 식별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에어백용 포백에 관한 것이다.
(1) 생산 정보가 천에 직접 잉크젯으로 인자되어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2) 생산 정보가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3) 바코드가 적어도 한면에 인쇄되어 있고,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번짐 지수(N)가 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번짐 지수(N)=|B-A|/A (1)
상기 식 (1)에 있어서, A, B는 각각, 천 상의 바코드선의 최소 선폭(mm)과 최대 선폭(mm)이다.
(4) 인자면의 이면으로부터 인자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5) 생산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반전 인자되어, 인자면의 이면으로부터 인자를 판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6) 수지 피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7) 적어도 일면에 수지 피복을 갖고, 수지 피복이 없는 부분에 인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8) 수지 피복이 광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9) 규칙적으로 반복 인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10) 반복이 복수의 병렬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11) 반복이 지그재그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12) 반복의 간격이 50∼2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13) 경사 및 위사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해지는 Tmax가 110∼150℃이고, Tmax에서의 tanδ(max)와 Tmax의 비 S[1/℃](tanδ(max)/Tmax)가 0.0001 내지 0.001인 섬유를 이용하여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14) 경사 및 위사가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
(15) (1)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주머니.
(16) 상기 (15)항에 기재된 에어백 주머니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의 천은, 생산 정보가 천에 직접 인자됨으로써, 생산 로트나 품번 등의 개체 식별 정보가 천으로부터 직접 얻어지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품번 구별이나 천의 표리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생산 관리를 용이하게 엄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백 장치로서 탑승물에 도입된 후에도 에어백 주머니의 천에 생산 정보가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 이력의 추적이 용이해진다. 또한, 천에 직접 소재 표기가 되어, 자원 회수도 용이한 에어백용 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의 인자 상태의 일례(병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의 인자 상태의 다른 일례(지그재그)를 도시한다.
도 3은, 번짐 지수 산출을 위한 최소 선폭(A) 및 최대 선폭(B)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원 발명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어백용 천은, 천에 생산 정보가 잉크젯으로 직접 인자되어 표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에어백용 천은, 어떠한 천이어도 좋다. 예컨대, 천을 구성하는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장섬유로서,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천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계 섬유로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4·6,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 6·6 섬유로는, 주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수지란 100%의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으로 구성되는 융점이 250℃ 이상인 폴리아미드 수지를 가리키지만,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아미드 6·6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는, 수지의 융점이 250℃ 미만으로 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에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T 등을 공중합, 혹은 블렌드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여도 좋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는, 공지된 방법으로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유도체와 디올을 중축합한 수지, 히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혹은, 또한 이들의 공중합 또는 블렌드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구성하는 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숙신산, 말레산 및 푸마르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환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트리메틸렌글리콜 및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디올이나,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및 비스페놀 A 등의 디페놀류를 들 수 있다. 히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는, p-히드록시벤조산 등의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구체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섬유, 폴리부틸렌이소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섬유,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이소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강도와 내열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고, 분자쇄 중에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 단위를 9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것이 강도와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10 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몰% 미만의 비율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포함해도 상관없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으로는 예컨대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p-옥시벤조산,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트리멜리트산, 펜타에리스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천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dtex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800 dtex이다. 또한, 천을 구성하는 합성 섬유는 다수의 단사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 섬유이고, 단사의 섬도는 0.5 내지 8 dtex가 바람직하다. 단사 섬도는 8 dtex 이하에서 작은 쪽이 잉크젯의 보액성이 좋아 번짐이 잘 생기지 않고, 후술하는 번짐 지수(N)가 작아져, 잉크젯 인자가 보다 선명하다. 단사 섬도는 4.5 dtex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사 섬도가 0.5 dtex 이상이면 가공 공정 중에 필라멘트 손상을 받는 경우가 없어, 천의 품위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다.
천을 구성하는 섬유는,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천을 얻기 위해, 실질적으로 무연(無撚)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무연이란, 의도적인 꼬임을 넣지 않는 상태의 섬유이고, 해서(解舒) 등에 따라 생기는 꼬임수가 10회/m 이하인 상태의 섬유를 말한다.
본 발명의 천은, 천 표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하여 인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특정한 특성을 갖는 경사 및 위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사 및 위사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해지는 Tmax가 바람직하게는 100∼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145℃,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130℃이다. 또한 온도 Tmax에서의 tanδ(max)와 Tmax의 비 S[1/℃](tanδ(max)/Tmax)가 바람직하게는 0.0001∼0.00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0.0010,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01∼0.0009,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0.0008이다.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한 Tmax는 비결정부의 분자쇄의 열운동이 현저해지는 온도를 나타내고, 비결정부가 유리 상태로부터 고무 상태로 상전이하는 온도로 생각되고 있다. Tmax보다 저온의 온도 이력에서는 탄성률, 건열 수축률 등의 치수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Tmax보다 고온의 온도 이력을 받은 경우, 비결정부가 고무 상태로 되기 때문에,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 따라서, Tmax는 직물의 가공에서의 온도를 결정하는 지표가 되고, 상기 범위이면, 가공 후의 효과를 장기간 경과한 후에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에너지 효율이 뒤떨어지는 극단적인 고온으로 하지 않고, 효과적인 가공을 실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가공 효과의 지표는 tanδ(max)와 Tmax의 비 S에 의해 추정할 수 있고, 상기 범위이면, 실용적인 효과를 발현시키고, 그 효과를 장기간 경과한 후에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Tmax 및 비 S를 소정의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경사 및 위사의 소재, 제조 조건을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천은 직물이어도 좋고 편물이어도 좋다. 예컨대, 직물인 경우, 천의 커버 팩터는 1900 내지 2600이 바람직하다. 커버 팩터(CF)는 이하의 계산에 의한다.
CF=(√경사 섬도(dtex))×경사 밀도(올/2.54 cm)+(√위사 섬도(dtex))×위사 밀도(올/2.54 cm).
커버 팩터는, 평면에서의 섬유의 충전 정도이고, 1900 이상이면, 고밀도 직물로 에어백의 내압성 등의 기계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 위사의 간극이 메워져, 간극을 타고 잉크젯 액적의 번짐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팩터가 2600 이하이면, 에어백으로서 경량이며 유연한 천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2500이다.
직물의 조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조직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평직물, 사문 직물, 주자 직물 등의 기본 조직이나 기본 조직을 변화시키거나 혼합하거나 하여 만드는 변화 조직이 예시된다. 평직물이란, 경사와 위사가 1올씩 교대로 교착하는 조직으로, 표리가 없고, 경위사 방향의 동등성이 높은 조직이다. 변화 평직물로는, 평직물의 교착점의 상하 또는 좌우에 교착점을 첨가하여 표면에 이랑을 표현한 두렁 직물, 2올 이상의 위사가 동일 북길에 들어가는 사자 직물 등이 예시된다. 사문 직물이란, 교착점이 비스듬히 뻗어 있는 사문선을 갖는 조직이고, 변화 사문 직물이란, 사문선이 45° 이상인 급사문 직물, 산형으로 되는 산형 사문 직물, 일정 간격으로 반대 방향에 사문선이 나타나는 파단 사문 직물, 경사각이 상이한 사문을 조합한 굽힘 사문 직물 등이 예시된다. 주자 직물이란, 경위사의 조합이 연속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직물로, 표면에 경사가 많이 나타나는 것을 경주자, 반대를 위주자라고 한다. 변화 주자 직물로는, 교착점을 불규칙하게 배치하는 변칙 주자 직물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표면 평활성 면에서는 평직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에 이용하는 직물은 공지된 직기를 이용하여 제직된다. 예컨대, 셔틀 직기, 레피아 직기, 에어젯 직기, 워터젯 직기 등의 제직기를 이용하고, 합성 섬유를 배열시킨 경사에, 위사를 쳐 넣음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직물의 표면 평활성을 증가시키고, 실 사이의 간극을 균일하게 감소시킴으로써 번짐 지수(N)를 작게 할 수 있는 점에서, 경사의 바디 삽입 올수를 2올/빗살 이하로 고밀도로 제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사의 바디 삽입 올수가 2올/빗살이다.
제직한 그대로의 직물은 필요에 따라, 원사 유제 등을 세정하기 위해, 정련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의 가공 온도는 40℃부터 경사 및 위사의 Tmax의 어느 낮은 온도(Tmax(L))까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부터 (Tmax(L)-1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40℃부터 (Tmax(L)-30℃)의 범위에서 가능한 한 저온으로 하여, 천을 구성하는 섬유가 수축함으로써 벌키한 천이 되어 표면 요철이 증대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정련 가공을 포함하는 온수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것이다.
정련에 의해 천의 함유율(含油率)은 저감된다. 천으로서 함유율은 0.05 내지 0.3 중량%가 바람직하다. 함유율이 0.3 중량% 이하이면 잉크젯 인자의 시간 경과에 있어서의 번짐 악화 억제에 기여한다. 함유율이 0.05 중량% 이상이면, 인자시의 액적 유지에 의해 번짐 억제에 기여한다. 워터젯 제직과 정련의 조건에 의해, 적절히 함유율을 제어할 수 있다.
계속해서, 50℃부터 Tmax(L), 바람직하게 60℃부터 (Tmax(L)-1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부터 (Tmax(L)-20℃)의 범위에서 건조하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 범위이면, 실용적인 처리 시간으로 건조가 종료되고, 건조시의 열수축에 의한 실 밀도의 변동 등이 억제되고, 표면 평활성의 악화도 억제된다.
천의 열치수 안정화를 위해 열 세트를 실시하는 경우, 열 세트 온도는, Tmax(L)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Tmax(L) 이상 18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Tmax(L) 이상 170℃ 이하이다. 이 때, 긴장 열가공이 바람직하다. 경위 방향 모두, 섬유가 열수축하는 것에 의존하지 않고, 열응력을 받아내어 제어할 수 있는 가공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핀 텐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 세트 공정은, 수지 피복의 가교 열처리 공정에서 텐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겸할 수도 있다.
열 세트 공정에서, 천의 표면 평활성 향상을 수반하는 공정으로서, 캘린더 가공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바코드 인자 전에 캘린더 가공하면, 표면 평활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번짐 지수(N)가 작은, 선명한 인자가 가능하다. 캘린더 온도는 Tmax(L)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Tmax(L) 이상 18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Tmax(L) 이상 170℃ 이하이다. 캘린더 열가공으로 천의 형태 열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캘린더 온도가 200℃ 이하이면, 인열 강도 등의 기계 특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다. 캘린더 온도가 Tmax(L) 이상에서, 충분한 표면 평활성 향상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캘린더 하중은 천의 기계 특성이 손상되지 않고, 충분한 표면 평활성 향상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1∼1000 kg/m가 바람직하다.
인자하는 생산 정보는 개체 식별 정보와 소재 정보 등이다. 우선, 개체 식별 정보로는, 천의 규격을 나타내는 품번과 생산 로트나 제조일 등을 나타내는 제조 번호를 들 수 있다. 천의 규격에는, 구성 섬유의 섬도와 직조 밀도 등의 대표 특성이 포함된다. 또한, 인자하는 생산 정보에는, 소재 정보로서 소재를 나타내는 기호 등이 포함된다.
잉크젯 인자 시스템에는, 연속 잉크젯(CIJ) 방식과, 드롭 온 디맨드(DOD) 방식의 2가지 타입이 있고, 본 발명에는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CIJ 방식에서는, 잉크는 가압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또는 노즐로부터 연속한 스트림으로 방출된다. 스트림은, 섭동되고, 개구부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분해되어 액적이 생긴다. 분산(breakup) 점에서, 액적은 디지털 데이터 신호에 따라 대전되고, 각 액적의 궤도를 조정하는 정전장을 통과하여, 각 액적이 재순환용의 거터 또는 기록 매체 상의 특정한 위치에 배향된다. DOD 방식에서는, 액적은, 디지털 데이터 신호에 따라 개구부로부터 직접 기록 매체 상의 위치까지 토출된다. 액적은, 인자되는 천에 배치되지 않는 한 형성 또는 토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천은, 생산 정보가 직접 인자되어 있는 것으로, 생산 정보가 라벨 첩부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라벨 사이즈나 장수에 제한되지 않고, 천에 자유롭게 인자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잉크젯 인자에 의하면, 천에 직접, 그러나, 비접촉으로 인자할 수 있어, 스탬프로 찍는 것과 같은 물리 충격이 없어, 천의 표면에 변형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잉크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의 침투에 의해 명료한 인자인 한편, 번짐이나 얼룩 형성을 방지한 인자 표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에는,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생산 정보가 인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로 생산 정보를 표기함으로써, 생산 관리가 용이해진다. 즉, 코드 리더로 생산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다음 가공 공정에서의 사용 오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제가 생긴 후에 생산 이력으로 거슬러 가서 공정 해석하는 것도, 인자된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생산 정보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세 정보를 기계적으로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해진다.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에는, 각종 심볼 체계가 있고, 어느 심볼 체계를 이용해도 좋다. 예컨대, 바코드 심볼 체계로는, JAN, EAN, UPC, CODE-39(JISX0503), NW-7, ITF, 스탠다드 2of5, CODE-128, CODE-93, CODE-11, MS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차원 코드 심볼 체계로는, QR Code, Data Matrix, PDF417, Maxi Code, Veri Co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CODE-39(JISX0503)나 ITF는 정보량이 적절하고 심플한 코드 표현을 위해 바람직하다.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는 선폭이 상이한 바코드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천은,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번짐 지수(N)가 0∼1.0이고, 바코드가 적어도 한면에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번짐 지수(N)는 0∼0.8이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0.5이다.
번짐 지수(N)=|B-A|/A (1)
상기 식 (1)에 있어서, A, B는 각각, 직물 상의 바코드 선분의 1 cm 길이를 측정한 경우의 최소 선폭(mm)과 최대 선폭(mm)이다. 바코드선의 선분 길이가 1 cm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바코드선을 이용하여 1 cm의 선분 길이에 상당하는 계측을 하면 된다. 복수의 바코드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바코드선의 선폭이 상이한 경우에는, 각각의 바코드선에서 번짐 지수를 계측한 것을 선분 길이로 가중 평균한 것이 번짐 지수가 된다.
번짐 지수(N)가 상기 범위이면, 바코드 인쇄가 선명하여, 바코드 리더나 육안 확인 등의 판독 수단에 의해, 정확하고 간편하게 인쇄 내용이 판독 가능해져서, 직물의 정보가 정확히 전달된다. 또한, JISX0520: 2001에 준거한 바코드 검증기로 C-2.0 이상으로 최고 A-4.0까지의 종합 등급으로 판정되는 바코드 인쇄 품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B-2.5 이상이다.
본 발명의 천은, 인자면의 이면으로부터 인자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자의 존재를 이면으로부터 판정할 수 있으면, 표리의 식별을 할 수 있다. 표리의 식별이 육안 확인, 또한,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음 공정에서 표리의 설정 오류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잉크젯 인자함으로써 인자면의 이면으로부터 인자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인자면의 이면(즉 비인자면)으로부터 반전 인자를 판독할 수 있으면, 단순히 표리의 식별 판정이 용이하며 또한 확실할 뿐만 아니라, 비인자면으로부터 생산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공정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천은, 적어도 일부가 반전 인자된 천으로, 인자면의 이면으로부터 인자를 판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전 인자이면, 이면으로부터의 코드 리더의 판독도 용이하고, 또한, 육안 확인에 의한 표리 판정이 용이해진다. 종래, 잉크를 찍는 것이나 라벨 첩부에서는, 표시면의 이면으로부터는 식별 및 판정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천의 일실시형태는, 수지 피복을 갖지 않는 천이다. 수지 피복을 갖지 않는 천은, 경량의 에어백용 천으로서 이용되지만, 표리의 식별을 기본적으로 할 수 없다. 인자면과 비인자면에 의해, 이 표리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비인자면으로부터 인자를 확인할 수 있으면, 단순히 인자가 없다는 판정보다 확실하게 표리의 식별 판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의 다른 일실시형태는, 적어도 일면에 수지 피복을 갖고, 수지 피복이 없는 부분에 정보 인자가 이루어져 있는 천이다. 수지 피복은, 천을 기본적으로 완전히 비통기로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수지는, 각종 수지를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폭넓은 온도 조건하에서 유연성을 갖는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인자면은, 수지 피복이 없는 부분에 인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의 면에 직접 인자함으로써, 수지 피복면에 대한 인자에 비교하여, 잉크의 스며듦으로 인해 인자면의 이면으로부터 인자를 판독할 때의 선명성이 향상된다. 종래는, 수지 피복을 갖는 에어백용 천으로, 수지량이 50 g/m2 이상인 경우에는, 이면으로부터 인자를 했다 하더라도 이것을 판독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피복 수지량이 50 g/m2 내지 5 g/m2인 경우에는, 수지면의 안료의 발색이 엷어, 표리 식별을 착각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 피복을 갖는 에어백용 천에서 피복이 없는 부분에 잉크젯 인자함으로써, 수지 피복면과, 수지 피복이 없는 부분을 갖는 면이, 양면에서 구별 가능해진다.
또한, 수지 피복이 광 투과성을 가지며, 또한, 수지 피복이 없는 면에 인자되고, 적어도 일부가 반전 인자된 천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피복을 갖는 천이라도, 광 투과성을 가짐으로써, 비인자면으로부터 인자를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리 식별이 용이해진다. 또한, 적어도 일부가 반전 인자되어 있으면, 비인자면으로부터 생산 정보를 코드 리더로 판독하는 것도 용이하기 때문에, 생산 관리가 용이해진다. 수지의 광 투과성은, 수지 자체의 투명성 이외에 첨가되는 안료의 종류와 함유량에도 좌우되는데, 천에 피복 형성된 상태에서, 수지 피막 두께를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투과성을 가지면 된다. 분광 광도계로 650 nm 파장광의 경면 반사를 포함하는 확산 반사 측정에 있어서, 수지 피복이 있는 표면에서의 반사율의 값이, 수지 피복이 없는 표면에서의 반사율의 값에 대하여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지 피복이 실질적으로 투과성을 갖게 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또한, 수지로는 2 mm의 두께로 성형 경화한 막의 광 투과도가 400 nm 광으로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또한, 천에서의 수지 피복 두께는 평균으로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평균으로 25 ㎛ 이하이다.
본 발명의 천은, 인자가 정보를 표기하는 인자군으로서 규칙적으로 반복 인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에 규칙적으로 반복 인자됨으로써, 어디를 취하더라도 생산 정보가 인자되어 있는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에어백을 봉제하여 형성할 때, 각종 부분천으로 재단되는데, 그 때, 재단 후의 천에 반드시 생산 정보가 인자되어 있게 된다.
반복되는 인자군은,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병렬 배열로 할 수 있다.
또한, 반복되는 인자군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배열로 할 수 있다.
또한, 인자군끼리의 간격이 50∼2 cm로 반복 인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용으로 부분천으로 재단되었을 때, 예컨대, 운전석용이면, 가로세로 70 cm 이내의 부분천으로 형성된다. 그 때, 각 부분천 중에 복수 개소의 생산 정보의 인자가 있음으로써, 생산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천으로 봉제된 에어백 주머니는, 부분천 중의 어딘가에 생산 정보의 인자가 있어, 생산 이력의 추적이 용이하다. 또한, 표리의 어느쪽으로부터도 생산 정보 인자의 판독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생산 이력의 추적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천으로 이루어지는 봉제 에어백 주머니를 도입하여, 에어백 모듈, 에어백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실시예에서 이용한 바코드의 인쇄 방법 및 번짐 지수(N)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1) 번짐 지수(N)
60 ㎛ 노즐의 잉크젯 프린터로 에탄올성의 흑잉크를 이용하여, 천 피륙의 중앙부 및 귀부 끝으로부터 5 cm의 위치에 길이 1 cm로, 선폭 3 mm의 직선을 직물 폭 방향으로 인쇄하고, 이것을, 직물 길이 방향으로 30 cm의 간격으로 10개 반복 인쇄한다. 그 때, 직물은 20 m/min로 잉크젯 프린터 헤드를 이동한다. 인쇄한 직선을 20배로 확대하여, 화상 해석 소프트에 도입한 후, 2진화를 행하고, 직선의 폭을 선분 길이로 1 cm에 걸쳐 계측하고, 각 직선의 최소 선폭(A) 및 최대 선폭(B)을 측정한다. 직물 중앙부 10개, 귀부 끝으로부터 5 cm의 위치 10개, 합계 20점의 최소 선폭(A) 및 최대 선폭(B)을 산술 평균하여 얻어진 값으로부터, 상기 식 (1)에 의해, 번짐 지수(N)를 구한다. 또, 도 3에 인쇄한 직선의 20배 확대상을 2진화한 상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3이 인쇄한 직선의 20배 확대상을 2진화한 상의 일부이고, 4가 최소 선폭(A)이고, 5가 최대 선폭(B)이다.
다음으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다른 물성의 측정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2) Tmax, tanδ(max)
세이코 인스트루사 제조의 EXSTAR DMS7100을 이용하여, 구동 주파수 110 Hz로, 길이 20 mm 및 단면적 약 3×10-4 cm2의 섬유 다발에 관해, 건조 질소 가스를 시료실에 통과하면서 승온 속도 5℃/min로 실온으로부터 tanδ의 주피크를 관측할 수 있는 온도까지 동적 점탄성의 측정을 행했다. tanδ의 주피크치를 tanδ(max), 그 때의 온도를 Tmax(℃)로 했다.
(3) 함유율(중량%)
천을 시클로헥산 용매로 속슬레 추출했다(60℃에서 3시간을 10회).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휘발분을 증류 제거한 후, 추출분을 칭량하여, 추출 전의 기초천의 완전 건조 중량과의 비를 함유량(중량%)으로 했다.
[실시예 1]
직사(織絲)로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섬유로, 섬도가 470 dtex, 단사가 136올인 것을 이용했다. 본 섬유의 tanδ(max)는 0.075, Tmax는 122℃, 비 S는 0.00061[1/℃]이었다. 경사용으로 꼬임과 사이징 없이 고르게 하여, 정경 빔으로 했다. 위사용으로 꼬임과 사이징 없이 권취 패키지로부터 그대로 공급했다. 워터젯 직기로 평직을 제직했다. 경사의 바디 삽입은 2올/빗살이다. 얻어진 직물을 정련하지 않고, 60℃에서 건조하여, 직물 수분율을 3%로 했다. 계속해서, 열 세트 가공은, 가열 온도 200℃, 1분간 체류로 핀 텐터를 이용하여, 오버피드 0%, 폭 수축 2%로 마무리했다. 마무리천의 직조 밀도는 경위 모두 53.0올/2.54 cm였다. 함유율은 0.15 중량%였다.
이 천에 60 마이크론 노즐의 잉크젯 프린터로 에탄올성의 흑잉크를 이용하여, 20 m/min의 천 이송 속도로 10 mm 폭의 CODE-39의 바코드 인자를 15 cm 간격의 직렬(즉, 도 1에서의 간격(l)이 15 cm)로, 또한, 15 cm 간격의 병렬(즉, 도 1에서의 간격(d)이 15 cm)로 실시했다. 인자 표면을 35배 루페로 관찰한 바, 바의 경계가 명료하고 번짐이 없는 상태로 번짐 지수(N)는 0.6이었다. 이 바코드 인자는 비인자면으로부터도 코드 리더로 판독할 수 있었다. JISX0520: 2001에 준거한 바코드 검증기(개구 직경 10/파장 660)에 의한 인자면의 인쇄 품위 평가는, 등급 B-3.3으로 양호했다. 비인자면의 판독 인쇄 품위는, 등급 B-2.7로 양호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핀 텐터에 의한 열 세트 대신에, 열 캘린더 가공을 행했다. 열 캘린더 가공은, 이송 속도 18 m/분, 금속 롤 온도 200℃, 압력 600 N/cm로 행했다. 직물을 사이에 끼우는 상하의 캘린더 롤은, 상부의 가열용 금속 롤이 12 cm 직경이고, 하부의 롤은 페이퍼 표면을 갖는 24 cm 직경 롤이고, 표면 속도는 상하 동속이다. 페이퍼 롤 표면은 쇼어 D 경도가 65이다. 마무리천의 직조 밀도는 경위 모두 53.0올/2.54 cm였다. 함유율은 0.15 중량%였다.
가열 캘린더 롤 가공으로 평활화된 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잉크젯으로 바코드를 인자했다. 번짐 지수(N)는 0.1로 양호했다. 바코드 검증기(개구 직경 10/파장 660)에 의한 인자면의 인쇄 품위 평가는, 등급 A-3.6으로 양호했다. 비인자면의 판독 인쇄 품위는, 등급 B-2.7로 양호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제직 건조 후에, 2액 경화형으로 유색채 안료를 첨가하지 않는 실리콘을 20 g/m2 도포하고, 180℃ 2분간 가열로 가황 가공하여 마무리했다. 직기 상에서의 직조 밀도 조정을 행하여, 마무리천의 직조 밀도는 경위 모두 49.0올/2.54 cm가 되었다. 함유율은 0.15 중량%였다.
비도포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잉크젯으로 바코드를 인자했다. 번짐 지수(N)는 0.8이었다. 바코드 검증기(개구 직경 10/파장 660)에 의한 인자면의 인쇄 품위 평가는, 등급 B-2.8로 양호했다. 비인자면의 판독 인쇄 품위는, 등급 B-2.5로 양호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열 세트 가공을 대신하여 열 캘린더 가공을 행했다. 열 캘린더 가공은, 이송 속도 18 m/분, 금속 롤 온도 200℃, 압력 600 N/cm로 행했다. 직물을 사이에 끼우는 상하의 캘린더 롤은, 상부의 가열용 금속 롤이 12 cm 직경이고, 하부의 롤은 페이퍼 표면을 갖는 24 cm 직경 롤이고, 표면 속도는 상하 동속이다. 페이퍼 롤 표면은 쇼어 D 경도가 65이다. 마무리천의 직조 밀도는 경위 모두 49.0올/2.54 cm였다. 또한, 비가열 캘린더 롤측의 면에 대하여, 2액 경화형으로 유색채 안료를 첨가하지 않는 실리콘을 20 g/m2 도포하고, 180℃ 2분간 가열로 가황 가공하여 마무리했다. 함유율은 0.15 중량%였다.
가열 캘린더 롤 가공으로 평활화된 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잉크젯 인자했다. 번짐 지수(N)는 0.1로 양호했다. 이 바코드 인자는 코팅면인 비인자면으로부터도 코드 리더(개구 직경 10/파장 660)로 판독할 수 있었다. 바코드 검증기에 의한 인자면의 인쇄 품위는, 등급 A-3.6으로 양호했다. 비인자면의 판독 인쇄 품위 평가는, 등급 B-2.8로 양호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직사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직을 제직하고, 제직 후에 60℃의 온수욕에 1분간 체류시키고, 60℃에서 건조했다. 또한, 열 캘린더 가공을 행했다. 열 캘린더 가공은, 이송 속도 18 m/분, 금속 롤 온도 200℃, 압력 600 N/cm로 행했다. 직물을 사이에 끼우는 상하의 캘린더 롤은, 상부의 가열용 금속 롤이 12 cm 직경이고, 하부의 롤은 페이퍼 표면을 갖는 24 cm 직경 롤이고, 표면 속도는 상하 동속이다. 페이퍼 롤 표면은 쇼어 D 경도가 65이다. 마무리천의 직조 밀도는 경위 모두 49.0올/2.54 cm였다. 계속해서, 비가열 캘린더 롤측의 면에 대하여, 2액 경화형으로 유색채 안료를 첨가하지 않는 실리콘을 20 g/m2 도포하고, 180℃ 2분간 가열로 가황 가공하여 마무리했다. 함유율은 0.08 중량%였다.
가열 캘린더 롤 가공으로 평활화되며, 또한, 실리콘 도포되지 않는 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잉크젯 인자했다. 번짐 지수(N)는 0.5였다. 바코드 검증기(개구 직경 10/파장 660)에 의한 인자면의 인쇄 품위 평가는, 등급 B-3.2로 양호했다. 비인자면의 판독 인쇄 품위는, 등급 B-2.5로 양호했다.
[실시예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섬도가 550 dtex, 단사가 144올인 것을 직사로서 이용했다. 본 섬유의 tanδ(max)는 0.09, Tmax는 125℃, 비 S는 0.00072[1/℃]였다.
워터젯 직기로 평직하고, 정련하지 않고 60℃에서 건조하여, 수분율을 0.8%로 했다. 계속해서, 열 캘린더 가공은, 이송 속도 18 m/분, 금속 롤 온도 200℃, 압력 600 N/cm로 행하고, 반대측을 동일한 조건에서 처리하여 마무리했다. 직물을 사이에 끼우는 상하의 캘린더 롤은, 모두 가열용의 금속 롤이 12 cm 직경이고, 표면 속도는 상하 동속이다. 마무리천의 직조 밀도는 경위 모두 53.0올/2.54 cm로 했다. 함유율은 0.12 중량%였다.
이 천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60 마이크론 노즐의 잉크젯 프린터로 에탄올성의 흑잉크를 이용하여, 20 m/min의 천 이송 속도로 10 mm 폭의 CODE-39의 바코드 인자를 15 cm 간격의 직렬로, 또한, 15 cm 간격의 병렬로 실시했다. 인자 표면을 35배 루페로 관찰한 바, 바의 경계가 명료하고 번짐이 없는 상태였다. 번짐 지수(N)는 0.2로 양호했다. 이 바코드 인자는 비인자면으로부터도 코드 리더로 판독할 수 있었다. JISX0520: 2001에 준거한 바코드 검증기(개구 직경 10/파장 660)에 의한 인자면의 인쇄 품위는, 등급 A-3.6으로 양호했다. 비인자면의 판독 인쇄 품위는, 등급 B-3.2로 양호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직사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직을 제직하고, 제직 후에 115℃의 고압 온수조에 1분간 체류시키고, 120℃에서 건조하여 마무리했다. 마무리천의 직조 밀도는, 경 54.0올/2.54 cm, 위 53.5올/2.54 cm였다. 함유율은 0.02 중량%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잉크젯으로 바코드를 인자했다. 인자 표면을 35배 루페로 관찰한 바, 천의 표면 요철이 많고 바의 경계가 불명료하고 번짐이 있었다. 번짐 지수(N)는 1.2로 불량이었다. 바코드 검증기(개구 직경 10/파장 660)에 의한 인자면의 인쇄 품위는, 등급 C-2.0으로 불량이었다. 비인자면의 판독 인쇄 품위는, 등급 C-1.8로 불량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4에서 캘린더 가공 온도를 120℃로 변경하여 실시했다. 마무리천의 직조 밀도는 경위 모두 49.0올/2.54 cm이다. 함유율은 0.15 중량%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잉크젯으로 바코드를 인자했다. 인자 표면을 35배 루페로 관찰한 바, 천의 표면 요철이 많고 바의 경계가 불명료하고 번짐이 있었다. 번짐 지수(N)는 1.1로 불량이었다. 바코드 검증기(개구 직경 10/파장 660)에 의한 인자면의 인쇄 품위는, 등급 C-2.4로 불량이었다. 비인자면의 판독 인쇄 품위는, 등급 C-1.9로 불량이었다.
[실시예 9]
직사로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섬유로, 섬도가 470 dtex, 단사가 136올인 것을 이용했다. 본 섬유의 tanδ(max)는 0.12, Tmax는 108℃, 비 S는 0.00111[1/℃]이었다. 경사용으로 꼬임과 사이징 없이 고르게 하여, 정경 빔으로 했다. 위사용으로 꼬임과 사이징 없이 권취 패키지로부터 그대로 공급했다. 워터젯 직기로 평직을 제직했다. 얻어진 직물을 정련하지 않고, 60℃에서 건조하여, 직물 수분율을 3%로 했다.
계속해서, 실시예 2와 동일한 캘린더 열가공을 행하여 마무리했다. 마무리천의 직조 밀도는 경위 모두 53.0올/2.54 cm였다. 함유율은 0.15 중량%였다.
가열 캘린더 롤 가공으로 평활화된 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잉크젯으로 바코드를 인자했다. 인자 표면을 35배 루페로 관찰한 바, 천의 표면은 불균일하고 요철이 현저하고 바의 경계가 불명료하고 번짐이 많았다. 번짐 지수(N)는 1.3으로 나빴다. 바코드 검증기(개구 직경 10/파장 660)에 의한 인자면의 인쇄 품위는, 등급 C-1.6으로 불량이었다. 비인자면의 판독 인쇄 품위는, 등급 D-1.4로 불량이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천은, 탑승물용 충돌 안전 장치의 에어백 주머니를 제조하는 에어백용 천으로서 적합하고, 에어백 조립 봉제 공정에서의 조립 오류를 방지하여, 생산 공정에서의 품질 관리가 우수하고, 최종 제품 중에서의 생산 정보 식별이 가능해진 에어백용 천이다.
1: 에어백용 천, 2: 인자군, 3: 인쇄한 직선의 20배 확대상을 2진화한 상의 일부, 4: 최소 선폭(A), 5: 최대 선폭(B), d: 인자군의 병렬 간격, l: 인자군의 직렬 간격

Claims (16)

  1. 생산 정보가 천에 직접 잉크젯으로 인자되어 표기된 에어백용 천으로서,
    상기 생산 정보가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는 규칙적으로 반복 인자되며, 상기 반복의 간격이 50∼2 cm이고,
    상기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가 적어도 한면에 인자되어 있고,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번짐 지수(N)가 0∼1.0이며,
    번짐 지수(N)=|B-A|/A (1)
    (상기 식 (1)에 있어서, A, B는 각각, 천 상의 바코드선의 최소 선폭(mm)과 최대 선폭(mm)이다)
    상기 생산 정보는 천의 규격을 나타내는 품번, 생산 로트, 제조일을 나타내는 제조 번호, 구성 섬유의 섬도와 직조 밀도, 및 소재를 나타내는 기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인자면의 이면으로부터 인자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5. 제4항에 있어서, 생산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반전 인자되어, 인자면의 이면으로부터 인자를 판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6. 제1항에 있어서, 수지 피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면에 수지 피복을 갖고, 수지 피복이 없는 부분에 인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8. 제7항에 있어서, 수지 피복이 광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반복이 복수의 병렬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11. 제10항에 있어서, 반복이 지그재그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경사 및 위사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해지는 Tmax가 110∼150℃이고, Tmax에서의 tanδ(max)와 Tmax의 비 S[1/℃](tanδ(max)/Tmax)가 0.0001 내지 0.001인 섬유를 이용하여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14. 제13항에 있어서, 경사 및 위사가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천.
  15. 제1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천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주머니.
  16. 제15항에 기재된 에어백 주머니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장치.
KR1020157014701A 2012-12-27 2013-12-26 에어백용 천 KR101787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6222 2012-12-27
JP2012286222 2012-12-27
JPJP-P-2013-021159 2013-02-06
JP2013021159 2013-02-06
PCT/JP2013/084983 WO2014104240A1 (ja) 2012-12-27 2013-12-26 エアバッグ用布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105A KR20150083105A (ko) 2015-07-16
KR101787216B1 true KR101787216B1 (ko) 2017-10-18

Family

ID=5102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701A KR101787216B1 (ko) 2012-12-27 2013-12-26 에어백용 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74112B2 (ko)
KR (1) KR101787216B1 (ko)
CN (1) CN104884310B (ko)
MX (1) MX358024B (ko)
WO (1) WO20141042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5273B (zh) 2015-11-06 2022-12-13 英威达纺织(英国)有限公司 低渗透率和高强度织物及其制造方法
EP3619078B1 (en) 2017-05-02 2021-02-17 INVISTA Textiles (U.K.) Limited Low permeability and high strength woven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PL3687867T3 (pl) 2017-09-29 2022-03-21 Invista Textiles (U.K.) Limited Poduszki powietrzne i sposoby wytwarzania poduszek powietrznych
JP6975669B2 (ja) * 2018-03-28 2021-12-01 Kbセーレン株式会社 緩衝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620A (ja) * 2001-07-06 2003-04-18 Hisago Label Kk 保護フィルム付きラベルシート
JP2007056392A (ja) * 2005-08-24 2007-03-08 Toray Ind Inc 難燃性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難燃性布帛
JP2010143208A (ja) * 2008-12-22 2010-07-01 Toyota Boshoku Corp エアバッグ基布並びにそ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2012209311A (ja) * 2011-03-29 2012-10-25 Seiko Epson Corp Idマーク形成方法、半導体チップ、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x線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6333B2 (ja) * 1987-11-21 1994-11-30 工業技術院長 布帛への情報付与方法
JP2008279726A (ja) * 2007-05-14 2008-11-20 Master Mind Co Ltd 布製品の印刷システム
JP2011023615A (ja) * 2009-07-17 2011-02-03 Panasonic Corp 識別マー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620A (ja) * 2001-07-06 2003-04-18 Hisago Label Kk 保護フィルム付きラベルシート
JP2007056392A (ja) * 2005-08-24 2007-03-08 Toray Ind Inc 難燃性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難燃性布帛
JP2010143208A (ja) * 2008-12-22 2010-07-01 Toyota Boshoku Corp エアバッグ基布並びにそ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2012209311A (ja) * 2011-03-29 2012-10-25 Seiko Epson Corp Idマーク形成方法、半導体チップ、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x線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84310B (zh) 2018-03-13
MX2015008439A (es) 2016-04-04
JPWO2014104240A1 (ja) 2017-01-19
KR20150083105A (ko) 2015-07-16
JP5974112B2 (ja) 2016-08-23
CN104884310A (zh) 2015-09-02
WO2014104240A1 (ja) 2014-07-03
MX358024B (es)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8413B2 (en) Fabric for an air bag that maintains air permeability during high-pressure deployment at high speed
KR101787216B1 (ko) 에어백용 천
KR101765404B1 (ko) 에어백용 직물
WO2015199444A1 (ko)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제조방법
JPH10187045A (ja) 表示ラベル用基布
JP4556548B2 (ja) ポリアミド織物
CN104878501B (zh) 织物
JP4593307B2 (ja) 袋織エアバッグ用基布の製織方法
US20230380552A1 (en) Fastener tape woven from yarns including plant-derived resin, fastener string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0064148A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
JPH09193730A (ja) エアバッグ用織物の製造方法
EP4253644A1 (en) Artificial leather
JP4265522B2 (ja) エアバッグ用織物の製造方法及びかかる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エアバッグ用織物
CN116490649A (zh) 海岛复合聚酯纤维
JP2002266194A (ja) インクジェット染色用布帛
JPH04211978A (ja) インクリボン用基布
JPH1181083A (ja) モケットパイル布帛
JP2006249612A (ja) 高密度平織基布の製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