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099B1 -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099B1
KR101787099B1 KR1020100124422A KR20100124422A KR101787099B1 KR 101787099 B1 KR101787099 B1 KR 101787099B1 KR 1020100124422 A KR1020100124422 A KR 1020100124422A KR 20100124422 A KR20100124422 A KR 20100124422A KR 101787099 B1 KR101787099 B1 KR 101787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elt
chip conveyor
roller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305A (ko
Inventor
한봉수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0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7Devices for removing chips chip containers located under a machine or under a chip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7Devices for removing chips outside the wor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15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by supplying a cutting liquid through the spi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는, 기계 본체의 외부로 칩(chip)을 운반하되 일부분은 쿨런트 탱크(coolant tank) 내에 침지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쿨런트 탱크의 외부로 노출되는 벨트를 구비하는 칩 컨베이어(chip conveyor); 상기 칩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바디에 결합되며, 선단부가 상기 칩 컨베이어의 벨트에 접촉되어 상기 벨트에 점착되어 이송되는 절삭유와 오일을 상기 벨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크레이퍼(scraper); 상기 스크레이퍼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절삭유와 상기 오일을 비중차에 의해 분리시키는 오일 세퍼레이터(oil separator); 및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웨이스트 오일(waste oil)이 축적되는 웨이스트 오일 팬(waste oil pan)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오일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여 절삭유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거나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수 분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대량의 오일 처리 능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모터(motor) 등의 추가에 따른 부가적인 비용 없이도 컨베이어 구성으로 간단하고 단순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정상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Separator function of water from cleaning oil using chip conveyor}
본 발명은, 유수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의 구동 시 구성품 간의 마찰에 의한 구동 효율 감소 및 구성품의 소손 등을 개선 또는 방지하고자 윤활 방식을 채용하여 각 구동 필요 요소에 공급하고 있다. 윤활의 필요성은 고속화되고 고정밀화되는 공작기계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구성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윤활에 사용되는 오일(oil)은 자체적으로 기능을 수행 후 폐유가 되어 공작기계 곳곳에 묻어 있다가 기계에 사용되는 가공 절삭유 등에 섞여 쿨런트 탱크(coolant tank) 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렇게 배출된 오일은 절삭유의 물 성분과 섞이지 못하고 절삭유 상부에 부유되어 절삭유를 대기와 차단하게 됨으로써 절삭유의 부패를 촉진시키고 이에 의한 가공품의 표면 조도 및 작업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위, 오일 스키머(oil skimmer)라 하는 장치를 현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오일 스키머의 처리 능력에는 한계가 있고, 자체적인 절삭유의 유동을 일으키면서 전체 탱크의 오일 성분을 처리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칩 컨베이어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칩 컨베이어 영역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공작기계에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칩 컨베이어(10)는 기계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칩(chip)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칩 컨베이어(10)의 주변에는 쿨런트 탱크(20)에 기계 본체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쿨런트 펌프(30)가 마련되며, 쿨런트 펌프(30)의 주변 일측에는 쿨런트 탱크(20)에 혼입된 오일(oil)을 분리하는 오일 스키머(40)가 마련된다.
그리고 오일 스키머(40)의 주변에, 절삭유와 혼입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세퍼레이터(oil separator, 50)와, 분리된 오일만을 모으는 웨이스트 오일 팬(waste oil pan, 60) 등이 갖춰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기술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스키머(40)가 한 쪽으로 치우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그 처리 능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특히, 절삭유의 유동을 일으키면서 쿨런트 펌프(30) 전체에 걸쳐 충전되어 있는 오일 성분을 처리하지 못하는 한계성, 즉 쿨런트 펌프(30)에 의해 유동되는 일부량의 절삭유 혼입 오일만을 처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쿨런트 탱크(20) 전체에 걸쳐 충전되어 있는 오일 성분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오일 스키머(40)를 여러 위치에 추가로 장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더욱이, 공작기계의 사이즈(size)가 점점 커지는 현실에서 종래 기술을 통해서는 불가피하게 오일 스키머(40)를 여러 위치에 추가로 장착해야 하는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오일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여 절삭유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거나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수 분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대량의 오일 처리 능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모터(motor) 등의 추가에 따른 부가적인 비용 없이도 컨베이어 구성으로 간단하고 단순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정상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계 본체의 외부로 칩(chip)을 운반하되 일부분은 쿨런트 탱크(coolant tank) 내에 침지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쿨런트 탱크의 외부로 노출되는 벨트를 구비하는 칩 컨베이어(chip conveyor); 상기 칩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바디에 결합되며, 선단부가 상기 칩 컨베이어의 벨트에 접촉되어 상기 벨트에 점착되어 이송되는 절삭유와 오일을 상기 벨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크레이퍼(scraper); 상기 스크레이퍼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절삭유와 상기 오일을 비중차에 의해 분리시키는 오일 세퍼레이터(oil separator); 및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웨이스트 오일(waste oil)이 축적되는 웨이스트 오일 팬(waste oil pan)을 포함하는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절삭유를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도시켜 상기 쿨런트 탱크 내로 유입시키는 드레인 라인(drain line); 및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절삭유와 상기 오일의 출렁임을 저지시키는 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칩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 연장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동 롤러; 상기 칩 컨베이어에 마련되는 종동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종동 연장축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벨트에 의해 상기 구동 롤러와 동회전되는 종동 롤러;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벨트 텐션유닛; 및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 사이 영역에서 상기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오일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여 절삭유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거나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수 분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대량의 오일 처리 능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모터(motor) 등의 추가에 따른 부가적인 비용 없이도 컨베이어 구성으로 간단하고 단순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정상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칩 컨베이어 영역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 방향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D 영역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의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 방향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도 7의 D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컨베이어(110)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는, 칩 컨베이어(110), 스크레이퍼(scraper, 140), 오일 세퍼레이터(oil separator, 150), 그리고 웨이스트 오일 팬(waste oil pan, 160)을 포함한다.
칩 컨베이어(110)는 기계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칩(chip)을 운반하는 이송장치이다. 도 6에 도시된 구동모터(111) 및 구동축(112),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종동축(113)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칩을 운반한다.
이러한 칩 컨베이어(110)의 주변에는 쿨런트 탱크(coolant tank, 130)가 마련된다. 쿨런트 탱크(130) 내에는 쿨런트 펌프(coolant pump, 120)가 구비된다. 쿨런트 펌프(120)는 쿨런트 탱크(130) 내에서 일측에 배치되어 쿨런트 탱크(130) 내의 절삭유를 펌핑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칩 컨베이어(110)는 그 일부분(P1, 도 3 참조)이 쿨런트 탱크(130) 내에 침지되고 나머지 부분(P2, 도 3 참조)은 쿨런트 탱크(130)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칩 컨베이어(110)에는 벨트(170)가 부속되는데, 칩 컨베이어(110)의 일부분(P1, 도 3 참조)이 쿨런트 탱크(130) 내에 침지되게 마련됨에 따라 벨트(170)에 절삭유와 오일이 점착되어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실제, 벨트(170)의 일부분, 즉 적은 부분만이 쿨런트 탱크(130) 내에 침지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도 3처럼 칩 컨베이어(110)의 하부 영역의 넓은 면적에서 벨트(170)가 쿨런트 탱크(130) 내에 침지되는 경우, 벨트(170)에 점착되는 절삭유와 오일의 점착량이 훨씬 많아질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대량의 오일 처리 능력을 확보하기에 충분하다.
벨트(170)가 설치되는 구조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컨베이어(110)를 구동시키는 구동축(111)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 연장축(171)의 단부에는 구동 롤러(172)가 마련되고, 칩 컨베이어(110)의 종동축(112)으로부터 연장되는 종동 연장축(173)의 단부에는 종동 롤러(174)가 마련되며, 구동 및 종동 롤러(172,174)에 벨트(170)가 폐루프를 이루면서 결합된다.
이처럼 절삭유와 오일을 운반하는 벨트(170)를, 칩 컨베이어(110)를 구동시키는 구동축(112)과 종동축(113)으로부터 연결되어 장착된 구동 및 종동 롤러(172,174)에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설치,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또한 많은 비용이 들지 않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 대비 커다란 구조의 개선 없이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동 및 종동 롤러(172,174), 그리고 벨트(170)는 외관 커버(177, 도 8 참조)에 의해 부분적으로 커버링되어 보호될 수 있다.
벨트(170)를 구동 및 종동 롤러(172,174)에 폐루프 형태로 감아 사용함에 있어 벨트(170)가 처지면 곤란하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텐션유닛(180)이 마련된다.
벨트 텐션유닛(180)은 구동축(112)에 연결되어 벨트(17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벨트 텐션유닛(180)의 위치가 반드시 구동축(112) 영역일 필요는 없다.
벨트 텐션유닛(180)은 예컨대, 실린더 등의 유압을 이용하여 벨트(170)가 평평하게 텐션을 받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정도의 구성으로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 및 종동 롤러(172,174) 사이 영역에는 벨트(1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191,192)가 마련된다.
아이들 롤러(191,192)는 그 위치에 따라 벨트(17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아이들 롤러(191)와 벨트(17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아이들 롤러(192)로 나뉠 수 있다.
하부 아이들 롤러(191)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상부 아이들 롤러(192)의 경우, 벨트(170)의 표면에 점착된 절삭유와 오일이 상부 아이들 롤러(192)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벨트(170)의 표면에 점착된 절삭유와 오일이 상부 아이들 롤러(192)에 점착되거나 상부 아이들 롤러(192)로 인해 벨트(170)의 표면에서 분리되면 곤란하다.
따라서 상부 아이들 롤러(192)는 단순한 롤러 형태에서 벗어나 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어야 한다.
도 7의 확대 부분을 참조하여 상부 아이들 롤러(192)에 대해 부연하면, 상부 아이들 롤러(192)는 롤러 바디(192a)와, 롤러 바디(192a)의 양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벨트(170)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192b),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192b) 사이에 마련되되 벨트(170)가 롤러 바디(192a)의 외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감소되도록 롤러 바디(192a)의 외면 일 영역에서 돌출되어 벨트(170)에 국부적으로 지지되는 벨트 지지용 돌기부(192c)를 구비한다.
도 7처럼 벨트(170)가 롤러 바디(192a)의 외면 전체 영역에 지지되지 않고, 벨트 지지용 돌기부(192c)에 의해 아주 국부적인 영역에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벨트(170)의 표면에 점착된 절삭유와 오일이 상부 아이들 롤러(192)에 의해 분리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사항은 하부 아이들 롤러(19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벨트(170)의 표면에 점착된 절삭유와 오일을 벨트(170)로부터 떨어뜨려 재사용이 가능한 절삭유와 웨이스트 오일(waste oil, 폐유)로 분리하기 위해 전술한 스크레이퍼(140), 오일 세퍼레이터(150), 그리고 웨이스트 오일 팬(160)이 마련된다.
스크레이퍼(140), 오일 세퍼레이터(150), 그리고 웨이스트 오일 팬(160)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컨베이어(110)의 노출된 영역에서 가장 높은 부위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들이 이곳에 위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몸을 구부리면서 웨이스트 오일(폐유)을 처리해왔던 종래 기술의 작업성 문제도 함께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는 편안하게 서서 폐유를 처리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140)는 칩 컨베이어(110)를 지지하는 바디(110a, 도 5 참조)에 결합된다.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스크레이퍼(140)는 바디(110a)에 결합되고, 그 선단부가 칩 컨베이어(110)의 벨트(170)에 접촉되어 벨트(170)에 점착되어 이송되는 절삭유와 오일을 벨트(170)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벨트(170)에 점착되어 이송되는 절삭유와 오일이 벨트(17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즉 떨어질 수 있도록 스크레이퍼(140)의 선단부는 약간 날카로운 날을 형성할 수 있다.
오일 세퍼레이터(150)는 스크레이퍼(140)의 주변에 배치되어 스크레이퍼(170)에 의해 벨트(170)로부터 분리되는 절삭유와 오일을 비중차에 의해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오일 세퍼레이터(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사각 박스(box)의 통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곳에 절삭유와 오일이 쌓이게 되면 상대적인 비중차에 의해 절삭유와 오일이 분리된다.
절삭유가 오일에 비해서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오일 세퍼레이터(150)의 내부에서 침전될 수 있는데, 침전된 절삭유는 드레인 라인(drain line, 151)을 통해 바디(110a)의 내부로 유도되어 쿨런트 탱크(130) 내로 유입됨에 따라 재활용될 수 있다.
절삭유와 오일이 쌓이는 과정에서 출렁임을 줄일 수 있도록 오일 세퍼레이터(150)의 내부에는 격판(152)이 개재될 수 있다. 격판(152)은 오일 세퍼레이터(150)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구획시키는 것은 아니며,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된다.
웨이스트 오일 팬(160)은 오일 세퍼레이터(150)에서 분리된 웨이스트 오일, 즉 폐유가 축적되는 일종의 탱크이다. 폐유의 축적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도 3과 같은 대차(165)를 웨이스트 오일 팬(160)에 받쳐두고 폐유를 수거하면 된다. 웨이스트 오일 팬(160)은 별도의 브래킷(161)에 의해 바디(110a)의 적당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칩 컨베이어(110)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칩 컨베이어(110)는 그 일부분(P1, 도 3 참조)이 쿨런트 탱크(130) 내에 침지되기 때문에, 구동모터(111)에 의해 칩 컨베이어(110)가 구동되면 절삭유와 오일이 쿨런트 탱크(130) 내에 침지된 벨트(170)의 표면에 점착되어 벨트(170)를 따라 이송된다. 즉 하부의 쿨런트 탱크(130)로부터 경사진 상태로 상향 이송된다.
벨트(170)의 표면에 점착된 절삭유와 오일이 스크레이퍼(140) 영역에 도달되면, 스크레이퍼(140)의 선단부가 벨트(170)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관계로 절삭유와 오일은 벨트(170)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어 그 하부의 오일 세퍼레이터(150)로 낙하된다.
오일 세퍼레이터(150)에서는 상대적인 비중차에 의해 절삭유와 오일을 분리시킨다.
이때, 비중이 높은 절삭유는 드레인 라인(drain line, 151)을 통해 바디(110a)의 내부로 유도되어 쿨런트 탱크(130) 내로 유입됨에 따라 재활용되나, 오일 세퍼레이터(150)에서 분리된 웨이스트 오일은 웨이스트 오일 팬(160)을 통해 폐처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오일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여 절삭유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거나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수 분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대량의 오일 처리 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엇보다도 모터(motor) 등의 추가에 따른 부가적인 비용 없이도 컨베이어 구성으로 간단하고 단순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정상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칩 컨베이어 111: 구동모터
112: 구동축 113: 종동축
120: 쿨런트 펌프 130: 쿨런트 탱크
140: 스크레이퍼 150: 오일 세퍼레이터
151: 드레인 라인 152: 격판
160: 웨이스트 오일 팬 170: 벨트
171: 구동 연장축 172: 구동 롤러
173: 종동 연장축 174: 종동 롤러
180 : 벨트 텐션유닛 191,192 : 아이들 롤러

Claims (5)

  1. 기계 본체의 외부로 칩(chip)을 운반하되 일부분은 쿨런트 탱크(coolant tank) 내에 침지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쿨런트 탱크의 외부로 노출되는 벨트를 구비하는 칩 컨베이어;
    상기 칩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바디에 결합되며, 선단부가 상기 칩 컨베이어의 벨트에 접촉되어 이송되는 절삭유와 상기 벨트에 점착되어 이송되는 오일을 상기 벨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크레이퍼;
    상기 스크레이퍼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절삭유와 상기 오일을 비중차에 의해 분리시키는 오일 세퍼레이터;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웨이스트 오일(waste oil)이 축적되는 웨이스트 오일 팬;
    상기 칩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으로부터 연장되는 구동 연장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동 롤러;
    상기 칩 컨베이어에 마련되는 종동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종동 연장축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벨트에 의해 상기 구동 롤러와 동회전되는 종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 사이 영역에서 상기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은 롤러 바디와, 상기 롤러 바디의 양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벨트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롤러 바디의 외면 일 영역에서 돌출되어 상기 벨트에 국부적으로 지지되는 벨트 지지용 돌기부를 포함하는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절삭유를 상기 쿨런트 탱크 내로 유입시키는 드레인 라인; 및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절삭유와 상기 오일의 출렁임을 저지시키는 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벨트 텐션유닛을 더 포함하는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는 상기 벨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아이들 롤러와 상기 벨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오일 세퍼레이터, 및 웨이스트 오일 팬은 상기 칩 컨베이어의 노출된 영역에서 가장 높은 부위의 하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1020100124422A 2010-12-07 2010-12-07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101787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422A KR101787099B1 (ko) 2010-12-07 2010-12-07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422A KR101787099B1 (ko) 2010-12-07 2010-12-07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305A KR20120063305A (ko) 2012-06-15
KR101787099B1 true KR101787099B1 (ko) 2017-10-18

Family

ID=4668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422A KR101787099B1 (ko) 2010-12-07 2010-12-07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4859A (zh) * 2013-12-27 2014-07-02 中山市利群精密实业有限公司 一种模具加工机构
CN104875026A (zh) * 2015-04-24 2015-09-02 重庆麦斯特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数控龙门加工中心机
KR102107231B1 (ko) * 2018-04-17 2020-05-28 박기운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707Y1 (ko) *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한국메이후란 벨트오일 스키머
JP2002129245A (ja) 2000-10-27 2002-05-09 Kumagai Gumi Co Ltd 油含有鉄粉の処理方法
JP2002146442A (ja) 2000-11-07 2002-05-22 Kumagai Gumi Co Ltd 油含有鉄粉の処理方法
JP2009023012A (ja) 2007-07-17 2009-02-05 Genichi Sato 切削屑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10173021A (ja) * 2009-01-30 2010-08-12 Teral Inc クーラント処理装置
JP2010173041A (ja) * 2009-01-30 2010-08-12 Toyota Motor Corp 切粉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245A (ja) 2000-10-27 2002-05-09 Kumagai Gumi Co Ltd 油含有鉄粉の処理方法
JP2002146442A (ja) 2000-11-07 2002-05-22 Kumagai Gumi Co Ltd 油含有鉄粉の処理方法
KR200249707Y1 (ko) *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한국메이후란 벨트오일 스키머
JP2009023012A (ja) 2007-07-17 2009-02-05 Genichi Sato 切削屑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10173021A (ja) * 2009-01-30 2010-08-12 Teral Inc クーラント処理装置
JP2010173041A (ja) * 2009-01-30 2010-08-12 Toyota Motor Corp 切粉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305A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31438A (ja) 切粉搬出コンベヤ装置
KR101787099B1 (ko) 칩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100434585B1 (ko) 칩 컨베이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칩 분리/회수장치
EP3476775B1 (en) Silent spiral conveyor
CN1781657A (zh) 切削装置
EP3395498A1 (en) Filtration device
WO2002006004A1 (fr) Transporteur de puces et dispositif de separation et de rassemblement des puces utilise avec celui-ci
WO2004054756A1 (en) Chip discharge conveyor system provided with a separation function
JP2001341047A (ja) 工作機械
KR102637813B1 (ko)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JP2008133058A (ja) 落鉱水洗装置
JP6999142B1 (ja) スラッジ含有液貯留槽におけるスラッジ堆積防止液体移送装置
KR20170000631A (ko) 롤러의 중량에 의해 텐션을 유지하는 화이바글라스 벨트와 벨트 양면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벨트타입 스키머
KR20130046568A (ko) 벨트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CN213612963U (zh) 矿石加工用自动送料装置
KR20140031390A (ko) 판재의 반송 장치 및 판재의 반송 방법
JP2012086277A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KR101148219B1 (ko) 자기력 슬러지 분리 장치
KR200230079Y1 (ko) 페이퍼필터 머신의 되감김장치
CN110883600A (zh) 用于立式加工中心的螺旋排屑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864885B1 (ko) 필터링효율이 향상된 페이퍼필터장치
CN208289562U (zh) 一种多楔带单根磨楔设备
CN219155483U (zh) 一种传送带
CN114535183A (zh) 矿石加工用自动送料装置
JP4796744B2 (ja) 分離装置および分離装置に用いる回収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