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693B1 - 계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계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693B1
KR101785693B1 KR1020157036017A KR20157036017A KR101785693B1 KR 101785693 B1 KR101785693 B1 KR 101785693B1 KR 1020157036017 A KR1020157036017 A KR 1020157036017A KR 20157036017 A KR20157036017 A KR 20157036017A KR 101785693 B1 KR101785693 B1 KR 10178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hickness
light transmitting
thickness setting
se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657A (ko
Inventor
오사무 코세키
료 스에나가
마사히로 쿠니노리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29Signal processing
    • G01N15/1433Signal processing using image recogn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biomass, e.g. colony counters or by turbidity measur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4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6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C12Q1/06Quantitative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34Opt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75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 G01N2015/069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06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for cyt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86Counting the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과제]측정 정밀도, 작업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수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계수용 장치 (1)는 용기 (11)를 재치하는 재치대 (2)와, 누름대 (3)를 갖추고, 재치대 (2)와 누름대 (3)는 용기 (11)를 끼워 넣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재치대 (2)가 투광 구멍 (21)을 가지고, 누름대 (3)가 투광 구멍 (31)을 가지고, 누름대 (3)는 투광 구멍 (31) 주변에 있고, 용기 (11)와 마주하는 측에 용기 (11)를 재치대 (2)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 두께 설정 부재 (32)를 돌출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계수용 장치{DEVICE FOR COUNTING}
본 발명은 계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밀봉된 배양 용기 내의 배양액 중의 세포 수를 세기 위한 계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품의 생산과 유전자 치료, 재생 의료, 면역 요법 등의 분야에서 세포나 조직, 미생물 등을 인공적인 환경 하에서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배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포 배양에서는 세포의 증식과 더불어, 배양액에서의 세포 밀도를 적정한 범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즉 배양액에서의 세포 밀도가 너무 크면 각 세포에 충분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할 수 없게 되어 세포 증식 효율이 저하한다. 또한 배양액에서의 세포 밀도가 너무 작아도 충분한 증식 효율을 얻지 못한다.
그래서 세포 배양에 있어서는 배양 중에 세포 밀도를 파악하기 위해, 적당한 배양 용기 내에서의 배양액 중의 세포 수를 계측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밀봉된 용기 내의 액체 중의 계수 대상물의 수를 계측하기 위한 계수용 장치이며, 용기를 적재하는 적재대와 용기에서의 측정 대상 범위를 포함한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두께로 조정하는 조정 부재를 갖춘 계수용 장치가 명시되어 있다.
이 계수용 장치는 또한 용기 내의 계수 대상물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촬영된 화상 내의 계수 대상물의 수를 계측하는 계수 수단과 계수 수단에 의한 계측 결과 계수 대상물의 수가 소정의 범위 내에 없는 경우, 화상 내의 계수 대상물의 수가 소정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 부재를 구동하여,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두께로 조정하는 구동 장치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특허 문헌 1의 용기 내의 계수 대상물의 계수 방법의 원리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계수 방법의 원리는 본 발명의 계수용 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다.
도 10은 현미경을 사용해서 배양 용기 내의 세포를 직접 관찰하고, 그 수를 계측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10(a)는 배양 용기의 두께 T를 조절하지 않고 관측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배양액으로서 그 비중이 세포의 비중보다 작은 것을 사용함으로써 세포를 배양 용기의 바닥에 가라앉혀서 현미경 관찰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비중이 큰 배양액을 사용하여 세포를 용기의 상부에 모아 관찰하게 해도 된다.
도 10(a)의 경우 배양 용기 내의 세포 수가 늘면서 현탁하여 정치시켰을 때에 점차 서로 겹치는 일이 생긴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세포를 대량 배양할 경우 세포 수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없다.
그래서 특허 문헌 1의 계수용 장치는 세포 수가 너무 많아서 정확하게 계측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10(b)와 같이 배양 용기의 두께를 T'로 감소시킴으로써 측정 대상 범위(관측 범위)에서의 세포 수를 감소시키고 계측에 적합한 세포 수로 조정한다.
이로써 배양 용기에 의해서 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하는 경우에도 배양 용기 내의 세포를 직접 관찰함으로써 배양계를 개방하지 않고 세포 수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용기 내의 세포 수가 적고 배양 용기 전체의 밀도 예측이 어려울 경우에는 배양 용기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관측 범위 내에서의 세포 수를 증가시켜서 계측에 적합한 세포 수로 조정할 수 있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특개 2011-87498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계수용 장치는 배양계를 개방하지 않고 또한 세포 밀도에 관계없이 배양 용기 내의 세포 수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두께의 조정 부재가 용기에서의 측정 대상 범위(측정 가능 범위로도 불린다.)를 포함한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두께, 즉 액체 두께 및 필름 두께의 총합으로서의 소정의 두께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용기의 필름 두께 T1(도 10참조)가 고르지 못하면, 측정 가능 범위의 액체의 용적이 상기의 불균형에 따라서 늘었다 줄었다 하므로 세포 밀도를 산출할 때, 측정 정밀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필름 두께가 다른 용기를 잘못 사용할 경우 잘못된 세포 밀도를 산출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필름 두께가 다른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각 용기의 필름 두께를 고려하여 그 두께를 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조정을 위한 노력을 경감하거나 또는 불필요하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측정 정밀도, 작업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수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계수용 장치는 가요성(휘어지는 성질)을 가진 용기 내의 액체 중의 계수 대상물을 계측하는 계수용 장치이며, 상기 용기를 올려놓는 재치대와, 상기 재치대의 상기 용기를 배치하는 측에 마주하여 배치된 누름대를 갖추고, 상기 재치대와 상기 누름대는, 상기 용기를 끼워 넣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재치대와 상기 누름대와의 적어도 한 쪽에, 상기 용기 표면을 향하는 투광 구멍을 가지며, 상기 누름대는 상기 투광 구멍 주변에 있고, 상기 용기와 마주하는 측에 상기 용기를 상기 재치대 사이에 끼워 넣는 하나 또는 복수의 두께 설정 부재를 돌설(突設, 돌출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령, 용기의 필름 두께가 고르지 못하였다고 해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어서 세포 밀도 등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름 두께가 다른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각 용기의 필름 두께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에서 액체를 꺼낼 필요가 없어서 액체가 배양액인 경우 오염 리스크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계측자의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계수용 장치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계수용 장치의 개략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계수용 장치의 개략 좌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계수용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도이며, (a)는 확대 단면을 도시하고, (b)는 A-A시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c)는 계수 중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계수용 장치의 측정 가능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실험 1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계수용 장치의 측정 가능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실험 2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계수용 장치의 측정 가능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계수용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계수용 장치의 측정 가능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계수용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계수용 장치의 측정 가능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계수용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 내의 계수 대상물의 계수 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에서 계수용 장치 (1)는 재치대 (2), 누름대 (3), 케이스 (4), 조명 수단 (5) 및 촬영 수단 (6)등을 갖추고 가요성을 가진 용기 (11)내의 액체 중의 계수 대상물을 계측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11)는 거의 투명한 수지제의 필름으로 구성된 배양 용기이며 용기 (11)내에 액체로서 배양액 (10)이 밀봉되어 있고, 계수 대상물이 세포이다.
(용기)
용기 (11)는 연포재(軟包材)를 재료로서, 주머니 모양(백형)으로 형성한 용기이다. 이와 같이 용기 (11)의 재료로서 연포재를 사용함으로써, 용기 (11)에 가요성 및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연포재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 공개공보 특개 2004-323077호 공보(가압 추출형의 주머니 모양 용기)에 기재되어 있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11)는 세포 배양에 필요한 가스 투과성을 가지며,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조건을 충족시키는 배양 용기의 재료로는 폴리올레핀,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실리콘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재치대(載置台))
재치대 (2)는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평판이고, 거의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윗면에 용기 (11)가 재치된다. 이 재치대 (2)는 도 4(c)와 같이 누름대 (3)의 투광 구멍 (31)의 아래쪽에 투광 구멍 (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광 구멍 (21)의 상부에 평평한 유리판 (2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투광 구멍 (21)은 거의 타원형이며, 또한 재치대 (2)는 오른쪽 배면 측의 에지(edge)부에 암(arm) 부재 (52)를 이동 가능하게 통과하기 위한 노치(切欠) (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투광 구멍 (21)은 용기 (11)의 표면(하면)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광 구멍 (21)은 케이스 (4)에 수용된 촬상 수단 (6)이 용기 (11)내의 세포를 촬영하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유리 기판 (22)은 용기 (11)를 촬상하기 위해서 투명하고, 또한 유리판 (22)의 윗면은 재치대 (2)의 윗면과 동일면이며, 용기 (11)를 지지하고 있다.
다만,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투광 구멍 (21) 대신 투광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재치대 (2)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 부재(예를 들면, 아크릴 판)로 구성할 경우, 해당 투명 부재가 투과부로 되어 투광 구멍 (21) 및 유리판 (22)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누름대)
누름대 (3)는 용기 (11)의 표면(상면)에 향하는 투광 구멍 (31)을 갖는 동시에, 이 투광 구멍 (31)주변에 있고, 용기 (11)와 마주하는 측에 용기 (11)를 재치대 (2)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 두께 설정 부재 (32)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즉 누름대 (3)는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평판이며, 재치대 (2)의 용기 (11)를 배치하는 측에(재치대 (2)의 위쪽으로) 재치대 (2)에 마주하여 배치된다. 이 누름대 (3)는 도 4와 같이 정면 측의 에지부 및 후면 측의 에지부에 거의 사각 막대 모양의 두께 설정 부재 (32)가 각각 접합되어 있다. 이 두께 설정 부재 (32)는 측면의 하나인 윗면이 누름대 (3)의 아랫면과 접합되고, 또한 측면의 하나인 밑면이 누름대 (3)의 유리판 (33)의 아랫면의 상하 방향의 위치보다 돌출량 H만큼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량 H과 액 두께 t와의 관계 및 돌출량 H과 측정 가능 범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 한다.
또한 누름대 (3)는 거의 중앙부에 투광 구멍 (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광 구멍 (31)의 하부에, 평평한 유리판 (3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투광 구멍 (31)은 거의 타원형이며 그 타원의 길이 방향은 계수용 장치 (1)의 좌우 방향과 평행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광 구멍 (31)은 조명 수단 (5)의 빛을 용기 (11)에 조사하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유리 기판 (33)은 빛을 조사하기 위해서 투명하고, 또한 유리판 (33)의 밑면은 누름대 (3)의 밑면과 같은 면이며, 용기 (11)를 누른다.
다만,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광 구멍 (31)대신 투광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져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누름대 (3)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 부재(예를 들면, 아크릴 판)로 구성할 경우, 해당 투명 부재가 투광부로 되어 투광 구멍 (31) 및 유리판 (33)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누름대 (3)는 회동(회전 이동) 수단 (35)의 회동 판 (352)에 장착되어 있다.
이 회동 수단 (35)은 재치대 (2)의 정면 쪽 끝에 고정된 기부(기초부) (351), 이 기부 (351)에 축이 지지되어 투광 구멍 (354)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판 형상의 회동 판 (352), 이 회동 판 (352)에 장착된 핸들 (353) 및 누름대 (3)가 용기 (11)를 밀어내린 상태를 유지하는 록(Lock) 기구(도시 생략)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회동 수단 (35)은 누름대 (3)를 용기 (11)를 끼워 넣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끼워 넣은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수단 (35)에 의해서 누름대 (3)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승강 수단에 의해서, 누름대 (3)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재치대 (2)가 이동하지 않고 누름대 (3)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재치대 (2)와 누름대 (3)는 용기 (11)를 끼워 넣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면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누름대 (3)가 누르는 힘의 조정 부재를 갖추고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르는 힘의 조정 부재로서 복수의 압축 스프링 (34)을 갖추고 있고, 누름대 (3)는 압축 스프링 (34)을 통해서 회동 판 (352)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재치대 (2)와 누름대 (3)사이에 용기 (11)를 끼워 넣을 때, 두께 설정 부재 (32)가 용기 (11)를 너무 강하게 밀어서, 용기 (11)에 타격을 주고, 또는 두께 설정 부재 (32)가 충분히 용기 (11)를 밀어내리지 않고 두께 설정 부재 (32)에 의해서 밀어 내려진 용기 (11)의 위쪽 필름 (111)부분이 용기 (11)의 아래쪽 필름 (112)부분에서 미소(微小) 거리만큼만 떠버리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치대 (2)와 누름대 (3)와의 사이에 용기 (11)을 끼워 넣는다는 것은, 두께 설정 부재 (32)에 의해 밀어 내려진 용기 (11)의 위쪽 필름 (111)부분이 용기 (11)의 아래쪽 필름 (112)부분과 접촉하는 상태임을 말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누름대 (3)에 두께 설정 부재 (32)가 돌설량(突設量)을 조정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렇게 하면, 후술 하는 바와 같이, 돌출량 H=액 두께 t의 관계에 의해서 액 두께 t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돌설량 조정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나 캠, 래칫(ratchet)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돌설량이 다른 누름대 (3)를 미리 준비했다가 누름대 (3)를 교환해도 된다.
(조명 수단)
조명 수단 (5)은 LED등의 광원(도시하지 않음) 및 집광 렌즈 (51)등을 가지고 있으며, 투광 구멍 (354), 투광 구멍 (31) 및 유리판 (33)을 통해서 용기 (11)에서의 측정 가능 범위를 비추어 촬상 수단 (6)에 의한 세포의 촬상에 필요한 밝기를 제공한다.
또한 조명 수단 (5)은 암 부재 (52)를 통해서 왕복 이동 수단 (41)의 스테이지 (411)에 장착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용기 (11)를 재치대 (2)상에 재치할 때의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촬상 수단)
촬상 수단 (6)은 CCD카메라이며, 확대하여 촬상하기 위한 대물 렌즈 (61)를 가지고 있고, 배양액 (10)내의 세포(도시하지 않음)를 촬상한다. 이 촬상 수단 (6)은 승강 수단 (42)을 통해서 왕복 이동 수단 (41)의 스테이지 (411)에 장착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 수단)
승강 수단 (42)은 이송 나사식이며 계측자가 화상을 보면서 다이얼 (421)을 회전시키고, 촬상 수단 (6)을 승강시켜서 초점을 조정한다. 나사의 이송은 수동에 한하지 않고 전동 이송이라도 된다. 전동 이송의 경우 눈으로 초점 조정을 하는 것 외에 자동 초점 조정(오토 포커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왕복 이동 수단)
왕복 이동 수단 (41)는 전동 액추에이터이며 캐비닛 (4)에 수용되어 있으며, 조명 수단 (5) 및 촬상 수단 (6)등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왕복 이동 수단 (41)으로서, 전동 액추에이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수단)
계수용 장치 (1)는 컴퓨터 등 정보 처리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갖추고 있으며, 이 정보 처리 수단은 촬상 수단 (6)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을 처리하고 계수 대상물을 계수 한다. 또한 이 정보 처리 수단은 세포 밀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두께 설정 부재)
본 실시형태의 누름대 (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두께 설정 부재 (32)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바람직한 것은, 한 쌍의 두께 설정 부재 (32)는 서로 틈새를 갖도록, 투광 구멍 (31)의 중심점 또는 이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 방향의 가상 중심선(도시하지 않음)을 기준으로 한 대칭 위치에 돌출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한 쌍의 두께 설정 부재 (32)끼리는 소정의 거리(블록 간격이라고도 불린다.)만큼 띄어서 마주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대 (3)가 용기 (11)를 밀어내리면 위쪽 필름 (111)과 아래쪽 필름 (112)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즉, 누름대 (3)가 용기 (11)를 밀어내리면 누름대 (3)의 아래쪽의 배양액 (10)이 상기의 공간을 지나서 부드럽게 이동한다.
또한 두께 설정 부재 (32)의 형상, 개수(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로 되어 있다.), 배치 등은 상기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수가 하나이고, 두께 설정 부재 (32)의 형상이 평면 방향에서 보아 일본문자 가타카나의 "コ"자 형상이라도 된다. 또는, 개수가 하나이고, 두께 설정 부재 (32)의 형상이 평면 방향에서 보아 링 형상이며, 해당 링 형상의 벽부의 저부에, 배양액 (10)을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바람직한 것은, 두께 설정 부재가 누름대 (3)의 투광 구멍의 중심점 또는 이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 방향의 가상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대칭 위치에 틈새 등을 갖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다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름대 (3)가 용기 (11)를 밀어내리면 도 4(c)와 같이, 두께 설정 부재 (32)가 용기 (11)의 위쪽 필름 (111)을 밀어내리고 밀어내려진 위쪽 필름 (111)의 부분은, 아래쪽 필름 (112)과 맞닿는다. 또한 누름대 (3)의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한 위쪽 필름 (111)부분은 배양액 (10)의 압력 및 용기 (11)(즉, 위쪽 필름 (111))의 휘어지는 성질에 의해서 유리판 (33) 및 누름대 (3)의 아랫면과 접촉한다.
여기서 위쪽 필름 (111)이 유리판 (33)의 아랫면과 접촉하는 경우(도 4(c)참조), 유리판 (33)의 아래쪽의 액 두께 t는, 두께 설정 부재 (32)의 돌출량 H(도 4(a)참조)와 같아진다(돌출량 H=액 두께 t). 단, 두께 설정 부재 (32)와 접촉하는 위쪽 필름 (111)의 부분과 유리판 (33)과 접촉하는 위쪽 필름 (111)의 부분 사이에서는 위쪽 필름 (111)은 거의 S자를 그리듯이 변형되었으며, 액 두께 t는 돌출량 H와 같아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돌출량 H=액 두께 t를 만족하는 범위를 측정 가능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돌출량 H=액 두께 t를 만족하는 범위는 위쪽 필름 (111)의 가요성, 두께, 용기 (11)내의 배양액 (10)의 용적, 두께 설정 부재 (32)의 돌출량 H등의 영향을 받지만, 발명자 등은 예의 연구 및 실험을 하여 돌출량 H=액두께 t를 만족하는 범위를 설정하였다.
다음에 돌출량 H=액 두께 t를 만족하는 범위에 대한 실험 1, 2및 돌출량 H=액 두께 t를 만족하는 실시예 1~3의 누름대 (3)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험 1]
돌출량 H=액 두께 t를 만족하는 범위에 대해서, 실험 1을 실시하였다.
1-1: 실험 조건(도 5(a)참조)은 다음과 같다.
·용기(백이라고도 불린다.): 두께 0.1mm의 폴리 에틸렌제 백
·내용물: 물(500ml, 1000ml, 1500ml의 물을 밀봉하였다.)
·돌출량 H를 변화시키고 누름대에서 백 중앙을 누르고, 두께 설정 부재 근방의 필름의 에지(edge) 플로트(float) 길이 W1을 측정하였다.
또한 에지 플로트 길이 W1의 측정은 누름대(투명 아크릴 판)에 대한 필름의 접촉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고 스케일(단위:1mm)로 측정하였다.
1-2: 실험 결과는 도 5(b)와 같다.
1-3: 500ml의 물을 밀봉한 실험 결과로부터, 아래의 W1/H의 근사식 (1)을 얻었다(도 5(c)참조).
W1=-0.76×H2+8.28×H 근사식 (1)
여기서 바람직한 것은, 상기의 근사식 (1)에서 두께 설정 부재의 돌출량을 H라 했을 때, 그 두께 설정 부재에서 측정 가능 범위까지의 거리 W가 W W1이면 된다. 즉, 거리 W는 다음 식 (2)이면 된다.
W1≥-0.76×H2+8.28×H 식 (2)
이렇게 하면 위쪽의 필름이 누름대 밑면에 확실하게 접촉하므로 측정 정밀도가 저하하는 오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근사식 (1)은 경계(한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실용적으로는 안전율을 고려하여, 거리 W를 다시 수 mm(예를 들면 2~5mm)안쪽으로 설정해도 된다.
<실험 2>
돌출량 H=액 두께 t를 만족하는 범위에 대해서 실험 2를 하였다.
2-1: 실험 조건(도 6(a)참조)은 다음과 같다.
·용기(백이라고도 불린다.): 두께 0.1mm의 폴리 에틸렌제 백
·내용물: 물(500ml의 물을 밀봉하였다.)
·돌출량 H를 0.6mm에 설정하고 한 쌍의 두께 설정 부재끼리의 거리(블록 간격이라고도 불린다.)를 변화시키고 누름대로 백 중앙을 밀어내리고, 측정 가능 범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 가능 범위의 측정은 누름대(투명 아크릴 판)에 대한 필름의 접촉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고 스케일(단위:1mm)로 측정하였다.
2-2: 실험 결과는 도 6(b) 및 도 6(c)과 같다.
2-3: 돌출량 H를 0.6mm로 한 경우 블록 간격이 10mm 이하가 되면 측정 가능 범위가 없어졌다. 따라서, 예를 들어면 확대된 촬상의 시야가 1mm이며, 이 10배 이상의 범위를 측정 가능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블록 간격을 20mm 이상으로 해야 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상기 식(2)에 따르면, H=2.1mm인 때 W1=14.0mm로 되고 측정 가능 범위를 10mm 이상으로 할 경우 블록 간격=14.0+10+14.0=38mm 이상의 블록 간격이 필요하게 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누름대 (3)는 도 7과 같이 좌우 방향의 길이 50mm, 돌출량 H=2.1mm의 한 쌍의 두께 설정 부재 (32)를 50mm 떼어서 돌출 설치했고, 한 쌍의 두께 설정 부재 (32)사이의 영역은 한 변이 50mm의 정방형이었다.
이 누름대 (3)에서 측정 가능 범위는 정면 쪽과 배면 측을 맺는 방향(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식 (2)에 H=2.1mm를 대입하여 산출하면 W=14.0mm로 되고, 두께 설정 부재 (32)에서 14mm 이상 안쪽이었다. 또한 좌우 방향에서는 누름대 (3)의 끝에서 배양액 (10)의 왕래가 있고(왕복 이동이 있음.), 계측치가 불안정하므로, 계측치가 안정될 때까지의 거리에 대해서 실험한 바, 좌우 끝에서 5mm 이상 안쪽의 영역이었다.
또한 이 누름대 (3)를 사용하여 세포 밀도를 산출한 바, 계수판을 사용하여 산출한 세포 밀도와 거의 같았다.
또한 도 7~9에서 측정 불가의 범위에 빗금을 쳤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누름대 (3)는 도 8과 같이 좌우 방향의 길이 50mm, 돌출량 H=4.2mm의 한 쌍의 두께 설정 부재 (32)를 50mm 떼어서 돌출 설치했고 한 쌍의 두께 설정 부재 (32)사이의 영역은 한 변이 50mm의 정방형이었다.
이 누름대 (3)에서 측정 가능 범위는 정면 측과 배후 측을 맺는 방향(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식 (2)에 H=4.2mm를 대입하여 산출하면 W=21.5mm가 되고 두께 설정 부재 (32)에서 약 22mm 이상 안쪽이었다. 또한 좌우 방향에서는 누름대 (3)의 끝에서 배양액 (10)의 왕래가 있고(왕복 이동이 있음), 계측치가 불안정하므로, 계측치가 안정될 때까지 거리에 대해서 실험한 바, 좌우 끝에서 14mm 이상 안쪽의 영역이었다.
또한 이 누름대 (3)를 사용하여 세포 밀도를 산출한 바, 계수판을 사용하여 산출된 세포 밀도와 거의 같았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누름대 (3)는 도 9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하면 한 쌍의 두께 설정 부재 (32) 대신 각 두께 설정 부재 (32)의 양단부에 거의 정사각형의 밑면을 가진 두께 설정 부재 (32a)를 돌출 설치한 점이 다르고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이다.
이 누름대 (3)에서 측정 가능 범위는 정면 측과 배면 측을 맺는 방향(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마주하는 두께 설정 부재 (32a)끼리의 사이에서 상기 식(2)에 H=2.1mm를 대입하여 산출하면 W=14.0mm로 되고, 두께 설정 부재 (32a)에서 14mm 이상 안쪽이었다. 또한 좌우 방향에서는 누름대 (3)의 끝 부에서 배양액 (10)의 왕래가 있고(왕복 이동이 있음), 계측치가 불안정하므로, 계측치가 안정될 때까지의 거리에 대해서 실험한 바, 좌우의 끝 부에서 5mm 이상 안쪽의 영역이었다.
또한 좌우 방향에 마주하는 두께 설정 부재 (32a)끼리의 사이에서 측정 가능 범위는 네 개의 두께 설정 부재 (32a)에서 반경 14mm 이상 안쪽이었다. 또한 반경 14mm의 원호끼리의 사이에서는 배양액 (10)의 왕래가 있고(왕복 이동이 있음), 계측치가 불안정하므로, 계측치가 안정될 때까지의 거리에 대해서 실험한 바, 5mm 이상 안쪽의 영역이었다.
또한 이 누름대 (3)를 사용하여 세포 밀도를 산출한 바, 계수판을 사용하여 산출된 세포 밀도와 거의 같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계수용 장치 (1)의 동작 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용기 (11)내의 세포 수를 계측하기 전에 통상, 용기 (11)내의 배양액 (10)을 섞는다. 또한, 배양액 (10)의 교반 수단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교반 수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계수용 장치 (1)는 도 1, 2에서 파선(破線)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수단 (5) 및 촬상 수단 (6)등은 오른쪽으로 이동되며, 또한 누름대 (3)는 도 3에서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린 상태로 있다.
다음에 계수용 장치 (1)는 계측자에 따라서 재치대 (2)상에 용기 (11)가 재치되고, 이어 회동 수단 (35)이 닫히고, 닫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도 4(c)와 같이, 두께 설정 부재 (32)는 위쪽 필름 (111)을 밀어내리고 밀어내려진 위쪽 필름 (111)의 부분은, 아래쪽 필름 (112)과 접촉하고 누름대 (3)의 투광 구멍 (31) 아래쪽의 위쪽 필름 (111)의 부분은 유리판 (33)과 접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두께 설정 부재 (32)의 아래쪽 액 두께 t는 돌출량 H와 같다(돌출량 H=액 두께 t).
여기서 예를 들면 위쪽 필름 (111)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불균형이라도 두께 설정 부재 (32)의 아래쪽의 위쪽 필름 (111)부분의 두께와 투광 구멍 (31)의 아래쪽의 위쪽 필름 (111)부분의 두께는 거의 같으므로, 상기의 전체적인 불균형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돌출량 H=액 두께 t가 된다. 그러므로 세포 밀도를 산출할 때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11)의 필름 두께가 다른 경우라도 다른 필름 두께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돌출량 H=액 두께 t이다. 그러므로 필름 두께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필름 두께의 조정 등에서 휴먼 에러(human error)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누름대 (3)는 압축 스프링 (34)으로 압압력(押力)이 조정되어 있어서 재치대 (2)와 누름대 (3)와의 사이에 용기 (11)를 끼워 넣을 때 두께 설정 부재 (32)가 용기 (11)를 너무 강하게 밀어서 용기 (11)에 타격을 주고, 또는 두께 설정 부재 (32)가 충분히 용기 (11)를 밀어내리지 않고 두께 설정 부재 (32)에 의해서 밀어내려진 용기 (11)의 위쪽 필름 (111)부분이 용기 (11)의 아래쪽 필름 (112)부분에서 미소 거리만큼 떠버리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광 구멍 (31)은 통상, 상술한 측정 가능 범위 내에 형성되므로 계측자가 잘못하여 측정 가능 범위 밖에서 계측을 하는 오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왕복 이동 수단 (41)이 조명 수단 (5) 및 촬상 수단 (6)을 투광 구멍 (31)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돌출량 H는 세포의 종류, 용기 (11)의 사이즈 측정 가능 범위의 면적 및 배양 기간 등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조명 수단 (5)이 측정 가능 범위를 비추고, 이어 승강 수단 (42)에 의해서 초점 조정된 촬상 수단 (6)이, 예를 들면 측정 가능 범위 내에서의 한 변 0.5mm내의 세포를 촬상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촬상 수단 (6)에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자동적으로 세포 수를 계측한다.
또한 정보 처리 수단으로서는 공지의 세포 계수 분석 장치나 세포 수 계측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양액 (10)으로서 비중이 배양 세포보다 작은 것을 사용함으로써 배양 세포를 용기 (11)바닥에 침전시키고 촬상 수단 (6)의 초점을 침전된 세포에 맞춤으로써 이들을 촬상한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포 수가 많고 촬상 데이터(촬상한 화상이라고도 한다.)에서의 세포가 서로 겹쳐지는 경우, 세포 수를 제대로 계수 할 수 없다. 또한 세포 수가 일정치 미만인 경우는 얻어지는 세포 밀도의 정밀도가 낮아진다. 이런 경우에는 통상 돌출량 H가 다른 누름대 (3)를 사용하여 다시 계수를 하게 된다.
또한 누름대 (3)를 교환하는 대신 돌출량 H가 다른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누름대 (3) 및 회동 수단 (35)을 나란히 설치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누름대 (3)를 교환하는 대신 조명 수단 (5)및 촬상 수단 (6)을 적합한 누름대 (3)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되므로 측정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측정 가능 범위 내에서의 세포 수가 계측되면 이 세포 수를 측정 가능 범위의 용적으로 나눔으로써 세포 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세포 밀도를 용기 (11)의 용적에 곱함으로써 용기 (11) 전체의 세포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 밀도 및 용기 (11) 전체의 세포 수도 정보 처리 수단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계수용 장치 (1)에 따르면 만일, 용기 (11)의 필름 두께가 불균형하다고 해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어서 측정 정밀도가 저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름 두께가 다른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각 용기의 필름 두께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11)에서 액체를 꺼낼 필요가 없으므로 액체가 배양액인 경우 오염 리스크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계측자의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양 세포를 계측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플랑크톤 등 기타의 유기체, 또는 무기물을 계측 대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양 용기 내의 "액체"에는 배양액 등의 액체 외에, 반유동체도 포함된다. 또한 용기 (11)내의 배양액으로서 배양 세포의 비중보다 큰 것을 사용함으로써 배양 세포를 용기 (11)내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를 계수하게 해도 된다. 또한 세포를 계수할 뿐만이 아니고 세포의 생육 상태 등을 관찰할 수도 있다.
또한 계수용 장치 (1)는 누름대 (3)가 조명용 투광 구멍 (31)을 가지고, 재치대 (2)가 촬상용 투광 구멍 (21)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누름대 (3)가 촬상용 투광 구멍 (31)을 가지고 재치대 (2)가 조명용 투광 구멍 (21)을 가진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촬상 수단 (6)이 반사광을 이용하여 촬상하는 경우에는 누름대 (3)가 조명용 및 촬상용 투광 구멍 (31)을 가지고, 재치대 (2)가 투광 구멍 (21)을 가지지 않는 구성, 또는 누름대 (3)가 투광 구멍 (31)을 가지지 않고 재치대 (2)가 조명용 및 촬상용 투광 구멍 (21)을 가진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누름대 (3)가 투광 구멍 (31)을 가지지 않고, 재치대 (2)가 조명용 및 촬상용 투광 구멍 (21)을 가진 경우에는 누름대 (3)에서의 두께 설정 부재 (32)는 투광 구멍 (21)주변에 배치되도록 돌출 설치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두께 설정 부재 (32)가 투광 구멍 (21)의 중심점과 대응하는 누름대 (3)의 점 또는 이 점을 지나는 수평 방향의 가상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대칭 위치에 틈새 등을 갖도록 돌출 설치하고 있다고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계수용 장치
2 재치대
3 누름대
4 케이스
5 조명 수단
6 촬상 수단
10 배양액
11 용기
21 투광 구멍
22 유리판
23 노치
31 투광 구멍
32, 32a 두께 설정 부재
33 유리판
34 압축 스프링
35 회동 수단
41 왕복 이동 수단
42 승강 수단
43 정면판
51 집광 렌즈
52 암 부재
61 대물 렌즈
111 위쪽 필름
112 아래쪽 필름
351 기부
352 회동 판
353 핸들
354 투광 구멍
411 스테이지
421 다이얼

Claims (7)

  1. 가요성을 가진 용기 내의 액체 중의 계수 대상물을 계측하기 위한 계수용 장치이며,
    상기 용기를 재치하는 재치대와,
    상기 재치대의 상기 용기를 배치하는 측에 마주하여 배열된 누름대를 갖추고,
    상기 재치대와 상기 누름대는, 상기 용기를 끼워 넣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재치대와 상기 누름대와의 중 적어도 한 쪽에, 상기 용기 표면에 임하는 투광 구멍을 가지며,
    상기 누름대는 상기 투광 구멍 주변이며, 상기 용기와 마주하는 측에, 상기 용기를 상기 재치대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 하나 또는 복수의 두께 설정 부재를 돌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계수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대가 상기 투광 구멍을 가진 경우, 해당 투광 구멍의 중심점 또는 이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 방향의 가상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대칭 위치에 상기 두께 설정 부재가 돌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계수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설정 부재의 돌출량을 H라 했을 때, 그 두께 설정 부재에서 측정 가능 범위까지의 거리 W가 W≥-0.76×H2+8.28×H임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용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대가 압압력 조정 부재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용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대에, 상기 두께 설정 부재가 돌출량을 조정 가능하게 돌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계수용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의 액체 중의 상기 계수 대상물을 상기 투광 구멍을 통해서 촬영하는 촬상 수단과, 촬상된 화상을 처리하고 상기 계수 대상물을 계수 하는 정보 처리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 계수용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배양 용기이며, 상기 계수 대상물이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 계수용 장치.
KR1020157036017A 2013-07-09 2014-06-20 계수용 장치 KR101785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3745 2013-07-09
JP2013143745A JP5672342B2 (ja) 2013-07-09 2013-07-09 計数用装置
PCT/JP2014/003330 WO2015004862A1 (ja) 2013-07-09 2014-06-20 計数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657A KR20160011657A (ko) 2016-02-01
KR101785693B1 true KR101785693B1 (ko) 2017-10-16

Family

ID=5227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017A KR101785693B1 (ko) 2013-07-09 2014-06-20 계수용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30585B2 (ko)
EP (1) EP3020797B1 (ko)
JP (1) JP5672342B2 (ko)
KR (1) KR101785693B1 (ko)
CN (1) CN105209594B (ko)
TW (1) TWI548741B (ko)
WO (1) WO2015004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4744B2 (ja) * 2013-11-08 2018-08-01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細胞計数装置、細胞計数システム、及び細胞計数方法
EP3312268B1 (en) * 2015-06-22 2021-08-18 Toyo Seikan Group Holdings, Ltd. Cell culture method, use of an apparatus for cell culture, and cell culture device
TWI591340B (zh) 2016-03-28 2017-07-11 光寶電子(廣州)有限公司 液體分析裝置
CN107860693A (zh) * 2017-11-02 2018-03-30 深圳市卓尔思科技有限公司 一种液体检测仪及液体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2977B1 (fr) * 1993-11-24 1996-01-26 Sematech Sarl Détecteur d'itensité lumineuse diffusée par des objets submicroniques en concentration élevée.
JP2002504363A (ja) * 1998-02-26 2002-02-12 ヘマシュア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生物体液を照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3061642A (ja) * 2001-08-30 2003-03-04 Takagi Ind Co Ltd 細胞・組織培養装置
JP4277568B2 (ja) 2003-04-25 2009-06-10 東洋製罐株式会社 加圧注出形の袋状容器
JP4185904B2 (ja) * 2004-10-27 2008-11-2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液体搬送基板、分析システム、分析方法
JP4354446B2 (ja) * 2005-10-13 2009-10-28 株式会社東海ヒット 顕微鏡ステージ及び顕微鏡観察用ユニット
JP5010180B2 (ja) * 2006-05-31 2012-08-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液体現像剤の濃度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湿式画像形成装置
CN105670928A (zh) * 2007-04-27 2016-06-15 东洋制罐集团控股株式会社 细胞培养装置、细胞培养体系及细胞培养方法
CN104459148B (zh) * 2008-03-14 2017-06-16 科隆迪亚戈有限公司 分析
JP5659479B2 (ja) * 2009-10-21 2015-01-28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培養容器内の細胞の計数方法、及び細胞計数用装置
US20110318725A1 (en) * 2009-03-09 2011-12-29 Toyo Seikan Kaisha Ltd. Cell culture method, cell culture device, method for counting subsject matters to be counted in container and device for counting
JP5769116B2 (ja) * 2010-03-04 2015-08-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可撓性試料容器
JP5764887B2 (ja) * 2010-08-24 2015-08-1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装置、細胞培養システム、及び細胞培養方法
JP6147619B2 (ja) * 2013-09-09 2017-06-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細胞培養装置及び細胞培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0797A4 (en) 2017-03-01
EP3020797B1 (en) 2018-08-22
CN105209594A (zh) 2015-12-30
TW201522617A (zh) 2015-06-16
CN105209594B (zh) 2017-07-11
JP5672342B2 (ja) 2015-02-18
US20160109354A1 (en) 2016-04-21
US10330585B2 (en) 2019-06-25
EP3020797A1 (en) 2016-05-18
KR20160011657A (ko) 2016-02-01
WO2015004862A1 (ja) 2015-01-15
JP2015015908A (ja) 2015-01-29
TWI548741B (zh) 2016-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693B1 (ko) 계수용 장치
US9388376B2 (en) Method for counting subject matters to be counted in container
JP6470008B2 (ja) 培養観察装置および培養観察システム
JP2019500038A (ja) 全自動細胞連続培養システム
JP2019500038A5 (ko)
CN105144337A (zh) 带电粒子束装置、试样观察方法、试样台、观察系统及发光部件
JP2020062047A (ja) 培養観察装置
JP2017099377A (ja) 細胞培養容器、細胞撮影方法、及び細胞培養システム
JP7148185B2 (ja) 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20170191013A1 (en) Container for culturing organisms, method for monitoring the culturing of organisms inside said container, and monitoring system
JP5659479B2 (ja) 培養容器内の細胞の計数方法、及び細胞計数用装置
JP5764887B2 (ja)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装置、細胞培養システム、及び細胞培養方法
JPWO2019176048A1 (ja) 細胞画像処理装置
CN111289408A (zh) 激光辅助识别赫尔-肖氏薄板中颗粒分布的装置及方法
WO2022123944A1 (ja) スライドガラス搬送装置及びスライドガラス撮影システム
CN210571982U (zh) 一种具备位置调节及辅助光照的便携式体液检测装置
JP6980898B2 (ja) 細胞画像処理装置
CN210954468U (zh) 显微镜装置
WO2017163378A1 (ja) 培養容器
US20220267703A1 (en) Device for observing a living cell or a set of living cells
JPWO2016170930A1 (ja) 感受性計測装置及び検査装置
CN109946299B (zh) 一种便携式居家体液检测装置
JP6811024B2 (ja) 細胞培養用ウェルプレート及び当該細胞培養用ウェルプレートにおけるウェル内部の培養液中の細胞を観測する方法
JP2015084724A (ja) フィルム培地用スキャナ装置およびコロニーカウント装置
JPWO2019176044A1 (ja) 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