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060B1 - 특수정제투입장치 - Google Patents

특수정제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060B1
KR101785060B1 KR1020150085844A KR20150085844A KR101785060B1 KR 101785060 B1 KR101785060 B1 KR 101785060B1 KR 1020150085844 A KR1020150085844 A KR 1020150085844A KR 20150085844 A KR20150085844 A KR 20150085844A KR 101785060 B1 KR101785060 B1 KR 101785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medicine
door
unit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972A (ko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크레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템 filed Critical (주)크레템
Priority to KR102015008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06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8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vibrato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6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agitators or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4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vibrato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65B39/002Pivo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특수정제투입장치는, 복수의 약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약제를 약제 포장지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및, 상기 공급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약제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약제를 포장시키는 포장경로, 상기 약제를 회수시키는 회수경로 및 상기 약제를 상기 저장유닛으로 반송시키는 반송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약제에 대한 적용성이 우수하여, 약제 포장 다양성 확보에 유리하다.

Description

특수정제투입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SPECIAL MEDICINE}
본 발명은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된 카세트를 초과하는 약품이나, 반알, 특수 형상의 알약을 손을 대지 않고 위생적으로 조제할 수 있는 특수정제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증상의 병환에 따라 처방된 처방전에 대응하여 약제를 자동으로 배출하여 1회분씩 소분하여 포장하는 약제 포장용 카세트 장치가 근래에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약제 포장용 카세트 장치는 복수의 약제가 저장된 저장통으로부터 약제를 낱개로 배출하여 포장한다.
상기와 같은 약제 포장용 카세트 장치는 회전되는 드럼을 이용해 복수의 약제를 분리하여 포장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드럼방식의 경우, 약제의 형상에 따라 드럼의 형상이 가변되지 않으면, 드럼으로부터 약제가 분리되지 않는 공급불량이 야기되거나 드럼으로부터 약제가 분리되는 속도가 낮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약제 포장용 카세트 장치는 카세트 사이즈가 작아서 많은 양의 정제를 담을 수 없다.
한편, 상기와 같은 드럼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복수의 약제가 저장된 저장통을 진동시켜 약제를 분리 상승시켜 공급하는 방식도 보급되고 있으나, 이러한 진동방식 또한, 약제의 형상에 따라 진동력에 좌우되어 약제가 드랍(Drop)되거나 공급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진동방식의 경우, 약제 포장을 위한 장치의 사이즈가 거대하고 중량이 무거워짐으로 인해, 약제 포장의 접근성이 어려운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다양한 종류에 대한 적용성이 우수하면서도 약제 포장 공급성이 우수한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 국내등록특허 제10-0966621호(출원인: (주)크레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약제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한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는, 복수의 약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약제를 약제 포장지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및, 상기 공급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약제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약제를 포장시키는 포장경로, 상기 약제를 회수시키는 회수경로 및 상기 약제를 상기 저장유닛으로 반송시키는 반송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제어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복수의 약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반송경로와 연통하는 반송구가 마련되는 저장체, 상기 복수의 약제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저장체 내에 설치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와 연결된 상태로 다단 신축 가능하여 승하강 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저장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반송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저장체의 일부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반송구와 연통 가능한 개구가 마련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를 상기 저장체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시키는 도어 회전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회수경로와 연통하는 회수통을 더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은, 입측은 상기 저장유닛과 연통하고 출측은 상기 제어유닛과 연통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을 진동시키는 진동체 및, 상기 공급관의 출측을 개폐하는 공급셔터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포장경로, 회수경로 및 반송경로는 상호 이웃하여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유닛과 연통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반송경로와 회수경로 사이에 마련되는 제1분기부재와 상기 회수경로와 포장경로 사이에 마련되는 제2분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포장경로, 회수경로 및 반송경로를 상호 구획시키는 분기부 및 상기 반송경로와 회수경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송경로와 회수경로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1셔터 및 상기 회수경로와 포장경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송경로와 포장경로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2셔터를 포함하는 셔터부 및, 상기 제1 및 제2셔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약제가 배출되는 공급구를 기준으로 상기 반송경로,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 순으로 점차 멀어지도록 상기 분기부에 의해 분기되며, 상기 제1셔터가 상기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시키고, 상기 제2셔터는 상기 제1셔터에 의해 상기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가 개방되면 상기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이예에 의한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는, 복수의 약제가 저장되며, 원심력에 의해 상기 약제를 배출하는 저장유닛,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약제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및, 상기 공급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약제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약제를 포장시키는 포장경로, 상기 약제를 회수시키는 회수경로 및 상기 약제를 상기 저장유닛으로 반송시키는 반송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경로들을 폐쇄시키도록 제어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반송경로와 연통하는 반송구가 마련되는 저장체, 상기 복수의 약제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저장체 내에 설치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와 연결된 상태로 다단 신축 가능하여 승하강 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저장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구는 도어유닛에 의해 개폐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회수경로와 연통하는 회수통이 상기 저장유닛의 일측에 설치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은 일단은 상기 저장유닛과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제어유닛과 연통하되, 진동에 의해 상기 약제를 공급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포장경로, 회수경로 및 반송경로는 상호 이웃하여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유닛과 연통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반송경로와 회수경로 사이에 마련되는 제1분기부재와 상기 회수경로와 포장경로 사이에 마련되는 제2분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포장경로, 회수경로 및 반송경로를 상호 구획시키는 분기부 및, 상기 반송경로와 회수경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송경로와 회수경로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1셔터 및 상기 회수경로와 포장경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송경로와 포장경로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2셔터를 포함하는 셔터부 및, 상기 제1 및 제2셔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약제가 배출되는 공급구를 기준으로 상기 반송경로,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 순으로 점차 멀어지도록 상기 분기부에 의해 분기되며, 상기 제1셔터가 상기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시키고, 상기 제2셔터는 상기 제1셔터에 의해 상기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가 개방되면 상기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약제의 포장경로 및 반송경로뿐만 아니라 회수경로를 구비함에 따라, 어느 한 종류의 약제 포장에만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저장된 약제를 회수시킨 후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새로운 약제를 공급하여 포장공급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다양한 종류의 약제 포장이 가능해져 약제 적용성 향상에 따른 약제 포장 다양성 확보에 유리하다.
셋째, 약제의 공급성 향상에 따른, 약제의 대량 포장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절단한 종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의 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약제 포장용 카세트의 도어유닛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의 제어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의 포장경로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의 반송경로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그리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약제 포장용 특수정제투입장치의 회수경로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특수정제투입장치(1)는 저장유닛(10), 공급유닛(20) 및 제어유닛(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유닛(10), 공급유닛(20) 및 제어유닛(30)은 카세트 본체(1a)에 설치되며, 커버(C)에 의해 커버되어 보호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수정제투입장치(1)는 대형 약국이나 요양원과 같이 대량의 처방전을 동시에 조제하여 약제 포장지(미도시)에 포장하는 곳에 적용됨이 일반적이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정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약제포장이 필요하지 않아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저장유닛(10)은 약제 포장지(미도시)에 포장될 복수의 약제(M)(도 7 및 도 8 참고)가 저장된다. 상기 저장유닛(10)은 저장체(11), 지지체(12) 및 저장 구동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체(11)는 복수의 약제(M)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저장체(11)는 원심력에 의해 약제(M)를 외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형이면서도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저장체(11)에는 약제(M)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1a)가 관통 형성되며, 반송된 약제(M)가 유입되기 위한 반송구(11b)가 관통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배출구(11a)는 저장체(11)의 상부에 마련되고, 반송구(11b)는 하부에 마련된다.
상기 지지체(12)는 저장체(11) 내에서 복수의 약제(M)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체(12)는 회전중심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경사가 하강하는 형상의 상면을 가지며, 경사진 상면에 복수의 약제(M)가 놓여진다.
상기 저장 구동부(13)는 지지체(12)를 승하강 및 회전 구동시켜, 저장체(11)에 저장된 약제(M)의 높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배출을 위한 원심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저장 구동부(13)는 승강 구동부(70) 및 회전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구동부(70)는 지지체(12)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승강 구동원(71), 신축부(72) 및 승강력 전달부(76)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구동원(71)은 저장체(11)의 내부에 저장된 약제(M)가 배출구(11a)와 마주할 수 있도록 약제(M)를 지지하는 지지체(12)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승강 구동원(71)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수단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신축부(72)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지지체(12)와 연결되되 길이방향으로 다단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신축부재(73)(74)(7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신축부재(73)는 지지체(12)와 연결된 상태로 승강력 전달부(76)에 의해 가동된다. 즉, 상기 제1신축부재(73)는 지지체(12)와 직접 연결되어 가동된다. 상기 제2신축부재(74)는 제1신축부재(73)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제3신축부재(75)는 제2신축부재(74)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신축부재(73)(74)(75)들은 모두 겹쳐진 상태 즉, 길이방향으로 신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기공간(72a) 내에서 대기한다.
상기 신축부(72)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제1 내지 제3신축부재(73)(74)(75)들은 일종의 신축 가능한 안테나와 같이, 상호 겹쳐진 대기위치와 제1신축부재(73)에 전달된 승강 구동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위치 사이에서 가동되되, 제1 내지 제3신축부재(73)(74)(75)들의 신축된 길이는 제1신축부재(73)에 가해지는 구동력에 따라 제어된다.
참고로, 상기 신축부(72)가 제1 내지 제3신축부재(73)(74)(75)를 포함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신축부재들의 개수 및 각각의 높이는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가변 가능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신축부재(73)(74)(75) 각각의 하단에는 돌출된 제1 내지 제3걸림턱(73a)(74a)(75a)이 마련된다. 상기 제1걸림턱(73a)은 제2신축부재(74)의 상단에 돌출된 제1간섭턱(73b)에 간섭됨으로써, 제1신축부재(73)가 제2신축부재(7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규제시킨다. 상기 제2걸림턱(74a)은 제3신축부재(75)의 상단에 돌출된 제2간섭턱(74b)에 간섭되고, 제3걸림턱(75a)은 대기공간(72a)의 상단에 돌출된 제3간섭턱(75b)에 간섭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신축부재(73)(74)(75)들이 상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규제되면서도 상호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력 전달부(76)는 승강 구동원(71)의 구동력을 신축부(72)의 제1신축부재(73)로 전달한다. 이러한 승강력 전달부(76)는 승강 구동원(71)과 연결되는 구동기어(77), 구동기어(77)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피니언기어(78a), 제1피니언기어(78a)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피니언기어(78b) 및, 제1신축부재(73)와 연결된 상태로 제1 및 제2피니언기어(78a)(78b)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래크기어(79a)(79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래크기어(79a)(79b)는 대기공간(72a)을 벗어난 공간에서 상호 분리되어 수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래크기어(79a)(79b)는 대기공간(72a)으로 진입하면서 상호 이웃하게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신축부재(73)를 가동시키며, 대기공간(72a)을 벗어나면 양날개와 같이 상호 분리되어 수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래크기어(79a)(79b)의 구성으로 인해, 신축부(72)의 상승 동작을 위해 제1 및 제2래크기어(79a)(79b)가 길이방향으로 충분히 연장된 길이를 가지더라도 수납을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불필요해진다.
상기 승강력 전달부(76)는 하나의 피니언 및 래크기어 구조가 아닌 2개 이상의 피니언 및 래크기어 구조를 이용해 승강 구동원(71)의 구동력을 제1신축부재(73)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체(12)와 연결된 제1신축부재(73)의 가동력을 보다 안정되게 유지하면서도 정밀한 신축 길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 회전부(80)는 지지체(12)의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제1신축부재(73)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부(80)는 지지체(12)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회전모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저장체(11)에 마련된 반송구(11b)는 도어유닛(14)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유닛(14)은 저장체(11)의 일부 외주면에 설치되어 반송구(11b)와 연통 가능한 개구(15a)가 마련된 도어부(15) 및, 도어부(15)를 저장체(1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시키는 도어 회전부(16)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15)는 저장체(11)의 반송구(11b)를 커버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저장체(11)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도어 회전부(16)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도어 구동원(17), 도어 구동원(17)과 연결되는 도어 구동기어(18), 도어 구동기어(18)와 연결되어 도어 피니언기어(19a) 및, 도어부(15)의 외주를 따라 마련되어 도어 피니언기어(19a)와 연결되는 도어 래크기어(19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구동원(17)는 회전모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어유닛(14)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반송구(11b)를 개방시키거나 도 8의 도시와 같이 반송구(11b)를 폐쇄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구동된다. 이때, 상기 도어 회전부(16)의 도어 구동원(17)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도어 구동기어(18), 도어 피니언기어(19a) 및 도어 래크기어(19b)를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도 7 및 도 8와 같이 도어부(15)가 회전되게 된다.
상기 공급유닛(20)은 상기 저장유닛(10)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M)를 외부의 약제 포장지로 공급한다. 상기 공급유닛(20)은 공급관(21), 진동체(22) 및 공급셔터(23)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관(21)은 입측은 저장유닛(10)의 저장체(11)와 연통하고 출측은 제어유닛(30)과 연통하여, 약제(M)의 공급경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관(21)의 입측은 저장체(11)의 배출구(11a)와 연통하고, 출측은 후술할 제어유닛(30)과 연통하도록 공급구(21a)가 마련된다. 이러한 공급관(21)은 "U"자형 단면을 가지며, 입측으로부터 출측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진동체(22)는 공급관(21)을 진동시킨다. 상기 진동체(22)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공급관(21)의 입측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여, 공급관(21)에 진동을 전달한다. 상기 진동체(22)는 공급관(21)을 진동시킴으로써 공급관(21)의 입측에서 출측을 향해 약제(M)가 정체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참고로, 상기 진동체(22)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1개소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설치된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공급관(21)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진동체(22)에 의해 진동될 수 있는 범위만큼 저장체(11)의 배출구(11a)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됨이 좋다.
상기 공급셔터(23)는 공급관(21)의 출측에 마련된 공급구(21a)를 개폐한다. 상기 공급셔터(23)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공급셔터 구동원(24), 공급셔터 구동원(24)과 연결되는 공급셔터 구동기어(25) 및 공급셔터 구동기어(25)와 연결되도록 공급셔터(23)에 마련되는 공급셔터기어(26)를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한편, 상기 공급관(21)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약제(M)의 공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미도시)가 마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급관(21)의 입측, 출측 및 입측과 출측 사이의 중간위치에 각각 센서가 마련되어 약제(M)를 감지함이 좋다. 이때, 상기 공급셔터(23)는 미도시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약제(M)의 공급불량이 감지될 경우 공급구(21a)를 폐쇄시키도록 구동됨이 좋다.
상기 제어유닛(3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약제(M)를 포장시키는 포장경로(P), 약제(M)를 회수시키는 회수경로(W) 및 약제(M)를 반송시키는 반송경로(R)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회수경로(W)는 저장유닛(10)의 일측에 마련된 회수통(B)과 연통하며, 상기 반송경로(R)는 저장체(11)의 반송구(11b)와 연통한다.
이러한 제어유닛(30)은 분기부(40), 셔터부(50) 및 제어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부(40)는 공급유닛(20)과 연통하되, 회수경로(W)와 반송경로(R) 사이에 마련되는 제1분기부재(41) 및 회수경로(W)와 포장경로(P) 사이에 마련되는 제2분기부재(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분기부재(41)(42)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도 2의 도시와 같이 공급유닛(20)으로부터 약제(M)가 배출되는 공급구(21a)를 기준으로 반송경로(R), 회수경로(W) 및 포장경로(P) 순으로 점차 멀어지도록 분기시킨다.
상기 셔터부(50)는 회수경로(W)와 반송경로(R)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수경로(W)와 반송경로(R)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셔터(51) 및, 회수경로(W)와 포장경로(P)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수경로(W)와 포장경로(P)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셔터(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셔터(5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날개를 가진다. 상기 제2셔터(5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연장된 하나의 날개를 가진다.
이러한 제1셔터(51)는 회수경로(W) 및 포장경로(P)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시키고, 제2셔터(52)는 제1셔터(51)에 의해 회수경로(W) 및 포장경로(P)가 개방되면 회수경로(W) 및 포장경로(P)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제1셔터(51)는 한 쌍의 날개를 가지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회수경로(W) 및 포장경로(P)를 도 2와 같이 동시에 폐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 구동부(60)는 제1 및 제2셔터(51)(52)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어 구동부(60)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제1셔터 구동원(61)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1셔터 구동기어(62) 및 제1셔터기어(63)를 통해 제1셔터(51)로 전달하여 구동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 구동부(60)는 제2셔터 구동원(64)의 구동력을 제2셔터 구동기어(65) 및 제2셔터기어(66)를 통해 제2셔터(52)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셔터 구동기어(62)(65)는 제1 및 제2셔터 구동원(61)(64)과 각각 연결되는 기어이며, 제1 및 제2셔터기어(63)(66)는 제1 및 제2셔터(51)(52)와 동축 설치되어 회전되는 기어이다.
참고로, 상기 제어유닛(30)이 포장경로(P) 및 반송경로(R) 뿐만 아니라, 회수경로(W)로 약제(M)가 이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저장유닛(10)에 저장된 약제(M)를 회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유닛(10)에 저장된 약제(M)를 회수시킨 후 새로운 약제(M)를 재 공급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약제(M) 포장에 하나의 특수정제투입장치(1)가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특수정제투입장치(1)의 약제 포장동작을 도 1 내지 도 12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저장체(11) 내에서 지지체(12)가 배출구(11a)와 마주하도록 승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약제(M)의 포장동작을 대기하는 중에는 제1 내지 제3신축부재(73)(74)(75)들이 상호 신축되어 연장되지 않고 겹쳐진 상태로 대기공간(72a)에 수납되어 대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체(11) 내부의 지지체(12)는 저장체(11)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약제(M)를 지지한다.
이 후, 상기 약제(M)를 낱개로 분리 배출하여 포장하기 위해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승강 구동원(71)으로부터 발생된 승강 구동력이 구동기어(77), 제1 및 제2피니언기어(78a)(78b), 제1 및 제2래크기어(79a)(79b)를 통해 순차적으로 신축부(72)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신축부재(73)가 대기공간(72a)을 벗어나도록 상승된다.
이때, 상기 제1신축부재(73)가 상승되어 대기공간(72a)을 벗어나도, 제2신축부재(74)의 상단에 마련된 제1간섭턱(73b)에 간섭됨으로써, 제1신축부재(73)가 제2신축부재(74)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맞물려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만큼만 이동하게 된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신축부재(73)에 가해지는 승강 구동력에 의해 제2신축부재(74)는 제3신축부재(75)를 벗어나 계속 상승된다. 이때, 상기 제2신축부재(74)의 제2걸림턱(74a)이 제3신축부재(75) 상단에 마련된 제2간섭턱(74b)에 간섭됨으로써, 제2신축부재(74)의 상승 범위가 규제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제1신축부재(73)가 계속 상승하여, 지지체(12)의 상면이 배출구(11a)와 마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렇게 제1 내지 제3신축부재(73)(74)(75)의 다단 신축으로 인해, 지지체(12)에 지지된 약제(M)의 양에 대응하여 지지체(12)가 저장체(11) 내부에서의 승강된 높낮이가 조절된다.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지지체(12)가 배출구(11a)와 마주하도록 승강부(70)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서 회전부(80)에 의해 지지체(12)가 회전되면, 도 7의 도시와 같이 저장체(11)의 배출구(11a)를 통해 약제(M)가 원심력에 배출되어 공급유닛(20)의 공급관(21)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11a)는 포장동작 중에는 도어유닛(14)에 의해 개방되나, 비 포장동작 중에는 도 8와 같이 도어유닛(14)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공급관(21)으로 유입된 약제(M)는 진동체(22)의 진동력에 의해 공급관(21)의 출측에 마련된 공급구(21a)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급구(21a)는 도 2 및 도 9와 같이, 공급셔터(23)에 의해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공급구(21a)를 통해 배출된 약제(M)는 도 10과 같이, 제1 및 제2셔터(51)(52)에 의해 개방된 포장경로(P)로 배출되어 최종 포장된다. 이때, 상기 제1셔터(51)는 시계방향인 R1방향으로 회전되어 반송경로(R)를 폐쇄시켜 회수경로(W)와 포장경로(P)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제2셔터(52)도 R1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수경로(W)를 폐쇄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포장경로(P)만이 개방되어 약제(M)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약제(M)가 과 공급된 경우, 공급구(21a)를 통해 배출된 약제(M) 중 일부를 저장유닛(10)으로 반송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도 11과 같이, 상기 제1셔터(51)는 R2방향으로 회전되어 반송경로(R)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포장경로(P)와 회수경로(W)를 폐쇄시키며, 제2셔터(52)도 R2방향으로 회전하여 포장경로(P)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반송경로(R)를 경유함으로써, 약제(M)는 반송경로(R)와 연통하는 저장체(11)의 반송구(11b)를 통해 저장체(11)로 반송된다.
상기 저장유닛(10)에 저장된 약제(M)를 회수시킨 후, 새로운 약제(M)를 재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2과 같이 제1셔터(51)는 R1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셔터(52)는 R2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회수경로(W)만 개방시킨다. 상기 저장유닛(10)에 저장된 약제(M)는 개방된 회수경로(W)를 통해 회수통(B)에 회수된다.
본 발명의 특수정제투입장치는 별도의 맞춤이나 교정 또는 카세트가 필요없으며, 반알, 특수형상의 알약을 손을 대지 않고 위생적으로 조제하고 남은 약은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특수정제투입장치 M: 약제
10: 저장유닛 20: 공급유닛
30: 제어유닛 40: 분기부
50: 셔터부 60: 제어 구동부
P: 포장경로 R: 반송경로
W: 회수경로

Claims (12)

  1. 복수의 약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약제를 약제 포장지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및
    상기 공급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약제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약제를 포장시키는 포장경로, 상기 약제를 회수시키는 회수경로 및 상기 약제를 상기 저장유닛으로 반송시키는 반송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상기 저장유닛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상기 복수의 약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상측에 상기 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하측에 상기 반송경로와 연통하는 반송구가 마련되는 저장체;
    상기 복수의 약제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저장체 내에 설치되는 지지체;
    상기 저장체를 커버할 수 있는 높이로 상기 저장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반송구와 연통가능한 개구가 마련된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개구가 반송구와 연통 및 폐쇄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도어부를 회전시키는 도어 회전부; 및
    상기 지지체 상면이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위치 및 상기 반송구와 연통하는 위치로 상기 지지체를 승하강 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저장 구동부;를 포함하는 특수정제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회전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도어 구동원과;
    상기 도어 구동원과 연결되는 도어 구동기어와;
    상기 도어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도어 피니언 기어와;
    상기 도어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도어 래크기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정제투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경로와 연통하는 회수통을 더 포함하는 특수정제투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입측은 상기 저장유닛과 연통하고 출측은 상기 제어유닛과 연통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을 진동시키는 진동체; 및
    상기 공급관의 출측을 개폐하는 공급셔터;
    를 포함하는 특수정제투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경로, 회수경로 및 반송경로는 상호 이웃하여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유닛과 연통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반송경로와 회수경로 사이에 마련되는 제1분기부재와 상기 회수경로와 포장경로 사이에 마련되는 제2분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포장경로, 회수경로 및 반송경로를 상호 구획시키는 분기부; 및
    상기 반송경로와 회수경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송경로와 회수경로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1셔터 및, 상기 회수경로와 포장경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송경로와 포장경로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2셔터를 포함하는 셔터부; 및
    상기 제1 및 제2셔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구동부;
    를 포함하는 특수정제투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약제가 배출되는 공급구를 기준으로 상기 반송경로,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 순으로 점차 멀어지도록 상기 분기부에 의해 분기되며,
    상기 제1셔터가 상기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시키고,
    상기 제2셔터는 상기 제1셔터에 의해 상기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가 개방되면 상기 회수경로 및 포장경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특수정제투입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85844A 2015-06-17 2015-06-17 특수정제투입장치 KR101785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844A KR101785060B1 (ko) 2015-06-17 2015-06-17 특수정제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844A KR101785060B1 (ko) 2015-06-17 2015-06-17 특수정제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972A KR20160148972A (ko) 2016-12-27
KR101785060B1 true KR101785060B1 (ko) 2017-10-12

Family

ID=5773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844A KR101785060B1 (ko) 2015-06-17 2015-06-17 특수정제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0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433A (ko) 2021-11-30 2023-06-07 (주)크레템 정제 연속 공급장치
KR20230081434A (ko) 2021-11-30 2023-06-07 (주)크레템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
KR20230081432A (ko) 2021-11-30 2023-06-07 (주)크레템 정제 자동 공급장치
KR20240011955A (ko) 2022-07-20 2024-01-29 (주)크레템 정제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433A (ko) 2021-11-30 2023-06-07 (주)크레템 정제 연속 공급장치
KR20230081434A (ko) 2021-11-30 2023-06-07 (주)크레템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
KR20230081432A (ko) 2021-11-30 2023-06-07 (주)크레템 정제 자동 공급장치
KR20240011955A (ko) 2022-07-20 2024-01-29 (주)크레템 정제 자동 공급장치
EP4339110A2 (en) 2022-07-20 2024-03-20 Cretem Co., Ltd. Automatic tablet fee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972A (ko)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2961B2 (en) Drug packaging device
JP5027926B2 (ja) 自由形状錠剤の自動排出器の数量調節モジュール及び錠剤供給方法
KR101785060B1 (ko) 특수정제투입장치
TWI694955B (zh) 用於自動化藥物施配機的藥物饋入罐及使用該自動化藥物施配機施配藥物之方法
KR101559310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020010748A (ko) 약제의 분배포장장치
JP2006027713A (ja) 薬剤供給装置
US11873125B2 (en) Drug supplying device and drug packaging device
EP3235738A1 (en) Cassette for drug packaging
KR101019344B1 (ko) 알약 및 환약을 동시에 조제하기 위한 포장 장치
JP4918319B2 (ja) 集積装置
KR20150141799A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JP6783186B2 (ja) 投入機
KR101777148B1 (ko) 약제 포장장치
KR20160072725A (ko) 약제포장유닛 및 이의 약제 이송 방법
JP4420449B2 (ja) 薬剤分包装置
KR101761717B1 (ko) 컴팩트한 약제 포장용 카세트장치
KR101761716B1 (ko) 약제 포장장치
KR200383062Y1 (ko) 단자식 조제용 약 포장기
KR20040015386A (ko) 약제의 분배포장장치
KR20170105473A (ko) 약제 포장용 카세트
KR20130128271A (ko) 자동 정제 분배 포장장치
JP4848347B2 (ja) 薬袋投入装置
KR20180117586A (ko) 약포 수납 캐비닛
KR101364163B1 (ko)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