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853B1 -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853B1
KR101784853B1 KR1020170070625A KR20170070625A KR101784853B1 KR 101784853 B1 KR101784853 B1 KR 101784853B1 KR 1020170070625 A KR1020170070625 A KR 1020170070625A KR 20170070625 A KR20170070625 A KR 20170070625A KR 101784853 B1 KR101784853 B1 KR 10178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rail
plate
pair
buffe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안
Priority to KR102017007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이 개시된다. 상기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드레일판; 상기 지주의 외면에 면접하도록 상기 지주와 연결되는 지주연결부, 상기 지주연결부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완충연결부, 각각의 완충연결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드레일판과 연결되는 한 쌍의 가드레일판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지주연결부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일단부는 상기 가드레일판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주연결부의 내면에 지지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GUARD RAILS WITH REINFORCED SHOCK ABSORB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갖는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콘크리트 기초에 묻혀있는 지주와, 지주에 가로로 연결되는 레일과 상기 지주에 레일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를 통칭하여 일컫는 용어로, 도로의 중앙선 또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격시 차량의 파손 및 인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차량의 중앙선 침범, 인도 침범, 다리나 절벽으로의 추락 등을 방지함으로써 더 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가드레일에 차량 충돌시 충격이 1차적으로 레일에 전해지고 다음 연결구에 전해진 다음, 최종적으로 지주에 전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의 충격 흡수 과정은 충분한 충격 완충 효과를 가지지 못하며, 지주에 레일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의 경우는 지주와 레일 사이에서 충격 완충의 효과를 가져야 하는데, 종래의 가드레일의 연결구는 단순히 금속판을 절곡하여 지주와 레일 사이를 지지하거나 지주와 레일 사이에 공간확보의 기능만을 가질 뿐이어서 충격 완충에 대한 효과는 거의 전무(全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배가되도록 한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드레일판; 상기 지주의 외면에 면접하도록 상기 지주와 연결되는 지주연결부, 상기 지주연결부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완충연결부, 각각의 완충연결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드레일판과 연결되는 한 쌍의 가드레일판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지주연결부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일단부는 상기 가드레일판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주연결부의 내면에 지지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도로변에 설치되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1 스크류체결구멍이 형성된 지주; 상기 지주에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측에 제2 스크류체결구멍이 형성된 가드레일판; 상기 가드레일판에 접하도록 상기 가드레일판과 연결되는 가드레일판연결부, 상기 가드레일판연결부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완충연결부, 각각의 완충연결부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주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주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주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지주연결부는 상기 지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 상기 가드레일판연결부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가드레일판연결부의 안쪽면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제1 삽입구멍이 형성된 제1 탄성판과, 상기 제1 탄성판의 일측변으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절곡되어 상기 제1 탄성판에 대해 경사지게 대향되되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장방형 구멍이 형성된 제2 탄성판과, 상기 제2 탄성판의 연장된 길이의 말단으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절곡되어 상기 제2 탄성판에 대향되되 상기 지주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곡되게 연장되며 상기 장방형 구멍과 대향하는 제2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외면에 지지되는 제3 탄성판을 포함하는 완충부재; 순차적으로 상기 제2 스크류체결구멍, 제1 삽입구멍, 장방형 구멍, 제2 삽입구멍, 각각의 제1 스크류체결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가드레일판, 상기 완충부재,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말단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도로변에 설치되며, 원통형상의 외면에서 아크(arc) 형상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비변형 대립부와, 상기 비변형 대립부 위치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1 스크류체결구멍과, 상기 제1 스크류체결구멍의 양측에 형성된 노치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비변형 대립부의 말단부는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지주; 상기 비변형 대립부의 안쪽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한 한 쌍의 완충블록; 상기 지주에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드레일판; 상기 가드레일판에 접하도록 상기 가드레일판과 연결되는 가드레일판연결부, 상기 가드레일판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완충연결부, 각각의 완충연결부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주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주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주연결부, 상기 각각의 지주연결부의 말단부로부터 아크(arc)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비변형 대립부 및 각각의 완충블록에 대향하게 되는 한 쌍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는 상기 지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 상기 가드레일판연결부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가드레일판연결부의 안쪽면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제1 삽입구멍이 형성된 제1 탄성판과, 상기 제1 탄성판의 일측변으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절곡되어 상기 제1 탄성판에 대해 경사지게 대향되되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장방형 구멍이 형성된 제2 탄성판과, 상기 제2 탄성판의 연장된 길이의 말단으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절곡되어 상기 제2 탄성판에 대향되되 상기 지주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곡되게 연장되며 상기 장방형 구멍과 대향하는 제2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외면에 지지되는 제3 탄성판을 포함하는 완충부재; 순차적으로 상기 제2 스크류체결구멍, 제1 삽입구멍, 장방형 구멍, 제2 삽입구멍, 제1 스크류체결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가드레일판, 상기 완충부재,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말단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드레일이 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브라켓 및 완충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에 충격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지주(110), 가드레일판(120), 연결브라켓(130), 완충스프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주(110)는 하단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도로변에 수직 설치된다. 지주(110)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원통의 양측에는 스크류(251)의 체결을 위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스크류체결구멍(1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드레일판(120)은 파형판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가드레일판(120)은 연결브라켓(130), 스크류(251) 및 너트(252)를 통해 지주(110)에 연결된다. 가드레일판(120)은 스크류(251)의 체결을 위해 한 쌍의 제2 스크류체결구멍(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130)은 지주(110) 및 가드레일판(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지주(110) 및 가드레일판(120)이 연결되도록 한다. 연결브라켓(130)은 지주연결부(131), 한 쌍의 완충연결부(132), 가드레일판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연결부(131)는 일정 폭 및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이고, 지주(110)의 외면에 면접하도록 지주(1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주연결부(131)는 바깥면이 지주(110)에 면접하여 지주(110)와 연결될 수 있고, 스크류(251)의 체결을 위해 중심부에 제1 삽입구멍(131a)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완충연결부(132)는 지주연결부(131)의 플레이트 형상의 양측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완충연결부(132)는 일정 폭 및 높이를 갖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완충연결부(132)의 높이는 가드레일판(1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완충연결부(132)의 폭은 지주(110)의 직경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가드레일판연결부(133)는 각각의 완충연결부(132)의 단부로부터 일정 폭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완충연결부(132)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가드레일판연결부(133)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가드레일판연결부(133)는 일부분이 가드레일판(120)의 안쪽면에 면접하여 가드레일판(120)과 연결될 수 있고, 스크류(251)의 체결을 위해 중심부에 제2 삽입구멍(133a)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드레일판연결부(133)에 형성된 제2 삽입구멍(133a)은 가드레일판(120)의 각각의 제2 스크류체결구멍(121)에 대응될 수 있다.
완충스프링(140)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완충스프링(140)은 지주연결부(131)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13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완충스프링(140)의 일단부는 상기 가드레일판(12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주연결부(131)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스프링(140)이 지주연결부(131)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13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완충스프링(14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브라켓(130)의 각각의 완충연결부(132)에는 완충연결부(132)의 하단부로부터 완충연결부(132)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의 스프링지지부(13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드레일이 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다수의 지주(110)를 지중에 매설한다.
이어서, 각각의 지주(110)에 연결브라켓(130)을 결합한다. 연결브라켓(130)의 결합은, 연결브라켓(130)의 지주연결부(131)가 지주(110)의 외면에 면접하도록 연결브라켓(130)을 연결한 후 제1 고정스크류(11)를 순차적으로 지주연결부(131)의 제1 삽입구멍(131a), 지주(110)의 한 쌍의 제1 스크류체결구멍(111)에 삽입하고, 제1 고정스크류(11)의 말단에 제1 너트(12)를 체결하여 제1 고정스크류(11)가 고정되록 한다. 이 과정에 의해 연결브라켓(130)은 지주(11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연결브라켓(130)의 한 쌍의 완충연결부(132)의 사이에 완충스프링(140)을 삽입한다. 이때, 완충스프링(140)은 한 쌍의 완충연결부(132)의 하부의 스프링지지부(132a)에 의해 지지되며, 지주연결부(131)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132)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어서, 각각의 지주(110)에 가드레일판(120)을 연결한다. 이때, 하나의 가드레일판(120)의 양측은 서로 이웃하는 지주(110)에 결합된 각각의 연결브라켓(130)에 결합된다. 가드레일판(120)의 결합은, 연결브라켓(130)의 한 쌍의 가드레일판연결부(133)에 가드레일판(120)이 면접하도록 연결하되 가드레일판(120)의 각각의 제2 스크류체결구멍(121)이 각각의 가드레일판연결부(133)의 제2 삽입구멍(133a)에 대응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제2 고정스크류(13)를 가드레일판(120) 및 각각의 가드레일판연결부(133)에 체결한다. 이때, 각각의 제2 고정스크류(13)는 순차적으로 가드레일판(120)의 제2 스크류체결구멍(121), 제2 삽입구멍(133a)에 삽입하고, 각각의 제2 고정스크류(13)의 말단에 제2 너트(14)를 체결하여 제2 고정스크류(13)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 의해 가드레일판(120)은 연결브라켓(1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가드레일판(120)을 연결브라켓(130)에 결합하면 완충스프링(140)의 일단부는 가드레일판(12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지주연결부(131)의 내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이탈이나 승월을 억제하고, 충격력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한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충돌시 차량은 먼저 가드레일판(120)에 충돌한다. 차량이 충돌하면 가드레일판(120)의 절곡된 형상이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1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이어서, 연결브라켓(130)의 한 쌍의 완충연결부(132)가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2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연결브라켓(13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될 때 완충스프링(140)도 수축되거나 수축 및 복원을 반복하면서 충격을 3차로 완화할 수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충격이 지주(110)까지 가해지는 경우 지주(110)는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4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지주(110)까지 충격을 완화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차량의 충돌 강도에 따라 충격 완화 단계는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연결브라켓(130)의 내측에 수용되어 가드레일판(120) 및 연결브라켓(130)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스프링(140)에 의해 추가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브라켓 및 완충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지주(210), 가드레일판(220), 연결브라켓(230), 완충부재(240), 스크류(251), 너트(2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210)는 하단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도로변에 수직 설치된다. 지주(210)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원통의 양측에는 스크류(251)의 체결을 위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스크류체결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드레일판(220)은 파형판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가드레일판(220)은 연결브라켓(230), 스크류(251) 및 너트(252)를 통해 지주(210)에 연결된다. 가드레일판(220)은 스크류(251)의 체결을 위해 제2 스크류체결구멍(3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230)은 지주(210) 및 가드레일판(2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지주(210) 및 가드레일판(220)이 연결되도록 한다. 연결브라켓(230)은 가드레일판연결부(233), 한 쌍의 완충연결부(232), 지주연결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레일판연결부(233)는 일정 폭 및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가드레일판연결부(233)는 일부분이 가드레일판(220)에 접하도록 가드레일판(220)과 연결될 수 있고, 스크류(251)의 체결을 위해 제3 스크류체결구멍(233a)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완충연결부(232)는 가드레일판연결부(233)의 플레이트 형상의 양측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완충연결부(232)는 일정 폭 및 높이를 갖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완충연결부(232)의 높이는 가드레일판(2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고, 각가의 완충연결부(232)의 폭은 지주(210)의 직경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지주연결부(231)는 각각의 완충연결부(232)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지주(210)와 연결될 때 지주(2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지주연결부(231)는 지주(210)와 연결될 때 지주(2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지주(210)에 연결된다.
완충부재(240)는 완충부재(240)는 가드레일판연결부(233)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23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완충부재(240)는 제1 탄성판(241), 제2 탄성판(242), 제3 탄성판(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판(241)은 가드레일판연결부(233)의 안쪽면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제1 삽입구멍(24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판(241)은 가드레일판연결부(233)의 안쪽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제2 탄성판(242)은 제1 탄성판(241)의 일측변으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절곡되어 제1 탄성판(241)에 대해 경사지게 대향되되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탄성판(242)은 제1 삽입구멍(241a)과 대향하는 장방형 구멍(242a)이 형성될 수 있다. 장방형 구멍(242a)은 제2 탄성판(242)이 수축될 때 장방형 구멍(242a)에 결합된 스크류(251)의 간섭 없이 제2 탄성판(242)이 자유롭게 수축 및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탄성판(243)은 제2 탄성판(242)의 연장된 길이의 말단으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절곡되어 제2 탄성판(242)에 대향되되 지주(210)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탄성판(243)은 장방형 구멍(242a)과 대향하는 제2 삽입구멍(242a)이 형성되고, 지주(210)의 외면에 지지된다.
스크류(251)는 가드레일판(220), 완충부재(240), 지주(21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스크류(251)는 순차적으로 제2 스크류체결구멍(321), 제3 스크류체결구멍(233a), 제1 삽입구멍(241a), 장방형 구멍(242a), 제2 삽입구멍(242a), 각각의 제1 스크류체결구멍(211)에 삽입되어 가드레일판(220), 완충부재(240), 지주(210)에 결합될 수 있다.
너트(252)는 스크류(251)의 말단에 나사 결합되어 스크류(251)를 고정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다수의 지주(210)를 지중에 매설한다.
이어서, 각각의 지주(210)에 연결브라켓(230)을 결합한다. 연결브라켓(230)의 결합은, 연결브라켓(230)의 지주연결부(231)가 지주(2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230)을 연결한다. 이때, 지주연결부(231)는 호 형상을 이루어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지주연결부(231)의 단부를 지주(210)의 외면에 대응시킨 후 연결브라켓(230)을 지주(210)를 향해 밀면 각각의 지주연결부(231)는 서로 멀어지도록 확장되면서 지주(210)가 지주연결부(231)들 사이로 삽입되고, 지주(210)가 삽입된 후 확장된 각각의 지주연결부(231)는 다시 복원되어 지주(210)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다음으로, 연결브라켓(230)의 한 쌍의 완충연결부(232)의 사이에 완충부재(240)를 삽입한다. 이때, 완충부재(240)는 지주연결부(231)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232)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어서, 각각의 지주(210)에 가드레일판(220)을 연결한다. 이때, 하나의 가드레일판(220)의 양측은 서로 이웃하는 지주(210)에 결합된 각각의 연결브라켓(230)에 결합된다. 가드레일판(220)의 결합은, 연결브라켓(230)의 가드레일판연결부(233)에 가드레일판(220)이 면접하도록 연결하되 가드레일판(220)의 제2 스크류체결구멍(321)이 가드레일판연결부(233)의 제3 스크류체결구멍(233a)에 대응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스크류(251)를 가드레일판(220), 연결브라켓(230), 지주(210)에 체결한다. 이때, 스크류(251)는 순차적으로 제2 스크류체결구멍(321), 제3 스크류체결구멍(233a), 제1 삽입구멍(241a), 장방형 구멍(242a), 제2 삽입구멍(242a), 각각의 제1 스크류체결구멍(211)에 삽입하고, 스크류(251)의 말단에 너트(252)를 체결하여 스크류(251)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 의해 가드레일판(220), 완충부재(240), 연결브라켓(230)이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가드레일판(220)을 연결브라켓(230)에 결합하면 완충부재(240)의 제1 탄성판(241)은 가드레일판(220)의 안쪽면에 지지되고, 제3 탄성판(243)은 지주(210) 외면에 면접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이탈이나 승월을 억제하고, 충격력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한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충돌시 차량은 먼저 가드레일판(220)에 충돌한다. 차량이 충돌하면 가드레일판(220)의 절곡된 형상이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1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이어서, 연결브라켓(230)의 한 쌍의 완충연결부(232)가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2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연결브라켓(23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될 때 완충부재(240)도 수축되거나 수축 및 복원을 반복하면서 충격을 3차로 완화할 수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충격이 지주(210)까지 가해지는 경우 지주(210)는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4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지주(210)까지 충격을 완화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차량의 충돌 강도에 따라 충격 완화 단계는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연결브라켓(230)의 내측에 수용되어 가드레일판(220) 및 연결브라켓(230)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240)에 의해 추가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한편, 연결브라켓(230)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지주연결부(231)가 서로 이격되어 확장 및 복원이 가능하고, 서로 이격된 지주연결부(231)들 사이로 지주(2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연결브라켓(230)을 지주(210)에 연결할 때 연결브라켓(230)을 지주(210)에 밀어끼우는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히 체결되므로 연결브라켓(230)을 지주(210)에 연결하는 과정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지주(310), 한 쌍의 완충블록(360), 가드레일판(320), 연결브라켓(330), 완충부재(340), 스크류(351) 및 너트(3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310)는 하단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도로변에 수직 설치된다. 지주(31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지주(310)는 한 쌍의 비변형 대립부(311), 제1 스크류체결구멍(312), 노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비변형 대립부(311)는 원통형상의 외면에서 아크(arc) 형상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크류체결구멍(312)은 비변형 대립부(311)의 위치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노치부(313)는 제1 스크류체결구멍(312)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노치부(313)는 제1 스크류체결구멍(312)의 단부로부터 지주(3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노치부(313)는 '<' 형상이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완충블록(360)은 비변형 대립부(311)의 안쪽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완충블록(360)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비되어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완충블록(360)은 우레탄 또는 고무 소재일 수 있다.
가드레일판(320)은 파형판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가드레일판(320)은 연결브라켓(330), 스크류(351) 및 너트(352)를 통해 지주(310)에 연결된다. 가드레일판(320)은 스크류(351)의 체결을 위해 제2 스크류체결구멍(3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330)은 지주(310) 및 가드레일판(3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지주(310) 및 가드레일판(320)이 연결되도록 한다. 연결브라켓(330)은 가드레일판연결부(333), 한 쌍의 완충연결부(332), 한 쌍의 지주연결부(331), 한 쌍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레일판연결부(333)는 일정 폭 및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가드레일판연결부(333)는 일부분이 가드레일판(320)에 접하도록 가드레일판(320)과 연결될 수 있고, 스크류(351)의 체결을 위해 제3 스크류체결구멍(333a)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완충연결부(332)는 가드레일판연결부(333)의 플레이트 형상의 양측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완충연결부(332)는 일정 폭 및 높이를 갖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완충연결부(332)의 높이는 가드레일판(3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고, 각가의 완충연결부(332)의 폭은 지주(310)의 직경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지주연결부(331)는 각각의 완충연결부(332)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지주(310)와 연결될 때 지주(3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지주연결부(331)는 지주(310)와 연결될 때 지주(3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지주(310)에 연결된다.
한 쌍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는 각각의 지주연결부(331)의 말단부로부터 지주연결부(331)의 외측 방향으로 아크(arc)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며, 각각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는 상기 지주(3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는 연결브라켓(330)이 지주(310)에 연결되면 지주(310)의 각각의 비변형 대립부(311) 및 각각의 완충블록(360)에 대향하게 된다.
완충부재(340)는 완충부재(340)는 완충부재(340)는 가드레일판연결부(333)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33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완충부재(340)는 제1 탄성판(341), 제2 탄성판(342), 제3 탄성판(3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판(341)은 가드레일판연결부(333)의 안쪽면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제1 삽입구멍(34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판(341)은 가드레일판연결부(333)의 안쪽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제2 탄성판(342)은 제1 탄성판(341)의 일측변으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절곡되어 제1 탄성판(341)에 대해 경사지게 대향되되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탄성판(342)은 제1 삽입구멍(341a)과 대향하는 장방형 구멍(342a)이 형성될 수 있다. 장방형 구멍(342a)은 제2 탄성판(342)이 수축될 때 장방형 구멍(342a)에 결합된 스크류(351)의 간섭 없이 제2 탄성판(342)이 자유롭게 수축 및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탄성판(343)은 제2 탄성판(342)의 연장된 길이의 말단으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절곡되어 제2 탄성판(342)에 대향되되 지주(310)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탄성판(343)은 장방형 구멍(342a)과 대향하는 제2 삽입구멍(343a)이 형성되고, 지주(310)의 외면에 지지된다.
스크류(351)는 가드레일판(320), 완충부재(340), 지주(31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스크류(351)는 순차적으로 제2 스크류체결구멍(321), 제3 스크류체결구멍(333a), 제1 삽입구멍(341a), 장방형 구멍(342a), 제2 삽입구멍(343a), 제1 스크류체결구멍(312)에 삽입되어 가드레일판(320), 완충부재(340), 지주(310)에 결합될 수 있다.
너트(352)는 스크류(351)의 말단에 나사 결합되어 스크류(351)를 고정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다수의 지주(310)를 지중에 매설한다.
이어서, 각각의 지주(310)에 연결브라켓(330)을 결합한다. 연결브라켓(330)의 결합은, 연결브라켓(330)의 지주연결부(331)가 지주(3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330)을 연결한다. 이때, 지주연결부(331)는 호 형상을 이루어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지주연결부(331)의 단부 및 각각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를 지주(310)의 외면에 대응시킨 후 연결브라켓(330)을 지주(310)를 향해 밀면 각각의 지주연결부(331)는 서로 멀어지도록 확장되면서 지주(310)가 지주연결부(331)들 사이로 삽입되고, 지주(310)가 삽입된 후 확장된 각각의 지주연결부(331)는 다시 복원되어 지주(310)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이때, 각각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는 지주(310)의 각각의 비변형 대립부(311) 및 완충블록(360)에 대향되게 위치한다.
다음으로, 연결브라켓(330)의 한 쌍의 완충연결부(332)의 사이에 완충부재(340)를 삽입한다. 이때, 완충부재(340)는 지주연결부(331)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332)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어서, 각각의 지주(310)에 가드레일판(320)을 연결한다. 이때, 하나의 가드레일판(320)의 양측은 서로 이웃하는 지주(310)에 결합된 각각의 연결브라켓(330)에 결합된다. 가드레일판(320)의 결합은, 연결브라켓(330)의 가드레일판연결부(333)에 가드레일판(320)이 면접하도록 연결하되 가드레일판(320)의 제2 스크류체결구멍(321)이 가드레일판연결부(333)의 제3 스크류체결구멍(333a)에 대응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스크류(351)를 가드레일판(320), 연결브라켓(330), 지주(310)에 체결한다. 이때, 스크류(351)는 순차적으로 제2 스크류체결구멍(321), 제3 스크류체결구멍(333a), 제1 삽입구멍(341a), 장방형 구멍(342a), 제2 삽입구멍(343a), 각각의 제1 스크류체결구멍(312)에 삽입하고, 스크류(351)의 말단에 너트(352)를 체결하여 스크류(351)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 의해 가드레일판(320), 완충부재(340), 연결브라켓(330)이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가드레일판(320)을 연결브라켓(330)에 결합하면 완충부재(340)의 제1 탄성판(341)은 가드레일판(320)의 안쪽면에 지지되고, 제3 탄성판(343)은 지주(310) 외면에 면접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이탈이나 승월을 억제하고, 충격력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한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에 충격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차량의 충돌시 차량은 먼저 가드레일판(320)에 충돌한다. 차량이 충돌하면 가드레일판(320)의 절곡된 형상이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1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이어서, 연결브라켓(330)의 한 쌍의 완충연결부(332)가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2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연결브라켓(33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될 때 완충부재(340)도 수축되거나 수축 및 복원을 반복하면서 충격을 3차로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1차~3차의 충격을 완화하는 과정에서 가드레일판(320) 및 연결브라켓(330)은 충돌한 차량에 의해 밀리면서 연결브라켓(330)이 일측으로 밀려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연결브라켓(330)이 지주(31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밀려날 수 있다. 이때, 스크류(351)는 지주(310)의 제1 스크류체결구멍(312) 양측에 형성된 노치부(313) 중 연결브라켓(330)의 회전 방향에 마주하는 노치부(313)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연결브라켓(330)이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브라켓(330)이 회전하면 회전하는 방향 측에 위치된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가 완충블록(360)을 향해 이동되어 완충블록(360)에 밀착되며, 이때 도 8과 같이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는 그 절곡된 형상을 따라 수축되고 이와 함께 완충블록(360)도 수축하면서 충격을 4차로 완화할 수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충격이 지주(310)까지 가해지는 경우 지주(310)는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5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지주(310)까지 충격을 완화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차량의 충돌 강도에 따라 충격 완화 단계는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연결브라켓(330)의 내측에 수용되어 가드레일판(320) 및 연결브라켓(330)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340)에 의해 추가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브라켓(330)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지주연결부(331)가 서로 이격되어 확장 및 복원이 가능하고, 서로 이격된 지주연결부(331)들 사이로 지주(3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연결브라켓(330)을 지주(310)에 연결할 때 연결브라켓(330)을 지주(310)에 밀어끼우는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히 체결되므로 연결브라켓(330)을 지주(310)에 연결하는 과정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결브라켓(330)의 한 쌍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의 수축 작용 및 완충블록(360)이 수축 작용에 의한 충격 완화에 의해 차량 충돌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더욱 배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완충스프링(140)은 둘레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오염방지도포층의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메타규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타규산나트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14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0.1 몰 및 메타규산나트륨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의 완충블록(36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블록(360)의 원료 함량비는 상기 고무 60중량부, 카아본블랙 33~36중량부, 산화방지제 2~5중량부,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부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부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부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부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부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부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부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부를 혼합한다. 1 중량부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부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부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부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완충블록(360)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완충블록(360)의 수명이 증대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310 : 지주 120, 220, 320 : 가드레일판
140 : 완충스프링 240, 340 : 완충부재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도로변에 설치되며, 원통형상의 외면에서 아크(arc) 형상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비변형 대립부(311)와, 상기 비변형 대립부(311) 위치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1 스크류체결구멍(312)과, 상기 제1 스크류체결구멍(312)의 양측에 형성된 노치부(313)를 포함하고, 각각의 비변형 대립부(311)의 말단부는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지주(310);
    상기 비변형 대립부(311)의 안쪽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한 한 쌍의 완충블록(360);
    상기 지주(310)에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드레일판(320);
    상기 가드레일판(320)에 접하도록 상기 가드레일판(320)과 연결되는 가드레일판연결부(333), 상기 가드레일판(320)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완충연결부(332), 각각의 완충연결부(332)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주(3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주(31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주연결부(331), 상기 각각의 지주연결부(331)의 말단부로부터 아크(arc)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비변형 대립부(311) 및 각각의 완충블록(360)에 대향하게 되는 한 쌍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충격저지수축변형아크부(334)는 상기 지주(3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330);
    상기 가드레일판연결부(333) 및 한 쌍의 완충연결부(332)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가드레일판연결부(333)의 안쪽면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제1 삽입구멍(331a)이 형성된 제1 탄성판(341)과, 상기 제1 탄성판(341)의 일측변으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절곡되어 상기 제1 탄성판(341)에 대해 경사지게 대향되되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삽입구멍(331a)과 대향하는 장방형 구멍(342a)이 형성된 제2 탄성판(342)과, 상기 제2 탄성판(342)의 연장된 길이의 말단으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절곡되어 상기 제2 탄성판(342)에 대향되되 상기 지주(310)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곡되게 연장되며 상기 장방형 구멍(342a)과 대향하는 제2 삽입구멍(333a)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310)의 외면에 지지되는 제3 탄성판(343)을 포함하는 완충부재(340);
    순차적으로 제2 스크류체결구멍(321), 제1 삽입구멍(331a), 장방형 구멍(342a), 제2 삽입구멍(333a), 제1 스크류체결구멍(311)에 삽입되어 상기 가드레일판(320), 상기 완충부재(340), 상기 지주(310)에 결합되는 스크류(351); 및
    상기 스크류(351)의 말단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351)를 고정하는 너트(3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KR1020170070625A 2017-06-07 2017-06-07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KR10178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625A KR101784853B1 (ko) 2017-06-07 2017-06-07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625A KR101784853B1 (ko) 2017-06-07 2017-06-07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853B1 true KR101784853B1 (ko) 2017-11-06

Family

ID=6038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625A KR101784853B1 (ko) 2017-06-07 2017-06-07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8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2476A (zh) * 2018-11-14 2019-01-22 江苏泰宇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高速公路的护栏板立柱
KR101993766B1 (ko) 2018-09-14 2019-07-01 (주)태평양 충격흡수기능이 향상된 충격흡수형 차량방호울타리
CN111764325A (zh) * 2020-07-22 2020-10-13 江西际洲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防撞护栏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766B1 (ko) 2018-09-14 2019-07-01 (주)태평양 충격흡수기능이 향상된 충격흡수형 차량방호울타리
CN109252476A (zh) * 2018-11-14 2019-01-22 江苏泰宇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高速公路的护栏板立柱
CN111764325A (zh) * 2020-07-22 2020-10-13 江西际洲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防撞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853B1 (ko)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KR101784922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방진형 행거장치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트레이
CA1192371B (en) Roadway/traffic delineator
US8523261B2 (en) Side wall cover
KR100877527B1 (ko) 도로용 가드레일 완충연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CN205604133U (zh) 公路防撞护栏
AU2010226903A1 (en) Wind turbine generator
US20120001051A1 (en) Rebounding post mounting system
US4486117A (en) Flexible traffic standard
KR20190032021A (ko) 다중 완충 기능을 갖는 도로 방호 펜스
WO2002059498A3 (en) Shock absorbing structures
KR20200038751A (ko) 내진 보강용 이력 댐퍼
KR101820338B1 (ko)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101820339B1 (ko)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조립되는 가드레일
JP2009228851A (ja) 免震用積層ゴム
KR102185214B1 (ko) 자력 복원형 반강성 방호책
KR20200001445U (ko) 볼라드
JP3590937B2 (ja) 輸送路表面の支持方法
KR101853394B1 (ko)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
KR102374284B1 (ko) 도로용 안전펜스
KR200265873Y1 (ko) 도로 시설물의 지주 보호용 충격 흡수커버
KR102123084B1 (ko) 충격흡수 및 보도침범 방지기능을 갖는 방호울타리
KR101017704B1 (ko) 완충형 교명주
US20030026923A1 (en) Integrated monopole reinforcement sleeve system and method
JPH0633607A (ja) 鉄筋等の保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