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394B1 -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394B1
KR101853394B1 KR1020170076023A KR20170076023A KR101853394B1 KR 101853394 B1 KR101853394 B1 KR 101853394B1 KR 1020170076023 A KR1020170076023 A KR 1020170076023A KR 20170076023 A KR20170076023 A KR 20170076023A KR 101853394 B1 KR101853394 B1 KR 10185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strength
pair
guard rail
strut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안
Priority to KR102017007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이 개시된다. 상기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드레일판; 및 상기 가드레일판 및 지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드레일판 및 지주를 연결하고, 상기 가드레일판에 면접하는 레일연결부와, 상기 레일연결부의 양측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변형시키면서 가해지는 제1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1 완충부와, 각각의 제1 완충부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와, 각각의 제1 변형버팀부의 끝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시작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상기 제1 완충부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2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2 완충부와, 각각의 제2 완충부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와, 각각의 제2 변형버팀부의 끝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시작으로 상기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상기 제2 완충부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3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3 완충부와, 상기 지주에 면접하는 지주연결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GUARD RAIL HAVING A MULTIPLE SHOCK ABSORBER FOR SEQUENTIALLY SHRINKING IN ACCORDANCE WITH AN IMPACT STRENGTH}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콘크리트 기초에 묻혀있는 지주와, 지주에 가로로 연결되는 레일과 상기 지주에 레일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를 통칭하여 일컫는 용어로, 도로의 중앙선 또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격시 차량의 파손 및 인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차량의 중앙선 침범, 인도 침범, 다리나 절벽으로의 추락 등을 방지함으로써 더 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가드레일에 차량 충돌시 충격이 1차적으로 레일에 전해지고 다음 연결구에 전해진 다음, 최종적으로 지주에 전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의 충격 흡수 과정은 레일에 의한 1회 충격 완충, 연결구에 의한 2회 충격 완충 및 지주에 의한 3회 충격 완충에 그치므로 충분한 충격 완충 효과를 가지지 못하며, 지주에 레일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의 경우는 지주와 레일 사이에서 충격 완충의 효과를 가져야 하는데 대부분 레일 사이에 공간확보의 기능만을 가질 뿐이어서 충격 완충에 대한 효과는 거의 전무(全無)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181429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격강도에 따라 1회 이상 충격을 완화시키는 다중의 충격완화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도록 한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드레일판; 및 상기 가드레일판 및 지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드레일판 및 지주를 연결하고, 상기 가드레일판에 면접하는 레일연결부와, 상기 레일연결부의 양측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변형시키면서 가해지는 제1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1 완충부와, 각각의 제1 완충부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와, 각각의 제1 변형버팀부의 끝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시작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상기 제1 완충부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2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2 완충부와, 각각의 제2 완충부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와, 각각의 제2 변형버팀부의 끝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시작으로 상기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상기 제2 완충부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3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3 완충부와, 상기 지주에 면접하는 지주연결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드레일판; 및 상기 가드레일판 및 지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드레일판 및 지주를 연결하고, 상기 가드레일판에 면접하는 레일연결부와, 상기 레일연결부의 양측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변형시키면서 가해지는 제1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1 완충부와, 각각의 제1 완충부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와, 각각의 제1 변형버팀부의 끝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시작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상기 제1 완충부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2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2 완충부와, 각각의 제2 완충부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와, 각각의 제2 변형버팀부의 끝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시작으로 상기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상기 제2 완충부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3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3 완충부와, 상기 지주에 면접하는 지주연결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1 완충부로부터 상기 제3 완충부까지 점차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드레일판; 및 상기 가드레일판 및 지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드레일판 및 지주를 연결하고, 상기 가드레일판에 면접하는 레일연결부와, 상기 레일연결부와 대향하고 상기 지주에 연결되는 지주연결부와, 상기 레일연결부의 양측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변형시키면서 가해지는 제1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1 완충부와, 상기 레일연결부의 가운데에서 뿔 형상으로 절곡되되 뿔의 끝단부에는 오목한 만입부가 형성되는 형태를 이루어서 상기 지주연결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완충부가 위치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가압부와, 각각의 제1 완충부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한 쌍의 변형버팀부와, 상기 지주연결부의 가운데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의 뿔 형상에 대칭되는 뿔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가압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시작으로 상기 한 쌍의 변형버팀부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상기 제1 완충부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2 충격강도가 전달되어 상기 한 쌍의 변형버팀부가 변형되기 시작할 때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서 수축되는 제2 완충부와, 상기 한 쌍의 변형버팀부의 끝에서 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완충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드레일판을 시작으로 상기 제2 완충부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상기 제2 완충부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3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3 완충부를 구비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에 의하면, 충격강도에 따라 1회 이상 충격을 완화시키는 다중의 충격완화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결브라켓(130)은 2회 이하로 충격을 흡수하는 경우 여분의 충격흡수를 위한 부분이 원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수회의 차량의 충돌에 대응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는 차량의 충돌에 의한 가드레일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브라켓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드레일이 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브라켓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브라켓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지주(110), 가드레일판(120), 연결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주(110)는 하단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도로변에 수직 설치된다. 지주(110)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가드레일판(120)은 파형판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가드레일판(120)은 연결브라켓(130)을 통해 지주(110)에 연결된다.
연결브라켓(130)은 지주(110) 및 가드레일판(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지주(110) 및 가드레일판(120)이 연결되도록 한다. 일 예로, 연결브라켓(130)은 레일연결부(131), 한 쌍의 제1 완충부(132),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 한 쌍의 제2 완충부(134),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 한 쌍의 제3 완충부(136), 지주연결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연결부(131)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가드레일판(120)에 면접한다.
한 쌍의 제1 완충부(132)는 레일연결부(131)의 양측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한 쌍의 제1 완충부(132)는 가드레일판(120)을 변형시키면서 가해지는 제1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된다.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는 각각의 제1 완충부(132)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는 상기 제1 충격강도에 대항한다. 즉, 상기 제1 충격강도에 대응하는 변형력으로 수축 변형에 대해 버티는 부분이다.
한 쌍의 제2 완충부(134)는 각각의 제1 변형버팀부(133)의 끝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한 쌍의 제2 완충부(134)는 가드레일판(120)을 시작으로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제1 완충부(132)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2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된다.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는 각각의 제2 완충부(134)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는 제2 충격강도에 대항한다. 즉, 상기 제2 충격강도에 대응하는 변형력으로 수축 변형에 대해 버티는 부분이다.
한 쌍의 제3 완충부(136)는 각각의 제2 변형버팀부(135)의 끝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한 쌍의 제3 완충부(136)는 가드레일판(120)을 시작으로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제2 완충부(134)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3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된다.
지주연결부(137)는 각각의 제3 완충부(136)에 연결되며, 지주(110)의 외면에 면접한다. 지주연결부(137)는 지주(110)의 외면에 접하도록 굴곡져있다.
이러한 연결브라켓(130)은 순차적으로 레일연결부(131), 한 쌍의 제1 완충부(132),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 한 쌍의 제2 완충부(134),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 한 쌍의 제3 완충부(136), 지주연결부(137)가 나열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드레일이 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다수의 지주(110)를 지중에 매설한다.
이어서, 각각의 지주(110)에 연결브라켓(130)을 결합한다. 연결브라켓(130)의 결합은, 연결브라켓(130)의 지주연결부(137)가 지주(110)의 외면에 면접하도록 연결브라켓(130)을 연결한 후 제1 고정스크류(11)를 지주연결부(137) 및 지주(11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체결하고, 제1 고정스크류(11)의 말단에 제1 너트(12)를 체결하여 제1 고정스크류(11)가 고정되록 한다. 이 과정에 의해 연결브라켓(130)은 지주(110)에 고정된다.
이어서, 각각의 지주(110)에 가드레일판(120)을 연결한다. 이때, 하나의 가드레일판(120)의 양측은 서로 이웃하는 지주(110)에 결합된 각각의 연결브라켓(130)에 결합된다. 가드레일판(120)의 결합은, 연결브라켓(130)의 레일연결부(131)에 가드레일판(120)이 면접하도록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제2 고정스크류(13)를 가드레일판(120) 및 레일연결부(131)를 관통하도록 체결하고, 제2 고정스크류(13)의 말단에 제2 너트(14)를 체결하여 제2 고정스크류(13)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 의해 가드레일판(120)은 연결브라켓(1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이탈이나 승월을 억제하고, 충격력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한다. 이하에서는 제1 충격강도, 제2 충격강도, 제3 충격강도에 따라 차량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충격강도는 가드레일판(120)만을 수축시키거나 가드레일판(120) 및 한 쌍의 제1 완충부(132)를 수축시킬 수 있는 충격강도일 수 있고, 제2 충격강도는 가드레일판(120)을 시작으로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한 쌍의 제1 완충부(132)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고, 제3 충격강도는 가드레일판(120)을 시작으로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제2 완충부(134)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다.
차량의 충돌에 의해 상기 제1 충격강도가 가드레일에 가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충격강도는 가드레일판(12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충격강도에 의해 가드레일판(120)의 절곡된 형상이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1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충격강도는 한 쌍의 제1 완충부(132)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드레일판(120) 및 한 쌍의 제1 완충부(132)가 수축되면서 가드레일판(120)에 의해 1차로 충격이 완화되고, 한 쌍의 제1 완충부(132)에 의해 2차로 충격이 완화된다. 이때,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는 제1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변형력으로 수축되지 않고 변형 없이 제1 충격강도에 대해 버틸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부터 지주(110)까지는 원형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다.
차량의 충돌에 의해 상기 제2 충격강도가 가드레일에 전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충격강도는 순차적으로 가드레일판(120), 한 쌍의 제1 완충부(132),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를 수축시키면서 한 쌍의 제2 완충부(134)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충격강도는 제2 완충부(134)까지 전달되며, 제2 충격강도에 의해 가드레일판(120)이 수축하면서 1차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다음으로 한 쌍의 제1 완충부(132)가 수축하면서 2차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다음으로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 및 한 쌍의 제2 완충부(134)가 수축하면서 3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충격강도는 상기 제1 충격강도에 의해 가드레일판(120) 및 한 쌍의 제1 완충부(132)의 변형 이후에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 및 한 쌍의 제2 완충부(134)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충격강도에 의해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가 수축되고, 이어서 한 쌍의 제2 완충부(134)가 수축하면서 3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각각의 예에서 한 쌍의 제2 완충부(134)가 수축할 때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는 제2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변형력으로 수축되지 않고 변형 없이 제2 충격강도에 대해 버틸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부터 지주(110)까지는 원형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다.
차량의 충돌에 의해 상기 제3 충격강도가 가드레일에 전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3 충격강도는 순차적으로 가드레일판(120), 한 쌍의 제1 완충부(132),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 한 쌍의 제2 완충부(134),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를 수축시키면서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충격강도는 제3 완충부(136)까지 전달되며, 제3 충격강도에 의해 가드레일판(120)이 수축하면서 1차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다음으로 한 쌍의 제1 완충부(132)가 수축하면서 2차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다음으로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133) 및 한 쌍의 제2 완충부(134)가 수축하면서 3차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이어서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 및 한 쌍의 제3 완충부(136)가 수축하면서 4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충격강도는 제2 완충부(134)의 변형 이후에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 및 한 쌍의 제3 완충부(136)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충격강도에 의해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135)가 수축되고, 이어서 한 쌍의 제3 완충부(136)가 수축하면서 4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충격강도는 지주(110)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주(110)가 수축하면서 5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충격강도에 따라 1회 이상 충격을 완화시키는 다중의 충격완화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한편, 연결브라켓(130)은 2회 이하로 충격을 흡수하는 경우 여분의 충격흡수를 위한 부분이 원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수회의 차량의 충돌에 대응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는 차량의 충돌에 의한 가드레일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지주(210), 가드레일판(220), 연결브라켓(230)을 포함하고, 연결브라켓(230)은 레일연결부(231), 한 쌍의 제1 완충부(232),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233), 한 쌍의 제2 완충부(234), 한 쌍의 제2 변형버팀부(235), 한 쌍의 제3 완충부(236), 지주연결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한 쌍의 제1 완충부(232)로부터 한 쌍의 제3 완충부(236)까지 점차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한 쌍의 제1 완충부(232)로부터 한 쌍의 제3 완충부(236)까지 점차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되므로 연결브라켓(230)의 충격에 대항하는 변형력이 증가하고, 따라서 다중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수축 후 복원되는 복원력이 부여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브라켓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지주(310), 가드레일판(320), 연결브라켓(3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주(310)는 하단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도로변에 수직 설치된다. 지주(310)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가드레일판(320)은 파형판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가드레일판(320)은 연결브라켓(330)을 통해 지주(310)에 연결된다.
연결브라켓(330)은 지주(310) 및 가드레일판(3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지주(310) 및 가드레일판(320)이 연결되도록 한다. 일 예로, 연결브라켓(330)은 레일연결부(331), 지주연결부(332), 한 쌍의 제1 완충부(333), 가압부(334),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 한 쌍의 제2 완충부(336), 한 쌍의 제3 완충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연결부(331)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가드레일판(320)에 면접한다.
지주연결부(332)는 상기 레일연결부(33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고, 상기 지주(310)에 연결된다. 일 예로, 지주연결부(332)는 지주(310)의 외면에 면접하는 호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한 쌍의 제1 완충부(333)는 레일연결부(331)의 양측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가드레일판(320)을 변형시키면서 가해지는 제1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된다.
가압부(334)는 레일연결부(331)의 가운데에서 뿔 형상으로 절곡되되 뿔의 끝단부에는 오목한 만입부(334a)가 형성되는 형태를 이루어서 지주연결부(332)를 향해 돌출되고, 제1 완충부(333)가 위치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다. 즉, 제1 완충부(333)의 반원 형상의 폭 내에 위치한다.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는 각각의 제1 완충부(333)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충격강도에 대항한다. 즉, 상기 제1 충격강도에 대응하는 변형력으로 수축 변형에 대해 버티는 부분이다.
제2 완충부(336)는 지주연결부(332)의 가운데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334)의 뿔 형상에 대칭되는 뿔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가압부(334)를 향해 돌출되고, 가드레일판(320)을 시작으로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제1 완충부(333)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2 충격강도가 전달되어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가 변형되기 시작할 때 가압부(334)에 의해 가압되면서 수축된다.
한 쌍의 제3 완충부(337)는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의 끝에서 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제2 완충부(336)에 연결되고, 가드레일판(320)을 시작으로 제2 완충부(336)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제2 완충부(336)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3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다수의 지주(310)를 지중에 매설한다.
이어서, 각각의 지주(310)에 연결브라켓(130)을 결합한다. 연결브라켓(330)의 결합은, 연결브라켓(330)의 지주연결부(332)가 지주(310)의 외면에 면접하도록 연결브라켓(330)을 연결한 후 제1 고정스크류(11)를 지주연결부(332)의 양측 및 지주연결부(332)의 양측에 대응되는 지주(310)의 양측을 관통하도록 체결하고, 제1 고정스크류(11)의 말단에 제1 너트(12)를 체결하여 제1 고정스크류(11)가 고정되록 한다. 이 과정에 의해 연결브라켓(330)은 지주(310)에 고정된다.
이어서, 각각의 지주(310)에 가드레일판(320)을 연결한다. 이때, 하나의 가드레일판(320)의 양측은 서로 이웃하는 지주(310)에 결합된 각각의 연결브라켓(330)에 결합된다. 가드레일판(320)의 결합은, 연결브라켓(330)의 레일연결부(331)에 가드레일판(320)이 면접하도록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제2 고정스크류(13)를 가드레일판(320) 및 레일연결부(331)를 관통하도록 체결하고, 제2 고정스크류(13)의 말단에 제2 너트(14)를 체결하여 제2 고정스크류(13)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 의해 가드레일판(320)은 연결브라켓(3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이탈이나 승월을 억제하고, 충격력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한다. 이하에서는 제1 충격강도, 제2 충격강도, 제3 충격강도에 따라 차량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충격강도는 가드레일판(320)만을 수축시키거나 가드레일판(320)을 수축시키면서 한 쌍의 제1 완충부(333)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고, 제2 충격강도는 가드레일판(320)을 시작으로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한 쌍의 제1 완충부(333)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고, 제3 충격강도는 가드레일판(320)을 시작으로 한 쌍의 제2 완충부(336)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제2 완충부(336)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다.
차량의 충돌에 의해 상기 제1 충격강도가 가드레일에 가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충격강도는 가드레일판(32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충격강도에 의해 가드레일판(320)의 절곡된 형상이 수축되어 찌그러지면서 1차로 충격을 완화한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충격강도는 한 쌍의 제1 완충부(333)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드레일판(320) 및 한 쌍의 제1 완충부(333)가 수축되면서 가드레일판(320)에 의해 1차로 충격이 완화되고, 한 쌍의 제1 완충부(333)에 의해 2차로 충격이 완화된다. 이때,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335)는 제1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변형력으로 수축되지 않고 변형 없이 제1 충격강도에 대해 버틸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335)부터 지주(310)까지는 원형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완충부(333)가 수축될 때 가압부(334)는 한 쌍의 제1 완충부(333)가 수축됨에 따라 제1 변형버팀부(33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가압부(334)의 끝에 형성된 오목한 만입부(334a)는 제2 완충부(336)의 뿔 형상의 끝단부에 면접할 수 있다.
차량의 충돌에 의해 상기 제2 충격강도가 가드레일에 전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충격강도는 순차적으로 가드레일판(320), 한 쌍의 제1 완충부(333),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를 수축시키면서 제2 완충부(336)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충격강도는 제2 완충부(336)까지 전달되며, 제2 충격강도에 의해 가드레일판(320)이 수축하면서 1차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다음으로 한 쌍의 제1 완충부(333)가 수축하면서 2차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다음으로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 및 제2 완충부(336)가 수축하면서 3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완충부(333)가 수축하면서 가압부(334)의 만입부(334a)는 제2 완충부(336)의 끝단부에 면접하며,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가 수축하기 시작할 때 가압부(334)는 제2 완충부(336)를 가압하게 되어 제2 완충부(336)는 수축하게 된다. 다른 예로, 제2 충격강도는 상기 제1 충격강도에 의해 가드레일판(320) 및 한 쌍의 제1 완충부(333)의 변형 이후에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 및 제2 완충부(336)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부(334)는 한 쌍의 제1 완충부(333)가 수축하여 만입부(334a)가 제2 완충부(336)의 끝단부에 면접한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충격강도에 의해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가 수축되기 시작할 때 가압부(334)는 제2 완충부(336)를 가압하게 되어 제2 완충부(336)가 수축하면서 3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차량의 충돌에 의해 상기 제3 충격강도가 가드레일에 전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3 충격강도는 순차적으로 가드레일판(320), 한 쌍의 제1 완충부(333), 한 쌍의 제1 변형버팀부(335), 제2 완충부(336)를 수축시키면서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충격강도는 제3 완충부(337)까지 전달되며, 제3 충격강도에 의해 가드레일판(320)이 수축하면서 1차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다음으로 한 쌍의 제1 완충부(333)가 수축하면서 2차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 및 제2 완충부(336)가 수축하면서 3차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이어서 한 쌍의 제3 완충부(337)가 수축하면서 4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충격강도는 제2 완충부(336)의 변형 이후에 한 쌍의 제3 완충부(337)에 가해지는 충격강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충격강도에 의해 한 쌍의 제3 완충부(337)가 수축하면서 4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충격강도는 지주(310)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주(310)가 수축하면서 5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은 충격강도에 따라 1회 이상 충격을 완화시키는 다중의 충격완화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한편, 연결브라켓(330)은 2회 이하로 충격을 흡수하는 경우 여분의 충격흡수를 위한 부분이 원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수회의 차량의 충돌에 대응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는 차량의 충돌에 의한 가드레일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제1 고정스크류(11), 제2 고정스크류(13), 제1 너트(12), 제2 너트(14)는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금속재의 표면 도포재료로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표면보호도포층은 지르코늄 분말 2.5중량%, 알루미나 분말 60중량%, NH4Cl 30중량%, 아연 2.5중량%, 마그네슘 2.5중량%, 티타늄 2.5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지르코늄 분말은, 내식성, 내열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지르코늄 분말은 2.5중량% 혼합된다. 지르코늄 분말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내식성, 내열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지르코늄 분말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나 분말은 고온으로 가열될 때 소결, 엉킴, 융착 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소결, 엉킴, 융착 방지의 효과가 떨어지며,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알루미나 분말은 6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H4Cl 은 증기 상태의 아연,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NH4Cl 은 30중량% 첨가된다. NH4Cl이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증기 상태의 아연, 마그네슘과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지 못한다. 반면에, NH4Cl이 30중량%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NH4Cl은 3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은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과 전기 방식용으로 사용되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아연은 2.5중량%가 혼합된다.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제대로 방지시키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아연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의 순수한 금속은 구조강도가 낮으므로 상기 아연 등과 함께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을 높이는 용도로 배합된다. 이러한 마그네슘은 2.5중량% 혼합된다.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아연 등과 함께 조합될 시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마그네슘는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은 가볍고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 원소로 은백색의 금속광택이 있는바, 뛰어난 내식성과 비중이 낮아 강철 대비 무게는 60% 밖에 되지 않으므로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은 줄이되 광택을 높이고 뛰어난 방수성 및 내식성을 갖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된다.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이 그다지 경감되지 않고, 광택성, 방수성,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고정스크류(11), 제2 고정스크류(13), 제1 너트(12), 제2 너트(14)의 표면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다.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되어야 할 모재와 상기 구성으로 배합된 도포재료를 폐쇄로 내에 함께 투입시키고 폐쇄로 내부에는 모재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L/min의 비율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킨다, 아르곤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700℃ 내지 800℃의 온도로 4 ~ 5 시간 동안 유지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여 증기 상태의 지르코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마그네슘 및 티타늄이 폐쇄로 내부에 형성되고, 지르코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마그네슘 및 티타늄 배합물은 모재의 표면에 침투하여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된다.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된 후 폐쇄로 내부의 온도를 도포 물질/기재 복합물이 800℃~900℃로 하여 30 ~ 40시간을 유지하면 모재의 표면에는 부식 방지용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되어 모재의 표면과 외기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급격한 온도 변화는 모재 표면의 표면보호도포층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60℃/hr의 비율로 온도 변화를 시킨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도포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도포층은 매우 넓은 범위의 용도를 가지므로 커튼 도포, 스프레이 페인팅, 딥 도포, 플루딩(flooding)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도포층은 부식 및/또는 스케일에 대한 원칙적인 보호 기능에 추가하여 도포가 매우 얇은 층두께로 도포될 수 있어 전기전도성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물질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열간 성형 과정 이후에도 높은 전기전도성이 바람직하다면 얇은 전기전도성 프라이머가 도포층의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성형 과정 또는 열간 성형 과정 이후, 도포 물질은 기재의 표면상에 유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긁힘 내성을 증가시키며, 부식 보호를 개선하고, 미적 외관을 충족시키며, 변색을 방지하고, 전기전도성을 변화시키며 종래 다운스트림 공정(예, 침린 및 전기이동 딥 도포)용 프라이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스크류(11), 제2 고정스크류(13), 제1 너트(12), 제2 너트(14)에 지르코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NH4Cl, 아연, 마그네슘,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표면보호도포층이 도포되므로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제1 고정스크류(11), 제2 고정스크류(13), 제1 너트(12), 제2 너트(14)의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의 연결브라켓(130, 230, 330)의 둘레 또는 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오염방지도포층의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메타규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타규산나트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130, 230, 33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0.1 몰 및 메타규산나트륨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310 : 지주 120, 220, 320 : 가드레일판
130, 230, 330 : 연결브라켓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310);
    상기 지주(310)에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드레일판(320); 및
    상기 가드레일판(320) 및 지주(3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드레일판(320) 및 지주(310)를 연결하고, 상기 가드레일판(320)에 면접하는 레일연결부(331)와, 상기 레일연결부(331)와 대향하고 상기 지주(310)에 연결되는 지주연결부(332)와, 상기 레일연결부(331)의 양측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가드레일판(320)을 변형시키면서 가해지는 제1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1 완충부(333)와, 상기 레일연결부(331)의 가운데에서 뿔 형상으로 절곡되되 뿔의 끝단부에는 오목한 만입부(334a)가 형성되는 형태를 이루어서 상기 지주연결부(332)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완충부(333)가 위치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가압부(334)와, 각각의 제1 완충부(333)의 끝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충격강도에 대항하는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와, 상기 지주연결부(332)의 가운데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334)의 뿔 형상에 대칭되는 뿔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가압부(334)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가드레일판(320)을 시작으로 상기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상기 제1 완충부(333)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2 충격강도가 전달되어 상기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가 변형되기 시작할 때 상기 가압부(334)에 의해 가압되면서 수축되는 제2 완충부(336)와, 상기 한 쌍의 변형버팀부(335)의 끝에서 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완충부(336)에 연결되고 상기 가드레일판(320)을 시작으로 상기 제2 완충부(336)까지 변형시키면서 가해지거나 상기 제2 완충부(336)의 변형 이후에 가해지는 제3 충격강도가 전달되면 수축되는 한 쌍의 제3 완충부(337)를 구비하는 연결브라켓(330)을 포함하며;
    지주연결부(332) 및 지주(310)에 체결되는 제1 고정스크류(11)에는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되며, 상기 표면보호도포층은 지르코늄 분말 2.5중량%, 알루미나 분말 60중량%, NH4Cl 30중량%, 아연 2.5중량%, 마그네슘 2.5중량%, 티타늄 2.5중량%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330)의 표면에는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되며,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
KR1020170076023A 2017-06-15 2017-06-15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 KR10185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023A KR101853394B1 (ko) 2017-06-15 2017-06-15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023A KR101853394B1 (ko) 2017-06-15 2017-06-15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394B1 true KR101853394B1 (ko) 2018-04-30

Family

ID=6208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023A KR101853394B1 (ko) 2017-06-15 2017-06-15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6590A (zh) * 2021-10-10 2021-12-28 北京工业大学 一种铝合金波纹板-ecc板组合防撞护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403Y1 (ko) * 2004-06-28 2004-09-10 박중석 도로용 가드레일
KR101740343B1 (ko) * 2017-03-30 2017-05-29 동민산업 협동조합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스크린 체인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403Y1 (ko) * 2004-06-28 2004-09-10 박중석 도로용 가드레일
KR101740343B1 (ko) * 2017-03-30 2017-05-29 동민산업 협동조합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스크린 체인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6590A (zh) * 2021-10-10 2021-12-28 北京工业大学 一种铝合金波纹板-ecc板组合防撞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45402T5 (es) Acristalamiento laminado para aislamiento acustico.
KR101853394B1 (ko) 충격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축하는 다중 충격흡수부를 갖는 가드레일
KR100877527B1 (ko) 도로용 가드레일 완충연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4136733A1 (ja) 衝撃吸収部品
KR101820339B1 (ko)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조립되는 가드레일
KR101784853B1 (ko) 보강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JP4087880B2 (ja) 落石防止柵による落石防止方法
CN103290954A (zh) 防暴透明隔断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185214B1 (ko) 자력 복원형 반강성 방호책
JPH1082095A (ja) Rc造躯体の耐震補強構造
KR200283315Y1 (ko) "u"형 단면구조를 갖는 가로보를 이용한 차량방호울타리
JPS6220926A (ja) 複合重ね板ばね装置
CN209924753U (zh) 防变形的金库逃生门门框
CN211032468U (zh) 一种耐压保险杠
CN212427547U (zh) 隔震支座的防火保护装置
CN219446353U (zh) 一种防腐高强度铝材
CN207711990U (zh) 车门防撞梁组件
CN216476492U (zh) 高层建筑承载梁加固钢结构
CN219076736U (zh) 一种防爆抗砸玻璃
CN211472310U (zh) 一种耐腐蚀高强度的景观护栏
CN216043080U (zh) 一种建筑施工用防护栏
CN212534610U (zh) 高延性屈曲约束支撑及其芯板结构
CN213087766U (zh) 一种防腐蚀效果好的门窗固定结构
CN216195392U (zh) 一种高层建筑结构连梁
CN107792189A (zh) 一种电动客车防撞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