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633B1 -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633B1
KR101784633B1 KR1020160141975A KR20160141975A KR101784633B1 KR 101784633 B1 KR101784633 B1 KR 101784633B1 KR 1020160141975 A KR1020160141975 A KR 1020160141975A KR 20160141975 A KR20160141975 A KR 20160141975A KR 101784633 B1 KR101784633 B1 KR 10178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bage
methylmethionine
extract
extracting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진선
Original Assignee
심진선
주식회사 미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진선, 주식회사 미쉘 filed Critical 심진선
Priority to KR102016014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배추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세척하여 양배추를 손질하는 단계; 상기 손질된 양배추를 진공 건조하는 단계; 상기 진공 건조된 양배추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양배추를 비가열 용매를 이용하여 연속 순환추출법으로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양배추 추출물을 초고온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공정을 이용할 경우 효소 불활성 처리 과정을 통해 유통기한을 최대 2년까지 늘릴 수 있으며, 비가열 방식을 이용하는 바 다량의 S-메틸 메티오닌을 함유한 양배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연중 2회 수확시기가 정해진 농산물인 양배추를 최적의 시기에 수매하여 건조물로 보관할 수 있어 사계절 내내 자연재해에 따른 수확량 저하 문제없이 안정적인 제품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Extracting process of cabbage containing S-methyl methionine}
본 발명은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배추에 다량 함유된 S-메틸 메티오닌의 파괴를 최소화한 양배추 추출물에 대한 비가열 연속순환 추출공정에 관한 것이다.
양배추는 지중해 소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잎은 두껍고 털이 없으며 분처럼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주름이 있어 서로 겹쳐지고 가장 안쪽에 있는 잎은 공처럼 둥글며 단단하다. 꽃은 5∼6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2년생 뿌리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양배추 종류에는 푸른 양배추, 다른 양배추보다 순한 맛이 나는 붉은 양배추, 잎이 부드러운 오르라기 양배추가 있다.
양배추에는 항암 성분인 인돌-3-카비놀(Indole-3-carbinol)이 들어 있어 유방암을 예방한다. 인돌-3-카비놀은 암세포의 이상 증식을 막고, 암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특히, 양배추를 일주일에 최소 3회 이상 섭취한 여성은 일주일에 1회 섭취한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성이 72%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양배추에 들어 있는 S-메틸 메티오닌, 일명 비타민 U는 위의 궤양을 억제하고, 위 점막을 생성하는 호르몬인 프로스타글란딘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양배추의 효능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최근 스트레스성 질환으로 알려진 위 궤양을 식품으로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해 양배추 섭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양배추의 푸른 겉 잎 부분이 거칠어 일반적으로 많이 섭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양배추 추출물을 섭취하는 방법이 제안되었고, 추출방식은 무압력 추출, 압력추출즙, 무압력/압력 혼합추출, 가열 추출, 및 생즙 착즙추출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양배추 생즙 착즙추출 방식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의 경우 발효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장시간 시간이 소요되며, 효소 활성으로 인하여 유통기한이 7일 내외로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열 추출의 경우 열에 의해 양배추에 함유된 성분이 파괴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즙 착즙추출 방식 및 가열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을 얻는 방식을 대체하여 비타민 U를 다량 함유한 양배추 추출공정을 연구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908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열에 약한 메틸화된 메티오닌계인 일명 비타민U(S-methyl methionin)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양배추의 유효성분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양배추 추출공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배추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세척하여 양배추를 손질하는 단계; 상기 손질된 양배추를 진공 건조하는 단계; 상기 진공 건조된 양배추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양배추를 비가열 용매를 이용하여 연속 순환추출법으로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양배추 추출물을 초고온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공정을 이용할 경우 효소 불활성 처리 과정을 통해 유통기한을 최대 2년까지 늘릴 수 있으며, 비가열 방식을 이용하는 바 다량의 S-메틸 메티오닌을 함유한 양배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연중 2회 수확시기가 정해진 농산물인 양배추를 최적의 시기에 수매하여 건조물로 보관할 수 있어 사계절 내내 자연재해에 따른 수확량 저하 문제없이 안정적인 제품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양배추 추출물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양배추 추출물의 제품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인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공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양배추 추출공정을 연구하던 중 종래 생즙 착즙추출 방식은 효소의 활성으로 인하여 7일 이내의 짧은 유통기한이 유지되어 상품화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가열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을 얻는 방식의 경우 고온 가열처리로 인하여 양배추에 포함된 S-메틸 메티오닌 성분이 파괴됨을 인지하여, 비가열 연속 추출방식을 이용할 경우 유통기한을 최대 2년까지 늘릴 수 있고, 다량의 S-메틸 메티오닌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음을 밝혀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양배추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세척하여 양배추를 손질하는 단계; 상기 손질된 양배추를 진공 건조하는 단계; 상기 진공 건조된 양배추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양배추를 비가열 용매를 이용하여 연속 순환추출법으로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양배추 추출물을 초고온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공정을 제공한다.
상기 양배추를 손질하는 단계는 양배추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고압세척 및 버블세척하여 양배추를 손질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공 건조하는 단계는 손질된 양배추를 -50 내지 25℃의 온도에서 750 내지 900 mmHg의 압력으로 진공 건조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온도 범위 및 압력 범위를 벗어난 조건에서 진공 건조를 수행할 경우 S-메틸 메티오닌 성분이 파괴되고 또한 추출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진공 건조는 손질된 양배추를 -50 내지 25℃의 온도에서 750 내지 900 mmHg의 압력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S-메틸 메티오닌 성분이 열에 약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진공 건조단계에서는 20℃의 온도에서 900 mmHg의 압력으로 진공 건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양배추의 수분 함량이 1 내지 5 중량%가 되도록 상기 손질된 양배추를 진공 건조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배추의 수분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세포의 조직이 닫아져 추 후 추출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양배추의 수분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장기 저장시 저장성이 불안정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 바, 상기 진공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양배추의 수분 함량이 1 내지 5 중량%가 되도록 상기 손질된 양배추를 진공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세포조직 사이의 충분한 공간확보가 필요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양배추의 수분 함량은 1 중량%가 되도록 진공 건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양배추를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 양배추의 평균 입도가 20 내지 80 메쉬(mesh)가 되도록 상기 진공 건조된 양배추를 분쇄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배추의 평균 입도가 20 메쉬 미만일 경우 추출의 효율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양배추의 평균 입도가 80 메쉬를 초과할 경우 추출액이 혼탁하여 정밀한 여과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 바, 상기 양배추를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 양배추의 평균 입도가 20 내지 80 메쉬(mesh)가 되도록 상기 진공 건조된 양배추를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추출효율과 액상의 청징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양배추의 평균 입도가 50 메쉬가 되도록 분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양배추 추출물을 얻는 단계는 분쇄된 양배추를 4 내지 25℃의 비가열 정제수를 이용하여 30 내지 180분 동안 연속 순환추출법으로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분쇄된 양배추를 15 내지 25℃의 비가열 정제수를 이용할 경우 S-메틸 메티오닌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 100 ㎖ 당 50 내지 110 ㎎의 S-메틸 메티오닌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은 고형분 함량이 2 내지 5%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초고온 살균 처리하는 단계는 얻어진 추출물을 115 내지 135℃의 온도로 4초 내지 30초 동안 초고온 살균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건에서 초고온 살균 처리를 함으로써 추출물의 미생물에 대한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가열 연속순환 추출 방식에 의한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
양배추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세척기를 이용하여 버블세척 및 고압세척하여 양배추를 손질하였다.
상기 손질된 양배추를 20℃에서 900 mmHg의 압력으로 진공 건조하였고, 진공 건조된 양배추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50 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양배추를 15℃의 비가열 정제수를 이용하여 180분 동안 연속 순환추출하여 추출물 100 ㎖ 당 80 ㎎의 S-메틸 메티오닌을 함유한 양배추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양배추 추출물을 135℃ 온도로 4초 동안 초고온 살균 처리하여 양배추 추출물 내 존재하는 미생물을 살균처리함으로써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가열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 제조
종래 가열 추출에 의한 양배추 추출물을 얻는 방식으로서, 양배추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양배추를 세척한 후, 세척된 양배추를 90℃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 8시간 이상 추출공정을 진행하여 양배추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고형분 함량 비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5 g을 채취한 후 건조기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105℃로 가열 증발 시킨 후 실온에서 30분간 방냉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6105291593-pat00001
a:칭량접시의 무게(g)
b:칭량접시와 검체의 무게(g)
c:건조 후 항량이 되었을 때의 무게(g)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고형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3.5%이었고,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2.5%이었다.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양배출 추출물의 고형분이 낮은 이유는 용매인 정제수를 건조가 안된 양배추에 추가하여 가열하기 때문이다.
<실험예 2> S-메틸 메티오닌 함량 비교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펄스식 전기화학 검출법(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ulsed amperometric detection; HPLC-PAD)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내의 S-메틸 메티오닌 함량을 측정하였고, 조건은 하기와 같다.
분류 내용

기구

Agilent 1200

검출기

PDA, 210nm

컬럼

Scherzo SM C18, 4.6 x 150mm, 3um, Imtakt

이동상

A: 10mM phosphate buffer
B: 50mM KH2PO4: ACN(90:10)

주입량

10 ㎕

컬럼 오븐 온도

40℃
그 후, 상기 조건에 따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분리된 시료를 펄스식 전기화학검출기로 검출하였다. 펄스식 전기화학 검출기의 전위 파장은 210 nm 이었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에서, 추출물 100 ㎖ 당 S-메틸 메티오닌이 80 ㎎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에서, 추출물 100 ㎖ 당 S-메틸 메티오닌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가열 추출에 의할 경우 양배추에 포함된 S-메틸 메티오닌 성분이 모두 파괴되어 유효성분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양배추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세척하여 양배추를 손질하는 단계;
    상기 손질된 양배추를 -50 내지 25℃의 온도에서 750 내지 900 mmHg의 압력으로 진공 건조하는 단계;
    상기 진공 건조된 양배추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양배추를 15 내지 25℃의 비가열 용매를 이용하여 30 내지 180분 동안 연속 순환추출법으로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양배추 추출물을 115 내지 135℃의 온도로 4 내지 30초 동안 초고온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배추를 손질하는 단계는,
    양배추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고압세척 및 버블세척하여 양배추를 손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양배추의 수분 함량이 1 내지 5 중량%가 되도록 상기 손질된 양배추를 진공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배추를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 양배추의 평균 입도가 20 내지 80 메쉬(mesh)가 되도록 상기 진공 건조된 양배추를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 100 ㎖ 당 50 내지 110 ㎎의 S-메틸 메티오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고형분 함량이 2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9. 삭제
KR1020160141975A 2016-10-28 2016-10-28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KR10178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75A KR101784633B1 (ko) 2016-10-28 2016-10-28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75A KR101784633B1 (ko) 2016-10-28 2016-10-28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633B1 true KR101784633B1 (ko) 2017-10-17

Family

ID=6029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975A KR101784633B1 (ko) 2016-10-28 2016-10-28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6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497B1 (ko) 2021-02-18 2021-12-02 주식회사 지에스씨알오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kctc3035에 의한 mmsc 함유 양배추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344624B1 (ko) 2021-02-18 2021-12-3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1587 균주(kccm 12729p)에 의한 mmsc 함유 양배추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22055056A1 (ko) * 2020-09-11 2022-03-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메틸메티오닌 생산용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s-메틸메티오닌의 제조방법
KR20220118581A (ko) 2021-02-18 2022-08-2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cml995에 의한 mmsc 함유 양배추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30053290A (ko) 2021-10-14 2023-04-21 (주)삼부자컴퍼니 저온 추출법을 이용한 mmsc 함유 양배추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744B1 (ko) 2010-10-08 2013-02-19 수바이오텍(주)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장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744B1 (ko) 2010-10-08 2013-02-19 수바이오텍(주)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장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양배추즙제조과정, 저온추출을 위한 분쇄. 네이버 블로그. 2012.03.15., [2016.12.23. 검색], 인터넷: <URL: http://blog.naver.com/kbjhealth/100153577883>*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56A1 (ko) * 2020-09-11 2022-03-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메틸메티오닌 생산용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s-메틸메티오닌의 제조방법
KR102332497B1 (ko) 2021-02-18 2021-12-02 주식회사 지에스씨알오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kctc3035에 의한 mmsc 함유 양배추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344624B1 (ko) 2021-02-18 2021-12-3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1587 균주(kccm 12729p)에 의한 mmsc 함유 양배추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20118581A (ko) 2021-02-18 2022-08-2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cml995에 의한 mmsc 함유 양배추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30053290A (ko) 2021-10-14 2023-04-21 (주)삼부자컴퍼니 저온 추출법을 이용한 mmsc 함유 양배추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633B1 (ko)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KR100774498B1 (ko) 쑥 훈증을 이용한 발효숙성 흑마늘 제조 방법
KR101894370B1 (ko) 쌀가루의 제조방법
EP2250908B1 (en) Method for fermenting natural materials with salt and fermented extracts prepared therefrom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KR101309256B1 (ko) 꾸지뽕 복합 발효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1495569B1 (ko) 고농도 알린이 함유된 마늘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319984B1 (ko)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킨 산수유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5267264B (zh) 一种全当归胶囊制备工艺及全当归胶囊
CN107960503B (zh) 一种速溶藜蒿绿茶粉及其生产方法
CN107549391B (zh) 一种高绿原酸含量蓝莓叶绿茶的制备方法
KR101660003B1 (ko) 와송 원액 제조방법
KR101764307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
KR101652897B1 (ko) 해풍 쑥 분말의 제조방법
KR101651637B1 (ko) 진세노사이드 Re가 고함량으로 포함된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648211B1 (ko) 제주조릿대를 이용한 발효물과 그 발효물을 함유한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122586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박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42159B1 (ko) 꽃송이버섯을 함유하는 음료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008645A (ja) カバノアナタケエキスの製造方法
KR101870419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 청국장
JPH05168435A (ja) 葉類加工食品及びその製法
KR101690031B1 (ko) 황칠나무 발효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황칠나무 발효차
JP4682316B2 (ja) 乳酸発酵ヤーコン茎葉部の抽出物およびこの製造方法
CN109419712A (zh) 一种含有鲜益母草和雨生红球藻面膜的制备方法
WO2019090977A1 (zh) 一种功能性菊芋果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