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358B1 - 도어 충돌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충돌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358B1
KR101783358B1 KR1020160063281A KR20160063281A KR101783358B1 KR 101783358 B1 KR101783358 B1 KR 101783358B1 KR 1020160063281 A KR1020160063281 A KR 1020160063281A KR 20160063281 A KR20160063281 A KR 20160063281A KR 101783358 B1 KR101783358 B1 KR 101783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tor
speed
handle
prote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섭
임석연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충돌 방지 장치는, 차량의 필러에 부착된 힌지, 상기 힌지와 결합하고 도어에 수납된 링크부,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링크부의 이동 시 상기 링크부를 따라 회전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도어개폐장치; 및 상기 속도 검출부의 속도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충돌 방지 장치{Door impact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 충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 동작 시 외부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차량에 대한 관심은 단순한 교통 수단의 관심을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차량 소유자는 차량의 외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구성품을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특히 차량에는 승객이 출입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마련되고, 도어의 개방에 따라 인접한 장애물에 따른 도어의 손상이나, 개방되는 도어에 의해 인접한 차량의 측면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가 빈번하여, 각종 부착물을 도어에 부착하여, 도어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부착물은 차량의 이동 시 공기 저항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고, 차량의 외관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남으로써, 미관에 좋지 않는 영향을 준다.
또한 보조적인 부착물은 장애물의 위치와 높이 그리고 도어의 개방 속도 등의 요인을 고려할 수 없어 도어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20-2011-0001902(공개일자 2012년09월18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충돌 방지 장치는, 도어가 개방될 때,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애물로부터 도어를 보호할 수 있는 핸들부와 패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장애물의 높이나 위치와 무관하게 도어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도어의 개방 속도를 감지하여, 핸들부와 패드부의 제어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도어의 개방 속도에 비례한 외부 장애물로부터의 충격량에 따른 도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이동 시 핸들부와 패드부의 돌출 정보를 최소화함으로써, 공기 저항에 의한 연비 감소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충돌 방지 장치는, 차량의 필러에 부착된 힌지, 상기 힌지와 결합하고 도어에 수납된 링크부,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링크부의 이동 시 상기 링크부를 따라 회전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도어개폐장치; 및 상기 속도 검출부의 속도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충돌 방지 장치는, 모터부와 상기 도어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핸들부를 구비한 핸들구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속도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충돌 방지 장치의 상기 모터부는 제1 및 제2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구동장치는 상기 제1 모터부의 연결된 제1 회전기어와 상기 제2 모터부에 연결된 제2 회전기어와 상기 핸들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회전기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3 회전기어에 연결된 제1 수평축 및 상기 제2 및 제4 회전기어에 연결된 제2 수평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이 회전하며 수평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 및 제4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핸들부가 회전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충돌 방지 장치의 상기 핸들부는 탄성 재질의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스가 회전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충돌 방지 장치는 상기 도어에 수납되고 보호패드모터와 상기 보호패드모터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패드부를 구비한 보호패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속도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패드모터를 제어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충돌 방지 장치는 상기 도어에 배치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부와 상기 보호패드모터를 제어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충돌 방지 장치는 상기 속도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모터부와 상기 보호패드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충돌 방지 장치는, 도어의 개방 시 도어와 외부 장애물의 충돌에 따른 도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차량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에서 후측면출입도어가 개방 상태일 때의 도면이다.
도 3은 전측면출입도어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어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핸들구동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보호패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전측면출입도어의 외부면이 나타난 전측면출입도어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 충돌 방지 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차량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차량에서 후측면출입도어가 개방 상태일 때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10)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장치(100)는 도어개폐장치(200), 핸들구동장치(300) 및 컨트롤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장치(100)는 도어개폐장치(200), 핸들구동장치(300), 보호패드장치(400), 센서(500) 및 컨트롤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장치(100)는 도어개폐장치(200), 핸들구동장치(300), 보호패드장치(400), 센서(500), 컨트롤러(600) 그리고 무게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10)은 차량바디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으로 차량(10)은 세단(sedan) 형태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람이 탑승 가능한 어떠한 차량이라면 가능하다.
상기 차량바디부(12)는 정면부(14)와 후면부(16)를 가지고, 정면부(14)는 차량(10)이 앞으로 전진할 때의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후면부(16)는 상기 차량(10)이 후진할 때의 이동 방향에 대응한다.
상기 차량바디부(12)와 상기 정면부(14) 그리고 상기 후면부(16)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량바디부(12)는 제1 측면부(18)와 상기 제1 측면부(18)와 마주하는 제2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측면부(18)는 제1 필러(pillar; 20)와 제2 필러(22) 그리고 제3 필러(24)를 가질 수 있다. 각 필러(20, 22, 24)는 덮개부(26)와 바닥부(28)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필러(20, 22, 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필러(20, 22)와 덮개부(26) 그리고 바닥부(28)는 전측면출입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제1 도어 개구부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는 동작에 따라서 열린 상태 또는 닫힘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는 힌지를 이용하여 제1 필러(20)에 결합할 수 있고, 차량(10)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열리면서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가 제2 필러(22)에 힌지 결합함으로써, 상기 차량(10)이 후진하는 방향으로 열리면서 열린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제2 및 제3 필러(22, 24)와 덮개부(26) 그리고 바닥부(28)에 의해 후측면출입도어(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제2 도어 개구부(34)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후측면출입도어(32)는 제2 필러(22) 또는 제3 필러(24)에 힌지 결합하여, 개방 상태 또는 닫힘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차량(10)은 전측면출입도어(30)와 후측면출입도어(32)를 구비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하나만이 차량(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와 후측면출입도어(32) 각각은 윈도우(3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36)는 바닥부(38)를 향하여 이동 또는 덮개부(26)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윈도우(36)가 상기 바닥부(38)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윈도우(36)가 배치된 도어의 영역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윈도우(36)가 상기 덮개부(26)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윈도우(36)가 배치된 도어의 영역은 닫힐 수 있다.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와 후측면출입도어(32) 각각에는 핸들부(350)가 배치될 수 있다.
승객은 상기 핸들부(35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와 후측면출입도어(32) 각각을 수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후측면출입도어(32)는 래치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부(42)는 승객이 상기 후측면출입도어(3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부(42)는 스트라이커(4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트라이커(44)는 차량바디부(12)에 설치될 수 있고, 래치(46)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래치부(42)는 내측핸들부(미도시)와 외측핸들부(300)에 연결되어 승객이 내측 또는 외측핸들부 중 어느 하나를 조작 시, 스트라이커(44)와 래치(46)의 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승객이 수동으로 후측면출입도어(32)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래치부(42)는 후측면출입도어(32) 뿐만 아니라 전측면출입도어(30)에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와 후측면출입도어(32) 각각에는 잠금장치(48)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잠금장치(48)는 승객이 내측 또는 외측핸들부(40)를 조작하여도 도어(30, 32)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전측면출입도어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어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측면출입도어(30)에는 도어개폐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장치(200)는 제1 필러(20)에 부착된 힌지(201)와 일단이 상기 힌지(201)와 결합하여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에 수납되는 링크부(202), 상기 링크부(202)의 마주하는 면에 접촉하여 상기 링크부(202)를 지지하고, 상기 링크부(202)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러(203, 204) 그리고 상기 제1 또는 제2 롤러(203, 204)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부(205), 상기 제1 및 제2 롤러(203, 204)와 상기 속도검출부(205)를 수납하는 하우징(206) 그리고 상기 링크부(202)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의 최대 열림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202)에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홈(207)이 형성되어,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가 저절로 열리거나 닫히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를 개폐할 때, 제1 및 제2 롤러(203, 204)가 링크부(202)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링크홈(207)에 일시적으로 감겨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의 움직임의 작동감을 부여하면서,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의 유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홈(207)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5는 핸들구동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또한 전측면출입도어(30)는 핸들구동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구동장치(300)는 제1 및 제2 모터부(311, 312), 제1 내지 제4 회전기어(321, 322, 323, 324), 제1 및 제2 수평축(331, 332), 외측 핸들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기어(321)는 상기 제1 모터부(31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부(311)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기어(322)는 상기 제2 모터부(31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모터부(312)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축(331)의 일 측은 상기 제1 회전기어(321)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회전기어(321)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전기어(3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수평축(33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기어(3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수평출(33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축(332)의 일 측은 상기 제2 회전기어(322)에 접촉하여, 상기 제2 회전기어(322)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회전기어(3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수평축(33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기어(3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수평축(33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기어(323)는 상기 제1 수평축(331)의 타 측에 접촉하여, 상기 제1 수평축(331)의 전진 이동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받아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수평축(331)의 후진 이동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받아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4 회전기어(324)는 상기 제2 수평축(332)의 타 측에 접촉하여, 상기 제2 수평축(332)의 전진 이동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받아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수평축(332)의 후진 이동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받아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회전기어(321, 322)는 동시에 일 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핸들부(350)가 도어(3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동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핸들부(35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기어(321, 322)는 동시에 타 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핸들부(350)가 도어(3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핸들부(35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331, 332) 각각의 일 측에 마련된 나사선과 제1 및 제2 회전기어(321, 322)의 각각의 나사선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기어(321, 322) 각각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331, 332)이 회전하면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331, 332) 각각의 타 측은 제3 및 제4 회전기어(323, 324) 각각에 접촉하여, 베벨기어(Bevel gear) 타입으로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베벨 기어의 동작 원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331, 332) 각각은 수평 이동의 한계치 설정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외측 핸들부(350)는 제1 내지 제3 핸들부(351, 352, 35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핸들부(351, 353)는 상기 제2 핸들부(352)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핸들부(352) 내부에는 상기 제2 핸들부(3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핸들부(352)와 함께 회전 가능한 중심축(354)이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354)의 일단은 상기 제1 핸들부(351)에 수납된 제2 회전기어(322)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354)의 타단은 상기 제3 핸들부(353)에 수납된 제3 회전기어(323)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핸들부(351)와 상기 제3 핸들부(353)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기어(322)의 회전과 함께 상기 제2 핸들부(352)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핸들부(352)에는 상기 제2 핸들부(352)의 일면을 둘러싸고 탄성을 가진 재질의 제1 케이스(352a)와 상기 제1 케이스(352a)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핸들부(352)의 타면을 둘러싸며 금속재질의 제2 케이스(352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기어(321, 322)가 일 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핸들부(350)가 도어(3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동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핸들부(35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케이스(352a)가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제2 케이스(352b)가 도어(30)의 외면에 마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기어(321, 322)가 타 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핸들부(350)가 도어(3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핸들부(35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핸들부(350)는 원 위치로 회전, 즉 제1 케이스(352a)가 도어(30)의 외면에 마주하도록 하고, 제2 케이스(352b)가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어(30)가 개방될 때, 도어(30)의 열림 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핸들부(350)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30)와 마주하는 외부 영역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도어(30)가 개방될 때, 핸들부(350)의 제1 케이스(352a)가 장애물에 접촉 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352a)는 탄선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애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도어(30)와 핸들부(350)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가 개방될 때, 핸들부(350)가 돌출되도록 하여, 곡면형의 외면을 가질 수 있는 도어(30)의 외면 형상에 무관하게 핸들부(350)가 장애물에 먼저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가 닫힐 때, 돌출되었던 핸들부(350)가 내측으로 수납됨으로써, 차량(10)의 이동에 따른 핸들부(350)로부터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보호패드 장치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전측면출입도어의 외부면이 나타난 전측면출입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의 하단 영역 중에서 제3 필러(24)와 인접한 영역에는 보호패드장치(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드장치(400)는 지지부(410)와 상기 지지부(410)에 배치된 패드부(420) 그리고 상기 패드부(420)를 상기 지지부(410)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 시키기 위한 보호패드링크(430) 및 상기 보호패드링크(43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보호패드모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0)는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패드링크(430)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410)는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의 외부면에 삽입되어,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상기 외부면에 상기 지지부(410)의 수평방향으로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410)가 상기 홈에 수납되고, 상기 지지부(410)와 함께 상기 지지부(410)가 접촉된 상기 패드부(420)가 상기 홈에 수납되어 상기 패드부(420)와 상기 외부면이 동일 평면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패드부(420)는 상기 보호패드링크(430)에 결합하여, 상기 보호패드링크(4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410)와 접촉 또는 상기 지지부(4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드모터(440)는 상기 보호패드링크(430)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보호패드링크(4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패드부(4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의 하단 영역 중에서 상기 보호패드장치(400)와 인접한 영역에 센서(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500)는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가 열릴 때의 상기 전측면출입도어(30)가 이동하는 제1 방향의 장애물을 센싱하는 제1 센서(501)와 상기 제1 방향을 0도로하고, 상부 방향을 90라고 할 때, 0 내지 90도 이내의 각도 상의 장애물을 센싱하는 제2 센서(502)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을 0도로 하고, 하부 방향을 90도라고 할 때, 0 내지 90도 이내의 각도 상의 장애물을 센싱하는 제3 센서(5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500)는 초음파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드장치(400)는 상기 센서(500)의 센싱 결과와 도어(30)의 개방 속도 및 개방된 정도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핸들부(350)는 도어(30)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도어(30)의 하측에 대응한 높이를 가진 장애물이 도어(30)에 접촉되어 도어(30)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500)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핸들부(350)보다는 낮은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보호패드장치(400)가 구동하여, 상기 보호패드장치(400)의 패드부(420)가 장애물에 먼저 접촉되게 함으로써, 도어(30)를 장애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420)는 상기 도어(30)가 개방되는 경우, 돌출되고, 도어(30)의 개방속도와 패드부(420)의 돌출 속도를 비례하도록 보호패드모터(440)는 보호패드링크(43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가 개방될 때, 상기 보호패드링크(430)는 수평 방향의 일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도어(30)가 닫힐 때, 상기 보호패드링크(430)는 수평 방향의 타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패드부(420)가 수평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고, 도어(30)가 닫힌 경구, 상기 패드부(420)가 도어(30)에 수납되도록 하여, 차량(10)의 이동에 따른 패드부(420)의 공기 저항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도어개폐장치(200), 핸들부(350), 보호패드장치(400) 및 센서(500)는 컨트롤러(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600)는 전측면출입도어(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개폐장치(200)의 속도검출부(205)로부터 검출된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핸들부(350)의 제1 및 제2 모터부(311, 312)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보호패드장치(400)의 보호패드모터(440)를 제어할 수 있고, 센서(500)로부터의 센싱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1)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이 도어(30)를 개방하면, 속도검출부(205)는 제1 및 제2 롤러(203, 204)의 회전에 따른 속도를 검출하여 이를 상기 컨트롤러(600)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속도에 비례하여, 제1 및 제2 모터부(311, 312)를 구동하여, 핸들부(350)가 도어(30)가 열리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 핸들부(352)가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제2 핸들부(352)를 구성하는 탄성 재질의 제1 케이스(352a)가 도어(30)가 열리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의 개방 속도가 클 때, 핸들부(350)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도어(30)의 손상 방지를 위한 핸들부(350)의 위치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부(350)는 탄성 재질의 제1 케이스(352a)를 구비함에 따라, 장애물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2) 또한 자동차에 탑승하고자 하는 승객이 자동차에 다가오는 경우, 승객이 소지한 차량 리모컨과 컨트롤러(600)의 통신에 의해, 승객이 자동차의 소정의 거리에 근접하면, 핸들부(350)가 도어(30)가 열리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 핸들부(352)가 회전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 주변에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 도어(30)와 장애물의 접촉을 방지하여, 도어(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3) 또한 컨트롤러(600)는 센서(500)로부터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장애물이 센싱되는 경우, 도어(30)가 개방될 때, 보호패드모터(440)를 구동하여 패드부(420)가 도어(3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 상에 별도의 탄성 재질의 부착물을 부착하여 도어(30)를 보호할 필요가 없고, 차량(10)의 이동 시에는 보호패드장치(400)가 도어(30) 상에 수납됨으로써, 공기저항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4) 또한 컨트롤러(600)는 센서(500)의 제1 내지 제3 센서(501, 502, 503)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모터부(311, 312) 또는 보호패드모터(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결과에 따른 핸들구동장치(300)와 보호패드장치(400)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함으로써, 장애물의 위치나 크기에 무관하게 도어(30)의 개방 시 도어(3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5) 또한 상기 컨트롤러(600)는 승객이 소지한 차량 리모컨에 의하여 동작의 온 또는 오프가 가능하고, 상기 컨트롤러(600)가 오프되는 경우, 승객이 도어(30)를 개폐할 때, 전술한 모터들은 구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6) 또한 차량(10)의 좌석 시트는 무게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승객이 좌석 시트에 탑승한 경우, 좌석 시트에 전달되는 승객을 무게를 감지하여, 감지된 무게 정보를 컨트롤러(600)에 전송할 수 있다. 무게 정보를 수신한 컨트롤러(600)는 무게 값이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승객이 도어(30)를 개방하고, 그에 따라 컨트롤러(600)가 제1 및 제2 모터부(311, 312) 또는 보호패드모터(4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상향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 개폐 시 부주의한 행동이 유발될 수 있는 연령대의 승객이 탑승한 경우, 승객이 도어(30)의 갑작스런 개방이나, 장애물 확인 여부를 거치지 않고, 도어(30)를 여는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도어(30)를 보호할 수 있는 핸들구동장치(300)와 보호패드장치(400)의 구동을 더 빠르게 진행함으로써, 도어(3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어(30)는 전측면출입도어(30)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승객의 탑승을 위한 차량(10)에 설치된 도어라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차량(10)
차량바디부(12)
정면부(14)
후면부(16)
제1 측면부(18)
제1 필러(20)
제2 필러(22)
제3 필러(24)
덮개부(26)
바닥부(28)
전측면출입도어(30)
후측면출입도어(32)
래치부(42)
스트라이커(44)
래치(46)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장치(100)
도어개폐장치(200)
힌지(201)
링크부(202)
제1 롤러(203)
제2 롤러(204)
속도검출부(205)
하우징(206)
링크홈(207)
핸들구동장치(300)
제1 모터부(311)
제2 모터부(312)
제1 내지 제4 회전기어(321, 322, 323, 324)
제1 및 제2 수평축(331, 332)
핸들부(350)
제1 핸들부(351)
제2 핸들부(352)
제1 케이스(352a)
제2 케이스(352b)
제3 핸들부(353)
중심축(354)
보호패드장치(400)
지지부(410)
패드부(420)
보호패드링크(430)
보호패드모터(440)
센서부(500)
제1 센서(501)
제2 센서(502)
제3 센서(503)
컨트롤러(600)

Claims (7)

  1. 차량의 필러에 부착된 힌지, 상기 힌지와 결합하고 도어에 수납된 링크부,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링크부의 이동 시 상기 링크부를 따라 회전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도어개폐장치;
    상기 속도 검출부의 속도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컨트롤러; 및
    모터부와 상기 도어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핸들부를 구비한 핸들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속도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며,
    상기 모터부는 제1 및 제2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구동장치는 상기 제1 모터부의 연결된 제1 회전기어와 상기 제2 모터부에 연결된 제2 회전기어와 상기 핸들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회전기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3 회전기어에 연결된 제1 수평축 및 상기 제2 및 제4 회전기어에 연결된 제2 수평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이 회전하며 수평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 및 제4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핸들부가 회전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탄성 재질의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스가 회전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수납되고 보호패드모터와 상기 보호패드모터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패드부를 구비한 보호패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속도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패드모터를 제어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배치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부와 상기 보호패드모터를 제어하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모터부와 상기 보호패드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도어 충돌 방지 장치.
KR1020160063281A 2016-05-24 2016-05-24 도어 충돌 방지 장치 KR101783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81A KR101783358B1 (ko) 2016-05-24 2016-05-24 도어 충돌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81A KR101783358B1 (ko) 2016-05-24 2016-05-24 도어 충돌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358B1 true KR101783358B1 (ko) 2017-09-29

Family

ID=6003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281A KR101783358B1 (ko) 2016-05-24 2016-05-24 도어 충돌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3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67A (ko) 2018-07-23 2020-01-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충돌 방지용 차량 도어의 열림 조절장치
CN116520339A (zh) * 2023-06-25 2023-08-01 四川护邑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测距防撞保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059B1 (ko) * 2004-04-13 2006-04-24 박호술 자동차용 도어손잡이 숨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059B1 (ko) * 2004-04-13 2006-04-24 박호술 자동차용 도어손잡이 숨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67A (ko) 2018-07-23 2020-01-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충돌 방지용 차량 도어의 열림 조절장치
CN116520339A (zh) * 2023-06-25 2023-08-01 四川护邑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测距防撞保护装置
CN116520339B (zh) * 2023-06-25 2023-10-24 四川护邑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测距防撞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375B2 (en) Pinch prevention structure of slide door
KR102139545B1 (ko) 도어 진입안내 시스템 및 도어 진입안내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7538506B2 (en) Power lift gate for automotive vehicle
US7977903B2 (en) Electrically powered door actuating system of motor vehicle
KR101924806B1 (ko)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WO2015113137A1 (en) Vehicle door control system with dynamic obstacle detection
US9266413B2 (en) Opening and/or closing device
KR101783358B1 (ko) 도어 충돌 방지 장치
KR101379828B1 (ko) 차량 또는 차량의 주위의 이벤트를 검출하는 장치
KR101836805B1 (ko)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 장치
US11105140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system
KR101806617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방지장치
JP2015145148A (ja) スライドドア付き車両
KR100892511B1 (ko) 차량용 파워 테일게이트 시스템
JP2004114823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の扉開閉構造
US9815434B2 (en) Vehicle
JP2005171573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27263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7040931B2 (ja) 乗員保護装置
JPS61163034A (ja) 車輌用回転シ−ト
JP2021070370A (ja) 車両のステップ装置
KR200388490Y1 (ko) 차량 도어의 보호장치
JP2906132B2 (ja) 船 舶
JP2019100063A (ja) 開閉体制御装置
ES2953959T3 (es) Puerta de acceso a un vehículo de transporte que comprende medios de vigilancia del desplazamiento de su batiente, vehículo y procedimiento de pilotaje correspondien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