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177B1 -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콘솔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콘솔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177B1
KR101783177B1 KR1020177002453A KR20177002453A KR101783177B1 KR 101783177 B1 KR101783177 B1 KR 101783177B1 KR 1020177002453 A KR1020177002453 A KR 1020177002453A KR 20177002453 A KR20177002453 A KR 20177002453A KR 101783177 B1 KR101783177 B1 KR 10178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blade
wind guide
wheel hub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800A (ko
Inventor
슈찌에 카이
웬도우 리
지 장
보 주
양 류
Original Assignee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 201220268483 external-priority patent/CN20273405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2101873025A external-priority patent/CN102705910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220415824.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288346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210298810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2852854A/zh
Application filed by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02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6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에어컨 실내기용 사류 팬을 제공하며, 상기 사류 팬은 휠 허브(100)와 다수의 블레이드(200)를 포함하며, 휠 허브(100)는 뿔면 또는 구면의 바람 안내면을 구비하고,바람 안내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외부 사이즈가 점차 커진다. 블레이드(200)는 블레이드 루트부, 블레이드 팁부, 바람 유입단 및 바람 유출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블레이드 루트부에 있어서 바람 유입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과 블레이드 팁부에 있어서 바람 유입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의 비율값은 바람 유입단의 휠 허브 비이고,블레이드 루트부에 있어서 바람 유출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과 블레이드 팁부에 있어서 바람 유출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의 비율값은 바람 유출단의 휠 허브 비이며,바람 유입단의 휠 허브 비는 바람 유출단의 휠 허브 비보다 작다. 또한 상기 사류 팬을 구비한 에어컨 실내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콘솔형 에어컨{OBLIQUE FLOW FAN, OBLIQUE FLOW BLOWER AND CONSOLE TYPE AIR CONDITIONER HAVING SAME}
본 발명은 냉각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콘솔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에어컨 실내기의 덕트(duct) 시스템은 대부분 원심 팬을 이용하며, 볼류트 케이싱과 원심 팬을 에어컨 캐비티 하부에 설치하고, 열교환기는 에어컨 캐비티 상부에 설치하되 경사지게 장착하며, 케이스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바람 입구와 바람 출구를 형성하되,바람 입구는 케이스의 직전방 또는 측전방에 위치시키고, 바람 출구는 케이스의 직전방에 위치시킨다. 하부의 송풍기 덕트 시스템은 상부의 열교환기를 향해 송풍하여 신속하게 열교환을 하는 목적을 이룬다.
또한 모터, 원심 팬과 볼류트 케이싱을 에어컨 캐비티 상부에 위치시키고,열교환기를 에어컨 캐비티 하부에 설치하며,상부의 덕트 시스템이 흡입한 바람이 반드시 하부의 열교환기를 경유함으로써 열교환을 신속하게 진행하는 목적을 이루는 일부 콘솔형 에어컨도 있다.
또한, 일부 송풍기의 덕트 시스템은 횡류 팬을 이용하며,열교환기를 횡류 팬의 후방에 위치시키고,바람 출구를 에어컨의 중간 또는 양측에 위치시킨다. 횡류 팬의 고속 회전을 통해 본체 후방의 공기를 열교환기를 통해 유입하고 취송한다.
그러나 원심 팬 또는 횡류 팬을 적용한 상기 콘솔형 에어컨은 비록 그 블레이드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이 바람을 비교적 먼 거리로 송출할 수 있고 송풍 거리가 멀지만, 흡입하는 풍량이 작고, 송풍시 공기를 비교적 큰 각도로 꺾어 송출해야 하고 풍량 손실이 크므로, 송출되는 풍량이 작아 송풍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송풍 거리가 멀고, 송풍량이 크고, 송풍 효율이 높은 에어컨 실내기용 사류 팬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합리적이며 송풍 효과가 좋은, 상기 사류 팬을 구비한 에어컨 실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에어컨 실내기용 사류 팬을 제공한다. 상기 사류 팬은, 뿔면(conical surface) 또는 구면(spherical surface)의 바람 안내면을 구비하고,상기 바람 안내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외부 사이즈가 점차 증가하는, 휠 허브(wheel hub); 및 상기 바람 안내면에 설치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바람 안내면에 연결된 블레이드 루트(blade root)부, 상기 휠 허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블레이드 팁(blade tip)부, 바람 안내면의 하단에 근접한 바람 유입단, 및 바람 안내면의 상단에 근접한 바람 유출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에 있어서 바람 유입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과, 블레이드 팁부에 있어서 바람 유입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의 비율값은 바람 유입단의 휠 허브 비이며,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에 있어서 바람 유출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과, 블레이드 팁부에 있어서 바람 유출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의 비율값은 바람 유출단의 휠 허브 비이며, 상기 바람 유입단의 휠 허브 비는 바람 유출단의 휠 허브 비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용 사류 팬은, 특히 수직형 에어컨 실내기에 적용된다. 사류 팬의 휠 허브는 바람 안내면을 구비하고 또한 바람 안내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외부 사이즈가 점차 증가하며, 바람 유입단의 휠 허브 비는 바람 유출단의 휠 허브 비보다 작다. 휠 허브가 블레이드를 선도하여 회전시킬 경우, 그 바람 유입단은 기류를 포획하는 비교적 강한 양력을 가지며, 바람 유출단은 포획한 기류를 배출하는 비교적 강한 원심력을 가진다. 다시 말하자면, 사류 팬은 비교적 강한 원심력을 가지고 공기를 비교적 먼 거리로 송출 가능하여 송풍 거리가 길 뿐만 아니라, 또 축방향 양력을 발생시켜 공기를 강제로 운동시켜 대량의 공기를 에어컨 내부로 흡입한 후 휠 허브의 측면을 따라 바람을 경사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으므로 풍량 손실이 작고 송풍 효율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류팬은 축방향으로 바람을 유입하고, 경사 방향으로 바람을 송출하는 특징을 가지며, 송풍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또 송풍량을 증가시키고 송풍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람 유입단의 휠 허브 비는 0.15 내지 0.45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람 유출단의 휠 허브 비는 0.55 내지 0.85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바람 유입단과 바람 유출단의 연결선이 상기 사류 팬의 축선 주위를 회전하여 형성하는 뿔면과, 상기 사류 팬의 축선 사이의 협각은 35° 내지 55°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바람 유입단과 바람 유출단의 연결선과, 블레이드 팁부의 바람 유입단과 바람 유출단의 연결선이 각각 상기 사류 팬의 축선을 맴돌며 회전하여 형성하는 뿔면 사이의 협각은 0° 내지 30°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의 날개 단면의 바람 유입단과 바람 유출단의 연결선과, 바람 유입단의 회전 방향 사이의 협각은 블레이드의 경사각이며,상기 경사각은 블레이드 루트부로부터 블레이드 팁부로 가면서 점차 작아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경사각은 38° 내지 55°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 팁부의 경사각은 18° 내지 35°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경사각은 44.2°이고, 상기 블레이드 팁부의 경사각은 23°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류 팬이 회전할 때, 바람 유출단에서의 기류의 배출 방향과 회전 방향 사이의 협각은 블레이드의 출구 장착각이며, 상기 출구 장착각은 블레이드 루트부로부터 블레이드 팁부로 가면서 점차 커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출구 장착각은 90° 내지 135°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 팁부의 출구 장착각은 105° 내지 150°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출구 장착각은 104°이고, 상기 블레이드 팁부의 출구 장착각은 125.7°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는 5개 내지 9개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콘솔형 에어컨을 제공하며, 상기 에어컨은, 바람 입구와 바람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바람 입구와 상기 바람 출구에 각각 연결된 덕트를 내부에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 및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고,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사류 팬을 구비한 사류 송풍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는 사류 팬을 구비하고, 상기 사류 팬은 특히 수직형 에어컨 실내기에 적용된다. 사류 팬의 휠 허브는 바람 안내면을 구비하고 또한 바람 안내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외부 사이즈가 점차 증가하며, 바람 유입단의 휠 허브 비는 바람 유출단의 휠 허브 비보다 작다. 휠 허브가 블레이드를 선도하여 회전시킬 경우, 그 바람 유입단은 기류를 포획하는 비교적 강한 양력을 가지며, 바람 유출단은 포획한 기류를 배출하는 비교적 강한 원심력을 가진다. 다시 말하자면, 사류 팬은 비교적 강한 원심력을 가지고 공기를 비교적 먼 거리로 송출 가능하여 송풍 거리가 길 뿐만 아니라, 축방향 양력을 발생하여 공기를 강제로 운동시켜 대량의 공기를 에어컨 내부로 흡입한 후 휠 허브의 측면을 따라 바람을 경사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므로 풍량 손실이 작고 송풍 효율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는 송풍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또 송풍량을 증가시키고 송풍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컨 실내기는 바람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고,상기 바람 안내부재는 상기 덕트의 내벽과 연결되며, 상기 바람 안내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바람 안내부재를 관통한 바람 안내 통로를 구비하며,상기 사류 팬은 상기 바람 안내 통로 내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람 안내부재와 덕트 내벽 사이에 갭을 구비하고,상기 갭 내부에 소음 흡수층이 충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의 끝면 사이에는 블레이드를 둘러싼 윈드 휠 커버(wind wheel cover)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류 팬의 바람 안내면의 하단에 유입구 바람 안내링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류 팬의 풍하측(leeward side)에 상기 휠 허브와 동축인 디퓨저 콘(diffuser cone)이 설치되고,상기 디퓨저 콘은 공기 입구측 직경이 크고, 공기 배출측 직경이 작은 원추대형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퓨저 콘이 대응하는 바람 안내부재의 바람 안내 통로의 직경은 아래로부터 위로 가면서 점차 커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류 팬의 풍하측에 고정형 바람 안내 휠이 설치되고,상기 고정형 바람 안내 휠에는 공기의 회전 방향을 저애하는 고정형 바람 안내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류 팬의 풍하측에 휠 허브와 동축인 디퓨저 콘 및/또는 고정형 바람 안내 휠이 설치되고,상기 디퓨저 콘은 바람 입구측 직경이 크고 공기 배출측 직경이 작은 원추대형 구조이며, 상기 고정형 바람 안내 휠에는 공기의 회전 방향을 저애하는 고정형 바람 안내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 측면과 장점은 하기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되며, 일부는 하기 설명을 통해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천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아래 도면을 결부하여 진행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명백해지고 또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류 팬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류 팬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입체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류 팬의 자오면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류 팬의 블레이드의 날개 단면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류 팬에서 블레이드 루트부로부터 블레이드 팁부까지의 블레이드의 일부 단면의 날개 프로파일의 평면 전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입체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정면 부분 단면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7중 A부의 확대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사류 송풍기의 입체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사류 송풍기가 임펠러의 회전 접선 방향을 따라 송풍하는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사류 송풍기가 중축선 방향을 따라 송풍하는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정면 부분 단면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중 C부의 확대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사류 송풍기의 단면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입체 부분 단면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입체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7은 도 16의 정면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사류 송풍기의 부분 단면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정면 부분 단면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0은 도 19중 E부의 확대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사류 송풍기의 부분 단면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고정형 바람 안내 휠의 입체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4는 도 21중 D-D선 단면 확대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사류 송풍기의 관련 어셈블리의 장착도를 나타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사류 송풍기의 관련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나타냈으며, 여기서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품 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진 부품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용어 "중심", "세로방향", "가로방향", "위", "아래", "앞", "뒤", "좌", "우", "수직", "상부", "하부", "내", "외" 등이 지칭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초로 하여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며, 본 발명을 편리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칭되는 장치 또는 부품이 특정 방위를 가져야 하거나 또는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조작되는 것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되고 한정되지 않은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의미에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으며, 두 부품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에게 있어서,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 가지는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용 사류 팬은 휠 허브(100)와 다수의 블레이드(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휠 허브(100)는 뿔면 또는 구면의 바람 안내면(101)을 구비할 수 있으며,바람 안내면(101)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외부 사이즈가 점차 커진다. 휠 허브(10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200)는 휠 허브(100)와 일체로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분리 가능하게 휠 허브(100)의 표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휠 허브(100)는 회전시 블레이드(200)를 선도하여 회전시킨다. 상기 휠 허브(100)는 원뿔형 또는 반구형을 띠며, 직경이 큰 일단이 상단에 위치하고, 직경이 작은 일단이 하단에 위치한다. 블레이드(200)에 있어서, 휠 허브(100)에 연결된 측이 블레이드 루트부(210)이고, 휠 허브(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이 블레이드 팁부(220)이다. 또한, 블레이드(200)에 있어서, 휠 허브(100)의 하단에 근접한 일단이 바람 유입단(240)이고, 휠 허브(100)의 상단에 근접한 일단이 바람 유출단(230)이다. 다시 말하자면 도 3에 나타낸 하단이 바람 유입단(240)이고 상단이 바람 유출단(230)이다. 블레이드(200)가 휠 허브(100)의 축선을 둘러싸며 회전할 때, 블레이드 루트부(210)에 있어서 바람 유입단(240)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은 d1이고, 블레이드 팁부(220)에 있어서 바람 유입단(240)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은 D1이며, d1/D1은 바람 유입단(240)의 휠 허브 비이다. 블레이드 루트부(210)에 있어서 바람 유출단(230)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은 d2이고, 블레이드 팁부(220)에 있어서 바람 유출단(230)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은 D2이며, d2/D2는 바람 유출단(230)의 휠 허브 비이다. 여기서, 바람 유입단(240)의 휠 허브 비는 바람 유출단(230)의 휠 허브 비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용 사류 팬(10)은, 특히 수직형 에어컨 실내기에 적용된다. 사류 팬(10)의 휠 허브(100)는 바람 안내면(101)을 구비하고, 바람 안내면(101)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외부 사이즈가 점차 증가하며, 바람 유입단(240)의 휠 허브 비는 바람 유출단(230)의 휠 허브 비보다 작기에, 휠 허브(100)가 블레이드(200)를선도하여 회전시킬 경우, 그 바람 유입단(240)은 기류를 포획하는 비교적 강한 양력을 가지며, 바람 유출단(230)은 포획한 기류를 배출하는 비교적 강한 원심력을 가진다. 다시 말하자면, 사류 팬은 비교적 강한 원심력을 구비하여 공기를 비교적 먼 거리로 송출 가능하여 송풍 거리가 길 뿐만 아니라, 또 축방향 양력을 발생시켜 공기를 강제로 운동시켜 대량의 공기를 에어컨 내부로 흡입한 후 다시 휠 허브(100)의 외측면을 따라 바람을 경사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으므로 풍량 손실이 작고 송풍 효율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류팬은 축방향으로 바람을 유입하고, 경사 방향으로 바람을 송출하는 특징을 가지며, 송풍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송풍량을 증가시키고 송풍 효율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람 유입단(240)의 휠 허브 비는 0.15 내지 0.4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람 유출단(230)의 휠 허브 비는 0.55 내지 0.85일 수 있다.
바람 유입단과 바람 유출단의 휠 허브 비가 상기 파라미터 범위중의 적어도 하나에 놓이되는 경우, 사류 팬의 축방향 양력과 원심 작용력을 최대한도로 평형시킬 수 있으며, 사류 팬이 충분한 원심 작용력을 갖도록 확보함과 동시에 그 축방향 양력을 더 한층 증가시킬 수 있다.
종래의 원심 팬은 비록 그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이 바람을 비교적 먼 거리로 송출하여 에어컨의 송풍 거리가 길도록 할 수 있으나, 흡입하는 풍량이 작아, 송풍시 공기는 큰 각도로 전환되어야 하므로, 풍량 손실이 큼을 초래하며, 따라서 송출되는 풍량이 비교적 작고 송풍 효율이 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하는 사류 팬(10)은, 휠 허브(100)는 원뿔형이고, 블레이드(200)의 바람 유입단(240)이 위치한 휠 허브(100)의 직경이 바람 유출단(230)이 위치한 휠 허브(100)의 직경보다 작고, 바람 유입단(240)의 휠 허브 비가 바람 유출단(230)의 휠 허브 비보다 작다. 따라서, 휠 허브(100)가 블레이드(200)를 선도하여 회전시키는 경우, 사류 팬은 비교적 강한 원심력을 가지고 공기를 먼 거리로 송출 가능하여 송풍 거리가 길 뿐만 아니라, 또 축방향 양력을 발생시켜 공기를 강제로 운동시켜 대량의 공기를 에어컨 내부로 흡입한 후 다시휠 허브(100)의 원뿔 경사면을 따라 바람을 경사 방향으로 송출 가능하여 풍량 손실이 작고 송풍 효율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류 팬(10)은 축방향으로 바람을 유입하고, 경사 방향으로 바람을 송출하는 특징을 가지며, 송풍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또 송풍량을 증가시키고 송풍 효율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류 팬(10)은 축류 팬의 풍량이 큰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또 원심 팬의 항압(compression resistance) 특성이 좋은 장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임펠러(200)의 블레이드 루트부(210)에 있어서 바람 유입단(240)과 바람 유출단(230)의 연결선, 즉 도 3에서 임펠러(200)와 휠 허브(100)의 연결부 상하 양단의 연결선과, 휠 허브(100)의 축선 사이의 협각은 35° 내지 55°, 즉 도면중의 θ1이다. 이 각도는 사실상 사류 팬(10)이 에어컨에서의 원심 방향의 운동 방식과 축방향 운동 방식을 할당한다. 원심 방향의 운동은 주로 압력 위치에너지로 전환되어 당해 에어컨 장치의 송풍 거리를 확보하고, 축방향 운동은 충분히 큰 풍량을 확보하여 송풍 효율을 더 한층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도 범위는 사류 팬(10)의 송풍량과 송풍 거리를 더 한층 평형시킨다. 또한, 블레이드 루트부(210)의 바람 유입단(240)과 바람 유출단(230)의 연결선과, 블레이드 팁부(220)의 바람 유입단(240)과 바람 유출단(230)의 연결선 사이의 협각은 0° 내지 30°, 즉 도면중의 θ2이다. 당해 설계의 목적은, 임펠러(200)의 작업 영역에 특별한 네킹(necking)을 형성하여, 임펠러(200)의 작업 영역의 기류 유동을 효과적으로 가속화하여 와류 형성을 억제하고 팬 효율을 더 한층 향상시키고 캐비티 내의 와류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임펠러(200)의 수는 5개 내지 9개이며, 휠 허브(100)의 원뿔면을 둘러싸고 등거리 또는 부등거리로 분포될 수 있다. 블레이드(200)의 수가 너무 적으면 충분한 풍량과 송풍 거리를 확보할 수 없으며, 블레이드(200)의 수가 너무 많으면 벽면 부착 경계층 효과로 인해 유효 유동 통과 면적이 작아지고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5개 내지 9개는 비교적 이상적인 수량이며, 송풍 효율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너무 큰 소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에어컨의 구조적인 제한과 풍량, 풍압, 소음에 대한 요구, 및 에어컨의 모터 회전수의 특징(실내기용 정속도 모터는 일반적으로 단상 교류 비동기 모터를 이용하며, 모터의 고정자는 일반적으로 4, 6, 8극 구조이며, 동기 회전수는 각각 1500rpm, 1000rpm, 750rpm이다)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사류 팬(10)의 직경은 250 내지 400mm로 설정하고, 팬의 정격 작업 회전수는 500rpm 내지 1500rpm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류 팬의 블레이드의 날개 단면의 개략도이다. 낮은 에너지 유체가 블레이드 루트부(210)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팬의 송풍 효율을 더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200)는 평면이 아니고, 공간 만곡되고 비틀어진 형상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사류 팬(10)은 그 블레이드의 경사각이 블레이드 루트부(210)로부터 블레이드 팁부(220)로 가면서 점차 작아지고, 블레이드의 출구 장착각은 블레이드 루트부(210)로부터 블레이드 팁부(220)로 가면서 점차 커진다. 사류 팬(10)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블레이드(200)가 축선을 둘러싸며 회전하는 방향은, 바람 유입단(240)이 앞에 있고, 바람 유출단(230)이 뒤에 있으며, 블레이드(200)와 기류가 정면으로 접촉하는 면이 풍상면(260)이다. 기류는 바람 유입단(240)으로부터 유입되어, 풍상면(260)을 따라 경사지게 바람 유출단(230)에 오르며,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바람 유출단(230)으로부터 에어컨 내부 캐비티로 배출된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200)의 날개 단면에 있어서 바람 유입단(240)과 바람 유출단(230)의 연결선이, 바람 유입단의 회전 방향과의 협각은 블레이드의 경사각이며, 상기 경사각은 블레이드 루트부로부터 블레이드 팁부로 가면서 점차 작아진다.
다시 말하자면, 휠 허브(100)의 측면에서 블레이드(200)를 직경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이 블레이드(200)의 날개 단면이다. 날개 단면은 아래와 같이 이해할 수 있다: 휠 허브(100)의 측면이 전개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한다고 가정할 때, 휠 허브(100) 위에 위치한 모든 블레이드(200)는 모두 상기 평면의 일측에 위치하며 위로 돌출된다. 휠 허브(100)의 측면에서 블레이드(200)를 직경 방향으로 절취한다는 것은 아래와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절취한 날개 단면이 상기 평면과 평행하며, 즉 휠 허브(100)의 측면이 하나의 평면으로 전개된다고 가정하면 모든 블레이드(200)의 날개 단면이 모두 상기 평면과 평행된다. 도 4에서와 같이, 날개 단면의 좌측단은 바람 유출단(230)일 수 있고, 우측단은 바람 유입단(240)일 수 있다. 도 4에서 윗면의 하나의 곡선(250)은 풍상면(260)의 투영 곡선이고, 두 곡선 사이의 현선(251)은 바람 유입단(240)과 바람 유출단(230)의 연결선이다. 바람 유입단(240)의 화살표는 바람 유입단(240)의 회전 방향을 가리키고, 이 회전 방향의 접선과 현선(251) 사이의 협각은 블레이드(200)의 경사각, 즉 도면중 β각이다. 바람 유출단(230)에 있어서 경사지게 아래로 향하는 화살표는 풍상면(260)의 투영 곡선과 바람 유출단(230)의 접선 방향, 즉 기류의 배출 방향이고, 경사지게 위로 향하는 화살표는 바람 유출단(230)의 회전 방향이며, 그 접선은 휠 허브(100)의 끝단면(end face)과 평행한다. 따라서 두 화살표 사이의 협각은 블레이드(200)의 출구 장착각,즉 도면중 α각이다. 블레이드의 경사각은 블레이드 루트부로부터 블레이드 팁부로 가면서 점차 작아지고, 출구 장착각은 블레이드 루트부로부터 블레이드 팁부로 가면서 점차 커진다.
나아가, 블레이드 루트부(210)의 경사각은 38°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고, 출구 장착각은 90° 내지 1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 팁부(220)의 경사각은 18°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고, 출구 장착각은 105°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미터 범위내에서 형성된 사류 팬은 그 블레이드 형상이 강대한 축방향 양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또 비교적 강한 원심 작용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기류는 블레이드 루트부에 퇴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팁부로부터 이탈하지도 않는다.
하기 표는 본 실시예의 사류 팬에서,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루트부(210)로부터 블레이드 팁부(220)까지 절취한 몇몇 날개 단면이 위치한 위치의 경사각과 장착각을 나타내며, 여기서 단면이 0%로 표시된 것은 블레이드 루트부(210)이며 그 경사각은 44.2°이고, 출구 장착각은 104°이며, 단면이 100%로 표시된 것은 블레이드 팁부(220)이며 그 경사각은 23°이고, 출구 장착각은 125.7°이다.
도 5는 상기 각 날개 단면의 날개형 평면 전개도이며, 여기서 화살표가 표시한 방향은 기류 방향이다.
단면 0% 21% 42% 63% 84% 100%
블레이드 경사각(°) 44.2 40.4 35.5 30.8 26.4 23.0
출구 장착각(°) 104.0 105.8 109.5 114.1 120.1 125.7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형태는 대체로, 바람 유입단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루트부로부터 블레이드 팁부로 가면서 점차 내측으로 만곡되고, 바람 유출단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루트부로부터 블레이드 팁부로 가면서 점차 외측으로 펼쳐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공간이 만곡되고 비틀어진 형태의 블레이드(200)를 사용하면,강대한 축방향 양력을 발생시켜 공기를 외계로부터 에어컨 캐비티로 유입시켜 급속한 기류를 발생시키며, 기류를 바람 유입단(240)으로부터 블레이드(200)의 회전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 루트부(210)로부터 블레이드 팁부(220)까지의 경사각이 점차 작아지고, 블레이드 루트부(210)로부터 블레이드 팁부(220)까지의 출구 장착각이 점차 커지기에, 바람 유입단(240)의 만곡된 면은 기류를 매우 쉽게 포획하여 기류가 팬의 지속적인 인양 작용에 의해 풍상면(260)을 따라 바람 유출단(230)으로 급속히 오를 수 있도록 한다. 바람 유입단(240)으로부터 바람 유출단(230)까지,블레이드(200)가 점차 외측으로 펼쳐지기에, 기류는 오르는 과정에서 블레이드 루트부(210)에 퇴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팁부(220)로부터 이탈하지도 않아 기류 손실을 조성하지 않는다. 또한, 퇴적된 기류가 저지함으로 인해 기류 속도가 저하되고 또한 이로 인해 대량의 소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마지막으로 대량의 기류는 팬의 강대한 원심력 작용하에서 블레이드(200)에 의해 바람 유출단(230)으로부터 뿌려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중 공간이 만곡되고 비틀어진 형태의 블레이드(200)는 낮은 에너지 유체가 블레이드 루트부(210)에 퇴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팬의 송풍 효율을 더 한층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는,케이스(2), 열교환기(미도시) 및 사류 송풍기(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에 바람 입구(미도시)와 바람 출구(3)가 형성되고,케이스(2) 내부에는 바람 입구 및 바람 출구(3)와 연통된 덕트가 형성되어 있고, 사류 송풍기(4)는 덕트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사류 송풍기(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사류 팬(1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는 사류 팬(10)을 구비하며, 상기 사류 팬(10)은 특히 수직형 에어컨 실내기에 적용된다. 사류 팬(10)의 휠 허브(100)가 바람 안내면(101)을 구비하고 또한 바람 안내면(101)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외부 사이즈가 점차 증가하며, 바람 유입단(240)의 휠 허브 비가 바람 유출단(230)의 휠 허브 비보다 작으므로, 휠 허브(100)가 블레이드(200)를 선도하여 회전시킬 경우, 그 바람 유입단(240)은 기류를 포획하는 비교적 강한 양력을 가지며, 바람 유출단(230)은 포획한 기류를 배출하는 비교적 강한 원심력을 가진다. 다시 말하자면, 사류 팬은 비교적 강한 원심력을 가져 공기를 비교적 먼 거리로 송출 가능하여 송풍 거리가 길 뿐만 아니라, 축방향 양력을 발생시켜 공기를 강제로 운동시켜 대량의 공기를 에어컨 내부로 흡입한 후 다시 휠 허브(100)의 측면을 따라 바람을 경사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으므로 풍량 손실이 작고 송풍 효율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는 송풍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또 송풍량을 증가시키고 송풍 효율을 향상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케이스(2) 내부에 바람 입구로부터 바람 출구(3)로 연통된 공기가 유통하는 덕트가 설치되고, 덕트에는 사류 송풍기(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류 송풍기(4)는 혼류 송풍기라고도 하며,사류 송풍기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의 사류 팬(10)을 사용한다. 이로써 사류 송풍기(4)의 송풍 방향은 모터의 축방향을 따른 분량(Component)과, 임펠러의 회전 방향의 접선 방향을 따른 분량을 포함한다. 사류 송풍기(4)의 송풍량은 축류 송풍기보다 작고 원심 송풍기보다 크다. 사류 송풍기(4)의 송풍 정압력(static pressure)은 축류 송풍기보다 크고 원심 송풍기보다 작다. 사류 송풍기(4) 자체의 특성이 종래에 축류 송풍기 구동 방식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더욱 높은 송풍 정압력과 더욱 먼 송풍 거리를 갖고 있음을 결정한다.
도 9, 도 10과 도 11을 결부하여 보면, 사류 송풍기(4)가 사류 휠(41), 모터(43) 및 모터 축(44), 사류 휠(41)을 구동 회전시키는 모터(43), 모터(43)와 사류 휠(41)을 연결시키는 모터 축(44)을 포함하며,모터(43)가 사류 휠(41)을 구동하여 중축선(99)을 원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사류 휠(41)은 공기 유입측 직경이 작고 공기 배출측 직경이 큰 휠 허브(100)와, 상기 휠 허브(100)의 풍상면에 설치된 다수의 블레이드(200)를 포함한다. 모터(43)가 사류 휠(41)을 선도하여 회전시키면, 블레이드(200)는 공기를 상향으로 밀고, 또한 블레이드(200)가 회전하는 접선 방향을 따라 공기를 밀어낸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컨 실내기(1)는 콘솔형으로서 상부 4면으로부터 출풍하는 모델인바, 사류 송풍기(4)를 이용한다. 따라서 송풍 정압력을 높여 덕트에서의 유동 저항력(바람 입구, 바람 유입 필터망, 열교환기, 볼류트 케이스, 바람 출구와 바람 안내 블레이드 등 부위에서의 유동 저항력을 포함함은 물론이다)을 극복할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긴 덕트를 구비하므로 비교적 먼 거리로 송풍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구멍측에서의 출풍 방향은 바람 출구에 수직되지 않고 사류 송풍기(4)가 회전하는 방향을 따르며, 접선 방향의 분량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4면 출풍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송풍의 사각지대가 존재하지 않으며 송풍 쾌적성이 향상된다.
도 12 내지 1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컨 실내기(1)는 바람 안내부재(5)를 더 포함하고,상기 바람 안내부재(5)는 덕트의 내벽에 연결되며, 바람 안내부재(5)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바람 안내 통로를 구비하며, 사류 팬(10)은 바람 안내 통로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류 송풍기(4)의 휠 허브(100) 및 블레이드(200)에 대응되는 내벽면에 바람 안내부재(5)가 설치되고,바람 안내부재(5)는 바람 안내부재 연결부(17)에 의해 케이스(2)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바람 안내부재(5) 자체가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또한 바람 안내부재(5)의 내면의 가공 정밀도와 표면 평활도가 비교적 높으므로, 회전하는 블레이드(200)와 매칭되는데 유리하며, 공기가 통과하는데 유리하며 공기의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의 부분 확대로부터 볼 수 있듯이, 바람 안내부재(5)와 케이스(2)의 내벽면 사이에 갭(7)이 형성되어 있으며, 열교환기에 의해 강온 또는 가열된 공기가 바람 안내부재(5)를 경유할 때, 갭(7)은 외부로 향하는 열 전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냉각 작동 상태에서 케이스(2) 표면에 이슬 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감소시키며, 모터와 기류의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열 전도와 소음의 전파를 더 한층 감소시키기 위해, 볼류트 케이싱(5)과 케이스(2) 내벽면 사이의 갭(7)은 보온 또는 소음 흡수층을 적용하여 충진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를 결부하여 보면,블레이드(200)의 외부에 각 블레이드(200)와 함께 연결된 윈드 휠 커버(8)가 더 설치되어 있다. 즉, 각 블레이드(200)의 끝면 사이에는 블레이드를 둘러싼 윈드 휠 커버(8)가 설치된다. 상기 윈드 휠 커버(8)는 각 블레이드(200)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한편, 사류 송풍기(4)의 바람 입구(15)에 유입된 기류를 집결시키는 작용을 하며, 윈드 휠 커버(8)하부의 비교적 작은 직경 유입구는 유입구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윈드 휠 커버(8) 하부가 작고 상부가 큰 구조와, 휠 허브(100)의 하부가 작고 상부가 큰 구조가 서로 매칭되어 블레이드(200)가 공기를 밀어 회전시켜 증압하는 덕트를 형성한다.
도 14와 도 16, 도 17을 결부하여 보면,사류 송풍기(4)의 바람 입구(15)측에는 유입구 바람 안내링(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구 바람 안내 링(12)을 거쳐 안내된 기류는 다시 윈드 휠 커버(8)와 휠 허브(100) 사이의 덕트로 유입된다. 유입구 바람 안내링(12)은 덕트의 면적을 작게 하고 입구측의 풍속을 높이며, 또한 윈드 휠 커버(8)의 내경과 매칭되어 사류 송풍기(4)로 인해 생성된 부압이 달라 형성된 와류를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킨다.
도 18 내지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류 송풍기(4)의 풍하측,즉 휠 허브(100)의 비교적 큰 직경측에 휠 허브(100)와 동축인 디퓨저 콘(11)이 설치되어 있으며,디퓨저 콘(11)은 공기 입구측 직경이 크고 공기 배출측 직경이 작은 원추대형 구조이다. 디퓨저 콘(11)은 모터 지지대(6)에 고정되고, 디퓨저 콘(11)의 외면과 실내기의 케이스(2)의 내면(바람 안내부재(5)의 내면일 수도 있음) 사이에 덕트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는 하부 면적이 작고 상부 면적이 큰 하나의 원형 링 구조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점차 커지는 덕트는 효과적으로 공기 압력을 확장시켜 공기 풍속과 유동 손실을 감소시키고 공기의 정압력과 송풍 거리를 증가시킨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도 2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 안내부재(5)의 내면이 실내기의 케이스(2)측으로 경사져 이 부위에서 덕트가 더 커진다. 즉 디퓨저 콘(11)에 대응되는 바람 안내부재(5)는 덕트를 확대시키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기 압력을 더 한층 확장시킬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컨 실내기는 콘솔형 에어컨 실내기일 수 있으며, 상기 실내기의 바람 출구는 케이스(2)의 상부 정면에 위치하며, 사류 송풍기(4)에 의해 발생되는 중등 규모의 정압력과 비교적 큰 풍량의 우세는 모두 정면 원거리 송풍에 유리하다. 그러나 덕트 내의 풍속 회전 방향의 분량은 정면 송풍에 불리하다. 도 2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는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은 에어컨의 케이스(2) 내벽면에 고정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덕트 내부에서 공기의 회전 방향은 시곗 바늘 방향으로 회전하며,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에 설치된 고정형 바람 안내 블레이드(14)의 경사 방향은 시곗 바늘 방향 풍향을 가진 공기를 막는다. 다시 말하자면 사류 송풍기(4)의 풍하측에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에는 공기의 회전 방향을 저애하는 고정형 바람 안내 블레이드(14)가 설치되고,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의 중부에는 고정형 바람 안내 휠 밀봉재(18)가 설치되어,공기를 통과시키는 면적을 감소시켜, 모든 공기가 모두 고정형 바람 안내 블레이드(14)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유동을 저지하면서 증압할 수 있다. 공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한편, 공기 압력을 확대시켜 송풍 정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과 도 24를 결부하여 보면, 도 24는 실내기의D-D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면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실내기의 하우징은 직선 구간(L)과, 직선 구간을 연결하는 호선 구간(S)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에서 개시된 사류 송풍기는 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의 에어컨 실내기에도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4에서 볼 수 있듯이, 사류 송풍기의 덕트는 실내기의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이용하였는바, 본실시예에서 볼류트 케이싱중의 면적이 실내기 하우징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89%를 초과한다. 다시 말하자면, 동일 단면적의 실내기에 대하여, 사류 송풍기를 적용하면 실내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송풍 속도를 감소시키고 공기 유동 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다.
\*68도 25 내지 2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콘솔형 에어컨 실내기의 바람 출구(3)는 케이스(2)의 상부 정면에 위치하고, 실내기의 하우징은 상부의 원기둥형과, 원기둥형으로부터 과도된 하부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26은 사류 송풍기의 관련 어셈블리의 장착도이고, 도 27은 사류 송풍기의 관련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두 도면을 결부하여 보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기초하에서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이 추가되고, 디퓨저 콘(11)의 상부가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 안에 위치하며, 디퓨저 콘(11)의 외곽은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의 내측 원과 결합되어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 중심의 고정형 바람 안내 휠 밀봉재의 위치를 밀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덕트 면적을 축소하고, 국부적인 풍속을 향상시키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며, 모든 공기는 모두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의 고정형 바람 안내 블레이드(14)로부터 통과해야 한다. 이로써 회전 방향의 풍속을 대폭 저하시키는 한편, 압력을 더 한층 확대하여 송풍 정압력을 향상시켜 송풍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사류 송풍기의 바람 출구(16)의 풍하측에,휠 허브(100)와 동축인 디퓨저 콘(11)과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이 설치되고, 상기 디퓨저 콘(11)은 바람 입구측 직경이 크고 공기 배출측 직경이 작은 원추대형 구조이다. 고정형 바람 안내 휠(13)에는 공기 회전 방향을 저애하는 고정형 바람 안내 블레이드(14)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합은 캐비넷형 에어컨의 대풍량, 원거리 송풍에 대한요구에 최대한으로 적응할 수 있는바, 특히 종래의 하우징 정면 상부 송풍 형태에 대해, 디퓨저 콘(11)에 의한 1차 증가, 고정형 바람 안내 블레이드(14)에 의한 2차 증압을 통해, 모터 파워가 크게 증가되지 않는 상황에서 대풍량, 원거리 송풍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고 용어 "일실시예", "일부실시예", "예시적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등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와 결부하여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모두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반드시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일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원리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정황하에서 이들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화, 수정, 교체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1)

  1. 바람 입구와 바람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바람 입구와 상기 바람 출구에 각각 연결된 덕트를 내부에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 및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고, 사류 팬을 구비한 사류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류 팬의 풍하측에 고정형 바람 안내 휠이 설치되고,상기 고정형 바람 안내 휠에는 공기의 회전 방향을 저애하는 고정형 바람 안내 블레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사류 팬은,
    뿔면(conical surface) 또는 구면(spherical surface)을 갖춘 바람 안내면을 구비하고,상기 바람 안내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외부 사이즈가 점차 증가하는, 휠 허브; 및
    상기 바람 안내면에 설치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바람 안내면에 연결된 블레이드 루트부,
    상기 휠 허브로부터 멀리 떨어진 블레이드 팁부,
    바람 안내면의 하단에 근접한 바람 유입단, 및
    바람 안내면의 상단에 근접한 바람 유출단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에 있어서 바람 유입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과, 블레이드 팁부에 있어서 바람 유입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의 비율값은 바람 유입단의 휠 허브 비이며,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에 있어서 바람 유출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과, 블레이드 팁부에 있어서 바람 유출단이 위치한 회전 원주의 직경의 비율값은 바람 유출단의 휠 허브 비이며, 상기 바람 유입단의 휠 허브 비는 바람 유출단의 휠 허브 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콘솔형 에어컨.
  2. 제1항에 있어서,
    바람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고,상기 바람 안내부재는 상기 덕트의 내벽에 연결되며, 상기 바람 안내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바람 안내부재를 관통한 바람 안내 통로를 구비하며,상기 사류 팬은 상기 바람 안내 통로 내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콘솔형 에어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안내부재와 덕트 내벽 사이에 갭을 구비하고,상기 갭 내부에 소음 흡수층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콘솔형 에어컨.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끝면 사이에는 블레이드를 둘러싼 윈드 휠 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콘솔형 에어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류 팬의 바람 안내면의 하단에 유입구 바람 안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콘솔형 에어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류 팬의 풍하측(leeward side)에 상기 휠 허브와 동축인 디퓨저 콘이 설치되고,상기 디퓨저 콘은 공기 입구측 직경이 크고, 공기 배출측 직경이 작은 원추대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콘솔형 에어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 콘이 대응하는 바람 안내부재의 바람 안내 통로의 직경은 아래로부터 위로 가면서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콘솔형 에어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류 팬의 풍하측에 휠 허브와 동축인 디퓨저 콘 및 고정형 바람 안내 휠이 설치되고,상기 디퓨저 콘은 공기 입구측 직경이 크고 공기 배출측 직경이 작은 원추대형 구조이며, 상기 고정형 바람 안내 휠에는 공기의 회전 방향을 저애하는 고정형 바람 안내 블레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콘솔형 에어컨.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류 팬이 회전할 때, 바람 유출단에서의 기류의 배출 방향과 회전 방향 사이의 협각은 블레이드의 출구 장착각이며, 상기 출구 장착각은 블레이드 루트부로부터 블레이드 팁부로 가면서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콘솔형 에어컨.
KR1020177002453A 2012-06-07 2012-11-28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콘솔형 에어컨 KR101783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 201220268483 CN202734057U (zh) 2012-06-07 2012-06-07 空调器室内机
CN2012101873025A CN102705910A (zh) 2012-06-07 2012-06-07 空调器室内机
CN201210187302.5 2012-06-07
CN201220268483.X 2012-06-07
CN201220415824.1U CN202883468U (zh) 2012-08-20 2012-08-20 落地式空调器及其斜流风扇
CN2012102988100A CN102852854A (zh) 2012-08-20 2012-08-20 落地式空调器及其斜流风扇
CN201210298810.0 2012-08-20
CN201220415824.1 2012-08-20
PCT/CN2012/085406 WO2013181904A1 (zh) 2012-06-07 2012-11-28 斜流风扇、斜流风机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0183A Division KR20150030697A (ko) 2012-06-07 2012-11-28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800A KR20170027800A (ko) 2017-03-10
KR101783177B1 true KR101783177B1 (ko) 2017-09-28

Family

ID=497113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453A KR101783177B1 (ko) 2012-06-07 2012-11-28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콘솔형 에어컨
KR20157000183A KR20150030697A (ko) 2012-06-07 2012-11-28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0183A KR20150030697A (ko) 2012-06-07 2012-11-28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실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783177B1 (ko)
WO (1) WO2013181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4340B (zh) * 2015-05-26 2017-12-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KR101726160B1 (ko) * 2016-03-11 2017-04-12 고려엠지주식회사 무동력 자동세척 필터링장치용 임펠러
GB2568234B (en) * 2017-10-30 2021-12-08 Zehnder Group Lenham Ltd Domestic ventilation fan with tapering projections for reducing turbulence
CN108488083A (zh) * 2018-04-26 2018-09-04 英飞凌(深圳)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风机及空气净化器
CN110762620A (zh) * 2019-11-08 2020-0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可逆送风的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1322701A (zh) * 2020-04-03 2020-06-23 杰马科技(中山)有限公司 无叶冷风扇
EP4160100A1 (en) * 2021-09-30 2023-04-05 Philips Domestic Appliances Holding B.V. An air delivery system
CN114001043A (zh) * 2021-11-01 2022-02-01 宁波公牛生活电器有限公司 风扇和风扇灯
TR2022003663A2 (tr) * 2022-03-10 2022-03-21 Aytok Makina Insaat Plastik Gida Maddeleri Sanayi Ve Ticaret Ltd Sirketi Vortex Yıkamalı Elek Filt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7085A (ja) * 2010-08-04 2012-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613B2 (ja) * 2004-09-22 2010-08-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風機羽根車
JP5114845B2 (ja) * 2006-02-01 2013-0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風機羽根車
CN201407198Y (zh) * 2009-05-07 2010-02-17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混流风扇
JP2011226654A (ja) * 2010-04-15 2011-11-10 Panasonic Corp 斜流ファン及び空気調和機
JP2011226725A (ja) * 2010-04-22 2011-11-10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12026402A (ja) * 2010-07-27 2012-02-09 Panasonic Corp 斜流ファン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102705910A (zh) * 2012-06-07 2012-10-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7085A (ja) * 2010-08-04 2012-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697A (ko) 2015-03-20
WO2013181904A1 (zh) 2013-12-12
KR20170027800A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177B1 (ko)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콘솔형 에어컨
CN102422025B (zh) 离心风扇及空调机
JP5955402B2 (ja) ターボファンおよび空気調和機
WO1997009572A1 (fr) Unite de sortie pour systeme d'air conditionne sous plancher et systeme d'air conditionne sous plancher faisant appel a cette unite
CN108869405B (zh) 一种双进风离心风机和吸油烟机
KR101750877B1 (ko) 송풍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5522306B1 (ja) 遠心ファン
EP3401546A1 (en) Axial fan assembly and motor home air-conditioner using same
CN114233661A (zh) 导流罩风圈、轴流风机及空调机组
JP2000065418A (ja) 空気調和機
JP2701604B2 (ja) 空気調和装置
WO2013080395A1 (ja) 空気調和機
JP2007154685A (ja) ターボ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CN202883468U (zh) 落地式空调器及其斜流风扇
JP3488126B2 (ja) エアカ−テン
CN216111362U (zh) 一种蜗壳式节能风机
JP2003013892A (ja) 送風機及び該送風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204591781U (zh) 一种叶轮和离心风机
CN113309714A (zh) 多翼离心风机和家用电器
CN112032104A (zh) 一种可改变方向的离心风轮及其离心风机
JP3812467B2 (ja) 遠心送風機の羽根車及びそれを用いた遠心送風機
CN217713001U (zh) 离心风机及包含该离心风机的干衣机
CN210921614U (zh) 送风风机、空调室外机和空调器
CN218717652U (zh) 一种节能型变频离心风机
KR20030059620A (ko) 천장 부착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