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191B1 -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 - Google Patents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191B1
KR101781191B1 KR1020170073811A KR20170073811A KR101781191B1 KR 101781191 B1 KR101781191 B1 KR 101781191B1 KR 1020170073811 A KR1020170073811 A KR 1020170073811A KR 20170073811 A KR20170073811 A KR 20170073811A KR 101781191 B1 KR101781191 B1 KR 101781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osion
transmission line
lead
magnetic fiel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riority to KR102017007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6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of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7/00Measuring arrangements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e.g. bridge
    • G01R17/10AC or DC measuring bridges
    • G01R17/105AC or DC measuring bridges for measuring impedance or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 부식 탐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송전선 부식 탐상기는, 내부에 선로가 형성되는 송전선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몸체부와; 상기 이동 몸체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위치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송전선에서의 부식 발생 유무를 측정하는 부식 검출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POWER TRANSMISSION LINE CORROSION DETECTOR AND POWER TRANSMISSION LINE CORROS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을 따라 이동되면서, 부식이 발생되는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에서 부식이 발생된 위치에서의 소선을 보강하여 줄 수 있는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강심알루미늄연선(Aluminum Conductors Steel Reinforced : ACSR) 및 알루미늄피복 강심알루미늄 연선(Aluminum stranded Conductors Aluminum-Clad Steel Reinforced : ACSR-AW)은 구리 송전선보다 무게가 가볍고 비용이 저렴하며, 높은 장력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리 송전선에 비해 가공송전선과 배전선으로 광범위 하게 사용되고 있다.
ACSR의 구성은 아연도금 강선이 중심에 위치해 있고, 아연도금 강선을 경알루미늄 소선이 둘러쌓고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ACSR은 다양한 재질의 금속으로 구성되므로, 각 금속의 다양한 부식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ACSR 및 ACSR-AW는 구조, 연선수, 알루미늄 및 강 소선의 인장하중 등에 따라 그 규격이 다르게 규정되어 있으므로, 그 규격에 따른 부식 현상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종래의 부식 탐지기는 ACSR 또는 ACSR-AW와 같은 송전선의 내부를 구성하는 내부 금속 각각의 부식 현상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부식 탐지기는 일부 규격에 한정되어 제작되어 있어 다양한 규격의 송전선의 부식 상태를 측정하기 어렵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60882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식이 발생되는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에서 부식이 발생된 위치에서의 소선을 보강하여 줄 수 있는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송전선 부식 탐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송전선 부식 탐상기는, 내부에 선로가 형성되는 송전선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몸체부와; 상기 이동 몸체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위치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송전선에서의 부식 발생 유무를 측정하는 부식 검출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송전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와, 상기 장치 몸체의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송전선을 따라 구르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부식 검출부는,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과, 상기 교류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제 1자계를 형성하되, 상기 제 1자계가 상기 송전선 주위에 형성되면, 상기 송전선에서는 상기 제 1자계와 반대방향을 이루는 제 2자계를 형성하는 코일과, 상기 제 1자계와 상기 제 2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기와,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기설정된 기준 임피던스 변화와 상이한 경우, 부식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판단기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 몸체에는, 부식 제거부가 더 설치된다.
상기 부식 제거부는, 제 1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1모터를 승강시키는 제 1승강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 1모터는, 상기 부식 검출부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장치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기로부터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전송 받으면,
상기 제 1스크류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다수의 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 몸체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 1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 1스크류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승강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스크류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송전선의 내부에 배치되는 선로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제 1스크류가 상기 선로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상기 선로에 발생되는 부식된 영역이 강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치 몸체에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부식된 영역에 금속으로 충진하는 충진부가 설치되되,
상기 충진부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충진부 몸체와, 상기 충진부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된 영역에 설정된 크기의 납을 공급하는 납 공급기와, 상기 납 공급기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충진부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된 납을 용융시켜 상기 부식된 영역에 충진되도록 하는 용융기를 구비한다.
상기 납 공급기는, 다수의 납이 저장되는 저장기와, 상기 저장기와 연결되며, 승강되어 상기 부식된 영역에 상기 납을 공급하는 공급단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공급단에 설치되어, 상기저장기로부터 상기 납을 상기 부식된 영역에 공급하도록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용융기는, 승강되어, 상기 부식된 영역에 공급된 상기 납을 설정된 가열 온도를 형성하여 용융시키는 가열단을 구비한다.
상기 공급단과, 상기 가열단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은, 제어부를 사용하여 이동 몸체부를, 내부에 선로가 형성되는 송전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이동 몸체부에 설치되는 부식 검출부를 사용하여, 이동되는 위치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송전선에서의 부식 발생 유무를 측정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송전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와, 상기 장치 몸체의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송전선을 따라 구르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부식 검출부는,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과, 상기 교류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제 1자계를 형성하되, 상기 제 1자계가 상기 송전선 주위에 형성되면, 상기 송전선에서는 상기 제 1자계와 반대방향을 이루는 제 2자계를 형성하는 코일과, 상기 제 1자계와 상기 제 2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기와,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기설정된 기준 임피던스 변화와 상이한 경우, 부식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판단기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몸체에는, 부식 제거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부식 제거부는, 제 1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1모터를 승강시키는 제 1승강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 1모터는, 상기 부식 검출부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장치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기로부터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전송 받으면, 상기 제 1스크류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다수의 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 몸체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 1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 1스크류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승강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스크류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송전선의 내부에 배치되는 선로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제 1스크류가 상기 선로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상기 선로에 발생되는 부식된 영역이 강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식이 발생되는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에서 부식이 발생된 위치에서의 소선을 보강하여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송전선 부식 탐상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식 제거부의 구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송전선 부식 탐상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식 충전부의 구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송전선 부식 탐상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송전선 부식 탐상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식 제거부의 구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송전선 부식 탐상기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송전선 부식 탐상기는, 내부에 선로(11)가 형성되는 송전선(1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몸체부(100)와, 상기 이동 몸체부(100)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위치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송전선(10)에서의 부식 발생 유무를 측정하는 부식 검출부(200)와, 상기 이동 몸체부(1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몸체부(100)는, 상기 송전선(10)이 관통되는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110)와, 상기 장치 몸체(110)의 상기 관통홀(111)의 내주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송전선(10)을 따라 구르는 다수의 롤러(120)을 갖는다.
상기 부식 검출부(200)는,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210)과, 상기 교류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제 1자계를 형성하되, 상기 제 1자계가 상기 송전선(10) 주위에 형성되면, 상기 송전선(10)에서는 상기 제 1자계와 반대방향을 이루는 제 2자계를 형성하는 코일(220)과, 상기 제 1자계와 상기 제 2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기(230)와,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기설정된 기준 임피던스 변화와 상이한 경우, 부식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판단기(240)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 몸체(110)에는, 부식 제거부(4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부식 제거부(400)는, 제 1스크류(411)를 회전시키는 제 1모터(410)와, 상기 제 1모터(410)를 승강시키는 제 1승강기(42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승강기(42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승강되는 제 1승강축(421)을 갖고, 상기 제 1승강축(421)의 하단은 상기 제 1모터(410)와 연결된다.
상기 제 1모터(410)는, 상기 부식 검출부(200)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장치 몸체(110)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판단기(240)로부터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전송 받으면, 상기 제 1스크류(410)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다수의 롤러(120)를 구동시켜 상기 장치 몸체(110)를 이동시킨다.
이어, 상기 제 1모터(410)를 구동시켜 상기 제 1스크류(411)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승강기(420)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스크류(411)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송전선(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선로(11)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제 1스크류(411)가 상기 선로(11)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상기 선로(11)에 발생되는 부식된 영역이 강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송전선 부식 탐상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식 충전부의 구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특히,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 몸체(110)에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부식된 영역에 금속으로 충진하는 충진부(500)가 설치되되,
상기 충진부(500)는, 상기 관통홀(111)의 내주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충진부 몸체(510)와, 상기 충진부 몸체(510)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된 영역에 설정된 크기의 납을 공급하는 납 공급기(520)와, 상기 납 공급기(520)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충진부 몸체(510)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된 납을 용융시켜 상기 부식된 영역에 충진되도록 하는 용융기(530)를 구비한다.
상기 납 공급기(520)는, 다수의 납이 저장되는 저장기(521)와, 상기 저장기(521)와 연결되며, 승강되어 상기 부식된 영역에 상기 납을 공급하는 공급단(522)과,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공급단(522)과 저장기와 연결되는 공급관(524) 상에 설치되어, 상기저장기(521)로부터 상기 납을 상기 부식된 영역에 공급하도록 개폐하는 밸브(523)를 구비한다.
상기 용융기(530)는, 승강되어, 상기 부식된 영역에 공급된 상기 납을 설정된 가열 온도를 형성하여 용융시키는 가열단(531)을 구비한다.
상기 공급단(522)과, 상기 가열단(531)은,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강된다. 각각의 실린더는 공급단(522), 가열단(531) 상단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축을 각각 갖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은, 상술한 송전선 부식 탐상기을 사용하기 때문에, 송전선 부식 탐상기의 구성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은, 제어부(300)를 사용하여 이동 몸체부(100)를, 내부에 선로(11)가 형성되는 송전선(10)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 1단계와, 상기 이동 몸체부(100)에 설치되는 부식 검출부(200)를 사용하여, 이동되는 위치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송전선(10)에서의 부식 발생 유무를 측정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몸체부(100)는, 상기 송전선(10)이 관통되는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110)와, 상기 장치 몸체(110)의 상기 관통홀(111)의 내주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송전선(10)을 따라 구르는 다수의 롤러(120)을 갖는다.
상기 부식 검출부(200)는,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210)과, 상기 교류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제 1자계를 형성하되, 상기 제 1자계가 상기 송전선(10) 주위에 형성되면, 상기 송전선(10)에서는 상기 제 1자계와 반대방향을 이루는 제 2자계를 형성하는 코일(220)과, 상기 제 1자계와 상기 제 2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기(230)와,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기설정된 기준 임피던스 변화와 상이한 경우, 부식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판단기(240)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 몸체(110)에는, 부식 제거부(4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부식 제거부(400)는, 제 1스크류(411)를 회전시키는 제 1모터(410)와, 상기 제 1모터(410)를 승강시키는 제 1승강기(42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승강기(42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승강되는 제 1승강축(421)을 갖고, 상기 제 1승강축(421)의 하단은 상기 제 1모터(410)와 연결된다.
상기 제 1모터(410)는, 상기 부식 검출부(200)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장치 몸체(110)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판단기(240)로부터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전송 받으면, 상기 제 1스크류(410)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다수의 롤러(120)를 구동시켜 상기 장치 몸체(110)를 이동시킨다.
이어, 상기 제 1모터(410)를 구동시켜 상기 제 1스크류(411)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승강기(420)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스크류(411)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송전선(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선로(11)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제 1스크류(411)가 상기 선로(11)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상기 선로(11)에 발생되는 부식된 영역이 강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송전선
100 : 이동 몸체부
200 : 부식 검출부
300 : 제어부
400 : 부식 제거부
500 : 충전부

Claims (6)

  1. 내부에 선로가 형성되는 송전선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몸체부;
    상기 이동 몸체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위치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송전선에서의 부식 발생 유무를 측정하는 부식 검출부; 및
    상기 이동 몸체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송전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와,
    상기 장치 몸체의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송전선을 따라 구르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부식 검출부는,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과,
    상기 교류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제 1자계를 형성하되, 상기 제 1자계가 상기 송전선 주위에 형성되면, 상기 송전선에서는 상기 제 1자계와 반대방향을 이루는 제 2자계를 형성하는 코일과,
    상기 제 1자계와 상기 제 2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기와,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기설정된 기준 임피던스 변화와 상이한 경우, 부식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판단기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몸체에는, 부식 제거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부식 제거부는,
    제 1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1모터를 승강시키는 제 1승강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 1모터는, 상기 부식 검출부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장치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기로부터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전송 받으면,
    상기 제 1스크류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다수의 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 몸체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 1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 1스크류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승강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스크류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송전선의 내부에 배치되는 선로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제 1스크류가 상기 선로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상기 선로에 발생되는 부식된 영역이 강제적으로 제거되고,

    상기 장치 몸체에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부식된 영역에 금속으로 충진하는 충진부가 설치되되,
    상기 충진부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충진부 몸체와, 상기 충진부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된 영역에 설정된 크기의 납을 공급하는 납 공급기와, 상기 납 공급기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충진부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된 납을 용융시켜 상기 부식된 영역에 충진되도록 하는 용융기를 구비하고,
    상기 납 공급기는, 다수의 납이 저장되는 저장기와, 상기 저장기와 연결되며, 승강되어 상기 부식된 영역에 상기 납을 공급하는 공급단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공급단에 설치되어, 상기저장기로부터 상기 납을 상기 부식된 영역에 공급하도록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부식 탐상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어부를 사용하여 이동 몸체부를, 내부에 선로가 형성되는 송전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이동 몸체부에 설치되는 부식 검출부를 사용하여, 이동되는 위치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송전선에서의 부식 발생 유무를 측정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송전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와,
    상기 장치 몸체의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송전선을 따라 구르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부식 검출부는,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과,
    상기 교류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제 1자계를 형성하되, 상기 제 1자계가 상기 송전선 주위에 형성되면, 상기 송전선에서는 상기 제 1자계와 반대방향을 이루는 제 2자계를 형성하는 코일과,
    상기 제 1자계와 상기 제 2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기와,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기설정된 기준 임피던스 변화와 상이한 경우, 부식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판단기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몸체에는, 부식 제거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부식 제거부는,
    제 1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1모터를 승강시키는 제 1승강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 1모터는, 상기 부식 검출부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장치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기로부터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를 전송 받으면,
    상기 제 1스크류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다수의 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 몸체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 1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 1스크류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승강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스크류를 상기 부식이 발생된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송전선의 내부에 배치되는 선로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제 1스크류가 상기 선로에 회전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상기 선로에 발생되는 부식된 영역이 강제적으로 제거되고,
    상기 장치 몸체에 설치되는 충진부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부식된 영역에 금속으로 충진하되,
    상기 충진부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충진부 몸체와, 상기 충진부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된 영역에 설정된 크기의 납을 공급하는 납 공급기와, 상기 납 공급기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충진부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된 납을 용융시켜 상기 부식된 영역에 충진되도록 하는 용융기를 구비하고,
    상기 납 공급기는, 다수의 납이 저장되는 저장기와, 상기 저장기와 연결되며, 승강되어 상기 부식된 영역에 상기 납을 공급하는 공급단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공급단에 설치되어, 상기저장기로부터 상기 납을 상기 부식된 영역에 공급하도록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용융기는, 승강되어, 상기 부식된 영역에 공급된 상기 납을 설정된 가열 온도를 형성하여 용융시키는 가열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단과, 상기 가열단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기는, 승강되어, 상기 부식된 영역에 공급된 상기 납을 설정된 가열 온도를 형성하여 용융시키는 가열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단과, 상기 가열단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부식 탐상기.
KR1020170073811A 2017-06-13 2017-06-13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 KR10178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811A KR101781191B1 (ko) 2017-06-13 2017-06-13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811A KR101781191B1 (ko) 2017-06-13 2017-06-13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191B1 true KR101781191B1 (ko) 2017-09-22

Family

ID=6003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811A KR101781191B1 (ko) 2017-06-13 2017-06-13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1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9687A (ja) 2009-03-30 2010-10-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架空電線の異常点検装置
JP2012130208A (ja) * 2010-12-17 2012-07-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吊線腐食検出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101598823B1 (ko) * 2015-04-14 2016-03-02 주식회사 이제이텍 현수교 케이블 안전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9687A (ja) 2009-03-30 2010-10-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架空電線の異常点検装置
JP2012130208A (ja) * 2010-12-17 2012-07-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吊線腐食検出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101598823B1 (ko) * 2015-04-14 2016-03-02 주식회사 이제이텍 현수교 케이블 안전진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2388B2 (ja) 流れる条片の塗膜層の厚さ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8065695A (ja) 自動マーキングシステム
KR101999446B1 (ko) 배관 검사 로봇의 배관 검사 방법
JP2017200429A (ja) ケーブルをストリップ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781191B1 (ko) 송전선 부식 탐상기 및 이를 사용한 송전선 부식 탐상 방법
CN107643338A (zh) 一种用于评价管道漏磁检测性能的实验装置
KR101257472B1 (ko) 슬래그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N207198092U (zh) 一种用于评价管道漏磁检测性能的实验装置
CN107850574B (zh) 探测装置、旋转头和测试仪
CN105364030B (zh) 钢包净空测量装置
KR20020016811A (ko) 전기아크로에서 전극 길이와 용탕 높이를 결정하는 방법
CN107941135A (zh) 一种测量玻璃熔窑易侵蚀部位池壁砖残余厚度的装置
KR100648111B1 (ko) 파이프 용접부 자동 정렬 장치
JP3625257B2 (ja) 水道管の漏水検知方法および装置
CN207779326U (zh) 一种测量玻璃熔窑易侵蚀部位池壁砖残余厚度的装置
KR20010002945A (ko) 자동용접 와이어 잔량 자동검출장치
JP5047855B2 (ja)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装置の停止制御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プレート
KR20150014024A (ko) 슬라브 검사 장치
KR20100094691A (ko) 케이블의 외장 불량 보수장치 및 방법
JP2021172520A (ja) 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の油含有量を素早く測定できる装置
KR20110130978A (ko) 원형강 표면 흠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2611549B1 (ko) 자분탐상법을 이용한 터빈 로터 블레이드 비파괴검사용 이송장치
JPH0384393A (ja) 取鍋側壁の肉厚測定装置
CN212082299U (zh) 适用于铸造件检测的评估装置
KR101593878B1 (ko) 용접노즐 와이어위치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접노즐 클리닝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