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937B1 -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937B1
KR101780937B1 KR1020170029568A KR20170029568A KR101780937B1 KR 101780937 B1 KR101780937 B1 KR 101780937B1 KR 1020170029568 A KR1020170029568 A KR 1020170029568A KR 20170029568 A KR20170029568 A KR 20170029568A KR 101780937 B1 KR101780937 B1 KR 101780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ircular jig
wire rope
turntable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실
Original Assignee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07B7/165Auxiliary apparatus for making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드럼안내부; 상기 드럼안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권취된 와이어로프가 권출되도록 하는 드럼부; 및 원형지그의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럼부와 가이드부는 서로 교차되어 전,후 이동 및 상,하 이동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턴테이블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에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단계; (b) 상,하 길이 가변이 가능한 지지대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측에 원형지그를 지지하는 단계; (c) 상기 턴테이블을 전,후 방향 중 선택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원형지그를 상,하 방향 중 선택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턴테이블을 전,후 방향 중 선택된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e) 상기 원형지그를 상,하 방향 중 선택된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c), (d), (e) 및 (f) 단계가 반복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가이드부에 지지된 원형지그는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로프는 권출되어 상기 원형지그를 중심으로 휘감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WIRE ROPE GROMMET SLING ASSEMBLY DEVIC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원형지그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에 지지된 원형지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드럼이 구비되어, 지지대에 의한 원형지그의 상,하 이동과 드럼의 전,후 이동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원형지그에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기존 작업시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원형지그를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들었다가 내려놓는 작업을 통해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도록 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과정을 효율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로프는 선재의 2차 가공 제품으로, 강삭(steel wire rope)라고도 하며 1~3mm의 강선을 만든 다음 스트랜드(strand:새끼줄)를 만들고 이 스트랜드를 마닐라삼으로 만든 로프나 그 밖의 섬유를 심으로 해 그 주위에 여러 개의 스트랜드를 꼬아 만든 것을 말하는 것으로, 후크 등에 걸 수 있도록 와이어 로프의 양단부에 고리를 형상한 구조인 와이어로프슬링의 형태로 주로 사용 한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슬링은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운반하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운반체에 옮겨 싣거나 운반체로부터 하역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로프로슬링의 일반적인 사용분야를 살펴보면, 호이스트를 비롯한 기계장비, 크레인을 이용한 건설분야, 선박에 의한 물품의 하역장, 중소형의 어선 등에 사용되는 어업 분야, 공중 케이블, 대형의 교량에 사용되는 강철제 현수선, 수직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 제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로프를 중심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와이어로프를 6가닥 내지 8가닥 휘감아 제조함으로써, 리프팅 용량 등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되, 이러한 와이어로프를 용이하게 휘감을 수 있도록 하는 제조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와이어로프의 제조방법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87491호에 케이블 레이드 제조장치가 개시되었다.
종래 케이블 레이드 제조장치는 코어 로프와 다수의 스트랜드를 파지한 상태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된 로프 척이 구비되는 본체; 및 코어 로프와 다수의 스트랜드가 억지끼움의 형태로 관통하는 성형 다이가 설치된 로프 성형 블록 및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로프 척이 회전하게 되면, 코어 로프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회전하는 다수의 스트랜드의 나선형 외면과 상기 성형 다이가 접촉함으로 인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도 스스로 이동하게 되는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케이블 레이드 제조장치는 코어 로프의 일단을 고정하고, 다수의 스트랜드가 상기 코어 로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대차에 지지되도록 한 후, 로프 척을 회전시키면, 대차가 코어 로프의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다수의 스트랜드가 코어 로프의 외주면에 감겨지도록 하여, 케이블 레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케이블 레이드 제조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구동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 소비가 따르며, 대형 케이블 레이드 제조에만 적합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규격의 케이블 레이드를 제조하는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을 제조함에 있어, 중심선을 고정하고,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곽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두어 상기 회전부재에서 와이어로프가 풀리는 동시에 상기 중심선의 외주면을 휘감도록 하는 제조장치 및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조장치 및 방법은 구동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작업 과정 또한 난이도가 높아 접근성이 취약하고 제조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87491호(2012.09.2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원형지그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에 지지된 원형지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드럼이 구비되어, 지지대에 의한 원형지그의 상,하 이동과 드럼의 전,후 이동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원형지그에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기존 작업시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원형지그를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들었다가 내려놓는 작업을 통해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도록 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과정을 효율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드럼안내부; 드럼안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권취된 와이어로프가 권출되도록 하는 드럼부; 및 원형지그의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드럼부와 가이드부는 서로 교차되어 전,후 이동 및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턴테이블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에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단계; (b) 상,하 길이 가변이 가능한 지지대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측에 원형지그를 지지하는 단계; (c) 턴테이블을 전,후 방향 중 선택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원형지그를 상,하 방향 중 선택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턴테이블을 전,후 방향 중 선택된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e) 원형지그를 상,하 방향 중 선택된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c), (d), (e) 및 (f) 단계가 반복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가이드부에 지지된 원형지그는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로프는 권출되어 원형지그를 중심으로 휘감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원형지그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에 지지된 원형지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드럼이 구비되어, 지지대에 의한 원형지그의 상,하 이동과 드럼의 전,후 이동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원형지그에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기존 작업시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원형지그를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들었다가 내려놓는 작업을 통해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도록 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과정을 효율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원형지그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를 이동시켜,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형지그를 지지할 수 있는 곡률반경을 변경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규격에 제한없이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에서 드럼안내부와 드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방법에서 와이어로프가 감겨진 원형지그를 배출시키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 제조장치 및 방법은 와이어로프(20)가 감겨지는 원형지그(1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대(3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에 지지된 원형지그(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드럼(220)이 구비되어, 지지대(310)에 의한 원형지그(10)의 상,하 이동과 드럼(220)의 전,후 이동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원형지그(10)에 와이어로프(20)가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기존 작업시 원형지그(10)를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들었다가 내려놓는 작업을 통해 와이어로프(20)가 감겨지도록 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과정을 효율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 제조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에서 드럼안내부와 드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는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의 운반 및 이동시 사용하되, 기존의 슬링(Sling)류 제품에 비하여 리프팅 용량이 현저히 증가될 뿐만 아니라 유연성(굴곡특성), 내마모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럼안내부(100), 드럼부(2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는 선재의 2차 가공 제품으로, 강삭(steel wire rope)라고도 하며 1~3mm의 강선을 만든 다음 스트랜드(strand:새끼줄)를 만들고 이 스트랜드를 마닐라삼으로 만든 로프나 그 밖의 섬유를 심으로 해 그 주위에 다수 개의 스트랜드를 꼬아 만든 것을 말한다.
강삭의 모양 중 소선은 1% 정도의 탄소를 함유하는 양질의 고탄소강선이며, 0.9~1.0 탄소의 강선은 냉간가공과 페이턴팅(patenting)이라는 열처리의 조합에 의해 인장강도가 1mm당 300kg이 넘는다.
와이어로프의 구조는 통상 중심과 이를 둘러싼 수개의 스트랜드로 크게 구별되며 스트랜드 수는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3~8개로 이뤄진다.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강선의 수는 로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배열된다.
와이어로프의 꼬임에는 보통꼬임과 랑그꼬임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랑그꼬임로프는 보통꼬임 로프보다 사용 시 표면전체가 균일하게 마모됨으로 인해 수명이 다소 길고 보통꼬임의 로프는 랑그꼬임에 비해 더 한층 유연해 EYE 작업(고리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로프는 각종 산업분야에서 동력전달, 중량지지, 안장목적 등에 폭 넓게 사용되는 제품으로 주로 광산용, 유전용, 어업용에 사용될 뿐 아니라 선박, 기계, 항공기, 크레인, 엘리베이터, 케이블카, 교량 등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범위가 매우 방대하다.
이 중에서도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은 수가닥의 스트랜드를 꼬아서 만들어진 단일가닥의 와이어로프를 다수 개 휘감아 만들어진 것으로, 기존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기존의 슬링(Sling)류 제품에 비하여 리프팅 용량이 현저히 증가될 뿐만 아니라 유연성(굴곡특성), 내마모성 및 인장강도 등이 우수하다.
드럼안내부(100)는 후술되는 드럼부(200)가 지지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10)은 드럼안내부(100)의 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레일(111) 및 원형지그거치홈(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프레임(110)의 상단 높이는 약 1000mm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을 제조함에 있어, 프레임(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후술되는 드럼부(200)를 조작하거나 또는 원형지그(10) 및 와이어로프(20)를 작업자의 허리 높이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레일(111)은 프레임(110) 상측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드럼부(200)가 상기 레일(1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프레임(110) 상측에 구비되는 레일(111)은 전,후측 끝단 각각에 상기 레일(111)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단속부재(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단속부재(111a)는 후술되는 드럼부(200)의 턴테이블(210)이 레일(1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때, 드럼부(200)의 전단측과 후단측이 레일(111)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단속부재(111a)에 걸림됨으로써, 드럼부(200)의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드럼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단속부재(111a)를 레일(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후술되는 드럼부(200)의 이동되는 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원형지그거치홈(112)은 프레임(110)의 상측단 중간 부분이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가이드부(3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원형지그(10)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원형지그거치홈(112)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원형지그거치홈(112)과 단속부재(111a) 사이의 길이가 후술되는 드럼부(200)의 전,후단측 길이보다 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일(1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드럼부(200)가 전단측에 구비된 단속부재(111a)에 걸림되어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부(200)가 원형지그거치홈(112)에 맞닿지 않는 위치를 의미한다.
이에, 레일(111)을 따라 후술되는 드럼부(20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원형지그거치홈(112)은 상측으로 개구된 형태가 유지되어 원형지그(10)가 상기 원형지그거치홈(112)을 자유롭게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한다.
드럼부(200)는 드럼안내부(10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권취된 와이어로프(20)가 권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턴테이블(210) 및 드럼(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턴테이블(210)은 드럼안내부(100)의 레일(111)에 지지되어 상기 레일(1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슬라이딩부재(211) 및 드럼결합부재(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딩부재(211)는 턴테이블(210)의 하측에 구비되어, 레일(111)에 지지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턴테이블(210)은 레일(111)의 상측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되되, 바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재(211)에 의해 상기 레일(111)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프레임(110)으로부터 턴테이블(210)을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재(2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다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레일(111)에서 턴테이블(21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다수 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재(211)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210)은 일직선으로 이동되려는 성질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프레임(110)으로부터 드럼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드럼결합부재(212)는 턴테이블(210)의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후술되는 드럼(220)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드럼결합부재(212)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20)이 끼워져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원기둥 형태의 드럼결합부재(212)가 드럼(220)에 끼워지도록 상기 드럼(220)의 하단은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홈(도면에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드럼안내부(100)의 레일(111)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턴테이블(210)은 유압, 공압, 모터에 의한 기어맞물림에 의한 이동 등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턴테이블(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손잡이(213)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213)는 턴테이블(21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13)를 파지한 후, 턴테이블(210)을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턴테이블(210)을 전동 또는 수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드럼(220)은 턴테이블(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210) 상에서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로프(20)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드럼(22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드럼 형태로 이루어져 권취된 와이어로프(20)가 이탈되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원형지그(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지그(10)의 규격, 즉 제조하고자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크기에 따라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원형지그(10)를 안전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가이드부(300)는 원형지그(10)의 다양한 규격에 맞추어 상기 원형지그(10)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대(310), 보조지지대(320) 및 롤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310)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며, 원형지그(10)의 일정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길이 가변에 의해 지지되는 원형지그(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지지대(310)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구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유압이나 공압 등에 의한 실린더로 구성되거나 또는 랙, 피니언 등과 같은 기어의 체결구조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310)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다수 개의 지지대(310)에 지지되는 원형지그(10)를 상,하 이동 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지지대(310)의 길이가 가변되면, 상기 지지대(310)에 지지된 원형지그(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310)의 동작에 따라, 원형지그(10)의 일부분은 프레임(110)에 형성된 원형지그거치홈(112)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대(310)가 구비되는 위치는 가이드부(300)에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지지대(310)가 상측으로 가변되어 상기 지지대(310)에 지지된 원형지그(10)의 일부분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측으로 이동된 원형지그(10)의 일부분이 최상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원형지그(10) 하측으로 턴테이블(210)이 레일(111)을 따라 원활하게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보조지지대(320)는 지지대(310)와 함께 다수 개 구비되어 원형지그(10)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지지대(310)의 길이가 가변되어 원형지그(1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지지대(310)와 함게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가 상기 원형지그(10)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310)의 길이가 가변되어 원형지그(1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 중에서 일부분은 원형지그(10)가 이탈되고, 나머지 일부분에 원형지그(10)가 지지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보조지지대(320)는 지지대(3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각각의 보조지지대(320)가 상,하측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져, 지지대(310) 동작시 보조지지대(320)도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롤러(330)는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 상측 각각에 구비되어 지지되는 원형지그(10)와 접촉된다.
즉 롤러(330)는 원형지그(10)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 각각에 지지된 원형지그(10)는 지지대(310)와 보조지지대(320)에 지지된채 원형지그(10)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 각각에 구성된 롤러(33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원형지그(1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마찰을 최소화하여 마모가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조장치에 의해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을 제조하는 실시예에 따른 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드럼부(200)의 드럼(220)에 와이어로프(20)가 권취되고,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에 원형지그(1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원형지그(10) 일부분에 와이어로프(20)의 시작되는 부분을 결속시킨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레일(111)을 따라 턴테이블(210)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킨 후, 지지대(310)를 하측으로 하강시켜 지지된 원형지그(1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원형지그(10)의 일부분이 프레임(110)에 형성된 원형지그거치홈(112)으로 인입된다.
이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레일(111)을 따라 턴테이블(210)은 전방측으로 이동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10)를 상측으로 승강시켜 지지된 원형지그(1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원형지그(10)가 원형지그거치홈(112)으로부터 인출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1)을 따라 턴테이블(210)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10)의 길이를 가변시켜 원형지그(1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프레임(110)에 형성된 원형지그거치홈(112)으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원형지그(10)의 겉면을 따라 드럼(220)에 권출되어있던 와이어로프(20)가 휘감겨지게 된다.
즉 도 3 내지 도 6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 제조장치는 와이어로프(20)가 감겨지는 원형지그(1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에 안착된 원형지그(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드럼(220)이 구비되어, 지지대(310)에 의한 원형지그(10)의 상,하 이동과 드럼(220)의 전,후 이동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원형지그(10)에 와이어로프(20)가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기존 작업시 와이어로프(20)가 감겨지는 원형지그(10)를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들었다가 내려놓는 작업을 통해 와이어로프(20)가 감겨지도록 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과정을 효율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원형지그(10)를 지지하는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를 이동시켜,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형지그(10)를 지지할 수 있는 곡률반경을 변경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규격에 제한없이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 제조방법은 (a) 턴테이블(2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20)에 와이어로프(20)를 권취하는 단계, (b) 상,하 길이 가변이 가능한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를 포함하는 가이드부(300) 상측에 원형지그(10)를 지지하는 단계, (c) 상기 턴테이블(210)을 전,후 방향 중 선택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원형지그(10)를 상,하 방향 중 선택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턴테이블(210)을 전,후 방향 중 선택된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e) 상기 원형지그(10)를 상,하 방향 중 선택된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턴테이블(2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20)에 와이어로프(20)를 권취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드럼(220)에 와이어로프(20)가 권취되도록 한다.
이러한 드럼(220)에 와이어로프(20)를 권취하는 단계는 일 예로, 턴테이블(210)로부터 분리된 드럼(220)에 와이어로프(20)를 권취시키고, 상기 턴테이블(210)에 구비된 드럼결합부재(212)에 드럼(220)이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턴테이블(210)에 구비된 드럼결합부재(212)에 드럼(220)을 먼저 끼운 후, 상기 드럼(220)을 회전시켜가면서 와이어로프(20)를 권취시킬 수도 있다.
이에, 드럼(220)은 와이어로프(20)가 권취된 상태에서 턴테이블(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로프(20)를 용이하게 권출시킬 수 있다.
(b) 상,하 길이 가변이 가능한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를 포함하는 가이드부(300) 상측에 원형지그(10)를 지지하는 단계
제조하고자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규격에 따라 가이드부(300)를 마련하고,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를 포함하는 가이드부(300)가 상기 원형지그(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원형지그(10)의 일부분은 프레임(110)에 형성된 원형지그거치홈(112)에 인입되도록 한다.
즉 상,하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는 지지대(310)가 상측으로 길이가 가변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형지그(10)가 지면과 수평하게 놓여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 상측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330)에 상기 원형지그(10)가 지지됨으로써,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이 용이하게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뉘어진 상태에서 일부분이 프레임(110)에 형성된 원형지그거치홈(112)에 인입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a) 단계와 (b) 단계를 순차적으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a) 단계와 (b) 단계는 드럼(220)에 와이어로프(20)를 권취시키고, 가이드부(300)에 원형지그(10)가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로, 순서와 관계없이 (b) 단계가 먼저 이루어지고 (a) 단계가 그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a) 및 (b) 단계에서 원형지그(10)와 와이어로프(20)가 마련되면, 드럼(220)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0)의 끝단을 원형지그(10)의 외측에 고정시켜 원형지그(10)의 외주면에 와이어로프(20)가 휘감겨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원형지그(10)와 와이어로프(20)의 고정은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클립, 테이프 또는 밴드 등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후술되는 (c), (d), (e) 및 (f) 단계를 통해 턴테이블(21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지지대(310)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원형지그(10)를 중심으로 와이어로프(20)가 휘감겨지도록 한다.
이러한 (c) 상기 턴테이블(210)을 전,후 방향 중 선택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원형지그(10)를 상,하 방향 중 선택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턴테이블(210)을 전,후 방향 중 선택된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원형지그(10)를 상,하 방향 중 선택된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제조방법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c) 단계에서 와이어로프(20)의 일부분이 프레임(110)의 원형지그거치홈(112)에 인입된 상태에서 레일(111)을 따라 턴테이블(210)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d) 단계에서 지지대(310)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지지대(310)에 지지된 원형지그(10)의 일부분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e) 단계에서 레일(111)을 따라 턴테이블(210)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f) 단계에서 지지대(310)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지지대(310)에 지지된 원형지그(1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c), (d), (e) 및 (f) 단계가 반복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가이드부(300)에 지지된 원형지그(10)는 상기 원형지그(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드럼(220)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0)는 권출되어 상기 원형지그(10)를 중심으로 휘감겨지도록 한다.
즉 (c), (d), (e) 및 (f)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원형지그(10)의 외주면에 다수 가닥의 와이어로프(20)가 꽈배기 형태로 휘감겨지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원형지그(10)를 중심으로 와이어로프(20)가 휘감겨지는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원형지그(10)를 빼면서 그 자리에 와이어로프(20)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원형지그(10)에 와이어로프(20)를 휘감는 작업이 완료되면, 원형지그(10)는 와이어로프(20)에 의해 감겨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작업용 공구(도면부호 미표시)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원형지그(10)의 외부를 휘감은 와이어로프(20)를 관통시켜 와이어로프(20)의 꼬인 결 방향을 따라 틈새(공간)를 확보하면서 그 틈새로부터 상기 원형지그(10)가 배출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지그(10)를 빼면서 그 자리에 와이어로프(20) 삽입하되, 상기 원형지그(10)를 빼내는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 와이어로프(20)를 삽입한다.
이에, 원형지그(10)를 빼내고 그 자리에 와이어로프(20)를 삽입함으로써, 제조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내구성 및 인장강도 등을 향상시켜 기존의 슬링(sling)류 제품에 비하여 리프팅 용량이 현저히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방법은 기존에 원형지그를 크레인 또는 지게차를 이용해 들고 이동시키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보다 쉽고 간편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지지대(310) 상측에 원형지그(10)가 지지되되, 상기 원형지그(10)는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원형지그(10)에 와이어로프(20)가 휘감겨지는 지점이 프레임(110)에 근접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형지그(10)를 지지할 수 있는 곡률반경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규격에 제한없이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원형지그 20 : 와이어로프
100 : 드럼안내부 110 : 프레임
111 : 레일 111a : 단속부재
112 : 원형지그거치홈 200 : 드럼부
210 : 턴테이블 211 : 슬라이딩부재
212 : 드럼결합부재 213 : 손잡이
220 : 드럼 300 : 가이드부
310 : 지지대 320 : 보조지지대
330 : 롤러

Claims (10)

  1. 드럼안내부(100);
    상기 드럼안내부(10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권취된 와이어로프(20)가 권출되도록 하는 드럼부(200); 및
    원형지그(10)의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럼부(200)와 가이드부(300)는 서로 교차되어 전,후 이동 및 상,하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며, 원형지그(10)의 일정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310);
    상기 원형지그(10)의 일정부분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 및
    상기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 상측 각각에 구비되는 롤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원형지그(10)는 롤러(330)에 안착되어 상기 원형지그(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안내부(100)는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 상측에 구비되는 레일(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럼부(200)는 레일(111)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1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111)은
    전,후측 끝단 각각에 상측으로 돌출된 단속부재(111a);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속부재(111a)에 의해 드럼부(200)가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은
    상측단 중간 부분이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원형지그거치홈(112)가 형성되되,
    상기 원형지그거치홈(112)은
    가이드부(3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원형지그(10)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200)는
    상기 드럼안내부(10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210); 및
    상기 턴테이블(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권취된 와이어로프(20)가 권출되도록 하는 드럼(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210)은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드럼결합부재(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드럼(220)은 상기 드럼결합부재(212)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7. 삭제
  8. (a) 턴테이블(2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20)에 와이어로프(20)를 권취하는 단계;
    (b) 상,하 길이 가변이 가능한 지지대(310)와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320)를 포함하는 가이드부(300) 상측에 원형지그(10)를 지지하는 단계;
    (c) 상기 턴테이블(210)을 전,후 방향 중 선택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원형지그(10)를 상,하 방향 중 선택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턴테이블(210)을 전,후 방향 중 선택된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e) 상기 원형지그(10)를 상,하 방향 중 선택된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c), (d), (e) 및 (f) 단계가 반복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가이드부(300)에 지지된 원형지그(10)는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드럼(220)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0)는 권출되어 상기 원형지그(10)를 중심으로 휘감아지며,
    상기 (d) 또는 (e) 단계 중 선택된 하나의 단계는
    상기 지지대(310)의 상,하 길이가 가변되면, 프레임(110)의 상측단 중간 부분이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형성된 원형지그거치홈(112)에 원형지그(10) 일부분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c) 및 (d) 단계는
    상기 턴테이블(210)이 프레임(110)에 구비된 레일(111)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70029568A 2017-03-08 2017-03-08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78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568A KR101780937B1 (ko) 2017-03-08 2017-03-08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568A KR101780937B1 (ko) 2017-03-08 2017-03-08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937B1 true KR101780937B1 (ko) 2017-09-26

Family

ID=6003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568A KR101780937B1 (ko) 2017-03-08 2017-03-08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9815C1 (ru) * 2020-04-27 2020-12-28 Анатолий Аркадьевич Короткий Несуще-тяговый канат кольцевой подвесн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с промежуточными опорами и способ его дефектоскопии
RU201737U1 (ru) * 2020-10-29 2020-12-30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еверсталь" (ПАО "Северсталь")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льцевых канатных строп «громметов»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976A (ja) * 2002-08-20 2006-05-11 Niwa Shoko:Kk 撚回状ビードワイヤ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868870B1 (ko) 2008-03-17 2008-11-17 주식회사 고려이엔지 케이블 레이드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976A (ja) * 2002-08-20 2006-05-11 Niwa Shoko:Kk 撚回状ビードワイヤ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868870B1 (ko) 2008-03-17 2008-11-17 주식회사 고려이엔지 케이블 레이드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9815C1 (ru) * 2020-04-27 2020-12-28 Анатолий Аркадьевич Короткий Несуще-тяговый канат кольцевой подвесн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с промежуточными опорами и способ его дефектоскопии
RU201737U1 (ru) * 2020-10-29 2020-12-30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еверсталь" (ПАО "Северсталь")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льцевых канатных строп «громмето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90717B (zh) 一种从电缆盘上释放并敷设电缆的方法
US11920659B2 (en) High reduction belt-driven linear actuator
KR101780937B1 (ko) 와이어로프 그로멧 슬링의 제조장치 및 방법
EP2962977A1 (en) Gantry crane for handling containers
US20230022455A1 (en) Winding module and winding installation for metal wires
CN112645209A (zh) 一种建筑施工用多钢管同步吊运装置
CN106219424A (zh) 一种多双联卷筒钢丝绳导向装置
CN206645749U (zh) 电动葫芦式多层缠绕卷扬机
KR101683001B1 (ko) 그로멧 와이어로프슬링의 제조방법
EP2539270B1 (en) Method for winding and unwinding a synthetic rope on a winch drum
CN104973499A (zh) 一种两头扣穿丝吊带
CN211733560U (zh) 一种收放机
KR101590383B1 (ko)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CN210837288U (zh) 电缆成缆辅助传送装置及电缆成缆设备
CN210854811U (zh) 一种托盘自动收放线排线装置
CN111661714A (zh) 一种放线机及放线机伸缩驱动机构和驱动方法
RU109113U1 (ru) Канат стальной многопрядный малокрутящийся
CN109250631B (zh) 一种轻量化的推拉用伸缩臂
RU109112U1 (ru) Канат стальной многопрядный малокрутящийся
CN221093372U (zh) 一种环形链条吊运装置
CN213294404U (zh) 一种超长冷弯型钢专用吊具
KR101716794B1 (ko) 케이블 레이드 제조장치
CN213202190U (zh) 一种卷扬式启闭机
KR101797396B1 (ko) 그로맷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로맷 제조 방법
EP0190871A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aking stranded ro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