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468B1 - 목 근력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목 근력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468B1
KR101780468B1 KR1020160086118A KR20160086118A KR101780468B1 KR 101780468 B1 KR101780468 B1 KR 101780468B1 KR 1020160086118 A KR1020160086118 A KR 1020160086118A KR 20160086118 A KR20160086118 A KR 20160086118A KR 101780468 B1 KR101780468 B1 KR 10178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d
chair
support bracket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준
Original Assignee
(주)투파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투파이브 filed Critical (주)투파이브
Priority to KR102016008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468B1/ko
Priority to PCT/KR2017/007297 priority patent/WO2018009022A1/ko
Priority to US16/314,827 priority patent/US108141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chest region, e.g. to the back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좌우전후 4방향으로 목운동을 할 수 있는 목 근력운동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목 근력운동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에 설치되어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결박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부재; 상기 의자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적어도 한개 이상의 방향으로 머리를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푸쉬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 근력운동장치{NECK MUSCLE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목 근력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하고 상체와 하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좌우전후 중 임의의 방향으로 목 근력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목 근력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아서 컴퓨터를 하거나 운전 또는 공부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눈을 한곳으로 집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목이 경직되고 이에 따라 혈액순환에 어려움을 주어 목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이유만이 아니라도 현대인들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목질환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목질환의 예방 또는 재활치료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을 이용한 간단한 스트레칭 체조가 있을 수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목 근력운동을 실시하도록 목 근력운동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목 근력운동장치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6974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목 근력운동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한방향 목운동만을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목 근력운동방향에 대해 착석자세를 바꿔가면서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는 좌측방향의 목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의자에 좌측방향으로 앉은 상태에서 좌측방향의 목 근력운동을하고, 우측방향의 목 근력운동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의자에 앉은 자세를 우측방향의 착석자세로 바꿔야 하고, 전후 방향의 목 근력운동시에도 마찬가지로 착석자세를 바꿔야 하는 등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목 근력운동장치는 상체, 하체 및 턱 등의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은 상태에서 목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목근육 이외에 어깨근육 등에 힘이 들어가 목근육 강화에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69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고 신체를 결박하여 움직임을 제한한 상태에서 목 근력운동을 실시함으로써, 목 근력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착석자세를 통해 좌우전후 4방향의 운동을 모두 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목 근력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 근력운동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에 설치되어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결박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부재; 상기 의자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적어도 한개 이상의 방향으로 머리를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푸쉬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운동부는 4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4개의 푸쉬운동부 각각은 상기 의자부 상부의 전후좌우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전후좌우 방향 중 임의의 일방향으로 머리를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목근육을 강화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푸쉬운동부가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자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좌판부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를 밴딩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하체고정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 상체를 밴딩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상체고정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부는, 상기 좌판부의 좌우 측방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 상부에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이 구비된 한 쌍의 측방빔; 상기 좌판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부에 후방지지브라켓이 구비된 후방빔; 상기 한 쌍의 측방빔 중 하나의 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부에 전방지지브라켓이 구비되는 전방빔;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운동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가 머리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좌측 및 우측운동부; 상기 후방지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머리를 후방으로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후방운동부; 상기 전방지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머리를 전방으로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전방운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운동부, 후방운동부 및 전방운동부 각각은,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 머리를 향해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내측단에 힌지되게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에 대해 수직되는 제1상태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수평바측으로 회동되어 경사지는 제2상태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직바; 일측단은 상기 수직바에 대해 힌지되게 설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링크바; 상기 수평바와 상기 링크바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가 상기 제2상태로 동작하는 것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수직바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 머리의 좌측면, 우측면, 전면, 후면에 접촉되는 머리접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내측단은 상기 수평바에 설치된 고정축에 고정설치되며, 외측단은 상기 링크바의 하단에 고정되는 테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운동부, 후방운동부 및 전방운동부 각각은, 상기 고정축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을 회전조작함에 따라 상기 테엽스프링의 텐션을 조정하는 조작노브;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운동부는 상기 수직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수직바가 상기 제2상태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경사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운동부는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와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에 의해 전후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운동부는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와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지지브라켓에 의해 전후위치조정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운동부와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지지브라켓은 상기 전방수직빔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브라켓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측방빔에 대해서 상하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후방지지브라켓은 상기 후방빔에 대해 상하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방지지브라켓은 상기 전방빔에 대해 상하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방빔 및 상기 후방빔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측방빔 및 상기 후방빔 각각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 및 후방지지브라켓 각각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 및 후방지지브라켓를 상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켜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하위치조정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운동부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고정지지하는 어깨쿠션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고, 하체 및 상체의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에서 올바른 자세로 목 근력운동을 실시 할 수 있어, 목근육 강화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특히, 사용자가 착석한 자세에서 착석자세의 변화없이 좌우전후 네 방향의 목운동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효율이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근력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푸쉬운동부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목 근력운동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이며, 후방운동부의 형태가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일부구성을 생략하고, 후방운동부의 형태가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측방빔과 후방빔의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외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요부를 확대하고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좌측운동부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덮개판을 제외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목 근력운동장치의 일부 배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근력운동장치의 사용예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근력운동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 근력운동장치는 환자의 목 재활운동이나 일반인의 목 운동용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목 근력운동장치는 의자부(150), 고정부재(155,156) 및, 푸쉬운동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자부(150)와 푸쉬운동부(200)는 본체부(101)에 설치된다.
본체부(101)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102)과, 이 베이스프레임(102)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부(103,104,105)를 포함한다. 수직프레임부(103,104,105)는 의자부(150)의 좌판부(151)를 기준으로, 좌판부(151)의 좌측방 및 우측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방빔(103)과, 좌판부(151)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빔(104)과, 한 쌍의 측방빔(103)중 어느 하나의 전방, 그리고 좌판부(151)의 일측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빔(10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 전방빔(105)은 좌판부(151)의 우측전방 즉, 오른쪽에 위치한 측방빔(103)의 전방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측방빔(103) 및 후방빔(104)은 사각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방빔(105)은 원형관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측방빔(103)의 상부에는 좌판부(151)를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슬릿공(103a)이 형성되고, 이 한 쌍의 슬릿공(103a) 사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핀홀(103b)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후방빔(104)의 상부에는 좌판부(151)를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슬릿공(104a)이 형성되고, 이 한 쌍의 슬릿공(104a) 사이에는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핀홀(104b)이 형성된다.
전방빔(105)의 상부에는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핀홀(105a)이 형성된다.
측방빔(103), 후방빔(104) 및 전방빔(105) 각각에는 상부에 푸쉬운동부(200)의 각 구성 즉 좌측운동부(210), 우측운동부(220), 후방운동부(230), 전방운동부(240)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부(110,120,130,140)가 구비된다.
브라켓부(110,120,130,140)는 한 쌍의 측방빔(103)에 각각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110,120)과, 후방빔(104)에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후방지지브라켓(130)과, 전방빔(105)에 설치되는 전방지지브라켓(140)으로 이루어진다.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110,120)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좌측지지브라켓(11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좌측지지브라켓(110)은 측방빔(103)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111)와, 이 슬라이딩부재(111)에 고정되며 "ㄱ"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글(113)와, 이 앵글(113)의 상면에 수평되게 고정설치되며 내측부에는 좌측운동부(210)가 설치되는 지지빔(114)과, 앵글(113) 측벽을 관통하여 복수의 핀홀(103b) 중 임의의 하나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부재(111)의 상하위치를 고정하는 핀부재(11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부재(111)는 한 쌍의 관통바(111a), 전방블록(111b), 후방블록(111c), 연결편(111d)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관통바(111a)는 측방빔(103)에 형성된 한 쌍의 슬릿홀(103a)을 각각 전후 관통설치된다. 한 쌍의 관통바(111a)의 전단은 측방빔(103)의 전면에서 돌출되고, 후단은 측방빔(103)의 후면에서 돌출된다. 전방블록(111b)은 한 쌍의 관통바(111a)의 전단이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설치되고, 후방블록(111c)은 한 쌍의 관통바(111a)의 후단이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설치된다. 전방블록(111b)의 하면에는 앵글(113)이 볼트(미도시)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설치된다.
연결편(111d)은 측방빔(103)의 내부에서 한 쌍의 관통바(111a)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전방블록(111b)과 후방블록(111c)을 슬릿홀(103a)에 안내되어, 측방빔(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슬라이딩부재(111)를 측방빔(103)에 대해 일정 높이로 위치시킨 다음, 핀부재(115)를 임의의 핀홀(103b)에 꽂아서 슬라이딩부재(111)의 상하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운동부(21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핀홀(103b)에서 핀부재(115)를 해제한 후, 슬라이딩부재(111)를 올리거나 내려 위치를 조정할 때, 사용자가 위치이동에 필요한 힘을 좀 줄여서 보다 쉽게 슬라이딩부재(111)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스프링(112)이 측방빔(103)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고, 스프링(112)의 상단은 측방빔(103)의 상단에 고정되고, 스프링(112)의 하단은 연결편(111d)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좌측운동부(21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재(111)를 올리거나 내릴 때, 스프링(112)의 탄성력으로 인해, 사용자가 좌측운동부(210)의 무게를 올리거나 내리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후방지지브라켓(130)은 지지빔(114)의 구성이 없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좌측지지브라켓(11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좌측지지브라켓(110)은 앵글(113) 상면에 지지빔(114)이 설치되고, 이 지지빔(114)에 좌측운동부(210)가 설치되는 구성이었으며, 후방지지브라켓(130)은 앵글(133)의 전단에 후방운동부(230)가 직접 설치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후방지지브라켓(130)은 슬라이딩부재(131), 앵글(133), 핀부재(135)로 구성되며, 이 슬라이딩부재(131)는 좌측지지브라켓(110)에 설치된 슬라이딩부재(111)와 동일한 구조를 통해, 후방빔(104)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앵글(133)은 슬라이딩부재(131)의 전방블록(131b) 하면에 고정설치되고, 핀부재(135)은 앵글(133)의 측벽을 관통하여 후방빔(104)에 형성된 임의의 핀홀(104b)에 삽입되어 후방운동부(23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방지지브라켓(130)은 좌측지지브라켓(110)과 마찬가지로, 스프링(132)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후방운동부(230)의 상하높이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방지지브라켓(140)은 하부원통(141), 상부원통(143), 연장바(144), 지지대(145)를 포함한다.
하부원통(141)은 전방빔(105)이 삽입되어, 전방빔(105)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단 원주상에는 소정간격을 따라 복수의 결합홈(141a)가 형성된다. 이 하부원통(141)의 측면에는 핀부재(142, 좌측지지브라켓(110)의 핀부재115)와 동일)가 구비되어, 핀부재(142)를 전방빔(105)에 형성된 복수의 핀홀(105a) 중 임의의 하나에 꽂아, 하부원통(141)의 상하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부원통(142)은 하부원통(141)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결합홈(141a)이 삽입되는 결합돌기(143a)가 형성되며, 상부원통(142)에는 측방으로 연장바(144)가 일체로 수평되게 연장형성된다.
연장바(144)는 상부원통(142)의 측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끝단(144a)에는 지지대(145)가 직각되게 설치된다.
지지대(145)는 좌우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연장바(144)의 끝단(144a)이 내부에 직각되게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는 전방운동부(240)가 고정설치된다.
지지대(145)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45a)이 관통형성되고, 이 장공(145a)에는 조임볼트(145b, 도 6참조)가 구비되고, 이 조임볼트(145b)가 지지대(145)에 삽입된 연장바(144)의 끝단(144a)을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임볼트(145b)를 조여서, 지지대(145)를 연장바(144)에 고정시키고, 조임볼트(145b)를 풀어서 연장바(144)의 끝단(144a)이 지지대(144)에 삽입된 전후위치를 조정하고 조임볼트(145b)를 다시 조여 줌으로써, 전방운동부(240)의 전후 설치위치를 조절해 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연장바(144)를 잡아 위로 올려, 상부원통(143)의 결합돌기(143a)가 하부원통(141)의 결합홈(141a)에서 이탈되게 한 후, 연장바(144)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고, 다시 연장바(144)를 내려서 결합돌기(143a)가 다른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141a)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전방운동부(240)의 위치를 조절해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103)의 일측에 컵형태의 보관부(108)가 마련되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다.
의자부(150)는 좌판부(151) 및 등받이부(153)로 이루어진다. 좌판부(151)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부(102)의 중앙부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베이스프레임부(102)의 중앙에는 길이조절가능한 중심봉(106)이 설치되고, 이 중심봉(106)의 상단에 좌판부(151)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좌판부(151)에 착석한 상태에서, 각각의 푸쉬운동부(210,220,230,240)는 사용자 머리의 좌우전후에 각각 배치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중심봉(106)은 도 3과 같이, 베이스프레임부(102)의 중앙에 수직하게 외관(106a)이 설치되고, 이 외관(106a)에 내관(106b)이 삽입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핀(106c)에 의해 좌판부(15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봉(106)은 좌판부(15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 통상의 의자에 설치되는 공지된 여타의 중심봉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등받이부(153)는 좌판부(151)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후방지지브라켓(130)의 앵글(133)의 전방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앵글(133) 하부 전면에는 설치봉(133a)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 설치봉(133a)의 전단에 등받이부(153)가 고정설치된다.
등받이부(153)는 앵글(133)에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므로, 후방지지브라켓(130)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등받이부(15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재(155,156)는 의자부(150)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결박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혁대 등의 고정밴드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155,156)는 사용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하체고정부재(155)와,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상체고정부재(156)로 구성된다. 하체고정부재(155)는 좌판부(151)의 양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벅지(하체)를 감싸 밴딩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체고정부재(156)는 등받이부(153)의 양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 밴딩하여 움직임을 제한한다.
푸쉬운동부(200)는 좌측운동부(210), 우측운동부(220), 후방운동부(230), 전방운동부(240)로 구성되어, 4개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푸쉬운동부(210,220,30,240)는 브라켓부(110,120,130,140)의 내측단(끝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각각의 푸쉬운동부(210,220,230,240)는 크게 볼때, 설치위치만 다르고, 머리접촉부(218,228,238,248)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좌측운동부(210)의 구성을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개별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좌측운동부(210)는 좌측지지브라켓(110)의 지지빔(114)의 전단에 설치된다. 좌측운동부(210)는 수평바(211), 수직바(213), 링크바(215), 탄성부재(217) 및 머리접촉부(218)를 포함한다.
수평바(211)는 내부에 공간이 포함된 사각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관통구(211ba)가 형성된다. 체적으로 수평바(211)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케이싱(211a)과, 이 케이싱(211a)의 상부를 덮는 덮개판(211b)으로 구성된다. 덮개판(211b)의 일측에는 관통구(211ba)가 형성된다.
수평바(211)는 지지빔(114)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며, 지지빔(114)의 일측에 구성된 조임볼트(114a, 도 6참조)를 통해 수평바(211)를 지지빔(114)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직바(213)는 수평바(211)의 끝단 내측에 삽입되어 상부로 직각상태로 설치되며, 힌지(h1)에 의해 힌지되게 설치된다. 즉, 수직바(213)는 수평바(211)에 대해 직각된 제1상태(도 1 참조)와, 수직바(213)가 수평바(211)에 대해 90도 미만으로 경사진 제2상태(도 10참조)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링크바(215)는 일단부에 힌지축(215a)이 구비되고, 이 힌지축(215a)이 수직바(213)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힌지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이동축(215b)이 구비되고, 타단부가 관통구(211ba)를 통해 케이싱(211a)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축(215b)이 케이싱(211a)의 양측벽에 길이방향을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공(211aa)에 삽입되어, 레일공(211aa)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수직바(213)가 수평바(211)에 대해 직각된 상태에서, 수평바(211)를 향해 회동되어 경사진 상태가 되는 경우, 링크바(215)의 타단에 구비된 이동축(215b)이 레일공(211aa)을 따라 이동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재(217)는 테엽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도 7 및 도 8과 같이, 수평바(211)의 내부에 설치되되, 수평바(211)의 끝단과 이동축(215b) 사이의 위치에 설치된다. 이 테엽스프링(217)을 설치하도록 수평바(211)의 케이싱(211)에는 폭방향으로 고정축(216)이 설치되며, 테엽스프링(217)에 고정축(216)이 삽입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테엽스프링(217)의 내측단은 고정축(216)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테엽스프링(217)의 외측단(217a)은 링크바(215)의 전단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링크바(215)의 전단부에는 끝단에서 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고정핀(215c)이 고정설치되며, 테엽스프링(217)의 외측단(217a)은 링크바(215)의 전단을 감싸 고정핀(215c)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직바(213)가 수평바(211)에 대해 원상태인 직각상태에서 경사지도록 회동하게 되면 테엽스프링(217)의 외측단(217a)이 링크바(215)를 따라 고정축(216)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테엽스프링(217)는 수직바(213)가 원상태인 직각상태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즉, 수직바(213)가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테엽스프링(217)의 탄성력이 머리접촉부(238)를 통해 수직바(213)를 제2상태로 밀고 있는 사용자에게 저항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목근육이 강화되는 것이다.
머리접촉부(218)는 의자부(110)에 착석한 사용자가 수직바(213)를 수평바(211)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밀도록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구성으로서, 머리와 접촉되는 부분은 쿠션감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머리의 측면과 접촉되므로 귀 등이 눌리지 않도록 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머리접촉부(218)의 후면측에는 상하단을 연결하도록 아치형태의 지지리브(218a)가 설치되고, 이 지지리브(218a)의 중간위치에는 좌우폭방향으로 샤프트(218b)가 설치된다.
이 샤프트(218b)는 머리접촉부(218)가 수직바(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직바(213)의 양측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레일홀(213a)에 삽입되어 레일홀(213a)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머리접촉부(218)의 자중에 의해, 샤프트(218b)가 레일홀(213a)을 따라 의도치않게 움직이지 않도록, 수직바(213)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휘어진 형태의 판스프링(214)이 설치되어, 판스프링(214)은 샤프트(218b)가 레일홈(213a)에서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고 반구속상태에 놓이도록 샤프트(218b)를 일측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샤프트(218b)의 양단이 레일홈(21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홈(213a)의 일측으로 밀리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머리접촉부(218)의 자중만으로는 샤프트(218b)가 레일홈(213a)을 따라 내려가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머리접촉부(218)를 머리로 밀게 되면, 판스프링(214)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샤프트(218b)가 레일홈(213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접촉부(218)를 밀던 외력을 제거하면, 판스프링(214)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218b)가 레일홈(213a)에 반구속상태가 되어 레일홈(213a)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위치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은 테엽스프링(217)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테엽스프링(217)의 일측방에는 고정축(216)에 고정되도록 디스크(216a)가 설치되고, 디스크(217a)와 케이싱(211a) 측벽 사이에는 고정축(216)에 삽입된 상태로 코일스프링(216b)이 설치된다. 또한, 케이싱(211a)의 측벽에는 복수의 체결공(211ab)이 고정축(216)의 외곽에 원주상으로 관통형성되고, 고정축(216)은 케이싱(211a)의 일측벽을 관통하고, 이 고정축(216)의 일측단에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원형의 조작노브(219)가 구비되며, 이 조작노브(219)의 전면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공(211ab)에 삽입가능한 체결돌기(219a)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조작노브(219)를 잡아당겨 후퇴시켜, 체결돌기(219a)가 체결공(211ab)에서 이탈되게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노브(21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다음, 조작노브(219)를 잡아당긴 외력을 제거하면, 코일스프링(216)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돌기(219a)가 전방의 일치하는 체결공(211ab)에 삽입됨으로써 고정축(216)이 회전제한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에서, 조작노브(219)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고정축(216)도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테엽스프링(217)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테엽스프링(217)의 일측단(217a)은 링크바(215)의 타측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테엽스프링(217)이 고정축(216)에 감긴 상태(테엽스프링의 권취도)가 변화됨으로써, 테엽스프링(217)의 탄성력이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조작노브(219)를 일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테엽스프링(217)의 탄성력을 강해지게 할 수 있고, 조작노브(219)를 타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테엽스프링(217)의 탄성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노브(219)를 조작하여 테엽스프링(217)의 탄성력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머리접촉부(218)를 미는 동작에 대해 부여되는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어 운동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좌측운동부(210) 및 우측운동부(220)의 하부 즉, 좌측운동부(210) 및 우측운동부(220)의 수평바(211) 하부에는 각각 어깨를 부드럽게 감싸지지하는 어깨쿠션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어깨쿠션부(160)는 어깨와 접촉되는 부분은 스폰지 등과 같이 쿠션재질로 이루어져서, 의자부(150)에 착석한 사용자의 어깨를 부드럽게 눌러주면서 지지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후방운동부(230)의 머리접촉부(238)는 머리후두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링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각판형태로 이루어지며, 머리후두부와 접촉되는 부분은 쿠션재질로 이루어지며, 머리후두부를 감싸록 커브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전방운동부(240)의 머리접촉부(248)는 눈코입이 눌리지 않도록, 안면 테두리부분과 접촉되게 링형태로 이루어지며, 안면 테두리와 접촉되는 부분은 쿠션감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도 3 및 도 6과 같이, 수평바(231)가 후방지지브라켓(130)의 앵글(133) 상면에 고정되어, 후방운동부(230)가 후방지지브라켓(130)에 직접설치된 구조이다. 이때, 후방운동부(230)는 수평바(231)의 후단부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ㄷ" 형태의 경사유지부재(239)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후방으로 머리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사유지부재(239)를 수직바(233)의 후면에 고정설치된 걸고리(239a)에 걸어줌으로써, 수직바(233)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경사진 제2상태의 수직바(233)가 제1상태(수평바(231)에 직각된 수직상태)로 돌아가지 않고 경사진 제2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근력운동장치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목 근력운동장치는 사용자가 의자부(110)에 착석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55,156)로 신체를 결박하여 신체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좌우전후 중 일방향으로 목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좌측운동부(210)를 이용하여 의자부(110)에 착석한 상태에서 머리를 우측으로 기울였다가 피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목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행할 수 있다.
운동을 행하기 전에, 좌측운동부(210)를 제외한 나머지 우측운동부(220), 후방운동부(230), 및 전방운동부(240)는 사용자의 머리운동영역에서 벗어나도록 사용자의 머리와 떨어지도록 위치이동시켜 놓을 수 있다.
즉, 우측지지브라켓(120)의 위치를 측방빔(103)의 상방향으로 올려, 우측운동부(220)가 머리 위의 높이에 배치되도록 하고, 후방운동부(240)는 경사유지부재(239)를 수직바(233)의 후면의 걸고리(239a)에 걸어, 수직바(233)가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여 머리접촉부(238)가 사용자의 후두부에서 떨어지도록 하며, 전방지지브라켓(140)의 연장바(144)를 전방빔(105)에 대해 회전시켜 전방운동부(240)가 사용자의 안면에서 떨어지게 해 놓을 수 있다.
이렇게 우측운동부(220), 후방운동부(230) 및 전방운동부(240)를 운동영역에서 벗어난 상태로 위치해 두고, 사용자는 의자부(150)에 착석한 다음, 하체고정부재(155) 및 상체고정부재(156)로 허벅지(하체) 및 가슴(상체)를 고정해 줌으로써, 신체(하체와 상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직접 하체고정부재(155) 및 상체고정부재(156)로 자신의 신체를 고정할 수도 있고, 보조자(간호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머리 측면이 머리접촉부(218)에 접촉된 상태에서, 머리를 우측으로 기울이도록 밀어주는 동작을 행하게 되면, 머리접촉부(218)가 수직바(213)의 하부로 슬라이딩이동하면서, 수직바(213)가 수평바(211)를 향해 접히는 방향(제2상태)로 회동하게 되며, 이 경우 테엽스프링(217)은 수직바(213)가 수평바(211)에 대해 직각인 원상태(제1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머리를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목근육이 강화된다.
사용자는 머리를 우측으로 기울이면서 머리접촉부(218)를 밀었다가, 서서히 머리를 원상태로 움직이면, 테엽스프링(217)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바(213)가 직각수평바(211)에 대해 직각인 제1상태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 수직바(213)가 직각상태로 복귀하려는 동작에 의해 머리접촉부(218)가 머리측면을 가압하여 밀착되고, 사용자의 귀가 머리접촉부(218)의 링 내부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머리접촉부(218)는 수직바(213)의 상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는 머리를 우측으로 기울였다가 원상태로 복원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목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좌측운동부(110)를 통해 우측방향으로의 목운동을 마친 후, 우측운동부(120)를 통해 좌측방향으로의 목운동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후방운동부(130)의 머리접촉부(238)를 통해 머리(후두부)를 후방으로 미고 원위치로 움직이는 동작을 반복하고, 전방운동부(130)의 머리접촉부(248)를 머리(안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머리(안면)를 전방으로 미고 원위치로 움직이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목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운동부 이외에 나머지 운동부들은 사용자의 목운동영역에 벗어나도록 위치시켜 둘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자부(150)에 착석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55,156)를 통해 신체의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에서 목운동을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목운동을 행할 수 있으며 운동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상체 및 하체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머리를 머리접촉부(218,228,238,238)를 미는 동작을 하게 되면 목근육에 힘이 들어가지 않고 어깨근육등에 힘이 들어가게 되어 목 근육의 운동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체 및 하체의 움직임을 고정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기 때문에 올바른 자세에서 목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목운동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의자부(150)에 착석한 상태에서, 착석방향을 바꾸지 않고서도 좌우전후 4방향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목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 근력운동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에 자신의 목 근력 최대값(R값)을 입력하면, 자신의 목 근력에 맞는, 운동방법이 앱을 통해 청취하면서 목 근력운동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목운동 기록을 해당 앱에 기록해 둘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1...본체부
102...베이스프레임부
103...측방빔
104...후방빔
105...저방빔
103a,104a...슬릿공
103b,104b,105a...핀홀
110...좌측지지브라켓
111...슬라이딩부재
111a...관통바
111b...전방블록
111c...후방블록
111d...연결편
112...스프링
113...앵글
114...지지빔
115...핀부재
120...우측지지브라켓
130...후방지지브라켓
140...전방지지브라켓
141...하부원통
143...상부원통
144...연장바
145...지지대
150...의자부
151...좌판부
153...등받이부
155...하체고정부재
156...상체고정부재
160...어깨쿠션부
200...푸쉬운동부
210...좌측운동부
211...수평바
213...수직바
215...링크바
216...고정축
217...테엽스프링
218...안면접촉부
219...조작노브
220...우측운동부
230...후방운동부
240...전방운동부

Claims (16)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에 설치되어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결박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부재;
    상기 의자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적어도 한개 이상의 방향으로 머리를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푸쉬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운동부는 4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4개의 푸쉬운동부 각각은 상기 의자부 상부의 전후좌우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전후좌우 방향 중 임의의 일방향으로 머리를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푸쉬운동부가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좌판부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를 밴딩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하체고정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 상체를 밴딩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상체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는,
    상기 좌판부의 좌우 측방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 상부에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이 구비된 한 쌍의 측방빔;
    상기 좌판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부에 후방지지브라켓이 구비된 후방빔;
    상기 한 쌍의 측방빔 중 하나의 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부에 전방지지브라켓이 구비되는 전방빔;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운동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가 머리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좌측 및 우측운동부;
    상기 후방지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머리를 후방으로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후방운동부;
    상기 전방지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머리를 전방으로 미는 동작에 대해 저항력을 부여하여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전방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운동부, 후방운동부 및 전방운동부 각각은,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 머리를 향해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내측단에 힌지되게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에 대해 수직되는 제1상태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수평바측으로 회동되어 경사지는 제2상태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직바;
    일측단은 상기 수직바에 대해 힌지되게 설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링크바;
    상기 수평바와 상기 링크바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가 상기 제2상태로 동작하는 것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수직바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 머리의 좌측면, 우측면, 전면, 후면에 접촉되는 머리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내측단은 상기 수평바에 설치된 고정축에 고정설치되며, 외측단은 상기 링크바의 하단에 고정되는 테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운동부, 후방운동부 및 전방운동부 각각은,
    상기 고정축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을 회전조작함에 따라 상기 테엽스프링의 텐션을 조정하는 조작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운동부는
    상기 수직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수직바가 상기 제2상태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경사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운동부는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와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에 의해 전후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운동부는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와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지지브라켓에 의해 전후위치조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운동부와 상기 의자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지지브라켓은 상기 전방빔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브라켓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측방빔에 대해서 상하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후방지지브라켓은 상기 후방빔에 대해 상하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방지지브라켓은 상기 전방빔에 대해 상하 위치조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방빔 및 상기 후방빔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측방빔 및 상기 후방빔 각각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 및 후방지지브라켓 각각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브라켓 및 후방지지브라켓를 상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켜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하위치조정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운동부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고정지지하는 어깨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근력운동장치.
KR1020160086118A 2016-07-07 2016-07-07 목 근력운동장치 KR10178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118A KR101780468B1 (ko) 2016-07-07 2016-07-07 목 근력운동장치
PCT/KR2017/007297 WO2018009022A1 (ko) 2016-07-07 2017-07-07 목 근력운동장치
US16/314,827 US10814164B2 (en) 2016-07-07 2017-07-07 Neck muscle exercis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118A KR101780468B1 (ko) 2016-07-07 2016-07-07 목 근력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468B1 true KR101780468B1 (ko) 2017-09-21

Family

ID=6003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118A KR101780468B1 (ko) 2016-07-07 2016-07-07 목 근력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4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870B1 (ko) 2019-08-07 2020-01-22 (주)투파이브 등척성 목근력 운동장치
KR102143445B1 (ko) 2019-02-18 2020-08-11 (주)투파이브 목 근력운동장치 및 목 근력운동장치를 이용한 목 운동정보 제공시스템
WO2020235729A1 (ko) * 2019-05-23 2020-11-26 주식회사 웰니스 목의 안정화 근육 단련 운동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974B1 (ko) * 2009-09-14 2015-08-24 황인철 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974B1 (ko) * 2009-09-14 2015-08-24 황인철 목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445B1 (ko) 2019-02-18 2020-08-11 (주)투파이브 목 근력운동장치 및 목 근력운동장치를 이용한 목 운동정보 제공시스템
WO2020235729A1 (ko) * 2019-05-23 2020-11-26 주식회사 웰니스 목의 안정화 근육 단련 운동기구
KR102054870B1 (ko) 2019-08-07 2020-01-22 (주)투파이브 등척성 목근력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164B2 (en) Neck muscle exercise device
US20100234192A1 (en) Portable and adjustable stretching device
KR101780468B1 (ko) 목 근력운동장치
KR102297851B1 (ko) 별도의 틸팅 프레임을 갖는 안마볼 조립체 및 안마볼 조립체가 적용된 안마의자
JP2014004319A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JP2017511738A (ja) 首運動のための首運動支持体を備えた椅子
US10426689B2 (en) Biomechanical and ergonomical adjustable crutch
JP2014004321A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KR101780469B1 (ko) 목 근력운동장치
KR20110028936A (ko) 목 운동기구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KR20180048471A (ko) 복합운동기구
KR101760179B1 (ko) 경추견인 의자
EP2979732B1 (en) Exercise cushion
KR101672124B1 (ko) 목운동의자
KR100758639B1 (ko)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KR102296839B1 (ko) 운동 및 체형교정용 의료기구
JPH0795913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6345365B1 (ja) 運動具
KR200399954Y1 (ko) 허리운동 기능을 갖는 회전의자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KR20200060645A (ko) 안마의자의 사용자 맞춤형 안마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안마의자
KR20110094501A (ko) 척추강화용 운동의자
KR200298253Y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KR20120100786A (ko) 다기능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