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639B1 -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 Google Patents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639B1
KR100758639B1 KR1020060135829A KR20060135829A KR100758639B1 KR 100758639 B1 KR100758639 B1 KR 100758639B1 KR 1020060135829 A KR1020060135829 A KR 1020060135829A KR 20060135829 A KR20060135829 A KR 20060135829A KR 100758639 B1 KR100758639 B1 KR 100758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unit
seat
base plat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호
Original Assignee
윤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호 filed Critical 윤경호
Priority to KR102006013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pivotally mounted in the base frame, e.g. s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중앙부를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며 탄성스프링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에 탄성 설치되는 틸팅유닛과, 하면에 틸팅유닛의 개구를 폐쇄하는 곡면홈부를 형성하여 틸팅유닛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틸팅유닛이 틸팅되도록 상기 곡면홈부에 대응되는 곡면요부를 상부에 형성하여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중앙부와 지지유닛의 곡면홈부 사이에 설치되는 굴대 및, 지지유닛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쿠션시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를 전후좌우로 부드럽게 유동할 수 있으므로 허리를 강화시키고, 장시간의 의자 사용시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좌판, 탄성스프링, 쿠션시트, 옥돌, 온열히터선

Description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Titing seat plate and chair hav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좌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좌판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좌판의 스토퍼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스토퍼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 좌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베이스플레이트 110 : 탄성스프링
200 : 틸팅유닛 300 : 지지유닛
310 : 곡면홈부 400 : 굴대
410 : 곡면요부 500 : 쿠션시트
600 : 스토퍼
본 발명은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틸팅유닛이 틸팅되도록 탄성 설치되어 의자 착석시 사용자의 허리에 대한 전후좌우로의 유동이 부드럽게 유도되는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의자에서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자의 형태나 기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또한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의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도록 설계되고 있는 바, 예를 들어 의자에 팔걸이대가 장착하거나, 등받이가 탄력적으로 설치되기도 하며, 사람의 요추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등받이의 형태를 설계하는 등 여러가지 기능성 의자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널리 사용되는 의자는 좌판을 앞쪽으로 틸팅될 수 없는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가 앞으로 숙이거나 정좌를 할 경우 의자 전체를 앞쪽 또는 뒷쪽으로 밀고 당겨야만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의자 좌판에 앉은 자세로 상체를 앞쪽으로 숙이게 되면, 인체의 등이 등판으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허리가 굽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자세가 장시간 지속되면 허리에 많은 통증과 피로가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에 해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자 착석시 사용자의 허리가 전후좌우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의 허리 강화에 유리한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중앙부를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탄성스프링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에 탄성 설치되는 틸팅유닛; 하면에 상기 틸팅유닛의 개구를 폐쇄하는 곡면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틸팅유닛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유닛; 상기 틸팅유닛이 틸팅되도록 상기 곡면홈부에 대응되는 곡면요부를 상부에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중앙부와 상기 지지유닛의 곡면홈부 사이에 설치되는 굴대; 상기 지지유닛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쿠션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굴대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틸팅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일단부가 상기 틸팅유닛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굴대를 구속시키는 고정쇠; 내측에 상기 고정쇠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을 가지며 상기 틸팅유닛의 일측에 장착되는 장착하우징; 상기 장착하우징 내측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고정쇠의 전진 및 후진 이동을 고정시키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쇠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공간 내에 위치하는 고정스틸; 상기 장착하우징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스틸에 고정 설치되는 작동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에는 상기 곡면홈부으로의 오일 유입을 위한 오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탄성스프링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쿠션시트에는 옥돌 및 온열히터선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이 걸터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틸팅 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좌판의 분해 사시도 및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좌판의 스토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스토퍼의 작동 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 좌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틸팅 좌판은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 상에 탄성 설치되는 틸팅유닛(200)과, 곡면홈부(310)를 가지며 상기 틸팅유닛(2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유닛(300)과, 상기 틸팅유닛(200)이 곡면 유동되며 틸팅되도록 상기 곡면홈부(310)과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요부(410)를 갖는 굴대(400) 및, 상기 지지유닛(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쿠션시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사용자의 착석시 해당 중심부를 틸팅(Titing)축으로 하여 상기 틸팅유닛(200)을 소정각도로 틸팅시키기 위한 것으로, 해당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틸팅유닛(20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탄성스프링(110)이 설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개의 탄성스프링(11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8개가 이격 배치되며, 해당 형상은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스프링(110) 안착을 위한 복수개의 안착홈(12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복수개의 안착홈(1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동일 궤적상에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스프링(110)을 개재하여 틸팅유닛(200)이 설치된다.
상기 틸팅유닛(200)은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복수개의 탄성스프링(110) 중에서 일부 탄성스프링(110)의 탄성압축을 유도하여 본 발명의 틸팅 좌판이 틸팅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틸팅유닛(2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탄성 지지되고, 해당 중앙부에는 후술할 굴대(400)가 관통된 후 지지되도록 걸림턱(220)을 갖는 개구(210)가 형성되며, 해당 일측에는 상기 굴대(400) 구속을 위해 스토퍼(600)가 삽입되는 구속공(240)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틸팅유닛(200)의 가장자리에는 볼트가 삽입 관통되는 복수개의 결합공(230)이 형성되고, 이러한 복수개의 결합공(230)은 상기 틸팅유닛(200)의 상면에 지지유닛(300)이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유닛(300)은 볼트 결합을 통해 상기 틸팅유닛(200)과 일체로 결합되고, 해당 하부에는 틸팅(Titing)시 상기 틸팅유닛(200)의 곡면유동을 유도하기 위한 곡면홈부(310)가 상기 틸팅유닛(200)의 개구(21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해당 내측에는 상기 곡면홈부(310)로의 오일 유입을 위해 오일유로(320)가 상기 곡면홈부(310)와 연통되게 연장 형성되는 바, 이러한 오일유로(320)는 후 술하는 굴대(400)의 곡면요부(410)와 상기 곡면홈부(310) 사이 공간에 오일을 공급하여 이들 사이 접촉에 의한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300)의 상면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옥돌(510) 및 온열히터선(520)이 구비된 쿠션시트(5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옥돌(510) 및 온열히터선(520)은 찜질효과는 물론, 착석한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신진대사를 향상시키고, 근육통과 요통, 관절통 등의 통증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굴대(400)는 상기 틸팅유닛(200)의 개구(210)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유닛(300)과 베이스플레이트(100) 사이에 위치되고, 해당 상부에는 상기 지지유닛(300)의 곡면홈부(310)에 대응되는 곡면요부(410)가 형성되며, 해당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고정공(130)과 대응되어 볼트 결합되는 볼트공(430)이 형성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를 전후좌우로 유동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유닛(300)의 곡면홈부(310)는 상기 굴대(400)의 곡면요부(410)의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유동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전후좌우를 부드럽게 동작하며 허리운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허리운동을 통해 사용자는 요추에서 받는 압박감 및 허리 통증 등을 해소할 수 있으며,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음으로 인한 피로감을 손쉽게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대(400)의 측부에는 상기 틸팅유닛(200)의 구속공(240)을 통해 삽입된 스토퍼(600)가 고정되는 걸림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420)은 상기 스토퍼(600)를 통해 상기 틸팅유닛(200)의 틸팅작동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 기 굴대(400)의 측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틸팅유닛(2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굴대(400)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므로, 상기 틸팅유닛(200)의 틸팅작동이 선택적으로 작동되거나 정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틸팅유닛(200)의 구속공(240)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굴대(400)의 걸림홈(420)을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는 고정쇠(610)와, 상기 고정쇠(610)가 이동되는 이동공간 내측에 형성되어 고정브라켓(660)을 통해 상기 틸팅유닛(200)의 구속공(240)에 대향배치되도록 상기 틸팅유닛(200)에 장착되는 장착하우징(650)과, 상기 장착하우징(650) 내측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고정쇠(610)의 전진 및 후진 이동을 고정시키는 자성체(640)와, 상기 고정쇠(61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하우징(650)의 이동공간 내에 위치하는 고정스틸(630)과, 상기 고정쇠(610)가 작동되도록 상기 고정스틸(630)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하우징(650)에서 노출되는 작동핸들(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스토퍼의 작동여하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토퍼(60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틸팅 좌판에 착석하여 허리를 일측으로 기울이면, 사용자의 무게가 일측으로 편중됨에 따라, 편중된 틸팅유닛(200)의 일측 탄성스프링(110)은 압축되고 해당 타측 탄성스프링(110)은 인장되어 틸팅유닛(200)은 편중된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유닛(300)의 곡면홈부(310)는 상기 굴대(400)의 곡면 요부(410)의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유동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를 전후좌우로 부드럽게 유동하며 허리 강화를 위한 허리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스토퍼(600)의 작동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틸팅 좌판을 고정한 경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틸팅 좌판에 착석하여 허리를 일측으로 기울이더라도, 상기 스토퍼(600)에 의한 굴대(400)의 구속으로 인해 틸팅유닛(200)은 일측으로 기울어지 않게 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좌판에 대한 스토퍼(600)의 고정을 위해, 상기 스토퍼(600)의 고정쇠(610)와 연동되는 작동핸들(620)을 상기 틸팅유닛(200)의 내측방향으로 밀면, 상기 고정쇠(610)의 삽입 단부는 굴대(400)의 걸림홈(420)에 삽입되고, 이로써 상기 틸팅유닛(200)의 틸팅작동은 구속된다. 이때, 상기 고정쇠(610)의 타단부에 설치된 고정스틸(630)은 상기 장착하우징(650) 내측 일단의 자성체(640)에서 타단의 자성체(640)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된 고정쇠(610)의 위치는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 틸팅유닛(200), 굴대(400), 지지유닛(300) 및 쿠션시트(500)이 하부에서 상부로 적층 배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틸팅 좌판은 상술한 부품들에 대한 상,하 배치가 거꾸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는 상술한 구성의 틸팅 자 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의한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는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술한 틸팅 좌판과, 상기 틸팅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와, 사용자의 팔을 받쳐 지지하는 팔걸이대 및, 상기 틸팅 좌판을 지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 배치시키는 받침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틸팅 좌판의 구성을 제외한 등받이, 팔걸이대, 받침대와 같은 구성은 통상적인 의자 구조에 적용되는 등받이, 팔걸이대, 받침대와 같은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등받이, 팔걸이대, 받침대의 구성은 생략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의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00) 상에 틸팅유닛(200)이 틸팅되도록 탄성 설치되어 의자 착석시 사용자의 허리에 대한 전후좌우로의 유동이 부드럽게 유도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가 앞으로 숙이거나 정좌를 할 경우 의자 전체를 앞쪽 또는 뒷쪽으로 밀고 당김으로 인해 불편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를 전후좌우로 부드럽게 유동할 수 있음에 따라 허리 강화를 위한 허리운동에 효과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돌과 전열선이 내장되어 지압효과는 물론 옥돌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신진대사가 원활해져 근육통과 요통, 관절통 등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탄성스프링(110)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중앙부를 관통하는 개구(210)를 가지며 상기 탄성스프링(110)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탄성 설치되는 틸팅유닛(200);
    하면에 상기 틸팅유닛(200)의 개구(210)를 폐쇄하는 곡면홈부(310)를 형성하여 상기 틸팅유닛(2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유닛(300);
    상기 틸팅유닛(200)이 틸팅되도록 상기 곡면홈부(310)에 대응되는 곡면요부(410)를 상부에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부와 상기 지지유닛(300)의 곡면홈부(310) 사이에 설치되는 굴대(400);
    상기 지지유닛(3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쿠션시트(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좌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대(4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틸팅유닛(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토퍼(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600)는 일단부가 상기 틸팅유닛(20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굴대(400)를 구속시키는 고정쇠(610); 내측에 상기 고정쇠(610)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을 가지며 상기 틸팅유닛(200)의 일측에 장착되는 장착하우징(650); 상기 장착하우징(650) 내측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고정쇠(610)의 전진 및 후진 이동을 고정시키는 자성체(640); 상기 자성체(64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쇠(61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공간 내에 위치하는 고정스틸(630); 상기 장착하우징(650)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스틸(630)에 고정 설치되는 작동핸들(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좌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300)에는 상기 곡면홈부(310)으로의 오일 유입을 위한 오일유로(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좌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탄성스프링(110)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120)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110)은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좌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시트(500)에는 옥돌(510) 및 온열히터선(5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좌판.
  6. 사람이 걸터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틸팅 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KR1020060135829A 2006-12-28 2006-12-28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KR100758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29A KR100758639B1 (ko) 2006-12-28 2006-12-28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29A KR100758639B1 (ko) 2006-12-28 2006-12-28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639B1 true KR100758639B1 (ko) 2007-09-13

Family

ID=3873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829A KR100758639B1 (ko) 2006-12-28 2006-12-28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6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69A (ko) * 2015-04-27 2016-11-04 김석환 밸런스 의자
KR20200097221A (ko) 2019-02-07 2020-08-18 김창용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KR102273422B1 (ko) 2020-10-30 2021-07-07 유한회사 애니체 탄성 틸팅구조의 좌판이 적용된 등받이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278A (ko) * 2003-11-21 2005-05-25 김인호 무게중심이동회전장치를 이용한 안락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278A (ko) * 2003-11-21 2005-05-25 김인호 무게중심이동회전장치를 이용한 안락의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10-2005-0049278호
실용신안공보 실1982-0002560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69A (ko) * 2015-04-27 2016-11-04 김석환 밸런스 의자
KR101683106B1 (ko) * 2015-04-27 2016-12-07 김석환 밸런스 의자
KR20200097221A (ko) 2019-02-07 2020-08-18 김창용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KR102273422B1 (ko) 2020-10-30 2021-07-07 유한회사 애니체 탄성 틸팅구조의 좌판이 적용된 등받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DK2802241T3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US3711152A (en) Health chair
US20080161736A1 (en) Massage device of chair type
KR100758639B1 (ko)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20130007300U (ko)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KR100708303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20160112475A (ko) 골반 운동 및 앉은 허리자세 교정용 의자
KR102004312B1 (ko) 이중 관절식 등받이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용 의자
JP2007000570A5 (ko)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JP3220425U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シート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100734166B1 (ko)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20200128787A (ko) 상승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0923168B1 (ko) 의자용 가슴받이
KR100787165B1 (ko) 척추교정용 의자
KR20060097783A (ko) 의자용 목받침대
JP2004215916A (ja) 背部押圧治療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