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396B1 -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396B1
KR101779396B1 KR1020160071017A KR20160071017A KR101779396B1 KR 101779396 B1 KR101779396 B1 KR 101779396B1 KR 1020160071017 A KR1020160071017 A KR 1020160071017A KR 20160071017 A KR20160071017 A KR 20160071017A KR 101779396 B1 KR101779396 B1 KR 101779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adioactive waste
primary container
primary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Priority to KR102016007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4Disposal of solid waste
    • G21F9/36Disposal of solid waste by packaging; by bal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32Apparatus for removing radioactive objects or materials from the reactor discharge area, e.g. to a storage place; Apparatus for handling radioactive objects or materials within a storage place or removing them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재 드럼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농축폐액 건조분말이나 건조 폐수지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고건전성 용기(HIC)로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건조분말이나 비드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1차 용기로부터 고건전성 용기로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이송하되, 1차 용기에 설치되는 흡입관과, 고건전성 용기에 설치되는 토출관과, 이들 흡입관과 토출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1차 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진공압에 의해 흡입관으로 흡입되도록 하면서 토출관으로 이송시켜 고건전성 용기 내에 충전되도록 하는 진공펌프와, 이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1차 용기로부터 고건전성 용기로 방사성 폐기물이 이송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Apparatus for safely transferring radioactive waste}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재 드럼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농축폐액 건조분말이나 건조 폐수지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고건전성 용기(HIC)로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성 폐기물은 핵에너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방사성물질로서, 원자력 시설이나 방사성 물질을 다루는 작업장 또는 실험실에서 작업에 사용된 교체 부품, 폐수지, 농축폐액, 공구, 헝겊, 종이 등의 고체와 계통수, 제염수, 세척수 등의 액체와 방사성 기체가 있다. 이러한 방사성 폐기물은 관련법 및 처분장 인도기준에 만족하도록 처리하여야 처분이 가능하다. 또한 처분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양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우리나라 처분장 인도기준이 확립되기 전에 발생한 농축폐액 건조분말 형태의 경우 200리터 금속재 드럼에 포장하여 원전에 보관 중이고, 비드 형태(bead type)의 건조 폐수지는 1,000리터 폴리에틸렌 수지 용기에 포장하여 원전에 보관 중이다.
방사물의 안전성과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고형화하거나 이미 안전성과 건전성이 확보된 특수용기 즉, 고건전성 용기(High Integrity Container, HIC)에 담아 포장하는 방법이 있다. 1981년 미국에서 폐기물 영구처분을 감안하여 현재와 같은 개념의 고건전성 용기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한국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도규정"에서 "고건전성 용기"는 "폐기물 포장용기의 일종으로서 내용물과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지하 환경 및 처분조건에 대하여 300년 이상의 건전성을 갖는다고 인정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고건전성 용기에 대한 기술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7397호에 자세히 알려져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금속재 드럼에 포장된 농축폐액 건조분말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나 폴리에틸렌 수지 용기에 포장된 건조 폐수지를 고건전성 용기로 옮겨 보관하는 경우 안전하게 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금속재 드럼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용기로부터 고건전선 용기로 방사성 폐기물을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7397호(2009.01.0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8408호(2010.10.1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6724호(2015.03.30. 공고)
본 발명은 금속재 드럼에 보관된 농축폐액 건조분말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나 폴리에틸렌 수지 용기에 보관된 건조 폐수지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고건전성 용기(HIC)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조분말이나 비드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1차 용기로부터 고건전성 용기로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이송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에 있어서, 1차 용기에 설치되는 흡입관과, 고건전성 용기에 설치되는 토출관과, 이들 흡입관과 토출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1차 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진공압에 의해 흡입관으로 흡입되도록 하면서 토출관으로 이송시켜 고건전성 용기 내에 충전되도록 하는 진공펌프와, 이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1차 용기로부터 고건전성 용기로 방사성 폐기물이 이송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는 흡입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흡입 헤드를 통해 1차 용기에 설치되며, 흡입 헤드에는 1차 용기 내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1압력계가 구비됨과 아울러 1차 용기 내의 압력에 따라 1차 용기에 대하여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되도록 하는 제1벤트 밸브가 구비된 제1벤트 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고건전성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는 충전 헤드를 더 포함하고, 토출관은 충전 헤드를 통해 고건전성 용기에 설치되며, 충전 헤드에는 고건전성 용기 내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2압력계가 구비됨과 아울러 고건전성 용기 내의 압력에 따라 고건전성 용기에 대하여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되도록 하는 제2벤트 밸브가 구비된 제2벤트 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1벤트 밸브는 제1압력계와 연계되어 제1압력계에 의해 계측된 1차 용기 내의 압력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며, 제2벤트 밸브는 제2압력계와 연계되어 제2압력계에 의해 계측된 고건전성 용기 내의 압력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벤트 라인에는 제1벤트 라인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1플러싱 라인이 연결되고, 제2벤트 라인에는 제2벤트 라인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플러싱 라인이 연결될 수도 있다.
또, 흡입 헤드에는 1차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가 설치되고, 충전 헤드에는 고건전성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는 흡입관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3플러싱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토출관에는 토출관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4플러싱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에는 토출관이 고건전성 용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건전성 용기 내로 이송된 방사성 폐기물의 충전 높이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승강구동부는, 토출관의 외벽에 구비되는 랙바와, 토출관의 외벽을 감싸는 기어 하우징과, 이 기어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와, 기어 하우징 내에서 랙바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면서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랙바를 승강시키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관에는, 승강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토출관이 상승하는 최대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고건전성 용기의 내벽 특정 위치와 접촉하였을 때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접촉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1차 용기 내부의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흡입 능력이 향상되도록, 1차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1차 용기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하단부에 1차 용기의 내부 바닥과 밀착될 수 있는 빨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하측부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나팔관 구조로 이루어져 고건전성 용기의 내부로 토출되는 방사성 폐기물의 토출압력을 낮추는 감압실이 형성되고, 상기 감압실의 하단부에는 방사성 폐기물이 고건전성 용기의 내부로 낙하시 속도와 충격을 경감시키는 낙속 경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내부에는 고건전성 용기의 내부로 토출되는 방사성 폐기물의 낙하 속도와 압력을 경감시키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판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1차 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분쇄 및 교반하는 믹서를 구비하여 1차 용기에 결합되는 믹싱 헤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흡입관의 사용 후 1차 용기의 내부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관과 교체되어 연결관을 통해 토출관과 결합되면서 수조작에 의해 1차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위치가 가변되는 매뉴얼 흡입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1차 용기로부터 방사성 폐기물을 고건전성 용기로 이송한 후 1차 용기의 내벽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1차 용기의 한쪽 구석으로 집적하기 위하여, 1차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1차 용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벽과, 1차 용기에 진동을 주어 1차 용기의 내벽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진동모터를 구비한 진동 테이블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건조분말이나 비드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1차 용기로부터 고건전성 용기로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이송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방법에 있어서, 1차 용기에 흡입관이 설치되고, 고건전성 용기에는 토출관이 설치되며, 흡입관과 상기 토출관이 연결관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1차 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진공압에 의해 흡입관으로 흡입되도록 하면서 토출관으로 이송시켜 고건전성 용기 내에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금속재 드럼에 보관된 농축폐액 건조분말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나 폴리에틸렌 수지 용기에 보관된 건조 폐수지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고건전성 용기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방사성 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서 안전성과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금속재 드럼 대신에 폴리에틸렌 수지 용기에 흡입 헤드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토출관의 승강구동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흡입 헤드와 교체 사용되는 믹싱 헤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흡입관과 교체 사용되는 매뉴얼 흡입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1차 용기의 내벽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낙하시키기 위한 진동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공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방사성 농축폐액 건조분말(이하, '건조분말')이나 비드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1차 용기로부터 고건전성 용기(High Integrity Container, HIC)로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이송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와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1차 용기'라 함은, 건조분말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 포장되는 금속재 드럼과, 건조 폐수지와 같은 비드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 포장되는 폴리에틸렌 용기를 포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또, '고건전성 용기'는, 전술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하였듯이, 고형화하거나 이미 안전성과 건전성이 확보된 특수용기로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도규정」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내용물과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지하 환경 및 처분조건에 대하여 300년 이상의 건전성을 갖는다고 인정되는 폐기물 포장용기를 말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방사성 농축폐액 건조분말이 수용된 금속재 드럼을 1차 용기(V1)로 사용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1차 용기(V1)에 설치되는 흡입관(10)과, 고건전성 용기(V2)에 설치되는 토출관(20)과, 이들 흡입관(10)과 토출관(2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30)과, 1차 용기(V1)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진공압에 의해 흡입관(10)으로 흡입되도록 하면서 토출관(20)으로 이송시켜 고건전성 용기(V2) 안으로 토출 및 충전되도록 하는 진공펌프(40)와, 이 진공펌프(40)의 작동에 의해 1차 용기(V1)로부터 고건전성 용기(V2)로 방사성 폐기물이 이송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1차 용기(V1)는 상단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뚜껑(도시되지 않음)으로 여닫히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용기(V1)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에서 1차 용기(V1)의 개구부에 러버 실(rubber seal)과 같은 밀봉재(61)의 개재하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는 흡입 헤드(6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흡입관(10)은 흡입 헤드(60)를 통해 1차 용기(V1)에 설치된다.
흡입 헤드(60)에는 1차 용기(V1) 내의 진공 상태나 압력을 계측하는 제1압력계(62)가 구비되고, 1차 용기(V1) 내의 압력에 따라 1차 용기(V1) 내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1차 용기(V1)로부터 에어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1벤트 라인(63)이 설치된다. 제1벤트 라인(63)에는 제1벤트 라인(63)을 개폐하는 제1벤트 밸브(64)가 구비되는데, 제1벤트 밸브(64)는 제1압력계(62)와 연계됨으로써 제1압력계(62)에 의해 계측된 1차 용기(V1) 내의 압력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제1벤트 라인(63)에는, 1차 용기(V1) 내의 압력 상황에 따라 1차 용기(V1)로부터 에어가 배출될 때, 1차 용기(V1)의 내부로부터 방사성 폐기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스크린(65)이 결합된다. 제1벤트 라인(63)에는 또, 제1벤트 라인(63)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1플러싱 라인(66)이 연결된다.
흡입 헤드(60)에는, 1차 용기(V1) 내부의 상태, 즉 방사성 폐기물이 흡입관(10)을 통해 흡입되는 상태라든가, 1차 용기(V1) 내부에 방사성 폐기물의 잔존 여부를 확인한다든가, 흡입관(10)의 막힘이나 기타 고장 상황 발생시 그 원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영상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67)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고건전성 용기(V2) 역시 상단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뚜껑(도시되지 않음)으로 여닫히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고건전성 용기(V2)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에서 고건전성 용기(V2)의 개구부에 러버 실(rubber seal)과 같은 밀봉재(71)의 개재하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는 충전(充塡) 헤드(7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토출관(20)은 충전 헤드(70)를 통해 고건전성 용기(V2)에 설치된다.
진공펌프(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차 용기(V1)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진공압에 의해 흡입관(10)으로 흡입되도록 하면서 토출관(20)으로 이송시켜 고건전성 용기(V2) 안으로 토출 및 충전되도록 하는데, 고건전성 용기(V2)에 충전 헤드(70)가 결합되는 구조에서 충전 헤드(70)에 설치될 수가 있다. 진공펌프(40)는 토출관(20)과 연통하게 되면서 1단∼2단 혹은 다단으로 진공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되는 진공압은 흡입관(10)으로부터 토출관(20)으로 압력차에 의한 기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1차 용기(V1)로부터 고건전성 용기(V2)로 방사성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한다.
충전 헤드(70)에는 고건전성 용기(V2) 내의 진공 상태나 압력을 계측하는 제2압력계(72)가 구비되고, 고건전성 용기(V2) 내의 압력에 따라 고건전성 용기(V2) 내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고건전성 용기(V2)로부터 에어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2벤트 라인(73)이 설치된다. 제2벤트 라인(73)에는 제2벤트 라인(73)을 개폐하는 제2벤트 밸브(74)가 구비되는데, 제2벤트 밸브(74)는 제2압력계(72)와 연계됨으로써 제2압력계(72)에 의해 계측된 고건전성 용기(V2) 내의 압력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제2벤트 라인(73)에는, 고건전성 용기(V2) 내의 압력 상황에 따라 고건전성 용기(V2)로부터 에어가 배출될 때,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부로부터 방사성 폐기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스크린(75)이 결합된다. 제2벤트 라인(73)에는 또, 제2벤트 라인(73)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플러싱 라인(76)이 연결된다.
충전 헤드(70)에는, 고건전성 용기(V2) 내부의 상태, 즉 방사성 폐기물이 토출관(20)을 통해 토출되는 상태라든가, 고건전성 용기(V2) 내부에 방사성 폐기물이 충전되는 양 또는 높이를 확인한다든가, 토출관(20)의 막힘이나 기타 고장 상황 발생시 그 원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영상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77)가 설치된다.
한편, 흡입관(10)과 토출관(20)을 연결하는 연결관(30)의 일단을 흡입관(10)에 연결함과 아울러 연결관(30)의 타단을 토출관(20)에 연결할 때는, 신속하게 연결이 가능한 퀵 커넥터(quick conecter : 11,21)가 적용될 수 있다. 퀵 커넥터(11,21)의 예로는 공개특허 제10-2010-0090016호에 게재된 것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흡입관(10)에는 흡입관(10)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3플러싱 라인(12)이 연결되고, 토출관(20)에도 토출관(20)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4플러싱 라인(22)이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10)은, 1차 용기(V1) 내부의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흡입 능력이 향상되도록, 1차 용기(V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1차 용기(V1)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입관(10)은 하단부에 1차 용기(V1)의 내부 바닥과 밀착될 수 있는 빨판(13)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토출관(20)에는 토출관(20)이 고건전성 용기(V2)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건전성 용기(V2) 내로 이송된 방사성 폐기물의 충전 높이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부(80)가 설치된다. 이 승강구동부(80)는,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토출관(20)의 외벽에 구비되는 랙바(81)와, 토출관(20)의 외벽을 감싸는 기어 하우징(82)과, 이 기어 하우징(82)에 설치되는 모터(83)와, 기어 하우징(82) 내에서 랙바(81)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면서 모터(83)의 회전축(83a)에 연결되어 모터(83)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랙바(81)를 승강시키는 피니언 기어(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토출관(20)에는, 승강구동부(80)의 구동에 따라 토출관(20)이 상승하는 최대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벽 특정 위치와 접촉하였을 때 승강구동부(8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접촉센서(78)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접촉센서(78)는 토출관(2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벽 특정 위치는, 도 1에서 보았을 때 충전 헤드(70)의 외주연을 감싸고 있는 고건전성 용기(V2)의 상단부 내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관(20)을 통해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부에 방사성 폐기물이 이송되어 충전됨에 따라 토출관(20)이 승강구동부(80)에 의해 상승하다가 접촉센서(78)가 고건전성 용기(V2)의 상단부 내벽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신호가 제어부(50)로 전송되고, 제어부(50)는 승강구동부(80)의 모터(83)를 구동 정지시킴으로써, 더 이상 토출관(20)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방사성 폐기물의 이송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토출관(20)의 하측부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나팔관 구조로 이루어져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부로 토출되는 방사성 폐기물의 토출압력을 낮추는 감압실(20a)이 형성되고, 이 감압실(20a)의 하단부에는 방사성 폐기물이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부로 낙하할 때 속도와 충격을 경감시키는 낙속 경감부재(20b)가 구비될 수 있다. 낙속 경감부재(20b)는 감압실(20a) 내에서 토출관(20)의 상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토출관(20)으로부터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부로 낙하하는 방사성 폐기물이 낙속 경감부재(20b)에 충돌한 후 낙하하게 되므로 낙하시의 속도와 충격이 완화된다.
또, 토출관(20)으로부터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부로 낙하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속도와 압력을 더욱 경감하기 위하여, 토출관(20)의 내부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판(20c)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제어부(50)는 본 발명의 장치를 작동시키는 요소들인 진공펌프(40)와 승강구동부(80), 제1,2압력계(62,72), 밸브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들 요소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이 될 수도 있고, 상기 요소들의 작동을 관리하는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Control Unit, MCU)가 충전 헤드(70) 또는 다른 어느 부위에 장착되어 제어부(50)가 이 MCU(90)와의 송수신에 의해 상기 요소들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1차 용기(V1)가 방사성 농축폐액 건조분말이 수용된 금속재 드럼인 경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건조 폐수지와 같은 비드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 포장되는 폴리에틸렌 용기(V1')일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 용기(V1')에 대해서도, 상술한 금속재 드럼와 같은 1차 용기(V1)를 대상으로 설치되는 제반 구성 요소들은 동일하게 구비 및 설치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1차 용기(V1)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분쇄 및 교반하는 믹서(101)를 구비하여 1차 용기(V1)에 결합되는 믹싱 헤드(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믹싱 헤드(100)에는 믹서(101)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102)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1차 용기(V1)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적절한 크기로 분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차 용기(V1)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에서 믹싱 헤드(100)를 장착하거나, 1차 용기(V1)에 흡입 헤드(60)가 이미 장착되어 있을 시 흡입 헤드(60)를 믹싱 헤드(100)로 교체 장착한 상태에서, 구동원(102)을 구동하여 믹서(101)로 방사성 폐기물을 분쇄 및 교반함으로써 적절한 크기로 만들어 방사성 폐기물이 흡입관(10)을 통해 원활하게 흡입 및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흡입관(10)을 사용하여 1차 용기(V1) 내의 방사성 폐기물을 흡입하면서 토출관(20)을 통해 고건전성 용기(V2)로 이송하다가, 대부분의 방사성 폐기물이 이송된 후에는 1차 용기(V1)의 내부 여기저기에 소량의 방사성 폐기물이 잔류하게 된다. 이렇게 1차 용기(V1)의 내부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1차 용기(V1)로부터 완전하게 흡입하기 위하여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작업자가 수조작으로 움직일 수 있는 매뉴얼 흡입관(110)이 본 발명의 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매뉴얼 흡입관(110)은 흡입관(10)과 교체 사용되는데, 먼저 흡입 헤드(60)를 제거한 상태에서 매뉴얼 흡입관(110)을 1차 용기(V1)의 내부에 삽입한 다음, 작업자가 1차 용기(V1)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함과 아울러 매뉴얼 흡입관(110)을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1차 용기(V1)의 내부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이 매뉴얼 흡입관(110)으로 흡입되도록 한다. 매뉴얼 흡입관(110)은 흡입관(10)과 마찬가지로 연결관(30)을 통해 토출관(20)과 결합되며, 연결관(30)과 신속하게 연결이 가능한 퀵 커넥터(111)를 구비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111)도 구비하고 있다. 매뉴얼 흡입관(110)은, 흡입관(10)과 마찬가지로, 1차 용기(V1) 내부의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흡입 능력이 향상되도록, 1차 용기(V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1차 용기(V1)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뉴얼 흡입관(110)의 하단부에는 1차 용기(V1)의 내부 바닥과 밀착될 수 있는 빨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1차 용기(V1)의 내벽에 부착되어 잘 떨어지지 않는 분말 형태 등의 방사성 폐기물을 완전히 흡입하여 고건전성 용기(V2)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1차 용기(V1)에 진동을 주어 1차 용기(V1)의 내부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진동 테이블(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진동 테이블(120)은 1차 용기(V1)가 안착되는 안착부(121)와, 이 안착부(121)에 안착되는 1차 용기(V1)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벽(122)과, 1차 용기(V1)에 진동을 주는 진동모터(123)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1차 용기(V1)로부터 방사성 폐기물을 흡입관(10)과 연결관(30) 및 토출관(20)을 경유하여 고건전성 용기(V2)로 이송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에, 1차 용기(V1)의 내벽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고건전성 용기( V2)로 완전히 이송하기 위하여, 1차 용기(V1)를 진동 테이블(120)의 안착부(121)에 안착시키면서 경사벽(122)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하는 상태에서 진동모터(123)를 가동하여 1차 용기(V1)에 진동을 부여하면, 1차 용기(V1)의 내벽에 잔류하던 방사성 폐기물이 낙하하면서 1차 용기(V1)의 한쪽 구석으로 집적이 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관(10) 또는 매뉴얼 흡입관(110)을 이용하여 1차 용기(V1)의 한쪽 구석에 집적된 방사성 폐기물을 흡입하여 연결관(30) 및 토출관(20)을 통해 고건전성 용기(V2)로 이송하면 된다. 또한 1차 용기(V1)의 높이를 지면보다 높게 하여 흡입수두(吸入水頭, suction head)를 향상하는 보조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방사성 폐기물을 이송하는 방법(공정)에 대해 도 1과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건조분말이나 비드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1차 용기(V1)로부터 고건전성 용기(V2)로 상기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이송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방법으로서, 1차 용기(V1)에 흡입관(10)이 설치되고, 고건전성 용기(V2)에는 토출관(20)이 설치되며, 이들 흡입관(10)과 토출관(20)이 연결관(30)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1차 용기(V1)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진공압에 의해 흡입관(10)으로 흡입되도록 하면서 토출관(20)으로 이송시켜 고건전성 용기(V2) 내에 충전되도록 한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방사성 폐기물이 포장(수용)되어 있는 1차 용기(V1)를 작업장으로 정위치시키고 1차 용기(V1)의 뚜껑을 제거한다. 이와 아울러 1차 용기(V1)로부터 방사성 폐기물을 옮겨담고자 하는 고건전성 용기(V2)도 작업장으로 정위치시키고 고건전성 용기(V2)의 뚜껑을 제거한다.
이어서, 흡입관(10)이 설치되어 있는 흡입 헤드(60)를 1차 용기(V1)에 장착함과 아울러 토출관(20)이 설치되어 있는 충전 헤드(70)를 고건전성 용기(V2)에 장착한다.
그리고, 흡입관(10)과 토출관(20)에 각각 구비된 퀵 커넥터(11,21)를 이용하여 흡입관(10)과 토출관(20)을 연결관(30)으로 연결한다.
제어부(50)에 탑재되어 있는 운전/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공펌프(40)와 승강구동부(80), 제1,2압력계(62,72) 등의 작동 상태를 시운전을 통해 점검하는데,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신속히 조치를 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1차 용기(V1)로부터 고건전성 용기(V2)로 방사성 폐기물의 이송을 시작한다.
고건전성 용기(V2)에 설치된 토출관(20)에는 고건전성 용기(V2) 내로 이송된 방사성 폐기물의 충전 높이에 따라 토출관(2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80)가 설치되어 있는데, 고건전성 용기(V2) 내에 충전되는 방사성 폐기물에 의해 토출관(20)이 막히지 않도록, 고건전성 용기(V2) 내에 방사성 폐기물이 이송되는 양과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승강구동부(80)가 토출관(2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처럼 방사성 폐기물의 이송량 또는 이송 높이를 비롯한 고건전성 용기(V2) 내의 상황은 토출관(20)에 설치된 제2카메라(77)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그 정보가 제어부(50)로 전송이 됨으로써 작업관리자가 이를 인지하여 상황에 맞는 제어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흡입 헤드(60)에 설치된 제1카메라(67)를 통해 1차 용기(V1)에 포장된 방사성 폐기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1차 용기(V1)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적절한 크기로 분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차 용기(V1)에 흡입 헤드(60)를 믹싱 헤드(100)로 교체 장착한 상태에서, 구동원(102)을 구동하여 믹서(101)로 방사성 폐기물을 분쇄 및 교반함으로써 적절한 크기로 만들어 방사성 폐기물이 흡입관(10)을 통해 원활하게 흡입 및 이송되도록 한다. 이뿐만 아니라, 제1카메라(67)를 이용하여 1차 용기(V1) 내 방사성 폐기물의 흡입 상태 및 잔량 확인 등을 할 수 있으므로, 제1카메라(67)에 의해 촬영된 1차 용기(V1) 내부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는 제어부(50)로 전송이 되어, 작업관리자가 이를 통해 적절한 제어 조작을 할 수가 있다.
1차 용기(V1) 내의 진공 상태나 압력은 제1압력계(62)에 의해 계측되므로, 1차 용기(V1) 내의 압력이 높고 낮음에 따라 제1벤트 밸브(64)를 개폐함으로써 제1벤트 라인(63)을 통해 에어를 주입하거나 에어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제1벤트 라인(63)에 의도치 않게 막힘이 발생하거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플러싱 라인(66)을 통해 에어를 주입하여 이를 해결한다. 또, 고건전성 용기(V2) 내의 진공 상태나 압력은 제2압력계(72)에 의해 계측되므로, 고건전성 용기(V2) 내의 압력 상황에 따라 제2벤트 밸브(74)를 개폐함으로써 제2벤트 라인(73)을 통해 에어를 주입하거나 에어를 배출시킨다. 제2벤트 라인(73)에도 의도치 않게 막힘이 발생하거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플러싱 라인(76)을 통해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이를 해결한다.
토출관(20)과 연통하도록 설치된 진공펌프(40)는 1단∼2단 혹은 다단으로 진공압을 발생시키므로, 제2압력계(72)에 의해 계측된 고건전성 용기(V2) 내부의 압력 상황과 방사성 폐기물의 이송량에 따라 제어부(50)의 제어하에 진공압을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진공펌프(40)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은 흡입관(10)으로부터 토출관(20)으로 압력차에 의한 기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1차 용기(V1)로부터 고건전성 용기(V2)로 방사성 폐기물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1차 용기(V1) 내의 방사성 폐기물이 흡입관(10)을 통해 흡입되어 토출관(20)을 통해 고건전성 용기(V2)로 토출될 때 흡입관(10)이나 토출관(20)이 막히거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 제3플러싱 라인(12)과 제4플러싱 라인(22)을 통해 흡입관(10)과 토출관(20)에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이를 해결하도록 한다.
한편, 토출관(20)을 통해 고건전성 용기(V2)로 토출된 방사성 폐기물은 토출관(20)의 내부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판(20c)에 의하여 속도와 압력이 경감된 상태로 낙하를 하게 된다. 또한, 토출관(20)의 하측부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나팔관 구조의 감압실(20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부로 토출되는 방사성 폐기물의 토출압력을 낮추어지게 된다. 더욱이, 이 감압실(20a)의 하단부에는 방사성 폐기물이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부로 낙하할 때 속도와 충격을 경감시키는 낙속 경감부재(20b)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토출관(20)으로부터 고건전성 용기(V2)의 내부로 낙하하는 방사성 폐기물이 낙속 경감부재(20b)에 충돌한 후 낙하하게 되어 낙하시의 속도와 충격이 더욱 완화된다.
위와 같이 고건전성 용기(V2)로 이송된 방사성 폐기물이 고건전성 용기(V2)에 충만하게 됨에 따라, 토출관(20)이 승강구동부(80)에 의해 상승하여 접촉센서(78)가 고건전성 용기(V2)의 상단부 내벽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신호가 제어부(50)로 전송되고, 제어부(50)는 승강구동부(80)의 모터(83)를 구동 정지시킴으로써, 더 이상 토출관(20)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방사성 폐기물의 이송을 정지시키게 된다.
대부분의 방사성 폐기물이 이송된 후에 1차 용기(V1)의 내부 여기저기에 잔류하는 소량의 방사성 폐기물은,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은 매뉴얼 흡입관(110)을 작업자가 수조작으로 움직여서 흡입되도록 한다. 또한, 1차 용기(V1)의 내벽에 부착되어 잘 떨어지지 않는 분말 형태 등의 방사성 폐기물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진동 테이블(120)을 이용하여 1차 용기(V1)에 진동을 줌으로써 1차 용기(V1)의 내부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낙하시켜 흡입관(10) 또는 매뉴얼 흡입관(110)으로 흡입하도록 한다.
만일, 방사성 폐기물의 이송 중에 이송 상태에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이를 해결하고, 문제의 발생이 없으면 이송이 완료될 때까지 이송을 계속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방사성 폐기물이 1차 용기(V1)로부터 고건전성 용기(V2)로 완전히 이송이 완료되면,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진공펌프(40)와 승강구동부(80), 제1,2압력계(62,72) 등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퀵 커넥터(11,21)에 연결된 연결관(30)을 제거하고, 1차 용기(V1)를 작업장으로부터 제거한다. 또한, 고건전성 용기(V2)에 장착되었던 충전 헤드(70)를 제거한 다음, 고건전성 용기(V2)에 뚜껑을 설치한 상태에서 고건전성 용기(V2)를 지정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방사성 폐기물의 이송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흡입관 11,21 : 퀵 커넥터
12 : 제3플러싱 라인 13 : 빨판
20 : 토출관 20a : 감압실
20b : 낙속 경감부재 20c : 경사판
22 : 제4플러싱 라인 30 : 연결관
40 : 진공펌프 50 : 제어부
60 : 흡입 헤드 61,71 : 밀봉재
62 : 제1압력계 63 : 제1벤트 라인
64 : 제1벤트 밸브 65 : 제1스크린
66 : 제1플러싱 라인 67 : 제1카메라
70 : 충전 헤드 72 : 제2압력계
73 : 제2벤트 라인 74 : 제2벤트 밸브
75 : 제2스크린 76 : 제2플러싱 라인
77 : 제2카메라 78 : 접촉센서
80 : 승강구동부 81 : 랙바
82 : 기어하우징 83 : 모터
84 : 피니언 기어 90 : MCU
100 : 믹싱 헤드 101 : 믹서
102 : 구동원 110 : 매뉴얼 흡입관
120 : 진동 테이블 121 : 안착부
122 : 경사벽 123 : 진동모터

Claims (17)

  1. 건조분말이나 비드 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1차 용기로부터 고건전성 용기로 상기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이송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1차 용기 내부의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흡입 능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1차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상기 1차 용기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흡입관;
    상기 고건전성 용기에 설치되는 토출관;
    상기 흡입관과 상기 토출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1차 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진공압에 의해 상기 흡입관으로 흡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토출관으로 이송시켜 상기 고건전성 용기 내에 충전되도록 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1차 용기로부터 상기 고건전성 용기로 상기 방사성 폐기물이 이송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는 흡입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흡입 헤드를 통해 상기 1차 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 헤드에는 상기 1차 용기 내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1압력계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1차 용기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1차 용기에 대하여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되도록 하는 제1벤트 밸브가 구비된 제1벤트 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고건전성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는 충전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충전 헤드를 통해 상기 고건전성 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충전 헤드에는 상기 고건전성 용기 내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2압력계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고건전성 용기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고건전성 용기에 대하여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되도록 하는 제2벤트 밸브가 구비된 제2벤트 라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트 밸브는 상기 제1압력계와 연계되어 상기 제1압력계에 의해 계측된 상기 1차 용기 내의 압력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벤트 밸브는 상기 제2압력계와 연계되어 상기 제2압력계에 의해 계측된 상기 고건전성 용기 내의 압력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트 라인에는 제1벤트 라인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1플러싱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제2벤트 라인에는 제2벤트 라인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플러싱 라인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헤드에는 상기 1차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충전 헤드에는 상기 고건전성 용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는 흡입관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3플러싱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토출관에는 토출관의 막힘을 뚫거나 세척을 위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4플러싱 라인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에는 토출관이 상기 고건전성 용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건전성 용기 내로 이송된 방사성 폐기물의 충전 높이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토출관의 외벽에 구비되는 랙바;
    상기 토출관의 외벽을 감싸는 기어 하우징;
    상기 기어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기어 하우징 내에서 상기 랙바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랙바를 승강시키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에는, 상기 승강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토출관이 상승하는 최대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고건전성 용기의 내벽 특정 위치와 접촉하였을 때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접촉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하단부에 상기 1차 용기의 내부 바닥과 밀착될 수 있는 빨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하측부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나팔관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건전성 용기의 내부로 토출되는 방사성 폐기물의 토출압력을 낮추는 감압실이 형성되고, 상기 감압실의 하단부에는 상기 방사성 폐기물이 상기 고건전성 용기의 내부로 낙하시 속도와 충격을 경감시키는 낙속 경감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내부에는 상기 고건전성 용기의 내부로 토출되는 방사성 폐기물의 낙하 속도와 압력을 경감시키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분쇄 및 교반하는 믹서를 구비하여 상기 1차 용기에 결합되는 믹싱 헤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사용 후 상기 1차 용기의 내부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과 교체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토출관과 결합되면서 수조작에 의해 상기 1차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위치가 가변되는 매뉴얼 흡입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용기로부터 상기 방사성 폐기물을 상기 고건전성 용기로 이송한 후 상기 1차 용기의 내벽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상기 1차 용기의 한쪽 구석으로 집적하기 위하여, 상기 1차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1차 용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벽과, 상기 1차 용기에 진동을 주어 상기 1차 용기의 내벽에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진동모터를 구비한 진동 테이블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17. 삭제
KR1020160071017A 2016-06-08 2016-06-08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KR101779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017A KR101779396B1 (ko) 2016-06-08 2016-06-08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017A KR101779396B1 (ko) 2016-06-08 2016-06-08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396B1 true KR101779396B1 (ko) 2017-09-20

Family

ID=6003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017A KR101779396B1 (ko) 2016-06-08 2016-06-08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3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5167A (zh) * 2019-07-19 2019-09-20 银川东方气力运输设备有限公司 核试样收发装置
KR102132010B1 (ko) * 2019-10-29 2020-07-08 (주)코라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KR102446314B1 (ko) * 2022-03-25 2022-09-22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방사성 폐기물 밸런싱 처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0078A (ja) * 2012-06-29 2014-01-20 Jgc Corp 固液混合体の移送方法及び固液混合体の移送装置
JP2014522490A (ja) * 2011-06-02 2014-09-04 オーストラリアン ニュークリア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オーガニゼーション 有害廃棄物を封止可能な容器内に移送するための充填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2490A (ja) * 2011-06-02 2014-09-04 オーストラリアン ニュークリア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オーガニゼーション 有害廃棄物を封止可能な容器内に移送するための充填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4010078A (ja) * 2012-06-29 2014-01-20 Jgc Corp 固液混合体の移送方法及び固液混合体の移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5167A (zh) * 2019-07-19 2019-09-20 银川东方气力运输设备有限公司 核试样收发装置
CN110265167B (zh) * 2019-07-19 2024-05-03 银川东方气力运输设备有限公司 核试样收发装置
KR102132010B1 (ko) * 2019-10-29 2020-07-08 (주)코라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KR102446314B1 (ko) * 2022-03-25 2022-09-22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방사성 폐기물 밸런싱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396B1 (ko)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이송 장치
CA12110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ackaging of contaminated waste materials
JPH0796991A (ja) 流動性物質の貯留装置と取扱方法
AU2013253146B2 (en) Bulk storage container and bulk material handling assembly therewith
US20110056964A1 (en) Bulk abrasive hopper
US20100012220A1 (en) Receptacle for flexible bulk-material packing drums as well as filling module for bulk material containing the receptacle
JP2019093361A (ja) 容器への廃棄物の充填システム
KR102029116B1 (ko) 방사선 폐기물 이송시스템용 폐기물 집하 안내장치
CN110431103A (zh) 用于对具有粘稠液体的容器抽真空的设备
FR2693981A1 (fr) Equipement de vidage de sacs contenant un produit fluide.
US5529530A (en) Sealed waste transfer system for vacuum blasting
RU23014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цементирования пропиткой мелкодисперсных радиоактивных и токсичных отходов
US10752455B2 (en) Bulk bag sealing system
EP1100733A1 (en) Bulk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7202402B2 (ja) 放射性要素の除染装置
JP3989810B2 (ja) 粒状又は粉末状放射性廃棄物用容器
CN112823397B (zh) 核燃料粉末的生产设备
CN211108410U (zh) 手动密封开袋站
CN114620501B (zh) 一种用于核燃料芯块生产线的自洁净上料系统
CN209382364U (zh) 一种固体生化试剂分装装置
US8631835B2 (en) System for injecting mortar into a container
CN215438838U (zh) 一种防扬尘氧化镁粉下料装置
TWI428934B (zh) 一種可沉澱粉末物質收集罐及其使用方法
CN212829153U (zh) 一种一体成型胶囊状密闭包装设备
JP3181284U (ja) 粉体飛散防止構造及びそのシュー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