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149B1 - 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9149B1 KR101779149B1 KR1020150137457A KR20150137457A KR101779149B1 KR 101779149 B1 KR101779149 B1 KR 101779149B1 KR 1020150137457 A KR1020150137457 A KR 1020150137457A KR 20150137457 A KR20150137457 A KR 20150137457A KR 101779149 B1 KR101779149 B1 KR 1017791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k
- wire drum
- crane
- foreign matter
- dis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에 장착되며, 와이어로프를 둘러감아 지지 가능한 와이어드럼과, 상기 와이어드럼의 일측에 형성되는 디스크부재를 구비하는 승강부, 상기 디스크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브레이크부, 상기 디스크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이물 제거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로서, 부착되는 이물을 원활하게 제거하여 크레인의 정지 시에 브레이크 패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가 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으로 각종 중량물을 운반하는 동안 크레인에 부착되는 이물을 원활하게 제거하여 크레인의 정지 시에 브레이크 패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를 포함하는 각종 산업 현장에는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고자, 중량물을 권상하여 원하는 위치로 운반한 다음 이를 다시 권하하는 장치로서, 크레인이 구비된다. 제철소의 경우, 크레인은 천장크레인 구조로 마련되어 건식 소화탑으로 적열 코크스가 담긴 버켓(Bucket)을 운반하여 장입하는 조업 등에 사용된다.
크레인은 주행 장치와 권상 장치 등의 여러 장치들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구성부로는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크레인 본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감속기, 감속기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와이어드럼, 감속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호이스트모터, 감속기에 연결되어 제동을 거는 호이스트브레이크가 있다.
크레인에 의한 중량물의 운반은 지상으로부터 수 내지 수십 미터 높이의 고소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크레인에는 중량물을 운반 및 승강하는 중에 와이어드럼을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키고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특허문헌들에도 제시되고 있는 것처럼, 비상 브레이크 장치가 더 마련된다.
한편, 비상 브레이크 장치는 크레인의 이상 작동 시, 와이어드럼의 디스크에 패드를 유압으로 압착시켜 와이어드럼을 비상 정지시키는데, 와이어드럼의 디스크 표면이 부식되거나 이물에 오염되는 경우, 패드가 슬립되면서 제동 효과가 감소되거나 없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설비 사고의 원인이 되며, 작업 지연 등을 야기하여 전체 조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특히, 크레인의 작동 중에 패드가 슬립되어 비상 브레이크 장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이의 수리를 위하여 크레인을 이용한 조업이 지연됨에 따라, 건식 소화탑으로의 적열 코크스 장입 또한 지연된다.
적열 코크스의 장입 지연에 의하여 건식 소화탑의 온도가 급격히 하락하게 되면 발전용 고압 보일러의 증기 생산이 중단되고 터빈의 운전 또한 정지되어 설비의 손상을 초래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와이어드럼의 디스크 상태를 테스트하며 작업자가 별도 관리하고 있으나 완벽한 관리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와이어드럼의 디스크 표면 상태를 지속적으로 청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작동 중에 디스크부재에 부착되는 이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패드와 접촉되는 디스크부재의 표면을 상시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치의 정지 시에 브레이크 패드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대차에 장착되며, 와이어로프를 둘러 감아 지지 가능한 와이어드럼과, 상기 와이어드럼의 일측에 형성되는 디스크부재를 구비하는 승강부; 상기 디스크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브레이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이물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디스크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부에 접촉되는 상기 디스크부재의 일면 및 타면의 제동면을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브레이크부와 동일 높이 또는 상기 브레이크부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디스크부재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디스크부재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거부재; 상기 제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크부재와 먼측에서 상기 제거부재를 관통 장착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대차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거부재를 상기 디스크부재 측으로 가압하여 접촉시키도록 내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제거부재 또는 가압부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디스크부재 또는 와이어드럼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크부재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의 면 상에서 상기 제거부재를 진동 또는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디스크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와이어드럼측 또는 상기 와이어드럼의 반대측에서 상기 와이어드럼 또는 상기 디스크부재에 연결되는 회전력공급원; 상기 회전력공급원의 일측 단부를 둘러감아 형성되는 제1풀리;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를 둘러감아 형성되는 제2풀리; 및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디스크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와이어드럼측 또는 상기 와이어드럼의 반대측에서 상기 와이어드럼 또는 상기 디스크부재에 연결되는 캠; 및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에서 상기 캠을 향하여 연장되어 접촉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제거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거부재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이물이 통과되거나 저장되는 통로가 구비되는 배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치의 디스크부재 표면에 부착되거나 형성되는 각종 이물을 실시간으로 원활하게 제거하여, 디스크부재의 표면을 상시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정지 시에 디스크부재와 브레이크 패드 간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철소의 건식 소화탑으로 적열 코크스가 담긴 버켓을 운반하는 천정 크레인에 적용되는 경우, 천정 크레인의 작동 중에 디스크부재의 표면에 부착 또는 형성되는 이물을 제거부재로 상시 제거할 수 있어, 그 표면을 청정한 상태로 상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가 슬립 없이 정확하게 디스크부재에 밀착 작동되며 와이어드럼에 제동을 걸 수 있고, 이로부터 크레인의 작동 결함 발생 시에 크레인에 의한 버켓의 승강을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디스크부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슬립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설비 사고를 막을 수 있어 조업의 안정성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부재의 이물을 제거함에 있어, 디스크부재나 와이어드럼의 회전을 이용하여 제거부재를 디스크부재의 표면에 접촉시킨 채로 진동 또는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이물을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거되는 이물을 배출부재의 내부에 임시 저장하여 이물에 의한 버켓이나 건식 소화탑의 오염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승강부, 브레이크부 및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승강부, 브레이크부 및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승강부, 브레이크부 및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승강부, 브레이크부 및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승강부, 브레이크부 및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승강부, 브레이크부 및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되거나 확대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제철소에서 버켓의 운반에 사용되는 천정 크레인 설비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각종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중량물을 운반하는 크레인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승강부, 브레이크부,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한편, 상기한 도면에서 장치의 구조가 명확하게 보이도록 장치의 전체 구조 중 해당 도면에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을 일부 생략하였다. 예컨대 도 1에는 이물 제거부(500)의 도시를 생략하였고, 도 2에는 대차(100)와 적재부(300)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도 3에는 대차(100)와 적재부(300)와 브레이크부(40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크레인 장치는 대차(100), 승강부(200), 적재부(300), 브레이크부(400), 이물 제거부(500)를 포함한다.
크레인 장치는 레일(10)에 설치되어 주행하면서 소정의 중량물 예컨대 적열 코크스가 담긴 버켓(1)을 건식 소화탑 예컨대 CDQ(Coke Dry Quenching)설비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버켓(1)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원통체 또는 육면체나 다면체 등의 여러 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되는 용기로서, 개방된 상측을 통하여 내부에 소정의 내용물 예컨대 적열 코크스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버켓(1)의 개방된 상측 개구의 외주를 둘러 감아 고리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를 이용하여 적재부(300)가 버켓(1)을 결속 또는 파지할 수 있다. 버켓(1)의 개방된 상측 개구에는 커버가 장착되어 그 내부를 외부로부터 고립시킬 수 있다.
레일(10)은 지상으로부터 수 내지 수집 미터의 높이의 고소에서 복수개 예컨대 두 개의 레일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크레인 장치를 주행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일(10)에는 일반적인 천정 크레인 구조에서 호이스트나 트롤리를 운반하도록 구비되는 다양한 레일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크레인 장치의 각 구성부를 설명함에 있어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을 사용하여 각 구성부의 구조와 연결 관계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부의 구조와 연결 관계는 상기의 방향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각각의 방향은 각 방향이 가지는 의미와 균등한 범주 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다양하게 정의되어도 무방하다.
대차(10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대차(100)는 레일(10)을 따라 주행 가능한 것을 만족하고, 승강부(200)와 브레이크부(400)와 이물 제거부(500)가 장착 지지되는 소정의 상부면을 구비하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대차(100)는 크레인 장치의 몸체 역할을 한다.
예컨대 대차(100)는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의 소정 면적과 y축 방향으로의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차체의 골격을 이루며, 그 구조와 형상을 유지하는 대차프레임(110)과, 대차프레임(110)의 하부 복수의 위치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지지 암(120), 지지 암(120)의 단부에 장착되어 대차프레임(110)을 주행시키는 휠(13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차(100)에는 주행 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주행 장치는 예컨대 대차(100)의 휠(130)에 연결되는 구동 모터이거나, 대차(100)의 주행 경로에 구비되어 대차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윈치이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대차(100)에 연결되는 전차 등 다양한 주행 장치일 수 있다.
승강부(20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승강부(200)는 대차(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지지되며 와이어로프(W)를 이용하여 적재부(300)를 승강 및 정지시키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200)는 적재부(300)를 상승 및 하강시키고, 적재부(300)를 원하는 높이에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성부로, 와이어드럼(210), 디스크부재(220), 구동축(230) 및 기어박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드럼(210)은 외주면으로 와이어로프(W)를 둘러 감아 하중을 지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210)은 대차프레임(110)의 상부에서 x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복수개 구비되어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와이어드럼(210)은 대차프레임(110)의 상부면에 배치되되, x축 방향으로의 대차프레임(110)의 중심부에서 z축 대칭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기어박스(240)를 중심으로 하여 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일측 또는 양측에서 구동축(230)에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다. 와이어드럼(210)은 이의 외주면으로 와이어로프(W)를 둘러 감아 적재부(300)를 상승시키고, 외주면에 감긴 와이어로프(W)를 풀어 내리며 적재부(300)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부재(220)는 와이어드럼(210)의 외주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예컨대 그 가장자리부가 와이어드럼(210)의 외주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디스크부재(220)는 브레이크부(400)에 압착되거나 밀착되어 마찰을 일으키면서 제동력을 얻어 와이어드럼(210)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부재(220)는 복수개의 와이어드럼(210)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되 대차프레임(110)의 x축 방향으로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와이어드럼(210)의 양측 단부 중에 상대적으로 먼측의 일측 단부들에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스크부재(220)는 대차프레임(110)의 x축 방향으로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와이어드럼(210)의 양측 단부 중에 상대적으로 가까운측의 일측 단부들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디스크부재(220)는 각 와이어드럼(210)에 형성되되 x축 방향으로의 대차프레임(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z축 대칭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축(230)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각 와이어드럼(210)에 대하여 회전축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각 와이어드럼(210)을 수평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고, 각각의 구동축(230)의 단부는 x축 방향으로의 대차프레임(110)의 중심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동축(230)은 와이어드럼(210)을 관통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어박스(24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구비되는 일종의 감속장치일 수 있고, 대차(100)의 일측에 장착되되, x축 방향으로의 대차프레임(110)의 상부면 중심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z축 대칭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기어박스(240)에는 구동축(230)의 상기한 각 단부들이 각각 수평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관통 장착되어 내부의 기어들에 연결될 수 있다.
기어박스(240)에는 소정의 모터(미도시) 예컨대 호이스트 모터가 구비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회전수로 구동축(230)을 회전시켜 와이어드럼(210) 및 디스크부재(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어박스(240)에는 클러치(미도시)나 주 브레이크(미도시) 예컨대 모터 스러스트 브레이크(motor thrust brake)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기어박스(24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적재부(300)는 대차(10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와이어로프(W)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적재부(300)는 와이어로프(W)에 의하여 승강되며 버켓(1)을 승강 및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적재부(300)는 대차(100)의 하측에서 대차(10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중량물 예컨대 버켓(1)을 결속 또는 파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 및 정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부로, 적재부(300)는 수직프레임(310), 수평프레임(320), 로프 풀리(330) 및 걸이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310)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며 대차(10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320)은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의 면적을 가지고 y축 방향으로의 두께를 가지는 프레임으로서, 수직프레임(310)들의 사이를 연결하여 수평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적재부(300)의 몸체 구조물이 형성된다. 상기한 적재부(300)의 몸체 구조물은 대차(10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대차(100)와의 사이에 복수의 안내 롤러(미도시)나 가이드 레일(미도시)나 링크(미도시) 등의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로프 풀리(330)는 그 외주면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차(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x축 방향으로의 적재부(300)의 몸체 구조물 중심부에서 z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x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로프 풀리(330)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로프(W)가 둘러감아 지지될 수 있다.
걸이부재(340)는 x축 방향으로의 적재부(300)의 몸체 구조물 중심부에서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 단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버켓(1)의 상측 개구의 외주를 둘러 감아 형성된 고리 형상의 돌출부에 고리 결합되어 버켓(1)을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브레이크부(400)는 대차프레임(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디스크부재(220)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디스크부재(220)에 원활하게 제동력을 가하기 위하여, 디스크부재(22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x축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디스크부재(220)에 대하여 두 개의 브레이크부(400)가 구비되며 디스크부재(220)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부(400)는 장치의 비상 정지 시에 디스크부재(220)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브레이크부(400)는 디스크부재(220)의 어느 하나의 면의 가장자리부의 제동 영역을 향하여 배치되는 브레이크 패드(410), 브레이크 패드(410)를 중심으로 디스크부재(220)와 먼측에서 브레이크 패드(410)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실린더(420) 및 실린더(420)와 대차(100)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실린더 홀더(430)를 포함할 수 있고, 유압공급원(미도시)과 브레이크 제어부(미도소)에 의하여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410)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디스크부재(220)의 제동 영역에 접촉하여 제동력을 가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의 브레이크 패드일 수 있다. 실린더(420)는 예컨대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 유압을 제공받는 실린더 블록(421)과, 이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피스톤(422)을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 홀더(43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실린더 블록(421)가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타측 단부는 대차프레임(11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브레이크부(400)는 상술한 유압식의 구성 외에 예컨대 공압식이나 기계식 브레이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크레인 장치는 작동 중 이상이 발생되면 비상 정지를 위하여, 디스크부재(220)에 브레이크 패드(410)를 밀착시킨다. 이때, 와이어드럼(210)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 위치하는 디스크부재(220)의 일면 및 타면 각각의 가장자리부의 제동면 또는 제동 영역에 브레이크 패드(410)가 밀착되며 와이어드럼(210)의 제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디스크부재(220)의 제동면은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나, 크레인 장치가 조업 분위기에 노출됨에 따라, 디스크부재(220)가 부식되거나, 디스크부재(220)에 분진이 부착되는 등에 의하여 디스크부재(220)의 표면에 이물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이물 제거부(500)를 이용하여 디스크부재(220) 표면의 제동 영역에 부착 또는 생성되는 이물을 제거함에 따라 디스크부재(220)를 상시 청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물 제거부(500)는 디스크부재(220)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마주보며 접촉하도록 브레이크부(400)와 대응되는 위치 예컨대 디스크부재(22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브레이크부(400)의 반대측에서 디스크부재(220)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제동 영역을 마주보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물 제거부(500)는 디스크부재(220)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되되, 브레이크부(400)와 접촉되는 디스크부재(220)의 일면 및 타면 각각의 제동면을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디스크부재(220)에 대하여 두 개의 이물 제거부(500)가 한 쌍을 이루며 디스크부재(220)를 중심으로 하여 z축 대칭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물 제거부(500)는 디스크부재(220)로부터 제거되는 이물(d)이 브레이크부(400)측으로 유도되어 브레이크 작용에 간섭되지 않도록 브레이크부(400)와 동일 높이 또는 브레이크부(400)보다 낮은 높이에서 디스크부재(220)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물제거부(500)는 디스크부재(220)에 접촉 또는 밀착하여 이물(d)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거부재(510), 가압부재(520) 및 지지부재(530)를 구성부로 가질 수 있다.
제거부재(510)는 디스크부재(220)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블록 형상의 부재로서, 디스크부재(220)를 향하는 면에는 와이어 브러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520)는 제거부재(510)를 중심으로 디스크부재(220)와 먼측에서 제거부재(510)를 예컨대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가압부재(520)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부재(220) 측으로 제거부재(510)를 가압하며 접촉시키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내부에 탄성부재(523)가 구비되는 가압통체(522), 가압통체(522)의 디스크부재(220)를 향하는 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 제거부재(510)가 장착 지지되고 타단이 가압통체(522)의 내부에서 탄성부재(523)에 탄성 지지되는 가압로드(521)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530)는 대차(100)와 가압부재(520)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530)는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의 상측 단부가 가압로드(521)의 반대측에서 가압통체(522)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하측 단부가 대차프레임(11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수직 바(531) 및 수직 바(531)들의 상측 단부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수평 바(532)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 바(532)의 z축 방향으로의 중심부에는 가압통체(522)가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거부재(510)는 가압부재(520)의 가압로드(52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예컨대 가상의 y-z 평면 상에서 디스크부재(220)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소정 각도 틀어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고, 이에 디스크부재(220)의 표면에 부착 또는 형성된 이물(d)과 직각 또는 소정의 예각이나 둔각을 이루며 충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크부재(220)로부터 제거되며 떨어져나가는 이물(d)의 낙하 경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어, 이물(d)의 낙하 영역을 제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이물 제거부(5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버켓(1)이 장착된 적재부(30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승강부(200)의 와이어드럼(21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함께 디스크부재(220)가 회전하게 되고, 가압부재(520)에 의하여 디스크부재(220)에 밀착 중인 제거부재(510)의 와이어 브러시가 디스크부재(220)의 제동 영역을 실시간으로 클리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하기의 변형 예들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승강부, 브레이크부 및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작동을 디스크부재의 일면을 기준으로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작동을 디스크부재의 타면을 기준으로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한편, 상기한 도면에서 장치의 구조가 명확하게 보이도록 장치의 전체 구조 중 해당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을 일부 생략하였고, 설명하고자 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와 구성이 유사하므로,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와 중복되는 구성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구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전체 구성에 더하여 이물 제거부의 세부 구성부로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고자 가압부재(520)는 베어링블록(532a)을 통하여 지지부재(530)의 수평 바(532) 중심부에 x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 지지될 수 있다.
구동부재는 제거부재(510) 또는 가압부재(520)에 연결되어 제거부재(5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며, 별도의 회전력 공급원에 연결되거나, 디스크부재(220) 또는 와이어드럼(210)의 회전을 이용하여 디스크부재(220)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의 면 상에서 제거부재(510)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재는 디스크부재(220)를 중심으로 하여 와이어드럼(210)의 반대측에 서 가압부재(52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1구동부재(540a)와, 와이어드럼(210)측에서 가압부재(52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2구동부재(5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재(540a)는 디스크부재(220)를 중심으로 하여 와이어드럼(210)의 반대측에서 디스크부재(220)에 연결되는 제1회전력공급원(541a) 예컨대 구동 샤프트, 제1회전력공급원(541a)의 일측 단부를 둘러감아 형성되는 제1풀리(542a), 제1풀리(542a)를 마주보는 가압부재(520)의 외주 일측을 둘러 감아 형성되는 제2풀리(543a), 제1풀리(542a)와 제2풀리(543a)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54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력공급원(541a) 예컨대 구동 샤프트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디스크부재(220)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제1회전력공급원(541a)은 상기와 같이 디스크부재(2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 샤프트 외에도, 별도로 회전력을 생성 가능한 작동기로서, 서보 모터나 스탭 모터 또는 공압 모터 등의 각종 모터일 수 있고, 이의 경우 가압부재(520)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차프레임(11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풀리(542a)는 그 외주면에 기어 톱니가 형성되는 예컨대 스프로킷 형상의 부재일 수 있고, 제1회전력공급원(541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외주면에 결합된 벨트(544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풀리(543a)는 외주면에 기어 톱니가 형성되는 예컨대 스프로킷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제1풀리(542a)와 소정의 기어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벨트(544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가압부재(5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벨트(544a)는 예컨대 타이밍벨트이거나, 엔드리스 구조의 체인일 수 있으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구동부재(540a)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와이어드럼(210)이 회전하게 되면, 이와 함께 디스크부재(220)도 회전하게 되고, 회전은 제1회전력공급원(541a)에 전달되어 제1풀리(542a)를 회전시킨다. 제1풀리(542a)의 회전은 벨트(544a)를 통해 제2풀리(543a)로 전달되고 결국 가압부재(520)를 회전시켜 제거부재(510) 또한 회전시키게 된다. 이처럼 디스크부재(220)의 회전을 이용하여 제거부재(5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이물(d)이 제거되는 동안, 디스크부재(220)의 회전에 제거부재(510)의 회전이 부가됨에 따라, 이물(d)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증가시킨다. 이로부터 이물(d)을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2구동부재(540b)는 디스크부재(220)를 중심으로 하여 와이어드럼(210)측에서 와이어드럼(2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회전력공급원, 제2회전력공급원의 일측을 둘러 감아 형성되는 제1풀리(545b), 제1풀리(545b)를 마주보는 가압부재(520)의 외주 일측을 둘러 감아 형성되는 제2풀리(547b), 제1풀리(545b)와 제2풀리(547b)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54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력공급원은 디스크부재(220)와 연접하는 와이어드럼(210)의 일측 단부의 외주를 둘러 감아 장착되는 링 형상의 제1기어부재(541b), 제1기어부재(541b)의 기어면에 기어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제2기어부재(542b), 제2기어부재(542b)로부터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하부가 대차프레임(110)에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 지지바(543b), 구동 샤프트 지지바(543b)의 상부를 예컨대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이 제2기어부재(542b)에 장착되고, 타단에 제1풀리(545b)가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544b)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2회전력공급원은 상기와 같이 와이어드럼(2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조 외에도, 별도로 회전력을 생성 가능한 작동기로서, 서보 모터나 스탭 모터 또는 공압 모터 등의 각종 모터일 수 있고, 이의 경우 가압부재(520)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차프레임(11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풀리(545b)는 그 외주면에 기어 톱니가 형성되는 예컨대 스프로킷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제2회전력공급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외주면에 결합된 벨트(546b)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풀리(547b)는 그 외주면에 기어 톱니가 형성되는 예컨대 스프로킷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제1풀리(545b)와 소정의 기어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벨트(546b)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가압부재(5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벨트(546b)는 예컨대 타이밍 벨트나 체인일 수 있으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구동부재(540b)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와이어드럼(210)이 회전하게 되면, 제1기어부재(541b)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의 회전은 제2기어부재(542b)를 통하여 구동 샤프트(544b)에 전달되어 제1풀리(545b)를 회전시킨다. 제1풀리(545b)의 회전은 벨트(546b)를 통해 제2풀리(547b)로 전달되고 결국 가압부재(520)를 회전시켜 제거부재(510) 또한 회전시키게 된다. 이처럼 와이어드럼(210)의 회전을 이용하여 제거부재(51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이물(d)이 제거되는 동안, 디스크부재(220)의 회전에 제거부재(510)의 회전이 부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d)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부터 이물(d)을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승강부, 브레이크부 및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작동을 디스크부재의 일면을 기준으로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한편, 상기한 도면에서 장치의 구조가 명확하게 보이도록 장치의 전체 구조 중 해당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을 일부 생략하였고, 설명하고자 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와 구성이 유사하므로, 이하,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와 중복되는 구성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구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전체 구성에 더하여 이물 제거부의 세부 구성부로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가압부재(520)는 가이드 슬롯(532b) 및 가이드 스프링(532c)를 통하여 지지부재(530)의 수평 바(532) 중심부에 z축 방향으로 진동 또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532b)은 수평 바(53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벽에는 소정의 홈(미도시)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520)의 가압통체(522)의 외주에는 상술한 내벽의 홈에 대응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홈에 돌기가 삽입되어 가압통체(522)의 z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 스프링(532c)은 가압통체(522)를 중심으로 하여 z축 방향으로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스프링(532c)은 가압통체(522)의 z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시에 가압통체(522)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일단이 가이드 슬롯(532b)의 내벽에 장착 지지되고, 타단이 가압통체(522)의 외주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구동부재는 제거부재(510) 또는 가압부재(520)에 연결되어 제거부재(510)의 진동이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며, 별도로 구비된 회전력 공급원에 연결되거나, 디스크부재(220) 또는 와이어드럼(210)의 회전을 이용하여 디스크부재(220)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의 면 상에서 제거부재(510)를 예컨대 z축 방향으로 진동시키거나,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재는 디스크부재(220)를 중심으로 하여 와이어드럼(210)의 반대측에 서 가압부재(52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3구동부재(540c)와, 와이어드럼(210)측에서 가압부재(52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4구동부재(54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부재(540a)는 디스크부재(220)를 중심으로 하여 와이어드럼(210)의 반대측에서 디스크부재(220)에 연결되는 제3회전력공급원(541c) 예컨대 구동 샤프트, 제3회전력공급원(541c)의 일측 단부를 둘러 감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캠(542c), 제1캠(542c)를 마주보는 가압부재(520)의 외주면 일측에서 제1캠(542c)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캠(542c)에 접촉되는 슬라이더(54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회전력공급원(541c) 예컨대 구동 샤프트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디스크부재(220)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제3회전력공급원(541c)은 상기와 같이 디스크부재(2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 샤프트 외에도, 별도로 회전력을 생성 가능한 작동기로서, 서보 모터나 스탭 모터 또는 공압 모터 등의 각종 모터일 수 있고, 이의 경우 가압부재(520)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차프레임(11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캠(542c)은 제3회전력공급원(541c)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그 외주면에 접촉 연결된 슬라이더(543c)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진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543c)는 바 형상의 부재로서, 제1캠(542c)의 외주에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1캠(542c)의 회전에 의하여 z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543c)의 움직임은 가압부재(520)로 전달되어 제거부재(510)의 z축 방향으로의 이동 또는 진동에 사용될 수 있다.
제3구동부재(540c)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와이어드럼(210)이 회전하게 되면, 이와 함께 디스크부재(220)도 회전하게 되고, 회전은 제3회전력공급원(541c)에 전달되어 제1캠(542c)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1캠(542c)의 회전은 슬라이더(543c)를 통하여 가압부재(520)에 전달되고 결국 제1캠(542c)의 회전에 대응하는 일정 주기마다 반복하여 제거부재(510)를 z축 방향으로 이동 또는 진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부재(220)의 회전을 이용하여 제거부재(510)를 진동시킬 수 있고, 따라서 이물(d)이 제거되는 동안, 디스크부재(220)의 회전에 제거부재(510)의 진동이 부가됨에 의하여 이물(d)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로부터 이물(d)을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4구동부재(540d)는 디스크부재(220)를 중심으로 하여 와이어드럼(210)측에서 와이어드럼(2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회전력공급원, 제4회전력공급원의 일측을 둘러 감아 형성되는 제2캠(545d), 제2캠(545d)를 마주보는 가압부재(520)의 외주면 일측에서 돌출되어 그 단부가 제1캠(545d)의 외주에 접촉 연결되는 제2슬라이더(546d)를 포함할 수 있다.
제4회전력공급원은 디스크부재(220)와 연접하는 와이어드럼(210)의 일측 단부의 외주를 둘러 감아 장착되는 링 형상의 제3기어부재(541d), 제3기어부재(541d)의 기어면에 기어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제4기어부재(542d), 제4기어부재(542d)로부터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하부가 대차프레임(110)에 지지되는 제2구동 샤프트 지지바(543d), 제2구동 샤프트 지지바(543d)의 상부를 예컨대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이 제3기어부재(542d)에 장착되고 타단에 제2캠(545d)가 구비되는 제2구동 샤프트(544d)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4회전력공급원은 상기와 같이 와이어드럼(2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조 외에도, 별도로 회전력을 생성 가능한 작동기로서, 서보 모터나 스탭 모터 또는 공압 모터 등의 각종 모터일 수 있고, 이의 경우 가압부재(520)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차프레임(11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캠(545d)은 제4회전력공급원의 제2구동 샤프트(544d)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그 외주면에 접촉 연결된 슬라이더(546d)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진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546d)는 바 형상의 부재로서, 제2캠(545d)의 외주면에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2캠(545d)의 회전에 의하여 z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546d)의 움직임은 가압부재(520)로 전달되어 제거부재(510)의 z축 방향으로의 이동 또는 진동에 사용될 수 있다.
제4구동부재(540d)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와이어드럼(210)이 회전하게 되면, 제3기어부재(541d)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 회전은 제4기어부재(542d)를 통하여 제2구동 샤프트(544d)에 전달되어 제2캠(545d)를 회전시킨다. 제2캠(545d)의 회전은 슬라이더(546d)를 통하여 가압부재(520)에 전달되고 결국 제2캠(545d)의 회전에 대응하는 일정 주기마다 반복하여 제거부재(510)를 z축 방향으로 이동 또는 진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부재(220)의 회전을 이용하여 제거부재(510)를 진동시킬 수 있고, 따라서 이물(d)이 제거되는 동안, 디스크부재(220)의 회전에 제거부재(510)의 진동이 부가됨에 의하여 이물(d)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로부터 이물(d)을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이물 제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한편, 상기한 도면에서 장치의 구조가 명확하게 보이도록 장치의 전체 구조 중 해당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을 일부 생략하였고, 설명하고자 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 제1 변형 예 및 제2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와 구성이 유사하므로, 이하, 도 1 내지 도 3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변형 예들에 따른 크레인 장치와 중복되는 구성은 생략하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변형 예들과 구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 예, 제1 변형 예 및 제2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전체 구성에 더하여 이물 제거부의 세부 구성부로서 배출부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부재(5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 장착되거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구동부재가 구비되는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 장착되거나, 제3 및 제4 구동부재가 구비되는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 장착되는 배출부재(550)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배출부재(550)는 제거부재(5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제거부재(510)의 외측 일부 예컨대 적어도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이물이 통과되거나 저장되는 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재(550)는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형상의 부재이거나, 미도시된 덕트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용기 형상의 배출부재(550)의 경우, 배출부재(550)는 적어도 상부면 및 일측면의 상부가 개방되어 개구가 구비될 수 있고, 개구가 디스크부재(22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내부가 디스크부재(220) 측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개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막힌 구조로 형성되어 이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배출부재(550)의 내부에는 제거부재(510)가 위치할 수 있다. 개구가 형성된 일측면과 마주보는 면인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연결구(미도시)가 관통 형성되며, 이에 가압부재(520)가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연결구의 내경은 가압부재(520)의 진동이나 회전 시에, 가압부재(520)와의 충격이나 접촉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재(550)의 하부면에는 배출부재 지지바(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부재 지지바는 상부가 배출부재(550)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하부가 대차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덕트 형상의 배출부재(미도시)일 경우, 배출부재는 그 입구부가 제거부재(210) 하측에서 제거부재(210)의 적어도 하부를 항하여 개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제거부재(210)의 외측에서 제거부재(210)를 향하여 입구부가 개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배출부재의 출구부는 크레인 장치의 주행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이물 처리장에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크레인 장치는 버켓(1)을 운반하는 버켓카가 크레인 포지션에 센터링되면, 적재부(300)로 버켓(1)을 매달은 후 와이어드럼(210)을 회전시키며 와이어로프(W)를 둘러감거나 풀러 권상 및 권하 등의 과정을 실시한다. 이때, 권상과 권하 작동시마다 와이어드럼(210)이 회전하면서, 디스크부재(220)에 탄성 가압되어 밀착되는 이물 제거부(500)에 의하여 디스크부재(220)가 크리닝되어 그 표면의 산화물이나 부식물 또는 부착물 등의 각종 이물이 실시간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부재(220)의 표면이 청정하게 유지 관리될 수 있다. 예컨대 크레인 장치의 권상 또는 권하 시에 그 작동에 이상이 감지되어 비정상 신호가 출력되면, 브레이크부(400)가 작동하게 되어 브레이크 패드(410)가 디스크부재(220)에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밀착되면서 디스크부재(220)를 클로즈(close)하여 안정적으로 즉시 정지할 수 있고, 이는 이물 제거부(500)에 의하여 디스크부재(220) 표면이 상시 청정하게 유지되므로 브레이크 패드(410)의 슬립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레일 100: 대차
200: 승강부 300: 적재부
400: 브레이크부 500: 이물 제거부
510: 제거부재 520: 가압부재
540a: 제1구동부재 540b: 제2구동부재
540c: 제3구동부재 540d: 제4구동부재
200: 승강부 300: 적재부
400: 브레이크부 500: 이물 제거부
510: 제거부재 520: 가압부재
540a: 제1구동부재 540b: 제2구동부재
540c: 제3구동부재 540d: 제4구동부재
Claims (10)
- 대차에 장착되며,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와이어드럼과, 상기 와이어드럼의 일측에 형성되는 디스크부재를 구비하는 승강부;
상기 디스크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브레이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이물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디스크부재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거부재;
상기 제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크부재와 먼측에서 상기 제거부재를 관통 장착되는 가압부재;
상기 대차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며, 상기 가압부재가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디스크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와이어드럼측 또는 상기 와이어드럼의 반대측에서 상기 와이어드럼 또는 상기 디스크부재에 연결되는 캠, 및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에서 상기 캠을 향하여 연장되어 접촉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디스크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부에 접촉되는 상기 디스크부재의 일면 및 타면의 제동면을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크레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브레이크부와 동일 높이 또는 상기 브레이크부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디스크부재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크레인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거부재를 상기 디스크부재 측으로 가압하여 접촉시키도록 내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크레인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디스크부재 또는 와이어드럼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크부재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의 면 상에서 상기 제거부재를 진동 또는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크레인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제거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거부재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이물이 통과되거나 저장되는 통로가 구비되는 배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7457A KR101779149B1 (ko) | 2015-09-30 | 2015-09-30 | 크레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7457A KR101779149B1 (ko) | 2015-09-30 | 2015-09-30 | 크레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8298A KR20170038298A (ko) | 2017-04-07 |
KR101779149B1 true KR101779149B1 (ko) | 2017-09-18 |
Family
ID=5858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7457A KR101779149B1 (ko) | 2015-09-30 | 2015-09-30 | 크레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914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95955A (zh) * | 2019-02-27 | 2019-05-24 | 青岛海西重机有限责任公司 | 岸桥俯仰机构的平衡、检测及断绳保护系统 |
CN114538289B (zh) * | 2022-03-31 | 2024-10-18 | 赛轮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粉体物料行吊投料装置及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51722A (ja) * | 2009-09-02 | 2011-03-17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およびブレーキディスク清掃装置 |
JP2011051754A (ja) | 2009-09-03 | 2011-03-17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およびブレーキディスク清掃装置 |
JP2013119134A (ja) | 2011-12-07 | 2013-06-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ブレーキドラムの研磨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0112B1 (ko) | 1996-09-09 | 2000-11-01 | 이구택 | 크레인의 슬립방지장치 및 방법 |
CA2588461C (en) | 2004-11-25 | 2014-08-26 | M.A.T. Malmedie Antriebstechnik Gmbh | System arrangement of a lif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container crane for the lifting of loads and moving for the operation of the system arrangement |
-
2015
- 2015-09-30 KR KR1020150137457A patent/KR1017791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51722A (ja) * | 2009-09-02 | 2011-03-17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およびブレーキディスク清掃装置 |
JP2011051754A (ja) | 2009-09-03 | 2011-03-17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およびブレーキディスク清掃装置 |
JP2013119134A (ja) | 2011-12-07 | 2013-06-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ブレーキドラムの研磨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8298A (ko) | 2017-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895342Y (zh) | 钢板磁力堆垛机 | |
CN106494917B (zh) | 一种钢带用放卷制动装置 | |
KR101779149B1 (ko) | 크레인 장치 | |
CN108360315B (zh) | 一种具有轨道除锈和裂缝修复功能的轨道维护设备 | |
CN203269442U (zh) | 一种电动葫芦起重机辅助吊挂装置 | |
CN207375612U (zh) | 一种自动控制升降的小型门式吊机 | |
CN1319844C (zh) | 起重机双向防摇系统 | |
CN103723522A (zh) | 一种瓷砖包装成品收集和围托堆垛装置 | |
JP6153497B2 (ja) | タイヤ試験機 | |
CN205709571U (zh) | 大型机械手维修更换系统 | |
CN107651553A (zh) | 一种起重机 | |
CN218560903U (zh) | 一种带有防碰撞结构的门式起重机 | |
CN214733800U (zh) | 一种用于铁路敞顶集装箱钢卷装卸专用吊具 | |
CN203021142U (zh) | 一种双斜桥免配重提升机 | |
CN109367606A (zh) | 一种化工原料桶运输用小推车 | |
CN202400744U (zh) | 一种双梁双吊桥式起重机 | |
CN115818186A (zh) | 一种硅棒自动翻转机及其操作方法 | |
CN208087107U (zh) | 一种用于港口起重机械的钢丝绳卷绕装置 | |
JPH0480121A (ja) | ハンドリング設備の掴み装置 | |
CN113501271A (zh) | 一种运输转料为主体的转料机 | |
CN209783629U (zh) | 一种管道安全检测试验台 | |
CN103043570B (zh) | 大型转子轴翻转设备 | |
CN203750533U (zh) | 一种悬吊型反应釜检修装置 | |
CN208980195U (zh) | 一种车间行车卸载工件用精确定位装置 | |
CN205932614U (zh) | 钢带搬运翻转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