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044B1 -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044B1
KR101779044B1 KR1020150153070A KR20150153070A KR101779044B1 KR 101779044 B1 KR101779044 B1 KR 101779044B1 KR 1020150153070 A KR1020150153070 A KR 1020150153070A KR 20150153070 A KR20150153070 A KR 20150153070A KR 101779044 B1 KR101779044 B1 KR 10177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sheet
nonwoven fabric
cutting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818A (ko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동서위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위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서위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0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부접촉 시 부드럽고 이질감이 없는 상부시트와 흡수 및 배출기능을 갖는 하부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열 융착에 의해 전체가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수분이 통과되도록 핫 멜트 부직포를 포함하는 화장 솜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피부접촉 시 매우 부드럽고 이질감이 없는 상부시트와 흡수기능 및 배출기능이 우수한 하부시트 사이를 수분 통과율이 뛰어난 핫 멜트 부직포로써 열 융착하여 접합 구성함에 따라 사용 시 친밀감을 가질 수 있고 뛰어난 화장 솜 기능을 다할 수 있으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소재 선택에 한계가 없이 소재선택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Cotto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접촉 시 부드럽고 이질감이 없는 상부 시트와 흡수 및 배출기능을 갖는 하부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핫 멜트 부직포로써 열 융착에 의한 전체가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수분이 통과되도록 한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 솜은 여성들이 화장품을 바르거나 지울 때 사용되는 것으로 클린징 크림, 로션, 콜드크림 등의 화장품을 바르거나 닦아낼 때 화장품의 불필요한 손실을 방지하고 피부의 모공 속에 남아있는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함으로써 피부의 청결을 유지하고 윤기 있는 피부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즉, 화장을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화장을 지우기 위해 세안을 할 경우에 비누를 통한 단순 세안만으로는 화장을 완벽하게 지우기가 곤란하다. 이는 얼굴에 잔존하는 화장 찌꺼기 내지 온종일 뒤집어쓴 여러 가지 먼지들이 모공 속에 여전히 잔존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이러한 불순물들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화장 솜에 별도의 스킨을 묻힌 다음 얼굴을 닦아내게 된다.
그러면, 스킨의 화학적 반응과 더불어 화장 솜의 마찰, 세정 및 세척 효과가 한데 어우러져 얼굴에 잔존가능한 불순물이 거의 제거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화장 솜이다.
또한 화장 솜은 매니큐어나 립스틱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일회성 제품이고, 통상의 화장 솜은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 화장품이 잘 흡수되도록 거의 100% 천연 순면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화장 솜은 솜의 상, 하부에 부직포 등을 덧댄 상태에서 좌우의 테두리를 외부로부터 열을 가해 열 압착하는 방식으로 접합하여 제조하였고 이러한 화장솜은 사용 시 접합 면이 쉽게 분리되면서 접합되었던 테두리부가 벌어지거나 그로 인해 내장된 솜이 유출되는 등 사용 및 유지 보관이 불편하고 미관상 미려하지못한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이욘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솜 원단의 일 표면에 적층되고 양측 가장자리를 사이드 실링하여 구성하였는데 이 또한 가장자리에만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사용 시 쉽게 분리되고 다양한 디자인 구사에 한계가 있는 것이고 소재 선택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펄프와 솜 원단 사이에 필름형태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접착함으로써 사용 시 쉽게 분리되지 않고 별도의 사이드 실링 라인이 형성되지 않아 다양한 디자인 구사를 할 수 있으나 접착 필름층에 의한 수분이 통과되지 않아 수분의 흡수력 및 배출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수분의 저장량 또한 현저하게 떨어져 화장 솜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90859호(2000. 8. 1 공고). 2. 000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86964호(2011. 8. 2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접촉 시 부드럽고 이질감이 없는 상판 시트와 흡수 및 배출기능을 갖는 하부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핫 멜트 부직포로써 열 융착에 의한 전체가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수분이 통과되도록 한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실시예로서, 피부접촉 시 부드럽고 이질감이 없는 상부시트와 흡수 및 배출기능을 갖는 하부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핫 멜트 부직포로써 열 융착에 의한 전체가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수분이 통과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부직포 계열로서 레이욘 스펀레이스 , 폴리에스텐, 면 중 어느 하나로 하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펄프, 순면, 셀롤루즈,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하며,
상기 핫 멜트 부직포는 코-폴리에스터(Co-polyester), 코-폴리아마이드(Co-polyamid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실시예로서, 재료 투입단계로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핫 멜트 부직포를 삽입하여 공급하는 제1 단계와,
열 융착 접합단계로서 상기 제1 단계의 재료 투입단계로부터 공급받은 상, 하부시트와 이들 사이에 겹쳐진 핫 멜트 부직포에 열 롤러에 의해 열 융착하여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접합하는 제2 단계와,
횡 방향 절단 단계로서 상기 제2 단계로부터 핫 멜트 부직포에 의해 접합된 상, 하부시트를 커팅 롤러에 의해 횡 방향으로 절단하는 제3 단계와,
종 방향 절단 단계로서 상기 제3 단계로부터 횡 방향으로 절단된 상, 하부시트를 카렌다 롤러(calender roller)에 의해 유동됨을 방지하면서 종 방향 커터 수단에 의해 종 방향으로 절단하는 제4 단계와,
배출단계로서 상기 제4 단계에 의해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완성한 화장 솜을 배출 다이부로 배출하여 완성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피부접촉 시 매우 부드럽고 이질감이 없는 상부시트와 흡수기능 및 배출기능이 우수한 하부시트 사이를 수분 통과율이 뛰어난 핫 멜트 부직포로써 열 융착하여 접합 구성함에 따라 사용 시 친밀감을 가질 수 있고 뛰어난 화장 솜 기능을 다할 수 있으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소재 선택에 한계가 없음은 물론 소재 선택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솜"에 대한 전체 구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솜"에 대한 전체 구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솜"에 대한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솜의 제조 방법"에서 화장 솜을 제조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솜의 제조 방법"에서 시트의 절단 라인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솜의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화장 솜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부접촉 시 부드럽고 이질감이 없는 상부시트(1)와 흡수 및 배출기능을 갖는 하부시트(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시트(1)와 하부시트(2) 사이에 핫 멜트 부직포(3)로써 열 융착에 의한 전체가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수분이 통과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시트(1)와 하부시트(2)는 부직포 계열로서 레이욘 스펀레이스 , 폴리에스텐, 면 중 어느 하나로 하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펄프, 순면, 셀롤루즈,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한다.
특히 상부시트(1)는 매우 부드럽고 피부접촉 시 이질감이 전혀 없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하고, 하부시트(2)는 수분흡수기능과 배출기능이 뛰어난 순면으로 함이 바람직하며 이들 사이에는 수분통과율이 매우 뛰어나고 전체면에 걸쳐 융착하여 접합되는 핫 멜트 부직포(3)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핫 멜트 부직포(3)는 코-폴리에스터(Co-polyester), 코-폴리아마이드(Co-polyamid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한다.
상기 코-폴리에스터(Co-polyester)는 75~90℃의 온도에 의해 융착되고, 코-폴리아마이드(Co-polyamide)는 80~95℃의 온도에 의해 융착되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는 65~90℃의 온도에 의해 융착이 이루어지고 이들은 수분 통과 효율이 매우 우수하여 상부시트(1)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흡수된 수분은 하부시트(2)에 모두 저장된다.
그리고 또한 하부시트(2)에 저장된 액상 화장료는 상부시트(1)를 통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시트(1)와 하부시트(2) 사이에 핫 멜트 부직포(3)를 구성함으로써 상부시트(1)와 하부시트(2)에 사용되는 소재에 관계없이 접합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에는 불가능한 순면과 순면 또는 PET와 순면의 접합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 솜에 대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 상부시트(1)와 하부시트(2) 사이에 핫 멜트 부직포(3)를 구성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3에서와 같이 핫 멜트 부직포(3)에 의해 접합되는 상, 하부시트(1)(2)가 다수의 겹으로 반복 구성할 수도 있고, 핫 멜트 부직포(3)에 의해 접합되는 상부시트(1)에 하부시트(2)를 다수로 반복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화장 솜은 피부접촉 시 매우 부드럽고 이질감이 없는 상부시트와 흡수기능 및 배출기능이 우수한 하부시트 사이를 수분 통과율이 뛰어난 핫 멜트 부직포로써 열 융착하여 접합 구성함에 따라 사용 시 친밀감을 가질 수 있고 뛰어난 화장 솜 기능을 다할 수 있으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소재 선택에 한계가 없는 것이다. 즉, 소재선택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화장 솜 제조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S1)- 재료 투입단계로서 상부시트(1)와 하부시트(2) 사이에 핫 멜트 부직포(3)를 삽입하여 열 롤러(100)에 공급한다.
이 경우 텐션 롤러(101)로써 상,하부시트(1)(2) 및 핫 멜트 부직포(3)가 합지되는 시트(a)에 텐션력을 주어 구겨짐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시트(1)와 하부시트(2)는 부직포 계열로서 레이욘 스펀레이스 , 폴리에스텐, 면 중 어느 하나로 하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펄프, 순면, 셀롤루즈,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부시트(1)는 매우 부드럽고 피부접촉 시 이질감이 전혀 없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하고, 하부시트(2)는 수분흡수기능과 배출기능이 뛰어난 순면으로 함이 바람직하며, 이들 사이에는 수분통과율이 매우 뛰어나고 전면에 걸쳐 융착하여 접합시키는 핫 멜트 부직포(3)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핫 멜트 부직포(3)는 코-폴리에스터(Co-polyester), 코-폴리아마이드(Co-polyamid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제2 단계(S2)- 열 융착 접합단계로서 상기 제1 단계의 재료 투입단계로부터 공급받은 상, 하부시트(1)(2)와 이들 사이에 겹쳐진 핫 멜트 부직포(3)에 열 롤러에 의해 열 융착하여 상부시트(1)와 하부시트(2)를 접합한다.
제3 단계(S3)- 횡 방향 절단 단계로서 상기 제2 단계로부터 핫 멜트 부직포(3)에 의해 접합된 상, 하부시트(1)(2)를 커팅 롤러(102)에 의해 횡 방향으로 절단한다.
이 경우 커팅 롤러(102)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커팅 롤러(102)(102)가 구성되어 도 5에서와 같이 한번에 다수의 간격으로 절단할 수 있다.
제4 단계(S4)- 종 방향 절단 단계로서 상기 제3 단계로부터 횡 방향으로 절단된 상, 하부시트(1)(2)를 카렌다 롤러(calender roller)(103)에 의해 유동됨을 방지하면서 종 방향 커터 수단(F)에 의해 종 방향으로 절단한다.
상기 종 방향 커터 수단(F)은 상기 횡 방향으로 절단된 상, 하부시트(1)(2)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 방향으로 커터 나이프(104)에 의해 절단하는 것으로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캠판(105)을 회전시키면 캠 로드(106)는 캠판(105)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어 상하로 승강하게 되고 이 경우 커터 나이프(104)는 횡 방향으로 절단된 상, 하부시트(1)(2)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 방향 절단 라인(도 5 참조)을 따라 횡 방향으로 절단한다.
제5 단계(S5)- 배출단계로서 상기 제4 단계에 의해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완성한 화장 솜을 배출 다이부(107)로 배출하여 완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화장 솜은 피부접촉 시 매우 부드럽고 이질감이 없는 상부시트와 흡수기능 및 배출기능이 우수한 하부시트 사이를 수분 통과율이 뛰어난 핫 멜트 부직포로써 열 융착하여 접합 구성함에 따라 사용 시 친밀감을 가질 수 있고 뛰어난 화장 솜 기능을 다할 수 있으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소재 선택에 한계가 없음은 물론 소재 선택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1: 상부시트 2: 하부시트
3: 핫 멜트 부직포 100: 열 롤러
101: 텐션롤러 102: 커팅롤러
103: 카렌다 롤러 104: 커터 나이프
105: 캠판 106: 캠 로드
107: 다이부
F: 종 방향 커터 수단 S1: 제1 단계
S2: 제2 단계 S3: 제3 단계
S4: 제4 단계 S5: 제5 단계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재료 투입단계로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핫 멜트 부직포를 삽입하여 공급하는 제1 단계와,
    열 융착 접합단계로서 상기 제1 단계의 재료 투입단계로부터 공급받은 상, 하부시트와 이들 사이에 겹쳐진 핫 멜트 부직포에 열 롤러(100)에 의해 열 융착하여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접합하는 제2 단계와,
    횡 방향 절단 단계로서 상기 제2 단계로부터 핫 멜트 부직포에 의해 접합된 상, 하부시트를 커팅 롤러(102)에 의해 횡 방향으로 절단하는 제3 단계와,
    종 방향 절단 단계로서 상기 제3 단계로부터 횡 방향으로 절단된 상, 하부시트를 카렌다 롤러(calender roller)(103)에 의해 유동됨을 방지하면서 종 방향 커터 수단(F)에 의해 종 방향으로 절단하는 제4 단계와,
    배출단계로서 상기 제4 단계에 의해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완성한 화장 솜을 배출 다이부로 배출하여 완성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부직포 계열로서 레이욘 스펀레이스 , 폴리에스텐, 면 중 어느 하나로 하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펄프, 순면, 셀롤루즈,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하고, 핫 멜트 부직포는 코-폴리에스터(Co-polyester), 코-폴리아마이드(Co-polyamid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제4 단계에서 종 방향 커터 수단(F)은 횡 방향으로 절단된 상, 하부시트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 방향으로 커터 나이프(104)에 의해 절단하는 것으로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캠판(105)을 회전시키면 캠 로드(106)는 캠판(105)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어 상하로 승강하게 되고 커터 나이프(104)는 종 방향으로 절단된 상, 하부시트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 방향 절단 라인을 따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솜 제조 방법.
  13. 삭제
KR1020150153070A 2015-11-02 2015-11-02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70A KR101779044B1 (ko) 2015-11-02 2015-11-02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70A KR101779044B1 (ko) 2015-11-02 2015-11-02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818A KR20170051818A (ko) 2017-05-12
KR101779044B1 true KR101779044B1 (ko) 2017-09-18

Family

ID=5874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070A KR101779044B1 (ko) 2015-11-02 2015-11-02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953A (ko)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 글로벌엠 다용도 화장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36Y1 (ko) * 2017-09-22 2018-08-28 동서위생 주식회사 화장 솜
KR102261405B1 (ko) * 2019-06-18 2021-06-09 (주)대양산업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KR102256530B1 (ko) * 2020-12-28 2021-05-27 동서위생 주식회사 화장품 도포를 위한 필름이 합지된 화장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186Y1 (ko) * 2005-07-29 2005-10-12 윤용만 화장용 패드
JP2007082773A (ja) * 2005-09-22 2007-04-05 Livedo Corporation 洗浄シート包装物品
KR100842874B1 (ko) * 2007-01-26 2008-07-03 (주)토파코리아 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186Y1 (ko) * 2005-07-29 2005-10-12 윤용만 화장용 패드
JP2007082773A (ja) * 2005-09-22 2007-04-05 Livedo Corporation 洗浄シート包装物品
KR100842874B1 (ko) * 2007-01-26 2008-07-03 (주)토파코리아 솜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953A (ko)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 글로벌엠 다용도 화장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818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044B1 (ko) 화장 솜 및 그 제조 방법
JP5665338B2 (ja) 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法
CN102355878B (zh) 吸收性物品
KR101782772B1 (ko) 흡수성 물품
US9622921B2 (en) Absorbent article with topsheet, top-layer sheet and compressing portions
TWI230053B (en) Sanitary absorptive article producing device and method
TW200836702A (en) Absorbent article
TWI603722B (zh) Absorbent article
JP2009112590A (ja) 吸収性物品
JP2009273722A (ja) 吸収性物品用表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CN103096856A (zh) 吸收性物品及卫生巾
JP5212844B2 (ja) 化粧用コットン
JP5129570B2 (ja) 母乳パッドとその製造方法
JP2008132083A (ja) 吸収性物品
CN105246442B (zh) 短裤型一次性尿布
JP2006311939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034016A1 (ja) 吸収性物品
JP2014156446A (ja) 制汗剤配合多重層汗取り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7202790A (ja) 吸収性物品
JPWO2009022615A1 (ja) 洗浄用具
CN212382827U (zh) 吸收制品及其制作设备
KR20150131530A (ko) 마스크팩용 시트
KR200463383Y1 (ko) 화장솜
JP3583668B2 (ja) 化粧パフ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14106B2 (ja) 体液吸収性パ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