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851B1 - 비행체 및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비행체 및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8851B1 KR101778851B1 KR1020150129182A KR20150129182A KR101778851B1 KR 101778851 B1 KR101778851 B1 KR 101778851B1 KR 1020150129182 A KR1020150129182 A KR 1020150129182A KR 20150129182 A KR20150129182 A KR 20150129182A KR 101778851 B1 KR101778851 B1 KR 1017788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g
- body frame
- pair
- arm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46—Arrangements of, or constructional features peculiar to, multiple prope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64C2201/024—
-
- B64C2201/108—
-
- B64C2201/1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에는, 일 방향으로 길게 제공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양측에 각각 제공되는 적어도 한 쌍의 날개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날개 프레임이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힌지축; 및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되는 날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관이나 이동 시에 간단하게 비행체를 조작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비행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비행체의 보관 및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 보관 및 이동의 조작이 간편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전원이 오프되어 전원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를 사용하는 조작자의 가장 큰 불편함인 잦은 충전의 필요 또는 예기치 못한 방전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행체 및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행체는 하늘을 나는 물건으로서, 특히 무인 비행체는 드론(drone)이라고 통칭하는 물건으로서, 사람이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의 공중영상획득이 가능하다. 그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무인 비행체는 항공촬영, 항공검사, 정찰, 및 감시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서 근래 들어서는 개인의 취미활동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행체 중에서 다수의 날개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멀티롭터 형 비행체는, 저속의 운항이 가능하고 정지영상의 획득도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멀티롭터 형 비행체의 날개의 개수는, 네 개뿐만 아니라 여섯 개 여덟 개 등 다양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행체는 날개가 다수 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넓게 배치된다. 따라서, 비행체의 전체 부피가 크고 보관과 이동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비행체는 다수의 모터를 구동해야 하기 때문에 전원소모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제한되는 충전용량 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행시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들 문제 중의 일부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수의 날개를 수평으로 접는 방식의 기술이 제 1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27544에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 기술에 따르면 날개를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행체의 보관부피가 줄어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따르더라도 날개를 개별적으로 접고 날개가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보관 및 이동 시에 날개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접는 동작이 불편하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기술이 제 2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56035에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 기술에 따르면, 날개를 수직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부피가 줄어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특허문헌과의 차별점은 날개를 수직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날개를 개별적으로 접어야 하는 문제점, 보관시에 날개의 파손의 문제점, 접는 동작이 복잡한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특허문헌들은 날개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만 고려하고 있을 뿐, 비행체에서 크게 중요한 전원관리의 측면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비행체의 보관 및 이동 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용이하고, 전원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비행체의 비행시간을 늘릴 수 있는 비행체 및 비행체의 전원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에는, 일 방향으로 길게 제공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양측에 각각 제공되는 적어도 한 쌍의 날개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날개 프레임이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힌지축; 및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되는 날개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비행체의 보관 및 조작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비행체에서,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이 접혔을 때 각 날개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게 놓이고 적어도 일부는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에 각각 제공되어 사용자가 비행체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핸들이 포함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이 졉혔을 때 서로 접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핸들에는 자석이 제공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비행체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조작부가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의 회전을 허용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에 의해서 비행체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비행체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일측에 상기 아암의 이동궤적상에 놓이는 전원스위치; 상기 아암의 타측에 제공되어 아암과 함께 이동하는 걸림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날개 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날개측 회전축; 및 상기 걸림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날개측 회전축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측 회전축에 제공되는 홈 및 턱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에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접히는 동작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날개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되는 날개; 및 상기 날개 프레임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때 함께 조작되는 전원스위치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비행체의 전원조작이 원활하게 수행되어 비행체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에서, 상기 날개 프레임이 접혀질 때 상기 전원스위치는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스위치는 소프트웨어 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소프트웨어 스위치의 오프 시에 비행체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로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관이나 이동 시에 간단하게 비행체를 조작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비행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비행체의 보관 및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 보관 및 이동의 조작이 간편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전원이 오프되어 전원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를 사용하는 조작자의 가장 큰 불편함인 잦은 충전의 필요 또는 예기치 못한 방전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비행체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접힌 상태의 비행체의 사시도.
도 3은 조작부의 관련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Ⅰ-Ⅰ'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Ⅱ-Ⅱ'의 단면도.
도 6은 비행체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접힌 상태의 비행체의 사시도.
도 3은 조작부의 관련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Ⅰ-Ⅰ'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Ⅱ-Ⅱ'의 단면도.
도 6은 비행체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첨부되는 도면은 발명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발명 사상의 이해를 위하여 실제 제품과 달리 두께, 크기, 및 모양이 실제와는 다르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10)에는, 비행에 필요한 충전부 등 다수의 부품이 놓이고 일 방향으로 길게 제공되는 본체 프레임(1),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대향되는 양쪽에 접이가 가능한 방식으로 각각 제공되는 제 1 날개 프레임(2)과 제 2 날개 프레임(3)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2, 날개 프레임(2)(3)에는 제 1, 2, 3, 및 4 날개(4)(5)(6)(7)가 지지된다. 상기 날개가 회전함으로써, 비행체(10)의 방향 및 속도가 조절될 수 있음은 용이하게 짐작할 수 있다. 상기 날개 프레임(2)(3)은 일 방향으로 길게 제공되는 본체 프레임(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날개 프레임(2)(3)에는 제 1, 2 핸들(21)(31)이 각각 제공된다. 상기 핸들(21)(31)은 상기 제 1, 2 날개 프레임(2)(3)이 접혀졌을 때 한 몸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주보고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비행체가 균형잡힌 상태로 상기 비행체(10)를 잡고서 이동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핸들(21)(31)에는 자석(22)(32)이 마련되어 핸들(21)(31)이 서로 접근하여 접촉될 때 서로 신속히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21)(31)을 잡고서 비행체(10)를 이동할 때에는 핸들(21)(31)이 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비행체(10)를 이동하고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저면에는 조작부(11)가 제공된다. 상기 조작부(11)는 비행체(10)의 전원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는 전원제어기능, 및 상기 제 1, 2 날개 프레임(2)(3)의 접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힘기능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 1, 2 날개 프레임(2)(3)은 비행체(10)가 비행시에는 접히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보관 및 이동을 위하여 사용자가 접고자 할 때에만 접히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비행 중에 상기 제 1, 2 날개 프레임(2)(3)이 접히는 경우에는 비행체(10)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기능은 비행체의 접힘 기능이 수행될 때에는 비행체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진입하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비행체(10)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을 것임이 확실하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비행체(1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접힌 상태의 비행체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2 날개 프레임(2)(3)이 접힌 상태에서, 제 1, 2 핸들(21)(31)이 서로 접하여 한 몸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 1, 2 핸들(21)(31)의 내부에는 자석(22)(32)이 내장되어 핸들이 서로 부착하여 한 몸으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비행체(10)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하고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날개 프레임(2)(3)은 날개(4)(5)(6)(7)를 전체로서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관시에 날개가 사용자에게 닿아서 날개가 파손되거나 사용자 손을 다치는 일도 없다.
도 3은 조작부의 관련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11)는 본체 프레임(1)의 외부에 드러나고, 조작부(11)와 연결되는 본체 프레임(1)의 내부에는 본체 프레임(1)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아암(12)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1)를 당기면 상기 아암(12)도 함께 당겨질 수 있다. 화살표는 조작부(11) 및 아암(12)의 당겨지는 방향을 표시한다. 상기 아암(12)의 일측에는 상기 조작부(11)가 연결되고, 상기 아암(13)의 타측에는 제 1, 2 날개 프레임(2)(3)에 걸려서 제 1, 2 날개 프레임(2)(3)의 접히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걸림부(141)(142)가 제공된다. 상기 걸림부(141)(142)는 상기 아암(13)의 타측에서 좌우로 분기되어 제공된다. 각각의 걸림부(141)(142)는 각각의 날개 프레임(2)(3)에 대한 걸림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1)를 당기는 단일한 동작에 의해서 상기 걸림동작이 풀리고 제 1, 2 날개 프레임(2)(3)은 함께 접혀질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날개 프레임(2)(3)을 접어서 핸들(21)(31)이 서로 접촉하여 자석(22)(32)이 서로 닿아서 날개 프레임(2)(3)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암(12)과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는 상기 아암(12)에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1)를 조작하여 아암(12)을 당길 때 상기 탄성부재(13)는 늘어나고 아암(12)에 수축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아암(12)에는 본체 프레임(1)의 안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아암(12)의 일측에는 전원 스위치(8)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8)는 비행체(1)의 전원을 끄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암(12)의 일단이 상기 전원 스위치(8)로 이동하여 전원스위치를 누르는 등의 동작에 의해서 전원 스위치(8)가 오프되고, 비행체(10)의 전원은 차단될 수 있다. 이때에는 비행체(10)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되는 동작에 따르면, 단일의 동작으로 비행체(10)의 날개 프레임(2)(3)을 접는 것과 함께 비행체(1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날개 프레임(2)(3)을 접는 동작은 현재로서는 사용자가 비행체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임이 확실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더라도 비행체의 전원스위치를 오프하여 비행체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물론, 날개 프레임(2)(3)을 펼칠 때에는 전원스위치가 온이 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더라도 비행체(10)의 전원이 온 됨으로써 사용자가 전원을 온 시키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에도 비행체가 스스로 전원이 온됨으로써 비행을 위한 준비시간이 줄어드는 이점을 기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아암(1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가이드(12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아암(12)의 이동방향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1)에는 슬릿(도 1의 122참조)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Ⅰ-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Ⅱ-Ⅱ'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날개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에서 날개 프레임과 주변부와의 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어느 한쪽의 날개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을 하지만, 다른 한쪽의 날개 프레임도 마찬가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날개 프레임(2)(3)과 상기 본체 프레임(1)은 힌지축(16)에 의해서 서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체결된다. 상기 힌지축(16)은 상기 날개 프레임(2)(3)과 상기 본체 프레임(1)에 함께 체결되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6)은 제공되지 않고 날개 프레임(2)(3)의 일 부분이 길게 연장되고 본체 프레임(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힌지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날개 프레임(2)(3)의 일 부분이 힌지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 또한 힌지축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6)에 날개측 회전축(17)이 지지되고, 상기 날개측 회전축(17)은 상기 힌지축(16)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날개측 회전축(17)은 대략 원형으로 제공되고, 홈(18)과 턱(19)이 제공되어 날개측 회전축(17)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걸림부 에지(42)가 홈(18) 또는 턱(19)에 걸려서 외력에 의한 걸림부(141)(14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날개측 회전축(17)은 본체측 가이드(41)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놓여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 에지(42)는 상기 본체측 가이드(41)에 제공되는 절개부(15)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 및 입출이 가능하다.
도 4는 상기 날개 프레임(2)(3)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에서 상기 날개측 회전축(1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날개 프레임(2)(3)이 펼쳐지는 방향이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날개 프레임(2)(3)이 졉혀지는 방향이다. 날개 프레임(2)(3)이 펼쳐져 있을 때에는, 상기 홈(18)에 상기 걸림부 에지(42)가 걸려 있다. 따라서, 상기 날개측 회전축(17)은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날개 프레임(2)(3)은 본체 프레임(1)으로 안정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후에 날개 프레임을 접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는 조작부(11)를 당기는 동작으로 시작한다. 상기 조작부(11)는 아암(12) 및 걸림부(141)(142)를 당기게 되고, 결국 걸림부 에지(42)가 이동한다. 이때 도 4를 및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걸림부 에지(42)는 지면상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걸림부 에지(42)가 지면 상측으로 이동하면, 걸림부 에지(42)와 홈(18)의 걸림작용은 해제되고, 상기 날개측 회전축(17)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날개 프레임(2)(3)를 반시계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상기 아암(12)이 당겨지면, 아암(12)의 일단이 전원 스위치(8)를 눌러서 비행체(1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는 것은 이미 살펴본 바와 같다.
도 5는 상기 날개 프레임(2)(3)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날개 프레임(2)(3)이 완전히 접힌 상태는 날개 프레임(2)(3)이 펼쳐진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턱(19)이 상기 걸림부 에지(42)와 지면 상하로 정렬될 수 있다. 이 때에는 탄성부재(13)가 당기더라도 상기 턱(19)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 에지(42)가 걸려서 아암(12)이 이동할 수 없다. 상기 전원 스위치(8)는 계속 오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접혀진 날개 프레임(2)(3)은 자석(22)(32)이 서로 붙어서 핸들(21)(31)이 붙어 있는 상태이므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가 날개를 펼치는 경우에는, 상기 날개 프레임(2)(3)을 회전시켜서 날개측 회전축(1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에는 상기 턱(19)과 상기 걸림부 에지(42)의 걸림작용이 해제되어 탄성부재(13)가 당기는 힘에 의해서 아암(12)의 본체 프레임(1)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간다. 그러면, 턱(18)과 정렬되는 위치까지 아암(12)이 밀려 들어가서 날개 프레임(2)(3)의 펼침 상태를 도 4와 같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턱(18)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 에지(42)가 안내받을 수 있도록 상기 턱(19)은 홈(18)까지 부드럽게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날개 프레임(2)(3)이 완전히 펼쳐지는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는, 홈(18)의 안으로 걸림부 에지(42)가 삽입되어, 날개 프레임(2)(3)의 펼쳐지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비행체의 하드웨어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비행체(10)에는 전력이 충전되는 충전부(51)와, 비행의 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센서(5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51)가 클수록 다량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고려할 수는 있으나, 무게가 무거울수록 비행체의 출력에 문제가 되므로 그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 대략 10~20Wh의 용량에 이르는 충전부(5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서(52)에는 GPS센서, 자이로센서, 압력센서, 지자계센서, 및 가속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제공되어 비행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행체(10)에는 모터(54)가 제공되고, 상기 모터(5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53)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54)는 날개의 개수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고, 각 모터(5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비행체의 이동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속도제어부(53)는 ESC(electronic speed controller)로서 복잡한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량의 전력을 소모하는 부품이다.
상기 각 부품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5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8)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비행체(10)의 각 부품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스위치(8)는 본체 프레임(1)의 저면에 제공되는 조작부(11)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것임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전원 스위치(8)의 일 실시예로서 소프트웨어 스위치(8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스위치(82)는 전원오프의 사실을 제어부(5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센서(52) 및 속도 제어부(53)를 비록한 다수의 전력소모부품을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 스스로는 슬립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이 때에는 제어부(50)의 슬립모드 수행(다시 말하면, 깨우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력소모)만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이 소모되고, 비행체(1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전력소모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충전부(51)의 전력소모가 최소화되고 그만큼 충전 후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8)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드웨어 스위치(81)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스위치(81)는 전원오프의 사실을 제어부(50)에 전달하는 등이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충전부(51)로부터의 전달되는 전력을 애초에 차단한다. 이때에는 제어부(50)의 슬립모드수행을 위한 전력소모도 발생하지 않고, 충전부(50)의 자연방전에 따른 전력소모만이 발생할 뿐이다.
상기 전원 스위치(8)의 실시형태로서, 하드웨어 스위치(81) 및 소프트웨어 스위치(82) 중의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고, 두 개의 스위치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경우에 따르면, 상기 전원스위치(8)는 소프트웨어 스위치(82)가 적용될 수 있다. 그 이유를 설명한다. 상기 충전부(50)에 적용되는 장치는 비행체의 무게 제한 등으로 인하여 큰 전압을 내기가 어려워서 대략 11V로 출력되는 충전부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모터(154) 등은 고출력이 필요하므로 500W정도의 출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충전부(50)에서 제공하는 전류는 대략 5A로서 고전류가 된다. 이러한 대용량의 전류가 흐르는 라인에 대한 안정적인 스위칭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위치의 대용량화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30g에 이르는 중량의 스위치가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중량은 비행체(10)에 무게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만약, 저중량의 스위치를 사용하면 고전류에 의한 스파크에 의해서 기기가 파손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반하여 전류를 직접 스위칭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스위치(82)는 3-4g의 무게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충전부(50)의 용량이 16.65Wh일 때, 상기 소트프웨어 스위치(82)에 의해서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충전부(50)가 15시간 정도에 방전되고, 상기 하드웨어 스위치(81)로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자연방전에 의해서만 방전되므로 수백 시간 후에 방전되고, 소프트웨어 스위치(82)로도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고 전원을 켠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5시간 정도에 방전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되는 이유에 의해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8)는 소프트웨어 스위치(82)를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하드웨어 스위치(83)를 사용하는 경우를 반드시 제외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고, 두 개의 스위치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도 제외한다고 할 수는 없다. 이는 비행체의 구체적인 사양, 허용중량, 충전부용량, 및 배전부의 성능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되는 다른 실시예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행체의 날개 프레임을 접는 동작과 비행체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동작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일방향으로 길게 제공되는 본체 프레임의 양쪽방향에 한 개씩 두 개의 날개 프레임을 제공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을 편리하게 접고서 펼칠 수 있는 작업만으로도 비행체를 편리하게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별도로 전원스위치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것으로는 날개 프레임을 접는 동작과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동작이 연계되도록 하는 경우에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스위치(8)는 아암(12)의 일단의 뒷 부분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걸림부의 뒷 부분에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스위치조작부(11)의 이동거리에 따라서 소프트웨어스위치와 하드웨어스위치가 각각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스위치조작부(11)가 약간 이동하였을 때에는 소프트웨어 스위치가 동작하도록 하고, 그 다음에 조작부(11)가 더 이동하였을 때 하드웨어 스위치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하도록 소트웨어 스위치는 상기 전원스위치(8)가 있는 곳에 배치하고, 하드웨어 스위치는 걸림부(141)(142)의 뒷 부분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소프트웨어 스위치는 물리적인 스위치가 아니라 광센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관/이동 시에 간단하게 비행체를 조작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별도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전원이 오프되어 전원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잦은 충전의 필요 또는 예기치 못한 방전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문가만이 비행체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인도 비행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현재 시점에서 일반인이 더욱 편리하게 비행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명확하므로 산업상의 적용이 크게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1: 본체 프레임
2, 3: 날개 프레임
8: 전원 스위치
11: 조작부
2, 3: 날개 프레임
8: 전원 스위치
11: 조작부
Claims (11)
- 일 방향으로 길게 제공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양측에 각각 제공되는 적어도 한 쌍의 날개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이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힌지축;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날개 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되는 날개;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일측에 상기 아암의 이동궤적상에 놓이는 전원스위치;
상기 아암의 타측에 제공되어 아암과 함께 이동하는 걸림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날개측 회전축; 및
상기 걸림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날개측 회전축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측 회전축에 제공되는 홈 및 턱이 포함되는 비행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이 접혔을 때 각 날개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게 놓이고 적어도 일부는 접하는 비행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에 각각 제공되어 사용자가 비행체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핸들이 포함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이 졉혔을 때 서로 접하는 비행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자석이 제공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비행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조작부가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의 회전을 허용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비행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의해서 비행체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기능이 함께 수행되는 비행체. - 삭제
-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접히는 동작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날개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날개 프레임이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힌지축;
상기 날개 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되는 날개;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타측에 제공되어 아암과 함께 이동하는 걸림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날개 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날개측 회전축;
상기 걸림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날개측 회전축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측 회전축에 제공되는 홈 및 턱; 및
상기 날개 프레임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때 함께 조작되는 전원스위치가 포함되는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프레임이 접혀질 때 상기 전원스위치는 오프되는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는 소프트웨어 스위치로 제공되는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스위치의 오프 시에 비행체의 제어부는 슬립모드로 바뀌는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182A KR101778851B1 (ko) | 2015-09-11 | 2015-09-11 | 비행체 및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182A KR101778851B1 (ko) | 2015-09-11 | 2015-09-11 | 비행체 및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1519A KR20170031519A (ko) | 2017-03-21 |
KR101778851B1 true KR101778851B1 (ko) | 2017-09-14 |
Family
ID=5850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182A KR101778851B1 (ko) | 2015-09-11 | 2015-09-11 | 비행체 및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885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125B1 (ko) * | 2017-12-04 | 2018-05-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회전 스위칭 방식을 갖는 드론 |
KR102009515B1 (ko) | 2018-02-13 | 2019-08-09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 |
WO2020080911A1 (ko) * | 2018-10-19 | 2020-04-23 | 안병열 | 충돌 방지 및 회수 기능을 구비한 드론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4998752U (zh) * | 2015-01-04 | 2016-01-27 | 北京零零无限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折叠的无人机 |
CN107161323B (zh) * | 2017-05-19 | 2019-07-19 | 刘勇 | 一种可变翼四轴飞机 |
KR102042146B1 (ko) | 2018-12-07 | 2019-11-07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비행체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
CN110356568B (zh) * | 2019-07-02 | 2021-05-28 | 南通嗨森无人机科技有限公司 | 一种便于收纳的防护效果好的太阳能无人飞行装置 |
KR102628610B1 (ko) * | 2022-12-07 | 2024-01-2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개량형 이동식 드론 스테이션 및 이를 이용한 드론 스테이션 운영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6035B1 (ko) * | 2014-09-06 | 2014-11-04 | 최종필 |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
KR101527544B1 (ko) * | 2015-01-10 | 2015-06-10 | 최종필 | 접이식 무인비행기 |
-
2015
- 2015-09-11 KR KR1020150129182A patent/KR1017788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6035B1 (ko) * | 2014-09-06 | 2014-11-04 | 최종필 |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
KR101527544B1 (ko) * | 2015-01-10 | 2015-06-10 | 최종필 | 접이식 무인비행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125B1 (ko) * | 2017-12-04 | 2018-05-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회전 스위칭 방식을 갖는 드론 |
KR102009515B1 (ko) | 2018-02-13 | 2019-08-09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접이식 드론 및 그 작동 방법 |
WO2020080911A1 (ko) * | 2018-10-19 | 2020-04-23 | 안병열 | 충돌 방지 및 회수 기능을 구비한 드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1519A (ko) | 2017-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8851B1 (ko) | 비행체 및 비행체의 전원제어장치 | |
JP6103013B2 (ja) | 情報収集装置、情報収集方法 | |
US11066165B2 (en) | Self-enclosed air vehicle | |
KR101866191B1 (ko) | 휴대용 접이식 드론 | |
CN105416578B (zh) | 可穿戴无人机 | |
KR20210104852A (ko) | 무인 비행 시스템 및 무인 비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시스템 | |
US20160334785A1 (en) | Control unit adapted to accommodate drone | |
GB2486448A (en) | Tilting mechanism for aircraft propulsion system | |
JP2024016229A (ja) | ディスプレイ装置 | |
CN110615095A (zh) | 手持遥控装置和飞行系统套件 | |
EP2078550A1 (en) | Hovercraft toy | |
KR102314218B1 (ko) | 정찰용 접이식 드론 | |
CN205524954U (zh) | 一种四旋翼飞行器 | |
JP3207604U (ja) | 折り畳み翼の玩具ヘリコプター | |
WO2018201417A1 (zh) | 可变形飞行器、移动平台及操作方法 | |
GB2543816A (en) | Rotary-wing air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 and recovery thereof | |
AU2016344525B2 (en) | Rotary-wing air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 and recovery thereof | |
CN108674630B (zh) | 一种无人机机臂折叠结构和无人机 | |
US10620623B2 (en) | UAV flight control system | |
JP3448243B2 (ja) | 携帯用扇風機 | |
CN211167376U (zh) | 一种便于折叠收纳的多旋翼无人机 | |
JP2017149418A (ja) | 情報収集装置、情報収集方法 | |
CN104874464A (zh) | 一种磨轮驱动机构 | |
KR101664984B1 (ko) |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멀티콥터 | |
KR101673810B1 (ko) |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