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218B1 - 정찰용 접이식 드론 - Google Patents

정찰용 접이식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218B1
KR102314218B1 KR1020210061510A KR20210061510A KR102314218B1 KR 102314218 B1 KR102314218 B1 KR 102314218B1 KR 1020210061510 A KR1020210061510 A KR 1020210061510A KR 20210061510 A KR20210061510 A KR 20210061510A KR 102314218 B1 KR102314218 B1 KR 10231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drone
main body
land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0Parts of fuselage relatively movable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7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의 암을 접어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부피를 줄여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정찰용 접이식 드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정찰용 접이식 드론{Foldable drone for reconnaissance}
본 발명은 정찰용 접이식 드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식으로 휴대가 가능하여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찰용 접이식 드론에 관한 것이다.
무인비행체(드론)는 사람이 직접 탑승하지 않고 원격으로 조종하여 자동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를 말한다. 무인비행체는 일반 비행체와는 사람의 탑승 공간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이 어려운 곳의 정보 수집과 정찰을 위한 정찰 무인비행체 등 군사용으로 개발 및 활용되나 최근에는, 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하고 레저용으로 상용화, 대중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특허들은 로터암이 펼쳐진 상태로 기체에 구비되기 때문에 무인비행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무인비행기를 운반할 때도 차량 내부에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하므로 승차인원이 제한되었으며, 화물칸에 적재할 경우 별도의 포장재로 덮어 보호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3054호 (발명의 명칭: 드론, 공고일: 2017. 04. 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론의 암을 접어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부피를 줄여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정찰용 접이식 드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은, 정찰용 접이식 드론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방프로펠러부 및 상기 본체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후방프로펠러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로펠러부 및 상기 한 쌍의 전방프로펠러부 각각에 구비되는 전방랜딩스키드 및 상기 한 쌍의 후방프로펠러부 각각에 구비되는 후방랜딩스키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랜딩스키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양측면에서 상기 전방프로펠러부와 상기 후방프로펠러부가 나란하게 접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부 각각은, 암과, 상기 암의 끝단에 결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프로펠러 및 상기 모터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상기 복수의 랜딩스키드 각각의 단부에 고정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랜딩스키드 각각이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랜딩스키드회전부재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누름버튼 및 상단이 상기 암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랜딩스키드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누름버튼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이동홀이 형성되는 랜딩스키드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랜딩스키드 각각은 상기 랜딩스키드회전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암을 향하여 접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측프로펠러가 접혔을 때 상기 하측프로펠러가 상기 전방랜딩스키드 및 상기 후방랜딩스키드 사이의 공간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프로펠러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전방연결부 및 상기 본체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프로펠러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후방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후방연결부 간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전방연결부 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정면, 후면 및 양측면에는 라이더센서가 장착되는 라이더센서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찰용 접이식 드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드론의 암, 프로펠러, 랜딩스키드 및 안테나를 접었다 펼칠 수 있도록 하여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드론이 접혔을 때 드론이 직사각형 형태의 콤팩트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드론의 휴대나 보관 시에 드론이 점유하는 공간을 최대로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배터리와 카메라를 탈착식으로 구비하여 드론 보관이나 휴대시에는 배터리와 카메라를 탈착하여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각각의 프로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프로펠러를 모두 암의 길이 방향으로 모은 후에 암을 본체 측면으로 접혀지도록 하여 암이 접힐 때 프로펠러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랜딩스키드가 90도 각도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각 모터의 회전축 하측에 연결된 프로펠러들의 양측에 고정배치됨으로써 프로펠러들이 자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프로펠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움직이는 프로펠러에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동축 반전 프로펠러를 사용함으로써 일반 프로펠러보다 동일한 크기 대비 더 큰 추력을 발생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이 펼쳐진 상태를 밑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이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프로펠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이 접혀진 상태를 밑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전방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전방프로펠러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후방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후방프로펠러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랜딩스키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누름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랜딩스키드가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 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각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한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정찰용 접이식 드론(1)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이 펼쳐진 상태를 밑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이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프로펠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이 접혀진 상태를 밑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1)은 본체(100), 복수의 프로펠러부(200) 및 복수의 랜딩스키드(300)를 포함하고, 안테나(600), 라이더센서(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장방형으로 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제3 프레임(130), 제4 프레임(140) 및 제5 프레임(150)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본체(100)는 양측면에 본체돌출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한 쌍의 전방프로펠러부(210)가 각각 본체 측면으로 접힐 때 상기 본체돌출부(101)에 전방프로펠러부(210)가 끼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정찰용 접이식 드론(1)이 접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접을 수 있는 안테나(600)가 구비되어 드론의 보관이나 휴대 시에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제어모듈(미도시), 센서모듈(미도시) 등의 조종 계통 장비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정면, 후면 및 양측면, 즉 본체(100)의 사방으로 라이더센서 장착홀(180)이 형성되어 라이더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0)는 본체(1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전방프로펠러부(210)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전방연결부(160) 및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후방프로펠러부(220)가 연결되는 한 쌍의 후방연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후방연결부(170) 간의 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방연결부(160) 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면 상에서 본체(100)에 안테나(600)가 장착되는 방향을 전방,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명명하나 이는 편의 상 구성 요소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방은 후방으로 명명될 수 있고, 후방은 전방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한 쌍의 후방연결부(170) 간의 폭이 한 쌍의 전방연결부(160) 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그 폭의 차이만큼 복수의 프로펠러부(200)가 접혀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로펠러부(210)가 먼저 접히고 난 뒤에 후방프로펠러부(220)가 접히게 됨으로써 복수의 프로펠러부(200)가 접혀졌을 때 서로 간섭되지 않고 나란하게 포개져서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1)은 복수의 프로펠러부(200)가 접혔을 때 직사각형 형태의 콤팩트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드론의 휴대나 보관 시에 드론이 점유하는 공간을 최대로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하면에는 배터리 장착홈(190)이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배터리(미도시)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미도시)와 카메라(미도시)가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드론 보관이나 휴대시에는 배터리(미도시)와 카메라(미도시)를 탈착하여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프로펠러부(200)는 본체(100)의 전방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전방프로펠러부(210) 및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후방프로펠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전방프로펠러부(210)는 본체(100)의 전방연결부(1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한쌍의 후방프로펠러부(220)는 본체(100)의 후방연결부(1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프로펠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프로펠러부(200)는 암(230), 모터(240), 복수의 프로펠러고정부재(250) 및 복수의 프로펠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암(230)은 일단이 본체(100)의 전방연결부(160) 또는 후방연결부(1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암(230) 각각은 한층으로 구성되어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 일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암(230)의 일단에는 암(230)이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펼쳐진 각도를 유지시키는 제1 고정홈(231) 및 암(230)이 접혀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암(230)이 접혀진 각도를 유지시키는 제2 고정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홈(231) 및 제2 고정홈(232)은 후술할 전방고정부재(400) 및 후방고정부재(50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모터(240)는 배터리(미도시)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제어모듈(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암(230)의 끝단에 결합되어 프로펠러(260)로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프로펠러고정부재(250)는 모터(240)의 회전축 양끝단에 결합되고, 복수의 프로펠러고정부재(250) 각각의 양끝단에는 프로펠러(2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프로펠러고정홀(2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고정부재(250)는 모터(240)의 회전축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프로펠러고정부재(250a) 및 모터(240)의 회전축 하단에 결합되는 하측프로펠러고정부재(25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프로펠러고정부재(250b)는 도 3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복수의 프로펠러(260)는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고정부재(25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프로펠러(260)는 상기 모터(24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측프로펠러 및 상기 모터(24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측프로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로펠러는 정찰용 접이식 드론(1)이 접혔을 때 후술할 전방랜딩스키드(310) 및 후방랜딩스키드(320) 사이의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측프로펠러는 상기 상측프로펠러고정부재(250a)에 결합되는 프로펠러(260)를 의미하며, 제1 프로펠러(261) 및 제2 프로펠러(26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측프로펠러는 상기 하측프로펠러고정부재(250b)에 결합되는 프로펠러(260)를 의미하며, 제3 프로펠러(263) 및 제4 프로펠러(2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로펠러(261) 및 제2 프로펠러(262)는 상기 상측프로펠러고정부재(250a)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프로펠러고정홀(251)에 하나씩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 프로펠러(263) 및 제4 프로펠러(264)는 상기 하측프로펠러고정부재(250b)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프로펠러고정홀(251)에 하나씩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프로펠러(260)는 제1 내지 제4 프로펠러(261, 262, 263, 264) 각각을 모두 암(230)의 길이 방향으로 모으는 것이 가능한 폴딩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암(230)을 본체(100) 측면으로 접을 때에 프로펠러(260)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260)는 동축 반전 프로펠러(260)일 수 있다. 동축 반전 프로펠러(2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240)의 동축 상에서 제1 프로펠러(261) 및 제2 프로펠러(262)는 상측, 제3 프로펠러(263) 및 제4 프로펠러(264)는 하측에 설치되어 제1, 2 프로펠러(261, 262)와 제3, 4 프로펠러(263, 26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동축 상의 프로펠러(26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비행 시 회전 관성을 상쇄시키기 때문에 동축 반전 프로펠러(260)를 사용함으로써 일반 프로펠러보다 동일한 크기 대비 더 큰 추력을 발생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복수의 랜딩스키드(300)는 복수의 프로펠러부(200) 각각의 암(230)에 구비되어 드론의 이착륙 시 충격으로부터 기체를 보호할 수 있다.
랜딩스키드(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론이 착륙 시 수면 또는 지면에 먼저 접촉하며 드론 기체를 지지하도록 드론의 본체(100)보다 아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랜딩스키드(3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랜딩스키드(30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아래로 예각이 되도록 구비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45도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랜딩스키드(300)는 한 쌍의 전방프로펠러부(210) 각각에 구비되는 전방랜딩스키드(310) 및 한 쌍의 후방프로펠러부(220) 각각에 구비되는 후방랜딩스키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랜딩스키드(310) 및 후방랜딩스키드(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부(200)를 향하여 상측으로 접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방랜딩스키드(310) 및 후방랜딩스키드(320)는 제3 프로펠러(263) 및 제4 프로펠러(264)와 수평면 상에 나란하게 접혀지도록 90도 각도로 접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1)은 드론이 접혀질 때 전방랜딩스키드(310) 및 후방랜딩스키드(320)가 먼저 접혀진 상태가 되고, 그 다음에 전방프로펠러부(210)가 먼저 접히고 난 뒤, 후방프로펠러부(220)가 접히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전방랜딩스키드(310)가 본체(100)의 내측, 한 쌍의 후방랜딩스키드(320)가 본체(100)의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본체(100) 좌측의 전방랜딩스키드(310)와 후방랜딩스키드(320) 사이 및 본체(100) 우측의 전방랜딩스키드(310)와 후방랜딩스키드(320) 사이의 공간에는 제3 프로펠러(263) 및 제4 프로펠러(264)가 수용된다. 이 때, 제3 프로펠러(263) 및 제4 프로펠러(264)는 양측에 배치된 전방랜딩스키드(310) 및 후방랜딩스키드(320)에 의해 본체(100) 바깥으로 이탈되거나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전방랜딩스키드(310) 및 후방랜딩스키드(320) 사이의 공간에 완전히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드론의 휴대나 보관 시에 외부의 힘에 의해 프로펠러(260)가 움직이면서 프로펠러(260)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프로펠러(260)가 움직이며 사람이 다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한 쌍의 전방랜딩스키드(310) 및 한 쌍의 후방랜딩스키드(320)는 90도 각도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방프로펠러부(210)와 후방프로펠러부(220)의 각 모터(240)의 회전축 하측에 연결된 제3 프로펠러(263) 및 제4 프로펠러(264)의 양측에 고정배치됨으로써, 제3 프로펠러(263) 및 제4 프로펠러(264)들이 자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1)의 프로펠러부(200) 및 랜딩스키드(300)가 접히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전방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전방프로펠러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후방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후방프로펠러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랜딩스키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누름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의 랜딩스키드가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1)은 전방고정부재(400) 및 후방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방고정부재(400)는 본체(100) 전방의 양측에 하나씩 스프링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각 전방고정부재(400)는 전방프로펠러부(210)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방고정부재(400)는 전방스프링결합홀(410), 전방고정돌기(420) 및 전방손잡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고정부재(400)는 일단에 전방스프링결합홀(410)이 형성되어 스프링(미도시)이 삽입되는 스프링 힌지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방고정부재(400)에는 전방고정돌기(42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고정돌기(420)가 암(230)의 제1 고정홈(231) 및 제2 고정홈(232)에 결합되며 암(230)의 각도를 제한하고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전방고정부재(400)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전방손잡이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전방고정돌기(420)는 전방프로펠러부(210)의 제1 고정홈(231)에 끼움 결합되고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고정홈(231)에 고정되면서 전방프로펠러부(210)가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펼쳐지는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손잡이부(430)에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복원력 이상으로 힘을 가하여 전방고정부재(4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전방고정돌기(420)가 제1 고정홈(231)에서 분리되고 전방프로펠러부(21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전방프로펠러부(210)를 본체(100) 측면을 향하여 회전시키고 전방프로펠러부(210)가 본체(100) 측면에 접혀진 상태에서 전방손잡이부(430)를 놓으면 전방고정부재(400)가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복귀하게 되면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고정돌기(420)가 제2 고정홈(232)에 끼움 결합되며 전방프로펠러부(210)의 접혀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후방고정부재(500)는 본체(100) 후방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각 후방고정부재(500)는 후방프로펠러부(220)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후방고정부재(500)는 후방스프링결합홀(510), 후방고정돌기(520) 및 후방누름돌기(53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고정부재(500)는 일단에 후방스프링결합홀(510)이 형성되어 스프링(미도시)의 일단이 상기 후방스프링결합홀(510)에 결합되고, 스프링(미도시)의 타단이 본체(100)의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방고정부재(500)의 타단에 후방고정돌기(520)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고정돌기(520)가 암(230)의 제1 고정홈(231) 및 제2 고정홈(232)에 결합되며 암(230)의 각도를 제한하고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후방고정부재(500)의 후방스프링결합홀(510)과 후방고정돌기(520) 사이에는 후방고정부재(50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후방누름돌기(53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제4 프레임(140)에 후방고정부재(5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후방고정부재이동제한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후방고정부재(500)에 결합되는 스프링(미도시)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후방고정부재이동제한부(141)의 폭을 제한함으로써 스프링(미도시)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암(230)의 제1 고정홈(231) 또는 제2 고정홈(232) 방향으로 늘어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후방고정부재(500)가 암(230)의 제1 고정홈(231) 또는 제2 고정홈(232)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도 1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4 프레임(140) 및 한 쌍의 후방고정부재(500)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후방고정돌기(520)는 후방프로펠러부(220)의 제1 고정홈(231)에 끼움 결합되고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고정홈(231)에 고정되면서 후방프로펠러부(220)가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펼쳐지는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누름돌기(530)에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복원력 이상으로 힘을 가하여 후방고정부재(500)를 스프링(미도시)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후방고정돌기(520)가 제1 고정홈(231)에서 분리되고 후방프로펠러부(22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후방프로펠러부(220)를 본체(100) 측면을 향하여 회전시키고 후방프로펠러부(220)가 본체(100) 측면에 접혀진 상태에서 후방누름돌기(530)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후방고정부재(500)가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복귀하게 되면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고정돌기(520)가 제2 고정홈(232)에 끼움 결합되며 후방프로펠러부(220)의 접혀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찰용 접이식 드론(1)은 랜딩스키드회전부재(330), 누름버튼(340) 및 랜딩스키드연결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랜딩스키드회전부재(330)는 복수의 랜딩스키드(300) 각각의 단부에 고정결합되되, 각각의 랜딩스키드(300)가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홈(331) 및 랜딩스키드(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나사홀(332)이 형성될 수 있다.
누름버튼(340)은 상기 걸림홈(331)에 끼워져 랜딩스키드(300)가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그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누름버튼(340)에는 버튼스프링삽입홀(341)이 형성되어 스프링(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랜딩스키드연결부재(350)는 나사홀(351)이 형성되어 상기 랜딩스키드회전부재(3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누름버튼(340)이 삽입되며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누름버튼(340)이 이동하는 공간을 제한하는 버튼이동홀(35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랜딩스키드(3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랜딩스키드회전부재(330)는 랜딩스키드회전부재(330)에 형성된 걸림홈(331)이 누름버튼(340)에 끼움 결합되고 누름버튼(340)에 삽입된 스프링(미도시)이 아래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누름버튼(340)에 고정되면서 랜딩스키드(300)가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펼쳐지는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340)에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복원력 이상으로 힘을 가하여 누름버튼(340)을 스프링(미도시)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누름버튼(340)이 걸림홈(331)에서 분리되고 랜딩스키드(3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딩스키드(300)를 프로펠러부(200)를 향하여 상측으로 접혀지도록 회전시킬 수 있고, 누름버튼(34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누름버튼(340)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도 16a 및 도 16b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랜딩스키드연결부재(350)를 제외한 것으로 도면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정찰용 접이식 드론
100: 본체
101: 본체돌출부
110: 제1 프레임 120: 제2 프레임 130: 제3 프레임
140: 제4 프레임 141: 후방고정부재이동제한부
150: 제5 프레임
160: 전방연결부
170: 후방연결부
180: 라이더센서 장착홀
190: 배터리 장착홈
200: 프로펠러부
210: 전방프로펠러부
220: 후방프로펠러부
230: 암
231: 제1 고정홈
232: 제2 고정홈
240: 모터
250: 프로펠러고정부재
250a: 상측프로펠러고정부재
250b: 하측프로펠러고정부재
251: 프로펠러고정홀
260: 프로펠러
261: 제1 프로펠러
262: 제2 프로펠러
263: 제3 프로펠러
264: 제4 프로펠러
300: 랜딩스키드
310: 전방랜딩스키드
320: 후방랜딩스키드
330: 랜딩스키드회전부재
331: 걸림홈
332, 351: 나사홀
340: 누름버튼
341: 버튼스프링삽입홀
350: 랜딩스키드연결부재
352: 버튼이동홀
400: 전방고정부재
410: 전방스프링결합홀
420: 전방고정돌기
430: 전방손잡이부
500: 후방고정부재
510: 후방스프링결합홀
520: 후방고정돌기
530: 후방누름돌기
600: 안테나

Claims (3)

  1. 정찰용 접이식 드론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방프로펠러부 및 상기 본체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후방프로펠러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로펠러부; 및
    상기 한 쌍의 전방프로펠러부 각각에 구비되는 전방랜딩스키드 및 상기 한 쌍의 후방프로펠러부 각각에 구비되는 후방랜딩스키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랜딩스키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양측면에서 상기 전방프로펠러부와 상기 후방프로펠러부가 나란하게 접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부 각각은,
    암;
    상기 암의 끝단에 결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프로펠러; 및
    상기 모터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상기 복수의 랜딩스키드 각각의 단부에 고정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랜딩스키드 각각이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랜딩스키드회전부재;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누름버튼; 및
    상단이 상기 암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랜딩스키드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누름버튼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이동홀이 형성되는 랜딩스키드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랜딩스키드 각각은 상기 랜딩스키드회전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암을 향하여 접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측프로펠러가 접혔을 때 상기 하측프로펠러가 상기 전방랜딩스키드 및 상기 후방랜딩스키드 사이의 공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찰용 접이식 드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프로펠러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전방연결부; 및
    상기 본체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프로펠러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후방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후방연결부 간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전방연결부 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찰용 접이식 드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정면, 후면 및 양측면에는 라이더센서가 장착되는 라이더센서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찰용 접이식 드론.
KR1020210061510A 2021-04-06 2021-05-12 정찰용 접이식 드론 KR102314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859 2021-04-06
KR20210044859 2021-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218B1 true KR102314218B1 (ko) 2021-10-18

Family

ID=7827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510A KR102314218B1 (ko) 2021-04-06 2021-05-12 정찰용 접이식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2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131B1 (ko) 2023-04-28 2023-11-23 이상묵 수송용 드론
KR102608605B1 (ko) 2023-04-28 2023-11-30 이상묵 날개 접이식 드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44B1 (ko) * 2015-01-10 2015-06-10 최종필 접이식 무인비행기
KR101733054B1 (ko) 2011-02-22 201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CN107364584A (zh) * 2017-07-27 2017-11-21 钱月珍 无人机坠落保护系统
CN110979643A (zh) * 2019-12-23 2020-04-10 珠海华成电力设计院股份有限公司 起落装置及无人机
CN111038686A (zh) * 2019-12-04 2020-04-21 天津爱思达新材料科技有限公司 复合材料主起支架及其制造装配方法
KR20200106197A (ko) * 2018-01-17 2020-09-11 그리프 에이비에이션 에이에스 무인 항공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054B1 (ko) 2011-02-22 201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101527544B1 (ko) * 2015-01-10 2015-06-10 최종필 접이식 무인비행기
CN107364584A (zh) * 2017-07-27 2017-11-21 钱月珍 无人机坠落保护系统
KR20200106197A (ko) * 2018-01-17 2020-09-11 그리프 에이비에이션 에이에스 무인 항공기
CN111038686A (zh) * 2019-12-04 2020-04-21 天津爱思达新材料科技有限公司 复合材料主起支架及其制造装配方法
CN110979643A (zh) * 2019-12-23 2020-04-10 珠海华成电力设计院股份有限公司 起落装置及无人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131B1 (ko) 2023-04-28 2023-11-23 이상묵 수송용 드론
KR102608605B1 (ko) 2023-04-28 2023-11-30 이상묵 날개 접이식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218B1 (ko) 정찰용 접이식 드론
US11066165B2 (en) Self-enclosed air vehicle
ES2946895T3 (es) Vehículo aéreo con componentes desplegables
US20200172226A1 (en) Ar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JP6716487B2 (ja) 重量移動式同軸回転翼ヘリコプタ
JP7285847B2 (ja) 無人航空機
US20170253324A1 (en) Landing gear and an aerial vehicle using the same
CN105416578B (zh) 可穿戴无人机
KR101456035B1 (ko)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WO2012143717A2 (en) Air vehicle
KR102110911B1 (ko)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무인항공기
US20200277040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2000198A1 (zh) 无人机及适用于无人机的防护装置
CN107416177A (zh) 一种仿生球形结构无人机
EP3369653B1 (en) Hinge mechanism for a weight-shifting coaxial helicopter
US10870477B1 (en) Foldable arm mechanism for rotary wing aircraft
KR101356554B1 (ko) 유도탄의 날개 전개 및 접힘 구조
KR20180064137A (ko)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CN109843718B (zh) 可变形飞行器、移动平台及操作方法
US11079752B1 (en) UAV controller device
KR20190088208A (ko) 무인 비행체용 붐 결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인 비행체
CN208216969U (zh) 无人机及其机架
KR100692237B1 (ko) 폴딩식 테일붐대
CN204802081U (zh) 一种微型航拍飞行器
CN209856741U (zh) 一种手持相机减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